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383A - 공조 시스템용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조 시스템용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383A
KR20070034383A KR1020050089013A KR20050089013A KR20070034383A KR 20070034383 A KR20070034383 A KR 20070034383A KR 1020050089013 A KR1020050089013 A KR 1020050089013A KR 20050089013 A KR20050089013 A KR 20050089013A KR 20070034383 A KR20070034383 A KR 20070034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rbon dioxide
dioxide concentration
ligh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센-관 치앙
Original Assignee
킹 캔 인더스트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킹 캔 인더스트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킹 캔 인더스트리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5008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4383A/ko
Publication of KR20070034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공조된 한정공간에 이산화탄소 농도 조걸능을 제공하고, 비어의 법칙 및 지그재그 광 안내 경로의 이용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얻은 다음, 비교하여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사람들이 호흡하기에 적합한 편안한 수준 보다 높은지를 체크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만약 높다면, 보다 신선한 공기가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낮추기 위하여 외부공기원으로부터 한정된 공간내로 주입될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공조된 한정 공간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과잉축적에 의한 숨막힘이 없이 호흡하도록 항상 신선한 공기를 갖도록 해준다.
공조,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Description

공조 시스템용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 및 장치{Carbon Dioxide Concentration Regul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ir -Conditioning System}
도 1은 공조시스템과 함께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조절장치의 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부합되는 이산화탄소 농도조절장치의 모듈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조절장치에 의해 이용된 공조모듈의 내부구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4B는 공기 수집 모듈의 두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은 전자기술,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절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능을 공조된 한정공간에 제공하여 상기 한정된 공간(confined room)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한정된 공간에 거주하는 사람이 호흡하기에 적절한 정상대 기수준(normal atmospheric level)과 같은 실질적으로 선정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조 시스템은 사무실, 침실, 거실, 자동차, 버스, 비행기등에 설치되어 이들 장소들의 온도, 습도 및 이들 장소내의 공기순도까지도 조절할 수 있는 공조능을 제공하여 거주인이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문제점은 공조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들은 통상적으로 조절된 공기가 외기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기로부터 격리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랫동안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조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이 내쉬는 공기에 기인하여 공조실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공조실이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으로부터 발산된 이산화탄소는 거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구분된 한정 공간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결국 사람들의 호흡이 매우 불안정하게 됨을 느끼도록 만드는 수준까지 축적된다.
따라서,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불쾌한 수준을 초과할 때 공조시스템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외기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구분된 공조공간내로 인입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공조시스템에 사용되어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절하여 상기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한정된 공간에 거주하는 사람이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과잉축적에 의한 숨막힘이 없이 안락하게 호흡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선정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부합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방법 및 장치는 공기 순환 팬 유니트, 방용 공조기(room-based air conditioner), 스플릿-시스템 중앙 공조기(split-system central air conditioner), 차량용 공조기(vehicle-based air conditioner)등의 공조시스템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절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능(carbon dioxide concentration regulating capability)을 공조된 한정공간에 제공하여 상기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한정된 공간에 거주하는 사람이 호흡하기에 적절한 정상대기수준과 같은 실질적으로 선정된 수준으로 유지한다.
본 발명에 부합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은
(1) 수집 공기 샘플을 관통하도록 주어진 강도 수준의 광 비임을 방출하는 단계;
(2) 수집 공기 샘플을 관통한 광 비임의 강도 수준을 감지하는 단계;
(3) 비어의 법칙(Beer's Law)에 따라 수집 공기 샘플을 관통한 광 비임의 감지 강도 수준에 기초하여 수집 공기 샘플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
(4) 결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의 값과 선정된 기준 이산화탄소 농도 수준을 비교하여 결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의 값이 크면, 외부공기원으로부터 한정된 공간내로 일정량의 신선한 공기를 주입하여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선정된 기 준 수준 아래로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장치는
(a) 한정된 공간으로부터 공기의 샘플을 수집할 수 있는 공기 수집 모듈;
(b) 공기 수집묘듈에 의해서 수집된 공기샘플을 관통하도록 주어진 강도 수준을 갖는 광비임을 방출할 수 있는 발광 모듈;
(c) 수신된 광 비임에 응답하여 공기 수집모듈에 의히여 수집된 공기샘플을 관통한, 발광모듈로부터 방출된 광 비임을 수신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수신된 광 비임의 강도수준을 나타내는 대응 광-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광감지 모듈;
(d) 광 감지 모듈에 의히여 생성된 광-전 신호에 응답하여 수신된 광 비임의 강도 수준과 발광 모듈 로 부터 방출된 광 비임의 원래 강도 수준을 비교하여 비어의 법칙에 기초하여 공기 샘플내의 이산화탄소농도를 나타내는 차동신호(differential signal)를 생성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 결정 모듈;
(e) 이산화탄소 농도 결정 모듈에 의한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 값과 선정ehkls 이산화탄소 농도의 기준수준을 비교하여, 크면, 공기주입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비교모듈;
(f) 비교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 주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선정된 기준 수준 아래로 낮추기 위하여 외부공기 원에서 한정된 공간내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부합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방법 및 장치는 비어의 법칙 및 지그재그 광 안내 경로의 이용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얻은 다음, 비교하여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사람들이 호흡하기에 적합한 안락한 수준 보다 높은지를 체크하는 것에 의하여 특징화된다.
