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328B1 -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및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및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328B1
KR101204328B1 KR1020110127048A KR20110127048A KR101204328B1 KR 101204328 B1 KR101204328 B1 KR 101204328B1 KR 1020110127048 A KR1020110127048 A KR 1020110127048A KR 20110127048 A KR20110127048 A KR 20110127048A KR 101204328 B1 KR101204328 B1 KR 101204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rbon dioxide
sensor
ventilation control
indo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한정탁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이 개시되며, 상기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실내공간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실내공기의 오염 정보를 측정하는 실내공기 감지부; 상기 실내공간의 출입구에 배치된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실내공간의 재실자수 정보를 파악하는 재실자 감지부; 상기 재실자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실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예측하는 오염가스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측정된 실내공기의 오염 정보 및 상기 예측된 이산화탄소 배출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에 배치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환기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재실자 감지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입장 움직임 또는 상기 사용자의 퇴장 움직임을 기초로 상기 재실자수를 카운트한다.

Description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및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SMART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VENTILATION}
본 발명은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및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일하는 시간 또는 휴식을 취하는 시간 등을 포함하여 하루 24시간 중 80% 이상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낸다. 따라서 실내공간의 환경이 사람에게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중 사람에게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칠 수 있는 것이 실내의 공기질이고 이에 따라 사람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실내의 공기질은 실내공간의 활용 용도나 실내공간의 재실자수의 변화에 따라 공기질의 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사람이 일하는 곳인 작업공간이나 휴식을 취하는 주거공간의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7886호(발명의 명칭: 공기청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감지센서와 생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생체감지수단인 초음파센서를 사용하여 생물체로 인한 이산화탄소와 같은 오염도의 증가를 예측하여 송풍기의 풍량을 재설정하는 기술이 있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특1998-026273호(발명의 명칭: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방법)에 인체활동량감지센서를 사용하여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의 각 구역별 인체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토출되는 기류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기술이 있었다.
하지만 기존의 환기 시스템은 작업공간이나 주거공간의 재실자수와 공기질이 변화된 후 환기장치를 가동하여 공기질을 향상시키므로 쾌적한 공기질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환기장치 내에서 재실자수와 공기질의 변화를 감지하여야 하므로 환기장치를 계속 동작상태로 두어야 하는데 이런 동작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전력이 소모되었다. 또한, 실내공간의 재실자수를 정확하게 파악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고 환기 시스템 설치 공간의 제약이 있어서 넓은 실내공간의 쾌적한 공기질을 유지하기가 힘들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재실자 정보를 정확하게 측정 하고,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내공간의 이산화탄소량을 미리 예측하여 환기장치를 제어하는,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및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측면에 따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은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실내공간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실내공기의 오염 정보를 측정하는 실내공기 감지부, 상기 실내공간의 출입구에 배치된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실내공간의 재실자수 정보를 파악하는 재실자 감지부, 상기 재실자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실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예측하는 오염가스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측정된 실내공기의 오염 정보 및 상기 예측된 이산화탄소 배출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에 배치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환기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재실자 감지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입장 움직임 또는 상기 사용자의 퇴장 움직임을 기초로 상기 재실자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본원의 제2측면에 따른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은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실내공간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실내공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실내공기 감지 단계, 상기 실내공간의 출입구에 배치된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실내공간의 재실자수 정보를 파악하는 재실자 감지 단계, 상기 재실자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실자의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예측하는 오염가스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실내공기의 오염 정보 및 상기 예측된 이산화탄소 배출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에 배치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환기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재실자 감지 단계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입장 움직임 또는 상기 사용자의 퇴장 움직임을 기초로 상기 재실자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실자 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내공간의 이산화탄소량을 미리 예측하여 환기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을 설치한 실내공간의 평면도이다.
도3은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내공간(500)의 환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실내공간(500)은 주택, 회사, 건물, 빌딩 등의 통상적인 장소의 내부공간을 지칭하며, 재실자는 이러한 실내공간(500) 내에 현재 존재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의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이하 ‘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이라 함)(100)은 실내공기 감지부(11)를 포함한다.
실내공기 감지부(11)는 미리 설정된 실내공간(500)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실내공기의 오염 정보를 측정한다. 센서(40)는 실내공기의 오염 정보로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40)는 실내공간(500)의 특성에 따라 많이 배출되는 특정가스를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내공간(500)의 특성에 따라 많이 배출되는 특정가스란, 실내공간(500)의 사용 용도에 따라 배출될 수 있는 가스를 말한다. 예를 들어, 주택의 보일러실과 같은 실내공간(500)은 보일러의 연료가 연소하면서 일산화탄소가 많이 배출되는데 이를 감지하도록 센서(40)가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산화탄소를 비롯한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감지하도록 센서(40)가 설정됨으로써, 사람이 평소에는 잘 이용하지 않지만 특수한 상황에 이용하는 보일러실과 같은 실내공간(500)을 이용 시 유해가스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40)는 별도의 물리적 설정 없이 실내공간(500)의 원하는 위치에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센서(40)가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갖는 모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이란, 주변장치가 추가되더라도 별도의 물리적 설정을 하지 않아도 설치만 하면 기기들의 입력 및 출력 주소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1을 참조하면, 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100)은 재실자 감지부(12)를 포함한다.
