KR20070035112A - 통신 시스템, 수신기 및 수신 신호 품질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수신기 및 수신 신호 품질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112A
KR20070035112A KR1020077005167A KR20077005167A KR20070035112A KR 20070035112 A KR20070035112 A KR 20070035112A KR 1020077005167 A KR1020077005167 A KR 1020077005167A KR 20077005167 A KR20077005167 A KR 20077005167A KR 20070035112 A KR20070035112 A KR 20070035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rate
bit error
tsc
speech frame
bur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르스텐 정크커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35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09Error detection only, e.g.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 [CRC] codes or single parity b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1Frame classification, e.g. bad, good or er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3Details of error rate determination, e.g. BER, FER or 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부와,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수신기가 제공되는 바, 여기서 상기 처리부는 CRC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프레임들에서 에러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소정 프레임에서 에러들이 CRC에 기초하여 발견되지 않을 때, 상기 처리부는 상기 소정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정의하고,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한을 정의하며, 상기 소정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한다.
통신시스템, CRC, 트레이닝시퀀스, 수신프레임 품질추정, TSC비트에러율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수신기 및 수신 신호 품질 측정 방법{COMMUNICATIONS SYSTEM, RECEIVER, AND METHOD OF ESTIMATING RECEIVED SIGNAL QUALITY}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 신호 품질 측정 방법, 통신 시스템,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 프레임 품질 측정에 관한 것이다.
수신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오늘날 사용되는 일반적인 측정방법들은, 버스트(burst) 당 신호 대 잡음 비(Signal-to-Noise-Ratio (SNR)) 추정과, 소정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프레임/블럭에 영향을 주는 신호 대 잡음 비 평균(Mean Signal-to-Noise-Ratio(E[SNR]))의 추정과, 소정 GSM 프레임/블럭에 도움이 되는 버스트의 신호 대 잡음 비 편차(Signal-to-Noise-Ratio variance(Var[SNR]))의 추정과, 수신되는 정보 비트들을 근거로 한 의사 비트 에러 레이트(Pseudo-Bit-Error-Rate(PBER)) 계산을 포함한다.
위에 열거된 SNR 추정은 다양한 RX(수신기) 알고리즘들과 실제적인 HW(하드웨어) 플랫폼(platform)에서의 수정 및 변경에 따라 상당히 달라진다. 예를 들면, PBER은 실제적인 코딩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는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코딩 방식들이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때 주된 단점(disadvantage)이 된다.
어떤 통신 시스템들은 수신기가 수신 신호 품질의 검증(validation)/추정을 위해 사용하는 추가적인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GSM 음성 채널에서, 3에서 8의 추가적인 비트들(패리티 비트들로 나타내짐)이 정보 비트들과 함께 전송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CRC))는 수신 음성 프레임이 양호한 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이러한 패리티 비트들을 근거로 수신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GSM 표준 단독의 3-비트 CRC는 오류가 있는 프레임들을 신뢰성있게 나타내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CRC 체크 외에도 추가 측정은 불량 프레임 검출의 신뢰성을 개선하도록 불량 프레임 표시(Bad Frame indication (BFI)) 알고리즘에 포함된다.
비트 에러 레이트(bit error rate(BER))는 전송 품질의 측정이며 얼마나 많은 비트들이 소정 비트열에서 부정확하게 전송되는 지를 나타낸다. BER은 비트 에러들의 개수 소정 시간 간격 동안 전송되는 비트들의 총 개수에 대한 비트 에러들의 개수의 비율(ratio)이다.
CRC 방식과 더불어 BFI 알고리즘들을 디자인하기 위한 몇 가지 대안들이 있다. 불량 프레임 표시(BFI) 알고리즘의 일례는 다음과 같이 기재될 수 있다.
Figure 112007017880746-PCT00001
또는
Figure 112007017880746-PCT00002
또는
!CRC 이고,
여기서:
PBER은 의사 비트 에러 레이트(Pseudo-Bit-Error-Rate)를 나타내고,
BFIlim계산은 BFImin < BFIlim < BFImax 범위로 제한되며,
WSNR, KSNR, SNRmin, BFImin, 그리고 BFImax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경험적으로 결정되는 내용들이다. BFI 알고리즘의 조정 부분에서 BFIlim 값은 추정 프레임 SNR 분산(variance)(Var[SNR])의 함수와 같이 프레임마다 하나의 프레임에 관해 계산된다. 상기 계산된 BFIlim값이 규정된 BFIlim범위 밖에 놓이면, 상기 값은 BFImin이거나 혹은 BFImax로 설정된다. 구현되는 BFI 알고리즘의 예들이 [표 1]에 표시된다.