만약 높다면, 보다 신선한 공기가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낮추기 위하여 외부공기원으로부터 한정된 공간내로 주입될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공조된 한정 공간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과잉축적에 의한 숨막힘이 없이 호흡하도록 항상 신선한 공기를 갖도록 해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100)의 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100)는 공기 순환 팬 유니트, 방용공조기, 슬플릿-시스템 중앙 공조기, 자동차, 버스, 비행기등의 차량용 공조기등의 공조시스템(10)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한정된 공간(20)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절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능을 한정된 공간(20)에 제공하여 사람이 호흡하기에 적절한 정상대기수준과 같은 실질적으로 선정된 수준 또는 그 아래로 한정된 공간(20)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유지시키며, 상기 공조시스템(10)은 한정된 공간(20), 예를 들면, 사무실, 침실, 차량(자동차, 버스 , 비행기등)의 내부 등에 공기조절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한정된 공간(20)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정상대기수준(전형적으로 0.033%) 보다 큰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조절장치(100)은 외부공기원(30)으로부터 한정된 공간(20)내로 신선한 공기를 인입시키도록 해 주며, 외부 공기원(30)은 방용공조기 또는 차량용 공조기인 공조시스템(10)의 경우에는 외부 대기이거나 또는 비행기용 공조기인 공조시스템(10)의 경우에는 산소 탱크 또는 압축공기탱크 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장치(100)는 비어의 법칙에 따라 설계되어, 한정된 공간(20)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얻은 다음, 얻어진 이산화탄소농도 데이타를 사용하여 외부공기원(30)으로부터 한정된 공간(20)내로의 신선한 공기의 주입를 제어한다.
비어의 법칙은 화학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본적인 원리로서, 가스 및 용액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는 행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정치(100)는 (a) 공기 수집 모듈(110), (b) 발광 모듈(120), (c) 광 감지 모듈(130), (d) 이산화탄소 농도 결정 모듈(140), (e) 비교 모듈(150) 및 (f) 공기 주입 모듈(160)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장치(100)를 구하는 모듈(110, 120, 130, 140, 150, 160)의 각각의 속성 및 기능을 아래에 상세히 기재한다.