재실자 감지부(12)는 하나 이상의 움직임 감지 센서(50)를 통해, 실내공간(500)의 재실자수 정보를 파악한다. 여기서 움직임 감지 센서(50)는 3차원 깊이 센서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3차원 깊이 센서는 3차원 공간으로 적외선을 출력하고, 출력된 적외선이 타겟과 충돌된 후 그 파장 변화를 감지하여 타겟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센서로, 미리 설정된 형태로 패터닝된 적외선이 타겟에 충돌된 후 그 패턴 형상의 변화를 감지하여 타겟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KINECT™와 같은 3차원 깊이 센서를 이용하여 이러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사람이나 사물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주위의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까지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움직임 감지 센서(50)가 적외선을 이용하게 되면, 기존에 가시광선 영역대만 감지 가능한 카메라를 사용하는 센서가 감지하기 어려웠던 어두운 환경적 조건에서도 감지가 용이해진다. 도3을 참조하면, 오른쪽의 RGB영상에서는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았지만 적외선을 이용하는 3차원 깊이 센서를 통해서는 움직임이 감지 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감지 센서(50)는 실내공간(500)의 출입구에 배치되어 실내공간(500)의 재실자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재실자 감지부(12)는 움직임 감지 센서(5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입장 움직임 또는 사용자의 퇴장 움직임을 기초로 재실자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실자 감지부(12)는 출입구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입장 움직임 또는 퇴장 움직임을 구분하고 입장 움직임이 파악된 수에서 퇴장 움직임이 파악된 수를 감산하여 재실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출입구가 복수인 경우 움직임 감지 센서(50)는 각 출입구 별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재실자 감지부(12)는 각 출입구의 재실자 움직임 정보로 실내공간(500)의 재실자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실자 감지부(12)는 각 출입구 별로 배치된 움직임 감지 센서(50) 각각을 통해 감지된 입장 움직임이 파악된 수에서 퇴장 움직임이 파악된 수를 감산하여 재실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공간의 출입구(510)는 실내공간(500)을 향해 들어가는 공간, 즉 실내공간의 진출입구(510)를 향한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따라서, 움직임 감지 센서(50)는 실내공간의 명확한 진출입구(510) 이외에도 실내공간(500)으로 들어가는 이동경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택의 보일러실로 가는 이동경로 상에 움직임 감지 센서(50)를 설치하여 보일러실로 입장하는 사용자를 파악하고 미리 환기장치(30)를 가동함으로써, 보일러실의 공기를 환기하여 사용자가 보일러실로 입장 시 유해가스에 인한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재실자 감지부(12)는 움직임 감지 센서(50)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신체크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연령 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재실자 감지부(12)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를 감지하여 어린이, 성인 등과 같은 사용자의 개략적인 연령 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산출하는 이유는 유아, 청소년, 성인 등과 같은 사용자의 연령 범위에 따라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양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보통 성인은 1분에 12~20회의 호흡을 하는데 1회의 호흡 중 날숨을 통해 20cc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성인 기준 평균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분에 240~400cc 이다.
또한, 도1을 참조하면, 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100)은 재실자수 정보에 기초하여 재실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예측하는 오염가스 정보 생성부(13)를 포함한다.
오염가스 정보 생성부(13)는 이렇게 산출된 연령 범위를 바탕으로 재실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이산화탄소의 전반적인 배출량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도1을 참조하면, 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100)은 환기 제어부(14)를 포함한다.