Figure 112007017880746-PCT00003
따라서, 소정 음성 프레임이 다음의 3가지 경우들을 근거로 불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PBER이 음성 프레임에 대한 N개 버스트(burst)의 SNR 분산(variance)에 의해 결정된 프레임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여기서, N은 인터리브 뎁스(interleave depth)를 나타내며); 또는 소정 음성 프레임에 영향을 주는 N개 버스트의 평균 SNR(E[SNR])이 소정의 SNR 리미트(limit)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3GPP에 의해 정의된 CRC가 실패로 마크된 경우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 신호 품질을 추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바, 상기 방법은 트레이닝 시퀀스(training sequence)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 음성 프레임은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들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 방법은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트레이닝 시퀀스 코드(training sequence code(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한(upper limit)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전송 음성 프레임들에서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CRC를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 신호 품질을 추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바, 상기 방법은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음성 프레임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들을 통해 전송된다. 소정 음성 프레임에서의 에러가 CRC를 근거로 발견되지 않을 때, 상기 방법은: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한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 바, 상기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를 통해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정의하고,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한을 정의하며,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 바, 상기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를 통해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CRC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프레임들에서의 에러들을 검출한다. 소정 음성 프레임에서의 에러들이 상기 CRC를 근거로 발견되지 않을 때, 처리부는,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정의하고;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한을 정의하며; 그리고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을 위한 수신기가 제공되는 바,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의 기능들을 제어하는 처리부와,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정의하고;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한을 정의하며;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을 위한 수신기가 제공되는 바,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의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부와,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처리부는 CRC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프레임들에서 에러들을 검출한다. 소정 음성 프레임에서 CRC를 근거로 어떤 에러들도 발견되지 않을 때, 상기 처리부는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정의하고;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한을 정의하며;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을 위한 수신기가 제공되는 바,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처리 수단과,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들을 통해 수신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처리 수단은 CRC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프레임들에서 에러들을 검출한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에서 CRC를 근거로 에러들이 발견되지 않을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정의하는 제1 정의 수단과;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한을 정의하는 제2 정의 수단과;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이점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수신 신호의 품질을 추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정보 비트들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성능이 상당히 증가하고, 처리량(throughput)이 증가될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현에 있어서 단순하고 견고하며 용이하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들과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보이고,;
도 2는 GSM 시스템에서의 정상 버스트의 일례를 보이며;
도 3은 수신기의 일례를 보이고;
도 4는 새로운 불량 프레임 표시 알고리즘의 일례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품질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보인다.
도1은 통신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부분들 및 네트워크 요소 레벨에서 이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통신 시스템의 주요 부분들은 코어 네트워크(CN)(100),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130) 및 사용자 단말(UE)(170)이다. 네트워크 요소들의 기능들 및 구조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상술하지 않는다.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102)는 이동 네트워크 요소로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기지국 시스템(Base Station System)(160)의 연결을 담당하도록 사용 될 수 있다.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102)의 임무는 다음을 포함한다. 즉, 스위칭, 페이징, 사용자 장치 위치 등록, 핸드오버 관리, 가입자 과금 정보 수집, 암호 파라미터 관리, 주파수 할당 관리, 및 반향 제거를 포함한다.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102)의 개수는 가변적일 수 있다. 즉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의 운영자는 오직 하나의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102)를 가질 수도 있지만, 대규모의 코어 네트워크에서는 여러개의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102)가 있을 수 있다.
대규모의 코어 네트워크(100)는 별개의 게이트웨이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GMSC)(110)를 가질 수도 있는바, 이는 코어 네트워크(100) 및 외부의 네트워크들(180) 사이의 회선 교환 접속들을 담당한다. 상기 게이트웨이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GMSC)(110)는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102) 와 외부 네트워크들(180) 사이에 위치한다. 외부 네트워크(180)는 예를 들면,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또는 일반 전화 교환망(PSTN) 일 수 있다.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118)는 코어 네트워크(100)의 패킷 교환 측의 중심 지점이다.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118)의 주요 임무는, 기지국 시스템(160)을 사용함으로써 패킷 교환 전송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170)과 패킷들을 주고 받는 것이다. 상기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118)는 사용자 단말(170)에 관련된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120)는 회선 교환측의 게이트웨이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GMSC)에 대응하는 패킷 교환측의 상대방이다. 하지만,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120)는 코어 네트워크(100)로부터의 트래픽을 외부 네트 워크(182)로 라우팅할 수 있는 반면에, 게이트웨이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GMSC)는 오직 인커밍 트래픽만을 라우팅할 수 있다.
기지국 시스템(160)은 기지국 제어기(BSC)(166) 및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 BTS)(162, 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지국 제어기(166)는 송수신 기지국(162, 164)을 제어한다. 기지국 제어기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임무를 담당한다. 즉, 송수신 기지국(162, 164)의 무선 자원 관리, 셀간 핸드오버(intercell handover), 주파수 제어 즉, 송수신 기지국으로의 주파수 할당, 주파수 호핑 시퀀스들의 관리, 업링크 상의 시간 지연 관리, 동작 및 유지 인터페이스의 구현, 전력 제어 등과 같은 임무를 맡는다.