공기 수집 모듈(110)은 한정된 공간(20)으로부터 공기 샘플(21)을 수집할 수 있고, 한정된 공간(20)의 공기 샘플(21)은 한정된 공간(2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 도를 결정하도록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장치(100)에 의한 측정에 사용된다. 공기 수집 모듈(110)은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공기 수집 모듈(110)은 다중 세그먼트의 지그재그형 광 안내 경로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공기 수집 모듈(110)의 다중 세그먼트의 지그재그형 광 안내 경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된다. 이는 (a1) 제1 튜브(111), (a2) 광 반사 부재(112), 및 (a3) 제2 튜브(113)를 포함한다. 제1 튜브(111)는 발광 모듈(120)로부터 방출된 적외선 광선(121)이 제1 튜브(111)의 빈 내부를 통해 이동한 다음 광 반사 부재(112)에 의해 반사되어 광 감지 모듈(130) 쪽으로 제2 튜브(113)를 통과하도록, 수집된 공기 샘플(21)을 수용하기 위한 빈 내부가 있고 발광 모듈(120)과 광 반사 부재(112)에 각각 광학적으로 결합된 두 개의 자유 개방단을 갖는다. 공기 샘플(21)을 수용하는 두 개의 튜브(111, 113) 구성은 발광 모듈(120)과 광 감지 모듈(130) 사이의 경로 길이가 증가할 수 있게 해준다. 도 3의 실시예 이외에, 경로 길이는 셋 이상의 튜브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A와 4B는 공기 수집 모듈(110)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A의 실시예에서, 공기 수집 모듈(110)은 발광 모듈(120)로부터 방출된 적외선 광선(121)을 광 감지 모듈(130)로 안내하기 위한 2 세그먼트의 지그재그형 광 안내 경로를 제공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U자형 튜브로 설계된다. 하나의 세그먼트로부터 다음 세그먼트로 빛을 반사하도록 U자형 튜브의 내벽의 전환부에 광 반사 재료를 코팅 또는 부착할 수 있다. 도 4A의 실시예는 전체 U자형 튜브가 세 부분으로 조립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3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도 4B의 실시예에서, 공기 수집 모듈(110)은 발광 모듈(120)에서 방출된 적외선 광선(121)을 광 감지 모듈(130)로 안내하기 위한 3 세그먼트의 지그재그형 광 안내 경로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이들 실시예 이외에, 공기 수집 모듈(110)은 증가한 광 경로 길이를 제공하도록 지그재그 구조의 4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비어(Beer)의 법칙에 따르면, 경로 길이가 증가하면, 공기 샘플(21)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측정 정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2 개의 튜브(111, 113)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장치(100)의 전체 본체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 제조 장치(100)를 소형화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도록 제조할 수 있다.
발광 모듈(120)은 바람직하게는, 주어진 수준의 강도를 갖는 적외선 광선을 공기 수집 모듈(110)에 의해 수집된 공기 샘플(21) 쪽으로 방출할 수 있는 적외선(IR) 광 방출기이다. 동작할 때, 발광 모듈(120)은 3 분과 같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적외선 광선을 방출하도록 설계된다. 방출된 적외선 광선(121)이 공기 샘플(21)을 통과하는 동안 그 에너지의 일부가 공기 샘플(21) 중의 이산화탄소에 의해 흡수될 것이다.
전술한 발광 모듈(120)이 적외선 광 방출기인 경우 광 감지 모듈(130)은 적외선 센서에 해당한다. 동작할 때, 광 감지 모듈(130)은 공기 샘플(21)을 통과한 방출 광선을 수신하도록 사용되고, 수신한 적외선 광선(131)의 강도 수준을 나타내는 대응하는 광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수신한 적외선 광선에 응답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농도 결정 모듈(140)은 수신한 적외선 광선(131)의 강도 수준을 발광모듈(12)에서 방출된 적외선 광선(121)의 원래 강도 수준과 비교하여 광 감지 모듈(130)에 의해 발생된 광전기 신호에 응답함으로써, 비어의 법칙에 기초한 공기 샘플(21)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나타내는 차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샘플(21) 중의 이산화탄소의 결정된 농도는 한정된 공간(20) 내부의 이산화탄소의 현재 농도를 나타낸다.
비교 모듈(150)은 검출된 이산화탄소 농도 값을 이산화탄소 농도의 미리 정해진 참조 수준(이 예에서, 약 0.033%의 표준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과 비교하여 검출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정해진 참조 수준보다 높은지 검사한다. 만약 더 높다면, 비교 모듈(150)은 공기 주입제어 신호를 공기 주입 모듈(160)에 출력하여 응답한다.
공기 주입 모듈(160)은 예컨대 공기 송풍기 또는 팬 유닛으로, 한정된 공간(2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기 위해 (외부 대기, 산소 탱크 또는 압축 공기 탱크일 수 있는) 외부 공기원(30)으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한정된 공간(20) 안으로 주입하여 비교 모듈(150)로부터의 공기 주입제어 신호에 응답할 수 있다.
아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장치(100)의 실제 용례의 한 예이다. 실제 용례에서, 예컨대,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장치(100)는 공조 시스템(10)에 일체화되어, 공기 조절된 한정된 공간 내부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한정된 공간(20) 내부의 이산화탄소의 과도한 축적에 의해 호흡 곤란을 겪거나 질식하지 않고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공기 조절된 한정된 공간(2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실질적으로 안락한 수준으로 유지한다.
