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816A -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816A
KR20070034816A KR1020050089390A KR20050089390A KR20070034816A KR 20070034816 A KR20070034816 A KR 20070034816A KR 1020050089390 A KR1020050089390 A KR 1020050089390A KR 20050089390 A KR20050089390 A KR 20050089390A KR 20070034816 A KR20070034816 A KR 20070034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lack matrix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복
배호기
Original Assignee
오리온오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오엘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리온오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4816A/ko
Publication of KR20070034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이에 의하면, 수동형 유기발광소자는 블랙 매트릭스가 투명 절연성 기판의 화상표시영역의 화소 영역 이외의 영역 상에 배치되므로 해당 화소영역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해당 화소영역으로 입사하는 외부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동형 유기발광소자는 외부광의 손실이 많은 편광막을 상기 기판에 부착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상기 편광막에서의 내부광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기발광소자의 내부광 손실을 감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발광소자의 콘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유기발광소자의 소비전력이 감소하고, 유기발광소자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기발광소자의 대형화가 가능하다.
유기발광소자, 블랙 매트릭스, 오버 코팅층, 광 손실, 콘트라스트비

Description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pass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수동형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낸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동형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낸 단면구조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동형 유기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
본 발명은 수동형 유기발광소자(pass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광막의 사용을 생략함으로써 내부광의 손실을 감소하여 콘트라스트비를 향상하도록 한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기존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의 단점인 무거운 무게와 큰 부피를 해결하기 위해 각종 평판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 중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이 있다. 특히, 유기발광소자는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을 갖는 전계발광층의 양면에 전극을 형성한 형태로, 넓은 시야각, 고개구율, 고색도 등의 특징 때문에 차세대 평판 표시장치로서 주목받고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형 유기발광소자(passive matrix OLED: PMOLED)와 능동형 유기발광소자(active matrix OLED: AMOLED)로 구분된다.
종래의 수동형 유기발광소자(10)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절연성 기판(11)의 상면 중앙부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영역(11a)으로 정의되고, 상기 기판(11)의 상면 가장자리부가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화상표시영역(11b)으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기판(11)의 화상표시영역(11a)의 애노드전극 형성 영역 상에 애노드전극을 위한 투명 도전층(13)이 배치되고, 아울러 상기 비화상표시영역(11b)의 애노드 보조전극 형성 영역 상에 애노드 보조전극을 위한 도전층(15), 예를 들어 저저항 도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영역(11a)의 화소영역 사이에 화소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유기절연층(17)이 배치되고, 상기 유기절연층(17) 상에 캐소드전극 분리막(19)이 배치되고, 상기 화상표시영역(11a)의 화소영역 상에 유기발광층(21)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유기발광층(21) 상에 각각 캐소드 전극을 위한 도전층(23)이 배치된다. 상기 유기발광층(21)의 각각은 적색(R), 녹색(G), 청색(B)을 위한 유기발광층 중 하나이다. 상기 화상표시영역(11a)의 각 부분들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캡(25)이 상기 비화상표시영역(11b)의 도전층(15) 상 에 절연성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봉착되고, 상기 기판(11)의 하면 상에 외부광 차단용 편광막(27)이 접착된다.
그러나, 상기 유기발광층(21)에서 발광한 내부광이 상기 기판(11)과 편광막(23)을 거쳐 외부로 방출할 때, 상기 내부광의 손실이 상기 유기발광소자(10)의 타 부분에 비하여 상기 편광막(23)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수동형 유기발광소자(10)는 광 손실이 약 50%~60% 정도로 크므로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비교적 낮다.