송수신 기지국(162, 164)은, 하나의 캐리어(carrier)[즉, 8개의 타임 슬롯들(time slots) 또는, 8개의 물리 채널]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transceiver)를 갖는다. 전형적으로, 하나의 송수신 기지국(162, 164)은 하나의 셀을 담당하지만, 하나의 송수신 기지국(162, 164)이 여러 개의 섹터로 나누어진 셀들을 담당할 수도 있다. 송수신 기지국(162, 164)의 임무는 다음을 포함한다. 즉, 타이밍 어드밴스(TA)의 계산, 업링크 관리, 채널 코딩, 암호화, 해독, 및 주파수 호핑을 포함한다.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130)는 무선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들(140)로 이루어 진다.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40)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146) 및 B 노드들(142, 144)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170)은 기지국 시스템(160)과 무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적어 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70)은 서로 다른 가입자 신원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70)은 안테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배터리를 포함한다.
UMTS 에서, 가장 중요한 인터페이스는 코어 네트워크와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Iu 인터페이스인 바, 이는 회선 교환측 상의 IuCS 인터페이스, 패킷 교환측 상의 IuPS 인터페이스 및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와 사용자 장치 사이의 Uu 인터페이스로 나뉜다. GSM/GPRS 에서, 가장 중요한 인터페이스들은 기지국 제어기와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 사이의 A 인터페이스, 기지국 제어기와 서빙 GPRS 지원 노드 사이의 Gb 인터페이스, 송수신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Um 인터페이스이다. Um 인터페이스는, 이동국으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무선으로 제공하기 위한 GPR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에서 통신할 때 어떤 종류의 메시지들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정의한다.
도2는 GSM 시스템 내에서 정상 버스트(normal burst)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버스트는 통상적으로 148 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버스트는 예를 들면, 3개의 테일 비트들(tail bits)(202), 제 1 데이터 시퀀스(204)내의 58개의 데이터 비트들, 트레이닝 시퀀스 코드(206)내의 26개의 트레이닝 비트들, 제 2 데이터 시퀀스(208)내의 58개의 데이터 비트들 및 3개의 테일 비트들(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데이터 시퀀스들(204, 208)은 가입자 통신 정보 예를 들면, 음성통화(speech)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레이닝 시퀀스 코드(206)는 기 결정된 시퀀스로서, 채널 특성들 및 신호 품질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닝 시퀀스 코드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알려진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 대한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수신기의 모든 기능들은 처리부(processing unit)(202)에 의해 제어된다. 신호들은 수신기의 통신부(200)에 의해 통신 채널(201)로부터 수신된다. 수신된 음성통화 프레임들은, 통신 시스템의 서로 다른 채널들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들내의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한다. 수신된 버스트들은 비트 검출부(204)에서 첫번째로 검출되며, 이후 수신된 데이터의 샘플들로 변환된다. 채널 디코더(208)는 데이터 결정(data decision)을 출력한다. 채널 디코더는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스케일링, 콘볼루션 디코딩을 사용함으로써 음성통화 프레임을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처리부(202)는, 수신된 음성통화 프레임에서 에러를 검출하기 위해 순환 잉여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 CRC) 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불량 프레임(bad frame)에 대한 판별은, 3GPP에 의해 정의된 CRC 검사 및 TSC 비트 에러율(TSC bit error rate)에 기초한다. 일 실시예에서, 만일 CRC에 기초하여 프레임들 내에서 어떤 에러도 발견되지 않고, 주어진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한(upper limit)보다 크다면, 그 프레임은 불량으로서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CRC에 기초하여 주어진 음성 프레임 내에서 어떤 에러도 발견되지 않았을 때, 상기 처리부(202)는,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에 기초하여 주어진 음성통화 스피치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해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는, 비트 검출 프로세싱 이후에 예를 들면, 이퀄라이저 이후에 이용가능한 하드 결정 방식(hard decision)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도 있다. 처리부는 TSC 비트율에 대한 상한을 정의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주어진 음성통화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한보다 클 때, 주어진 음성통화 프레임을 불량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앞서 제시된 TSC 비트 에러 레이트 임계 방법은 또한 CRC 체크가 사용될 수 없는 통신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링크 품질(radio link quality)을 표시하기 위한 필드 테스트(field tests)에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알려진 심벌 시퀀스(symbol sequence) 또는 파일럿 심벌(pilot symbols)이 전송되고 그리고 링크 품질이 전송되어야 하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불량 프레임 표시(Bad Frame Indication, BFI),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계산하고 처리부에 의해 제어되는 불량 프레임 결정을 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BFI 유닛(206) 내의 L1 층 수신기 체인 내에 위치된다. 각 프레임에 대해, 대응하는 BF1 플래그(flag)가 설정된다. 음성 프레임들에 대해 이 플래그들은 각 음성 프레임에 관한 결정을 하는 RX-DTX 핸들러(handler)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즉 BFI 플래그에 따라, 음성 프레임은 직접 음성 디코더에 의해 처리될 수 있고, 이전 음성 프레임의 뮤트 버전(muted version)으로 대체될 수 있고, 또는 컴포트 노이즈(comfort noise)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불량 프레임 표시 알고리즘은, 음성 프레임이 수신되는 경우, 실제 음성 품질에 직접 영향을 준다.