도 1 내지 3을 함께 참조하면, 공조 시스템(10)의 동작이 활성화되면, 이는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장치(100)도 역시 활성화시켜, 공기 조절된 한정된 공간(2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시하기 시작하게 한다. 동작 중에, 공기 수집 모듈(110)은 발광 모듈(120)이 예컨대 3 분의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동작하는 동안 한정된 공간(20)에서 공기 샘플(21)을 항상 수집하여, 주어진 수준의 강도를 갖는 적외선 광선(121)을 공기 수집 모듈(110)에 의해 수집된 공기 샘플(21) 쪽으로 방출한다. 방출된 자외선 광선(121)은 공기 샘플(21)을 통과한 다음 광 감지 모듈(130)에 의해 수신된다. 공기 샘플(2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방출된 적외선 광선(121)의 에너지의 일부는 공기 샘플(21) 중의 이산화탄소에 의해 흡수되어, 방출된 적외선이 공기 샘플(21)에서 방출될 때는 강도가 감소된 상태일 것이다. 수신된 적외선 광선(131)에 응답하여, 광 감지 모듈(130)은 수신한 적외선 광선(131)의 강도 수준을 나타내는 크기를 갖는 해당 광전기 신호를 발생할 것이다.
그 후에, 이산화탄소 농도 결정 모듈(140)은 수신한 적외선 광선(131)의 강도 수준을 발광모듈(120)에서 방출된 적외선 광선(121)의 원래 강도 수준과 비교하여, 비어의 법칙에 따라 이산화탄소에 의한 미리 정해진 적외선 흡수 특성에 기초하여 공기 샘플(21)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나타내는 차동신호를 발생함으로써, 광 감지 모듈(130)에 의해 발생된 광전기 신호에 응답하도록 활성화된다. 공기 샘플(21)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결정된 값은 따라서 한정된 공간(20) 내부의 현재 이산화탄소 농도를 나타낸다. 다음 단계에서, 비교 모듈(150)은 검출된 이산화탄 소 농도 값을 이산화탄소 농도의 미리 정해진 참조 수준(예컨대 약 0.033%의 표준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과 비교하도록 활성화된다. 검출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정해진 참조 수준보다 높으면, 비교 모듈(150)은 응답으로 공기 주입제어 신호를 공기 주입 모듈(160)에 출력함으로써, 한정된 공간(20) 내부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낮추기 위해 외부 공기원(30)으로부터 (방용 공조기인 경우 대기로부터 직접, 항공기용 공조기인 경우 산소 탱크 또는 압축 공기 탱크로부터) 한정된 공간(20) 안으로 더 많은 신선한 공기를 주입하도록 공기 주입모듈(160)을 활성화시킬 것이다.
공기 주입 모듈(160)에 의한 신선한 공기의 주입에 따라 한정된 공간(2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진 이후, 동일한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 즉, 공기 수집 모듈(110)로 새로운 공기 샘플(21)을 수집한 다음 발광 모듈(120), 광 감지 모듈(130) 및 이산화탄소 농도 결정 모듈(140)에 의해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최종적으로 낮춘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정해진 참조 수준까지 하강하였는지 비교 모듈(150)에 의해 비교 점검한다. 여전히 미달이면, 공기 주입 모듈(160)은 더 많은 신선한 공기를 한정된 공간(20) 안으로 주입하도록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한정된 공간(20)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정해진 참조 수준, 즉, 한정된 공간(20)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호흡하기에 적절한 표준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 수준까지 하강할 때까지 동일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비어의 법칙에 따르면, 경로 길이의 증가는 공기 샘플(21)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측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지그재그 광 안내 경로를 제공하도 록 공기 수집 모듈(110)을 구현하면, 광 경로 길이를 증가시켜 측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지그재그 광 안내 경로의 제공은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장치(100)의 전체 본체 크기의 감소를 촉진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장치(100)를 소형화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도록 제조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을 위한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능력을 제공하도록 공조 시스템과 연계되어 사용하도록 설계된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 방법 및 장치는 비어의 법칙을 이용하여 한정된 공간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얻고 한정된 공간 내부의 현재 이산화탄소 농도가 사람들이 호흡하기에 적절한 안락한 수준보다 높은 지를 점검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높은 경우, 한정된 공간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기 위해 외부 공기원으로부터 한정된 공간 안으로 더 많은 신선한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이 특징은 공기 조절되는 한정된 공간 내부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한정된 공간 내부의 이산화탄소의 과도한 축적에 의해 호흡 곤란 없이 항상 신선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제 이용에 있어서 매우 혁신적이고 유리한다.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기재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개시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수정과 유사한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의 범위는 그와 같은 수정과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조시스템에 사용되어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절하여 상기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한정된 공간에 거주하는 사람이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과잉축적에 의한 숨막힘이 없이 안락하게 호흡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선정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2)