상기 편광막(23)에서의 내부광 손실을 미리 감안하여 원하는 수준의 휘도를 확보하도록 상기 유기발광소자(10)에 더 많은 전력을 인가하여야 하므로 상기 유기발광소자(10)의 소비전력이 높고 상기 유기발광소자(10)의 저전압 구동이 곤란하였고, 그 결과, 상기 유기발광소자(10)의 대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막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내부광 손실을 감소함으로써 콘트라스트비를 향상하도록 한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전력을 감소하고 저전압 구동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대형화를 가능하도록 한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동형 유기발광소자는, 투명 절연성 기판; 상기 기판의 화상표시영역의 화소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광 손실을 감소함과 아울러 해당 화소영역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입사하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불투명 블랙 매트릭스;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한 상기 기판의 전역 상에 배치되어, 표면 평탄화를 이루는 오버 코팅층;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오버 코팅층의 애노드전극 형성영역 상에 배치되는 애노드전극; 상기 블랙 매트릭스와 중첩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애노드전극의 캐소드전극 형성 영역 상에 배치되는 캐소드전극 분리막; 상기 화소영역의 애노드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된 캐소드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유기계 수지 또는 크롬/산화크롬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불투명 감광막과 같은 유기계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버 코팅층은 아크릴수지, 폴리이미드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동형 유기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은, 투명 절연성 기판의 화상표시영역의 화소영역 사이에, 내부광 손실을 감소함과 아울러 해당 화소영역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입사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불투명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한 상기 기판의 전역 상에 표면 평탄화를 위한 오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오버 코팅층의 애노드전극 형성영역 상에 애노드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블랙 매트릭스와 중첩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애노드전극의 캐소드전극 형성 영역 상에 캐소드전극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영역의 애노드전극 상에 유기발광층을 형성하는;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캐소드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유기계 수지 또는 크롬/산화크롬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불투명 감광막과 같은 유기계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버 코팅층을 아크릴수지, 폴리이미드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동형 유기발광소자를 나타낸 단면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동형 유기발광소자(30)에서는 투명 절연성 기판(31)의 상면 중앙부는 화상표시영역(31a)으로 정의되고, 상기 기판(31)의 상면 가장자리부는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화상표시영역(31b)으로 정의된다. 상기 기판(31)은 소 다 라임(sodalime) 또는 비알칼리(non alkali) 등과 같은 공지된 재질의 글래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영역(31a)의 화소영역 사이에 내부광 손실을 감소함과 아울러 해당 화소영역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입사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불투명 블랙 매트릭스(33)가 배치된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33)는 예를 들어 불투명 감광막과 같은 유기 절연막이나, 크롬(Cr)/산화크롬(CrO)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 매트릭스(33)를 포함한 상기 기판(31)의 전역 상에 표면 평탄화를 위한 오버 코팅층(37)이 배치된다. 상기 오버 코팅층(37)은 아크릴수지, 폴리이미드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영역(31a)의 오버 코팅층(37)의 애노드전극 형성 영역 상에 애노드전극을 위한 투명 도전층(39)이 배치되고, 상기 비화상표시영역(31b)의 오버 코팅층(37)의 애노드 보조전극 형성 영역 상에 애노드 보조전극을 위한 저저항 도전층(41)이 배치된다. 상기 투명 도전층(39)은 예를 들어 ITO, IZO, ZnO, SnO, In2O3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저저항 도전층(41)은 예를 들어, 크롬(Cr), 몰리브데늄(Mo), 알루미늄합금 등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 매트릭스(33)와 동일 수직선상에서 중첩하도록 상기 투명 도전층(39)의 캐소드전극 분리막 형성 영역 상에 캐소드전극 분리막(43)이 배치되고, 상기 화상표시영역(31a)의 화소영역 상에 유기발광층(45)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유기발광층(45) 상에 각각 캐소드 전극을 위한 도전층(47)이 배치된다. 도면에 서 상기 유기발광층(45)의 각각이 동일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적색(R), 녹색(G), 청색(B)을 위한 유기발광층 중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기발광층(45)이 도면에서 1개의 층으로 구성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등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성이 적으므로 이에 대한 부분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영역(31a)의 각 부분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하기 위한 밀봉 캡(49)이 상기 비화상표시영역(31b)의 저저항 도전층(41) 상에 절연성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봉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동형 유기발광소자(30)는, 상기 블랙 매트릭스(33)가 해당 화소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해당 화소영역으로 입사하는 외부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므로 도 1의 편광막(27)을 상기 기판(31)의 하면에 부착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상기 편광막(27)에서의 내부광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기발광소자(30)의 내부광 손실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유기발광소자(10)의 내부광 손실에 비하여 훨씬 낮은 약 10% 정도가 되므로 상기 유기발광소자(30)는 동일한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유기발광소자(10)의 콘트라스트비보다 더 높은 콘트라스트비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30)는 종래의 유기발광소자(10)에 비하여 더 적은 전력을 공급받으면서도 상기 유기발광소자(10)의 휘도와 동일한 콘트라스트비를 휘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30)의 소비전력을 상기 유기발광소자(10) 의 소비전력보다 더 낮출 수가 있고, 상기 유기발광소자(30)를 상기 유기발광소자(10)에 비하여 더 낮은 저전압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유기발광소자(30)는 종래의 유기발광소자(10)가 갖고 있었던 대형화 한계를 극복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블랙 매트릭스(33)가 상기 캐소드전극 분리막(43)과 동일 수직선상에 중첩하므로 상기 블랙 매트릭스(33)의 배치를 위한 기판(31)의 면적이 추가로 필요 없고 나아가 상기 기판(31)의 사이즈는 확대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동형 유기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동형 유기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먼저, 투명 절연성 기판(31), 예를 들어 소다 라임(sodalime) 또는 비알칼리(non alkali) 등과 같은 재질의 글래스로 구성된 기판을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판(31)의 일면, 예를 들어 상면의 중앙부는 화상표시영역(31a)으로 정의하고, 상기 기판(31)의 가장자리부는 비화상표시영역(31b)으로 정의한다.