음성 프레임을 정상(good)으로 또는 불량(bad)으로 마킹(marking)하기 위해 3GPP에 의해 정의된 CRC는 또한 다른 측정법이 CRC 체크와 함께 사용되도록 한다. CRC는 컨벌루션 인코딩(convolution encoding)에 의해 TX에서 얻어진 몇몇 추가 패리티 비트(parity bits)에 관해 실행된다. CRC 비트의 수는 실제 서비스에 달려있는데, 예를 들어 TCH/FS에 대해서는 단지 3개의 CRC 비트가 사용되고, 반면에 TCH/EFS에 대해서는 8개의 CRC 비트가 사용된다. CRC 비트의 수는 CRC 마킹(marking)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데, 즉, CRC 비트가 더 적을수록, 상기 마킹은 신뢰도가 더 낮다. 특히 TCH/HS 및 TCH/FS에 대해 특정된 3개의 비트 CRC 체크는 BFI 마킹에 대해서 단지 매우 신뢰할 수 없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4개의(하프 레이트(half rate)) 및 8개의(풀 레이트(full rate)) 버스트 인터리빙(burst interleaving)을 인가함으로써, 3GPP BFI 요건을 수행하는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한(upper limit)에 대한 적당한 TSC 에러 임계치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것은 CRC 체크만이 인가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불량으로 마킹되는 양호 음성 프레임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지 않으면서 설정될 수 있다. TSC 비트 에러 레이트 표준 편차는 두 개의 인터리브 뎁스(Interleave Depths)에 대해 다르기 때문에, 두 개의 다른 TSC 비트 에러 레이트 임계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경험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버스트 인터리브 뎁스에 대한 임계치 값은 0.125, 그리고 8개의 버스트 인터리브 뎁스에 대한 임계치 값은 0.159이다. 4개의 버스트 인터리브 뎁스에 대해 확인된 0.125의 임계치 값은 또한 예를 들어 8개의 버스트 인터리브 뎁스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한을 낮추는 것은, 불량으로 양호 프레임을 마킹하는 확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것은 또한 FER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이 임계치 값은 이상적으로는 가능한 높다. 다른 임계치들이 다양한 수의 CRC 비트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 응용될 수 있다, 즉, 고정 유선 시스템 및 무선 시스템 모두에서 응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트레이닝(training(훈련)) 시퀀스 심벌/파일럿 심벌은 때때로 또는 계속적으로 전송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은 신호 품질 추정을 위한 몇몇 수신기 알고리즘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NR, E[SNR], Var[SNR], PBER 또는 유사한 측정법을 사용하는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가능성 있는 GSM RX 알고리즘 후보는, 음성 프레임/데이터 블록의 빈약한 수신(poor reception)을 검출하는 것, 업링크 상태 플래그를 디코딩하는 것, 예를 들어 RX 중지 전송(discontinued transmission) 및 AMR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에 대한 슬립 기능(sleep fuction)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몇몇 방법으로 구형될 수 있고, 그리고 가장 적당한 방법은 실제 시스템에서의 트레이닝 시퀀스 심벌/파일럿 심벌의 구조에 달려있다, 즉, 여기서 심벌들은 때때로 또는 계속적 등으로 수신되었든지 간에 수신된 데이터 내에 위치된다. 수신된 신호의 제시된 품질 측정법의 한 가지 가능한 실시예는 먼저, 고려할 심벌의 수를 특정함으로써 수신된 데이터의 품질을 추정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려할 심벌의 수는 관심 있는 데이터의 블록 또는 음성 프레임에 기여하는 모든 트레이닝 시퀀스 심벌/파일럿 심벌일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 에러 레이트 변수는 제로(0)로 초기화되고 그리고 요구된 음성 프레임 또는 블록 에러 레이트 기준이 정의된다. 다음으로, 잘못 수신된 심벌의 누산(accumulation)이 수행되고, 그 다음으로 데이터 블록 또는 음성 프레임에 기여하는 수신된 트레이닝 시퀀스 심벌/파일럿 심벌 내에서의 에러 레이트의 계산이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계산된 에러 레이트는 소정의 프레임 또는 데이터 블록 에러 레이트 기준에 대하여(against) 검증(validate)된다.