  1.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실질적으로 선정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정된 공간내의 공기샘플을 수집하는 단계;
    수집 공기 샘플을 관통하도록 주어진 강도 수준을 갖는 광 비임을 방출하는 단계;
    수집 공기 샘플을 관통한 광 비임의 강도 수준을 감지하는 단계;
    비어의 법칙(Beer's Law)에 따라 수집 공기 샘플을 관통한 광 비임의 감지 강도 수준에 기초하여 수집 공기 샘플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의 값과 선정된 기준 이산화탄소 농도 수준을 비교하여, 크면,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선정된 기준 수준 아래로 낮추기 위하여 외부공기원으로부터 한정된 공간내로 일정량의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 샘플이 방출된 광 비임이 지그재그 코스로 공기샘플을 관통하도록 지그재그 광 안내 경로에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공조시스템이 공기-순환 팬 유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공조시스템이 방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공조시스템이 스플릿-시스템 중앙 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공조시스템이 차량용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발광 모듈이 적외선 방출기이고, 또한 광 감지 모듈이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방법
  8.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실질적으로 선정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정된 공간으로부터 공기의 샘플을 수집할 수 있는 공기 수집 모듈;
    공기 수집 모듈에 의해서 수집된 공기샘플을 관통하도록 주어진 강도 수준을 갖는 광 비임을 방출할 수 있는 발광 모듈;
    공기 수집 모듈에 의하여 수집된 공기샘플을 관통한, 발광모듈로부터 방출된 광 비임을 수신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수신된 광 비임에 응답하여 수신된 광 비임의 강도 수준을 나타내는 대응 광-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광 감지 모듈;
    광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광-전 신호에 응답하여 수신된 광 비임의 강도 수준과 발광모듈로부터 방출된 광 비임의 원래 강도 수준을 비교하여 비어의 법칙에 기초하여 공기 샘플내의 이산화탄소농도를 나타내는 차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 결정 모듈;
    이산화탄소 농도 결정 모듈에 의해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 값과 선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의 기준수준을 비교하고, 그리고 크면, 공기주입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비교모듈;
    비교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 주입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선정된 기준 수준 아래로 낮추기 위하여 외부공기 원에서 한정된 공간내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공조시스템이 공기-순환 팬 유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공조시스템이 실 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공조시스템이 스플릿-시스템 중앙 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공조시스템이 차량용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공기 수집 모듈이 발광 모듈로부터 방출된 광 비임을 지그재그 코스로 강 감지 모듈을 향하여 가이드 하기 위한 다중-세그먼트 지그재그 광-안내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공기 수집 모듈의 다중-세그먼트 지그재그 광-안내 경로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하나의 지그재그 형 광-안내 경로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튜브; 및
    하나의 튜브에서 지그재그 형의 광-안내 경로내의 다음 것으로 광을 반사시키도록 튜브들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광-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발광모듈이 적외선 방출기이고, 또한 광 감지 모듈이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
  16.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실질적으로 선정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공조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중-세그먼트 지그재그 광-안내 경로를 포함하고, 그리고 한정된 공간으로부터 다중-세그먼트 지그재그 광-안내 경로내에 공기의 샘플을 수집할 수 있는 공기 수집 모듈;
    공기 수집 모듈에 의해서 수집된 공기샘플을 관통하도록 주어진 강도 수준을 갖는 광 비임을 방출할 수 있는 발광 모듈;
    다중-세그먼트 지그재그 광-안내 경로를 관통한, 발광 모듈로부터 방출된 광 비임을 수신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수신된 광 비임에 응답하여 수신된 광 비임의 강도 수준을 나타내는 대응 광-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광 감지 모듈;
    광 감지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광-전 신호에 응답하여 수신된 광 비임의 강도 수준과 발광 모듈로부터 방출된 광 비임의 원래 강도 수준을 비교함으로써 비어의 법칙에 기초하여 공기 샘플내의 이산화탄소농도를 나타내는 차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 결정 모듈;
    이산화탄소 농도 결정 모듈에 의해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 값과 선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의 기준수준을 비교하고, 그리고 크면, 공기주입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비교모듈;