이어서, 상기 기판(31)의 화상표시영역(31a)의 화소영역 사이에, 내부광 손실을 감소함과 아울러 해당 화소영역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입사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불투명 블랙 매트릭스(33)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33)는 예를 들어, 불투명 감광막과 같은 유기 절연막이나, 크롬(Cr)/산화크롬(CrO)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33)는 상기 유기 절연막으로 구성될 경 우, 사진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유기 절연막의 패턴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그런 다음, 예를 들어 스핀코팅공정 등을 이용하여 상기 블랙 매트릭스(33)를 포함한 상기 기판(31)의 상면 전역 상에 표면 평탄화를 위한 오버 코팅층(37)을 코팅한다. 상기 오버 코팅층(37)은 아크릴수지, 폴리이미드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이후, 예를 들어 진공증착공정, 스퍼터링공정 등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표시영역(31a)의 오버 코팅층(37)의 전역 상에 애노드전극을 위한 투명 도전층(39)을 증착하고, 상기 투명 도전층(39)의 전역 상에 애노드 보조전극을 위한 저저항 도전층(41)을 증착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 도전층(39)은 예를 들어, ITO, IZO, ZnO, SnO, In2O3 등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저저항 도전층(41)은 예를 들어, 크롬(Cr), 몰리브데늄(Mo), 알루미늄합금 등과 같은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애노드 보조전극 형성을 위한 사진식각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비화상표시영역(31b)의 오버 코팅층(37)의 애노드 보조전극 형성 영역 상에만 상기 저저항 도전층(41)의 패턴, 즉 애노드 보조전극의 패턴을 남김과 아울러 상기 애노드 보조전극 형성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상의 저저항 도전층(41)을 완전히 제거하여 상기 화상표시영역(31a)의 전역 상의 투명 도전층(39)을 노출시킨다.
그 다음에, 애노드전극 형성을 위한 사진식각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표시영역(31a)의 오버 코팅층(37)의 애노드전극 형성 영역 상에만 상기 노출된 투명 도 전층(39)의 패턴, 즉 애노드전극의 패턴을 남김과 아울러 상기 애노드전극 형성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상의 투명 도전층(39)을 완전히 제거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이후, 사진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블랙 매트릭스(33)와 동일 수직선상에서 중첩하도록 상기 투명 도전층(39)의 캐소드전극 분리막 형성 영역 상에 캐소드전극 분리막(43)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유기발광층 형성을 위한 새도우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증착공정, 예를 들어 진공증착공정 등에 의해, 상기 화상표시영역(31a)의 화소영역의 투명 도전층(39) 상에 유기발광층(45)을 형성한다. 도면에서 상기 유기발광층(45)의 각각이 동일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적색(R), 녹색(G), 청색(B)을 위한 유기발광층 중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기발광층(45)이 도면에서 1개의 층으로 구성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등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성이 적으므로 이에 대한 부분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하여, 캐소드전극 형성을 위한 새도우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증착공정, 예를 들어 진공증착공정, 스퍼터링 등에 의해, 상기 화상표시영역(31a)의 화소영역 상에 캐소드전극을 위한 도전층(47)을 형성한다.