트레이닝 시퀀스 심벌들/파일럿 심벌들에 기초하는 제시된 품질 측정법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시스템 처리량(throughput)은 증가될 수 있는데, 이것은 수신된 신호의 품질을 검증하기 위해 추가적인 정보 비트가 송신기로부터 요구되지 않기 때문이다.
CRC 체크 만으로 음성 채널들 TCH/FS, TCH/EFS, TCH/HS, TCH/AFS 및 TCH/AHS 상에 BFI 마킹을 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음성 프레임에 기여하는 프레임들의 수는 인터리브 뎁스(지원되는 하프 레이트 채널들에 대해서는 4이고, 지원되는 풀 레이트 채널들에 대해서는 8이다)에 의존하기 때문에, 인터리브 뎁스(N)에 대한 정보가 또한 요구된다. 하지만, 이 정보는 이미 L1 레벨 상에 존재한다. 프레임당 TSC 비트 에러 레이트는 다음과 같이 정해질 수 있다:
Figure 112007017880746-PCT00004
(3)
여기서, FrameTSCBER은 프레임의 트레이닝 시퀀스 코드 비트 에러 레이트이고,
TSC(i)Errors는 버스트(i) 내에서의 잘못된 TSC 비트들의 수이고,
TSCLength는 버스트당 트레이닝 시퀀스 코드 엘리먼트들의 수이고,
N은 인터리브 뎁스에 대한 정보이다.
버스트(i) 내에서의 잘못된 TSC 비트들의 수는, 정확한 TSC 코드 비트들과는 다른 수신된 검출 TSC 코드 비트들의 총 수이다.
GSM에서, 하나의 버스트는 각 버스트의 중간에 위치하는 26개의 시퀀스 코드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CRC 체크 외에, 제안되는 불량 프레임 추정은 TSC 비트 에러 레이트 임계치에 기초한 간단한 고정 프레임에 기반을 둔다. 이에 따라,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프레임들은 불량으로서 마크된다.
(FrameTSCBER>Threshold TSC) OR !CRC, 여기서 Threshold TSC는 프레임이 불량으로서 마크되어야 하기 전에 프레임당 TSC 비트 에러 레이트에 대한 상한(upper limit)을 나타내는 TSC 비트 에러 레이트 임계치이다. 제안되는 알고리즘은 프레임당 TSC 비트 에러들의 양에 기초하며, 간단한 임계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프레임이 불량으로서 마크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TSC BER 임계치는 서비스에 의존할 수 있다. 따라서, TSC BER 임계치에 대한 상한은 각각의 지원되는 서비스에 대해, 즉 TCH/HS, TCH/FS, TCH/AHS, TCH/AFS, EFS에 대해 개별적으로 정의된다.
도 4는 음성 프레임당 한번 실행되는 불량 프레임 표시 알고리즘의 예를 나타낸다. 도면은 BFI 알고리즘의 입출력 신호들(401, 402 및 410)을 나타낸다. 입력 신호 CRC 플래그(402)는 BFI 결정 블록(408)에 대해, CRC 체크가 실패하였는지(False) 아니면 패스하였는지(True)를 표시한다. 입력 신호 TSC 소프트비트(401)는 비트 검출기로부터 수신되는 TSC 소프트 비트 값들을 포함한다. 출력 신호 BFI_플래그(410)는 프레임이 불량으로서 마크되는지(True) 아닌지(False)를 나타낸다.
버스트에서의 TSC 에러들 누산 블록(404)은 예측되는 TSC 비트들에 대해 26개의 TSC 소프트비트들 각각의 맵핑 하드 비트(mapped hard bit)를 유효화시킴으로써 버스트당 TSC 비트 에러들을 누산한다. 비트가 일치하지 않으면, BurstTSCerrors 변수는 1 만큼 증분된다. 블록(404)은 버스트 내에서의 잘못 복조된 TSC 비트들의 누산된 수를 출력한다.
현재 프레임에 대한 N개의 버스트 TSCerrors을 누산하고 TSC BER을 계산하는 블록(406)은 1개의 음성 프레임에 기여하는 모든 버스트들에 대한 TSC 에러들을 누산하고 TSC BER을 계산한다. 인터리빙 뎁스(N)는 누산하기 위한 버스트들의 수를 결정한다. 소정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TSC 에러들이 식별되면, 그 음성 프레임에 대한 TSC 비트 에러 레이트는 수식 (3)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BFI 결정 블록(408)은 디코드된 음성 프레임을 불량으로서 마크한다. BFI 결정 기능은 몇 개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음성 프레임들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17880746-PCT00005
Threshold TSC _HR은 4의 버스트 인터리브 뎁스에 대한 TSC BER 임계치 파라미터를 의미하고, Threshold TSC _ FR은 8의 버스트 인터리브 뎁스에 대한 TSC BER 임계치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BFI 플래그는 BEI가 유효화되기 전에 False로 시작된다. 먼저, TSC BER 임계치는 적용되는 코덱 모드(codec mode), 즉 하프 레이트 또는 풀 레이트에 따라 설정된다. 이후, BFI 기준들이 유효화되고; 프레임 TSC BER이, 정의된 TSC BER 임계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CRC가 실패하는 경우, 그 프레임은 불량으로서 마크된다.