    비교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 주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한정된 공간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선정된 기준 수준 아래로 낮추기 위하여 외부공기 원에서 한정된 공간내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산화 탄소 농도 조절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공조시스템이 공기-순환 팬 유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공조시스템이 방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공조시스템이 스플릿-시스템 중앙 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공조시스템이 차량용 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공기 수집 모듈의 다중-세그먼트 지그재그 광-안내 경로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하나의 지그재그 형 광-안내 경로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튜브; 및
    하나의 튜브에서 지그재그 형의 광-안내 경로내의 다음 것으로 광을 반사시키도록 튜브들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광-반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발광 모듈이 적외선 방출기이고, 또한 광 감지 모듈이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장치
KR1020050089013A 2005-09-23 2005-09-23 공조 시스템용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 및 장치 KR20070034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013A KR20070034383A (ko) 2005-09-23 2005-09-23 공조 시스템용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013A KR20070034383A (ko) 2005-09-23 2005-09-23 공조 시스템용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383A true KR20070034383A (ko) 2007-03-28

Family

ID=4929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013A KR20070034383A (ko) 2005-09-23 2005-09-23 공조 시스템용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438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7597A (zh) * 2014-03-13 2014-05-21 王赫奕 新鲜空气的采集、保存和施放系统
CN104565821A (zh) * 2015-01-12 2015-04-29 王赫奕 建筑物或航天器的智能呼吸方法
CN106123229A (zh) * 2016-06-29 2016-11-1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新风机及新风机的风量控制方法
CN108592304A (zh) * 2018-04-27 2018-09-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换新风控制方法、空调器和可读存储介质
WO2019022291A1 (ko) * 2017-07-28 2019-01-31 (주)코노텍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기능을 가진 실내환경조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7597A (zh) * 2014-03-13 2014-05-21 王赫奕 新鲜空气的采集、保存和施放系统
CN104565821A (zh) * 2015-01-12 2015-04-29 王赫奕 建筑物或航天器的智能呼吸方法
CN106123229A (zh) * 2016-06-29 2016-11-1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新风机及新风机的风量控制方法
CN106123229B (zh) * 2016-06-29 2018-11-20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新风机及新风机的风量控制方法
WO2019022291A1 (ko) * 2017-07-28 2019-01-31 (주)코노텍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기능을 가진 실내환경조절장치
JP2019526768A (ja) * 2017-07-28 2019-09-19 コ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二酸化炭素の濃度調節機能を有する室内環境調節装置
CN108592304A (zh) * 2018-04-27 2018-09-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换新风控制方法、空调器和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208B1 (ko) Ir-센서
US8452489B2 (en) Controlling system for controlling an air handling system
US20220055478A1 (en) Sensor system for passive in-vehicle breath alcohol estimation
KR101204328B1 (ko)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및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
KR20070034383A (ko) 공조 시스템용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방법 및 장치
JP2007147592A (ja) 化学蒸気センサー測定に影響を及ぼす環境変動を補償するためのトレーサー
JP4241904B2 (ja) ガス検出方法及びガス検出装置
CN105277502B (zh) 用于测量目标气体浓度的气体感测结构
KR101724263B1 (ko) 자동 환기시스템
CN109532415A (zh) 用于车辆的清洁系统
US20160103111A1 (en) Occupant safety system with c02 detection
US20130008224A1 (en) Method for calibration of a co2 concentration sensor and a measuring device
US9459208B2 (en) Duct detector with remote airflow test capability
CA2600529A1 (en) Multipoint air sampling system having common sensors to provide blended air quality parameter information for monitoring and building control
US6494777B1 (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odulating device
CN104541109A (zh) 室内空气包容度的监控方法,相关环境装置及操纵台
US9322774B2 (en) Gas-sensor arrangement for detecting target-gas concentration
CN109140718A (zh) 一种空调智能控制睡眠方法及其空调器
DE19700964C2 (de) Einrichtung zur Raumklimatisierung
EP1333233A1 (en) Air-quality conditioning device
US20200393443A1 (en) Gas constituent measuring apparatus
US20230089131A1 (en)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EP0536978A1 (en) Humidity sensors
KR20140086690A (ko)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072927A1 (en) Gas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