도 3d를 참조하면, 마지막으로, 공지의 밀봉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비화상표시영역(31b)의 저저항 도전층(41) 상에 절연성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상기 화상표시영역(31a)의 각 부분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하기 위한 밀봉 캡(49)을 봉착 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30)를 위한 제조 공정을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동형 유기발광소자(30)의 블랙 매트릭스(33)가 해당 화소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해당 화소영역으로 입사하는 외부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므로 도 1의 편광막(27)을 상기 기판(31)의 하면에 부착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상기 편광막(27)에서의 내부광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기발광소자(30)의 내부광 손실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유기발광소자(10)의 내부광 손실에 비하여 훨씬 낮은 약 10% 정도가 되므로 상기 유기발광소자(30)는 동일한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유기발광소자(10)의 콘트라스트비보다 더 높은 콘트라스트비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30)는 종래의 유기발광소자(10)에 비하여 더 적은 전력을 공급받으면서도 상기 유기발광소자(10)의 휘도와 동일한 콘트라스트비를 휘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30)의 소비전력을 상기 유기발광소자(10)의 소비전력보다 더 낮출 수가 있고, 상기 유기발광소자(30)를 상기 유기발광소자(10)에 비하여 더 낮은 저전압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유기발광소자(30)는 종래의 유기발광소자(10)가 갖고 있었던 대형화 한계를 극복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블랙 매트릭스(33)가 상기 캐소드전극 분리막(43)과 동일 수직선상에 중첩하므로 상기 블랙 매트릭스(33)의 배치를 위한 기판(31)의 면적이 추가로 필요 없고 나아가 상기 기판(31)의 사이즈는 확대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은 블랙 매트릭스가 투명 절연성 기판의 화상표시영역의 화소 영역 이외의 영역 상에 배치되므로 해당 화소영역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해당 화소영역으로 입사하는 외부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동형 유기발광소자는 외부광의 손실이 많은 편광막을 상기 기판에 부착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상기 편광막에서의 내부광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기발광소자의 내부광 손실을 감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발광소자의 콘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유기발광소자의 소비전력이 감소하고, 유기발광소자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기발광소자의 대형화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도 가능함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10)

  1. 투명 절연성 기판;
    상기 기판의 화상표시영역의 화소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광 손실을 감소함과 아울러 해당 화소영역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입사하는 외부광을 차단하는 불투명 블랙 매트릭스;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한 상기 기판의 전역 상에 배치되어, 표면 평탄화를 이루는 오버 코팅층;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오버 코팅층의 애노드전극 형성영역 상에 배치되는 애노드전극;
    상기 블랙 매트릭스와 중첩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애노드전극의 캐소드전극 형성 영역 상에 배치되는 캐소드전극 분리막;
    상기 화소영역의 애노드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된 캐소드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유기계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불투명 감광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크롬/산화크롬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코팅층은 아크릴수지, 폴리이미드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6. 투명 절연성 기판의 화상표시영역의 화소영역 사이에, 내부광 손실을 감소함과 아울러 해당 화소영역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입사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불투명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한 상기 기판의 전역 상에 표면 평탄화를 위한 오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오버 코팅층의 애노드전극 형성영역 상에 애노드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블랙 매트릭스와 중첩하도록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애노드전극의 캐소드전극 형성 영역 상에 캐소드전극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영역의 애노드전극 상에 유기발광층을 형성하는;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캐소드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유기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유기계 수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유기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불투명 감광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유기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크롬/산화크롬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유기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코팅층을 아크릴수지, 폴리이미드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유기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50089390A 2005-09-26 2005-09-26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34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390A KR20070034816A (ko) 2005-09-26 2005-09-26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390A KR20070034816A (ko) 2005-09-26 2005-09-26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816A true KR20070034816A (ko) 2007-03-29

Family

ID=4929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390A KR20070034816A (ko) 2005-09-26 2005-09-26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48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8859B2 (en) 2008-06-03 2011-08-3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8859B2 (en) 2008-06-03 2011-08-3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8164B2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4365364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45176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040025449A (ko) 투과형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63131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80054626A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1675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04221A (ko) 상부 발광방식 유기전계발광소자
CN111430445B (zh) 一种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WO2020172953A1 (zh) Oled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US20070152570A1 (en) Fabricating method for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23996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0879498B2 (en) OLE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80061673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34816A (ko) 수동형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12122B1 (ko) 평판표시장치
KR20070071904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842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67502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846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503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5799B1 (ko)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585004B1 (ko) 표시 장치
KR100749490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58592B1 (ko) 플렉시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