도 5는 무선 시스템에서 음성 프레임의 품질을 추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방법은 400에서 시작된다.
402에서,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럿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이 수신된다. 404에서, 순환 잉여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에 기초하여 소정의 음성 프레임에서의 임의의 에러들이 발견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CRC 체크가 어떠한 에러도 발견하지 못하면, 406으로 진행하는 바, 여기에서는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럿 심볼들에 기초하여 소정의 수신된 음성 프레임의 버 스트들에 대해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정의된다. 또한, TSC 비트 에러 레이트에 대한 상한이 정의된다. 408에서는, 소정의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TSC 비트 에러 레이트에 대한 상한 보다 큰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만일 "예"이면, 410으로 진행하여, 소정의 음성 프레임은 불량으로서 마크된다. 만일 408에서의 비교가 "아니오"이면, 412로 진행하여, 음성 프레임은 정상으로서 마크된다.
BFI 성능 요건의 세트는 3GPP 사양에서 음성 프레임들에 대해 특정된다. 2개의 기본적인 강제 사항(constrain)들, 즉 정상으로서 마크되는 불량 음성 프레임들에 대한 요건 및 불량으로서 마크되는 정상 음성 프레임들에 대한 요건이 있다. TSC 비트 에러 레이트에 대한 상한을 특정하기 위해, 불량 음성 프레임을 불량으로서 마크하는 정확성 확률(accuracy probability)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한에 대한 임계치를 설정하기 위해, 2개의 강제 사항들 "정상으로서 마크되는 불량 음성 프레임들" 대 "불량으로서 마크되는 정상 음성 프레임들" 간에 트레이드 오프(tradeoff)가 이루어진다.
제안되는 방법은 프레임당 기초하여 분리되어 동작하며, 단지 하나의 결과만이 요구된다. 즉, 각 프레임에 기여하는 버스트들에 대해 1개의 공통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계산된다. 따라서, 연속적인 프레임들에 대한 정보가 요구되지 않는다. TSC 비트 에러 레이트는, 비트 검출 처리 이후, 즉 디-인터리빙 및 채널 디코더 처리 바로 전에 이용가능한 하드 결정방식(hard decision)에 기초한다.
비록 상기 본 발명이 첨부 도면들에 따른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복수의 방법으로 수정될 수 있다.

Claims (19)

  1.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 신호 품질을 추정하는 방법-상기 방법은 트레이닝 시퀀스(training sequence)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 음성 프레임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들을 통해 전송된다-에 있어서,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트레이닝 시퀀스 코드(training sequence code(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한(upper limit)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품질 추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CRC를 사용하여 전송된 음성 프레임들에서 에러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에서 에러가 상기 CRC를 근거로 발견되지 않을 때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기 상한보다 더 큰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근거로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품질 추정 방법.
  3. CRC를 이용하여 전송 음성 프레임들에서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 신호 품질을 추정하는 방법-상기 방법은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음성 프레임은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들을 통해 전송되며-에 있어서,
    소정 음성 프레임에서의 에러가 CRC를 근거로 발견되지 않을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한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품질 추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정의하는 단계는, 수식
    Figure 112007017880746-PCT00006
    을 이용하여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TSC(i)Errors는 버스트i에서 오류 TSC 심볼들의 개수이고, TSCLength는 버스트 당 트레이닝 시퀀스 코드 엘리먼트들의 개수이며, N은 채널의 인터리브 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품질 추정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각 버스트는 26개의 트레이닝 시퀀스 코드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품질 추정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는 비트 검출 처리 후에 하드 결정 방식을 근거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품질 추정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기 상한은 서비스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품질 추정 방법.
  8.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를 통해 수신하고-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정의하고,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한을 정의하며,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CRC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 음성 프레임들에서 에러들을 검출하고, 소정 음성 프레임에서 에러들이 상기 CRC를 근거로 발견되지 않을 때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기 상한보다 더 큰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근거로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를 통해 수신하고, CRC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프레임들에서 에러들을 검출하며-에 있어서,
    소정 음성 프레임에서의 에러들이 상기 CRC를 근거로 발견되지 않을 경우,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처리부는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정의하고;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한을 정의하며; 그리고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신된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수식
    Figure 112007017880746-PCT00007
    을 이용하여 정의하고,
    여기서 TSC(i)Errors는 버스트i에서 오류 TSC 심볼들의 개수이고, TSCLength는 버스트 당 트레이닝 시퀀스 코드 엘리먼트들의 개수이며, N은 채널의 인터리브 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품질 추정 방법.
  12. 통신 시스템을 위한 수신기- 여기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의 기능들을 제어하는 처리부와,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정의하고;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한을 정의하며;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CRC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프레임들에서 에러들을 검출하고, 소정 음성 프레임에서 에러들이 상기 CRC를 근거로 발견되지 않을 때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기 상한보다 더 큰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근거로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4. 통신 시스템을 위한 수신기- 여기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의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부와,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처리부는 CRC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프레임들에서 에러들을 검출하고-에 있어서,
    소정 음성 프레임에서 CRC를 근거로 어떤 에러들도 발견되지 않을 때, 상기 처리부는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상기 트레 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정의하고;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한을 정의하며;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에 대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수식
    Figure 112007017880746-PCT00008
    을 이용하여 정의하고,
    여기서 TSC(i)Errors는 버스트i에서 오류 TSC 심볼들의 개수이고, TSCLength는 버스트 당 트레이닝 시퀀스 코드 엘리먼트들의 개수이며, N은 채널의 인터리브 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각 버스트는 26개의 트레이닝 시퀀스 코드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비트 검출 처리 후에 하드 결정 방식을 근거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기 상한은 서비스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9. 통신 시스템을 위한 수신기- 여기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처리 수단과,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들을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채널 상에서 알려진 개수의 연속적인 버스트들을 통해 수신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처리 수단은 CRC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프레임들에서 에러들을 검출하고-에 있어서,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에서 CRC를 근거로 에러들이 발견되지 않을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 심볼들 또는 파일롯 심볼들을 근거로 정의하는 제1 정의 수단과;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의 상한을 정의하는 제2 정의 수단과;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의 버스트들의 TSC 비트 에러 레이트가 상기 TSC 비트 에러 레이트를 위한 상기 상한보다 더 클 때 상기 소정 음성 프레임을 불량한 것으로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KR1020077005167A 2004-09-01 2005-08-31 통신 시스템, 수신기 및 수신 신호 품질 측정 방법 KR200700351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45318A FI20045318A0 (fi) 2004-09-01 2004-09-01 Kommunikointijärjestelmä, vastaanotin, ja menetelmä arvioida vastaanotetun signaalin laatua
FI20045318 2004-09-01
PCT/FI2005/050306 WO2006024700A1 (en) 2004-09-01 2005-08-31 Communications system, receiver, and method of estimating received signal qu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112A true KR20070035112A (ko) 2007-03-29

Family

ID=3304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167A KR20070035112A (ko) 2004-09-01 2005-08-31 통신 시스템, 수신기 및 수신 신호 품질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96804B2 (ko)
EP (1) EP1784922A4 (ko)
KR (1) KR20070035112A (ko)
CN (1) CN101027845B (ko)
FI (1) FI20045318A0 (ko)
TW (1) TWI354468B (ko)
WO (1) WO20060247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5473B2 (en) 2001-05-14 2005-07-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icit user equipment identification
US7200405B2 (en) * 2003-11-18 2007-04-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nnel assignment information used to support uplink and downlink channels
CN100433613C (zh) * 2005-11-16 2008-11-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链路扰码配置一致性检测方法
KR100987269B1 (ko) * 2006-08-22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차 변조 기반의 버스트 매핑 방법및 장치
EP2061167A3 (en) * 2007-11-19 2013-07-31 Gilat Satellite Networks, Ltd. Channel estimation for Digital Video Broadcasting via Satellite (DVB-S2)
CN101188484B (zh) * 2007-12-14 2011-11-02 华为技术有限公司 检测坏帧的方法和装置
US8477830B2 (en) 2008-03-18 2013-07-02 On-Ramp Wireless, Inc. Light monitoring system using a random phase multiple access system
US20100195553A1 (en) * 2008-03-18 2010-08-05 Myers Theodore J Controlling power in a spread spectrum system
US8520721B2 (en) 2008-03-18 2013-08-27 On-Ramp Wireless, Inc. RSSI measurement mechanism in the presence of pulsed jammers
US8958460B2 (en) * 2008-03-18 2015-02-17 On-Ramp Wireless, Inc. Forward error correction media access control system
US20090279625A1 (en) * 2008-05-09 2009-11-1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Legacy-compliant burst formats for multiple users reusing one slot (muros) operation
WO2010021635A1 (en) * 2008-08-20 2010-02-2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method for a geran system to increase geran network capacity
US8194529B2 (en) * 2008-09-08 2012-06-05 Sony Corporation Frame and data pattern structure for multi-carrier systems
US8363699B2 (en) 2009-03-20 2013-01-29 On-Ramp Wireless, Inc. Random timing offset determination
EP2398179B1 (en) * 2010-06-11 2017-03-22 Intel Deutschland GmbH Method for detecting the validity of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telecommunication user equipment, decoder and baseband receiver for performing same
JP2012095033A (ja) * 2010-10-26 2012-05-17 Alpine Electronics Inc デジタルオーディオ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ラベル情報表示方法
US11165680B2 (en) * 2014-09-15 2021-11-02 Vasona Networks, Inc. Bit-rate extraction for encrypted video
US10063922B2 (en) * 2014-09-15 2018-08-28 Vasona Networks Inc. Performance metrics for downloads of encrypted video
DE102016101023A1 (de) * 2015-01-22 2016-07-28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Digitales Drahtlos-Audioübertragungssystem
US10582266B2 (en) 2015-10-07 2020-03-03 Vasona Networks Inc. Rating video-download quality
CN109286533B (zh) * 2017-07-20 2021-02-1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语音数据包的验错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CN112039771A (zh) * 2019-06-03 2020-12-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链路误码的处理方法和装置
EP4128618A4 (en) * 2020-03-31 2024-04-10 Ericsson Telefon Ab L M ELIMINATION OF UNINTELLIGIBLE SPEECH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3126A (en) * 1991-04-03 1993-10-12 Archive Corporation Raw error monitoring and reporting
SE504396C2 (sv) * 1994-04-28 1997-01-27 Ericsson Telefon Ab L M Detektering av felaktigt mottagna dataramar i ett kommunikationssystem
FI100566B (fi) 1996-01-24 1997-12-31 Nokia Telecommunications Oy Kehyksen laadun tunnistamismenetelmä ja vastaanotin
GB2311699B (en) * 1996-03-29 2000-09-20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communication
US5751725A (en) * 1996-10-18 1998-05-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rate of received data in a variable rate communication system
US6522696B1 (en) * 1997-04-11 2003-02-18 Agere Systems Inc. Adaptive frequency corr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such as for GSM and IS54
US6009124A (en) * 1997-09-22 1999-12-28 Intel Corporation High data rate communications network employing an adaptive sectored antenna
FI108825B (fi) 1998-03-16 2002-03-28 Nokia Corp Menetelmä estimoida kanavan bittivirhesuhde ja vastaanotin
GB2339120B (en) 1998-06-30 2003-03-19 Nec Technologies Channel estimation device for digital telecommunications stations
FI107675B (fi) 1999-07-05 2001-09-14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käyttäjälle osoitetun informaation tunnistamiseksi kommunikaatiojärjestelmässä ja kommunikaatiojärjestelmä
EP1091447A1 (en) 1999-10-07 2001-04-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enna system, in particular for use in a mobile phone handset,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SE523070C2 (sv) 2001-05-21 2004-03-23 Ericsson Telefon Ab L M En metod och apparat för skattning av länkkvalitet i ett mobilt kommunikationsnätve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24700A1 (en) 2006-03-09
US20060053352A1 (en) 2006-03-09
TW200620883A (en) 2006-06-16
EP1784922A4 (en) 2015-01-07
EP1784922A1 (en) 2007-05-16
CN101027845A (zh) 2007-08-29
CN101027845B (zh) 2012-05-09
TWI354468B (en) 2011-12-11
US7496804B2 (en) 2009-02-24
FI20045318A0 (fi)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6804B2 (en) Communications system, receiver, and method of estimating received signal quality by using bit error rate
CA2341879C (en) Codec mode decoding using a priori knowledge
US6539205B1 (en) Traffic channel quality estimation from a digital control channel
KR101014474B1 (ko) Edge 무선 시스템에서의 비트 오류 확률(bep) 추정
US7907907B2 (en) Cooperative link characterization and MCS selection by wireless terminal and network for improved system performance
US20040252647A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a bit error probability of received communications within a cellular wireless network
US6792053B1 (en) Method for estimating channel bit error ratio, and receiver
JP4094678B2 (ja) 誤り訂正及び誤り検出を利用する情報符号化方法及び装置
US7107013B2 (en) Cooperative link characterization and MCS selection by wireless terminal and network for improved system performance
JP3906907B2 (ja) 通信路のインジケータの推定方法
WO2005101716A1 (en) Received signal quality determination
EP1671447B1 (en) Bad frame indicator in gsm mobile system
JP3710420B2 (ja) 通信クオリティの推定
EP1895699A2 (en) Modulation scheme decid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modulation scheme deciding method and modulation scheme deciding program
US674803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connection quality, and a receiver
Leung et al. Protocol for measuring performance of demodulator in W-CDMA user equipment
MXPA01002141A (en) Codec mode decoding using a priori knowledge
MXPA01002701A (es) Metodo y sistema para transmision alterna de informacion de modo code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28

Effective date: 2010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