환기제어부(14)는 실내공기 감지부(11)를 통해 측정된 실내공기의 오염정보 및 재실자 감지부(12)를 통해 예측된 이산화탄소 배출량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공간(500)에 배치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제어한다. 실내공기 감지부(11)는 실내공간(500)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고, 환기제어부(14)는 실내공기 감지부(11)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와 오염가스 정보 생성부(13)를 통해 예측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합산한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환기장치(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란 예를 들어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임계값을 30%라고 설정해 두고 현재 실내공기 감지부(11)에서 감지된 실내공간(500)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25%라고 할 때, 현재 실내공간(500)의 재실자수가 늘어나면 오염가스 정보 생성부(13)에서 실내공간(500)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예측하여 두 값을 합산하고, 이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미리 환기장치(30)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환기장치(30)로는 기존의 환기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해당 실내공간(500)의 여건에 따라 적정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환풍기, 공기청정기, 환기팬, 자동 창문 개폐장치 등의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실내공기 감지부(11), 재실자 감지부(12), 및 환기장치(30)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 구성들(11, 12, 30)이 필요에 따라 실내공간(500) 상에 다수개 배치되더라도, 이러한 무선 연결을 통해 감지된 정보값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환기제어 및 환기를 함에 있어서 일정하게 국한된 공간만이 아니라 원하는 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환기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1을 참조하면, 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100)은 실내공기 감지부(11), 재실자 감지부(12), 오염가스 정보 생성부(13), 및 환기제어부(14)의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출력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0)는 재실자 감지부(12)에서 재실자의 움직임이 장시간 감지되지 않을 시 재실자에게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인지하여 경고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 가스 중독이나 실내공기 오염으로 인한 사고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에 대해 살핀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내공간(500)의 환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므로, 앞서 살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에서 설명한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미리 설정된 실내공간(500)에 배치된 센서(40)를 통해 실내공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실내공간의 출입구(510)에 배치된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실내공간(500)의 재실자수 정보를 파악(S12) 한다.
다음으로, 측정된 실내공기의 오염 정도와 재실자수 정보를 통해 얻은 정보를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미리 예측하고 유해가스와 같은 실내공간(500)의 사용 용도에 따른 특정가스 또한 예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측정된 실내공기의 오염 정보 및 예측된 이산화탄소 배출량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공간(500)에 배치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제어(S14)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100)은 3차원 깊이 센서를 사용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50)를 통해 재실자의 수, 움직임, 신체크기 등의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실내공간의 재실자수를 정확히 카운트할 수 있다. 이러한 재실자수를 바탕으로 오염가스 정보 생성부(13)에서 실내공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미리 예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환기를 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용도로 사용하는 실내공간(5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스중독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사고 발생시에도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환기장치에서 재실자 감지와 공기 감지가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감지부를 분리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실내공기 감지부(11), 재실자 감지부(12), 및 환기장치(30)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다수의 공간으로부터 정보값을 전송 받을 수 있고, 일정하게 국한된 장소만이 아니라 원하는 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환기가 가능하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11: 실내공기 감지부
12: 재실자 감지부 13: 오염가스 정보 생성부
14: 환기제어부 20: 출력부
30: 환기장치 40: 센서
50: 움직임 감지 센서 500: 실내공간
510: 출입문 520: 창문

Claims (12)

  1.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실내공간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실내공기의 오염 정보를 측정하는 실내공기 감지부;
    상기 실내공간의 출입구에 배치된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실내공간의 재실자수 정보를 파악하는 재실자 감지부;
    상기 재실자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실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예측하는 오염가스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측정된 실내공기의 오염 정보 및 상기 예측된 이산화탄소 배출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에 배치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환기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재실자 감지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입장 움직임 또는 상기 사용자의 퇴장 움직임을 기초로 상기 재실자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연령 범위를 산출하고,
    상기 오염가스 정보 생성부는 상기 연령 범위에 따라 재실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예측하는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 감지부, 상기 재실자 감지부, 상기 오염가스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환기제어부의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는 3차원 깊이 센서인 것인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자 감지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입장 움직임 또는 퇴장 움직임을 구분하고, 입장 움직임이 파악된 수에서 퇴장 움직임이 파악된 수를 감산하여 상기 재실자수를 산출하는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 감지부는 상기 실내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고, 상기 환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공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와 상기 오염가스 정보 생성부를 통해 예측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합산한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환기장치를 구동시키는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의 출입구가 복수인 경우,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는 각 출입구 별로 배치되고, 상기 재실자 감지부는 각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입장 움직임이 파악된 수에서 각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퇴장 움직임이 파악된 수를 감산하여 상기 재실자수를 산출하는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재실자 감지부에서 재실자의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을 시 경고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9.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실내공간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실내공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실내공기 감지 단계;
    상기 실내공간의 출입구에 배치된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실내공간의 재실자수 정보를 파악하는 재실자 감지 단계;
    상기 재실자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실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예측하는 오염가스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실내공기의 오염 정보 및 상기 예측된 이산화탄소 배출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에 배치된 환기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환기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재실자 감지 단계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입장 움직임 또는 상기 사용자의 퇴장 움직임을 기초로 상기 재실자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신체 크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연령 범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가스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연령 범위에 따라 재실자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자 감지 단계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부터 감지한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입장 움직임 또는 퇴장 움직임을 구분하고, 입장 움직임이 감지된 수에서 퇴장 움직임이 감지된 수를 감산하여 상기 재실자수를 산출하는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 감지 단계는 상기 실내공간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고, 상기 환기제어 단계는 상기 실내공기 감지 단계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와 상기 오염가스 정보 생성 단계를 통해 예측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합산한 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환기장치를 구동시키는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
KR1020110127048A 2011-11-30 2011-11-30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및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 KR101204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048A KR101204328B1 (ko) 2011-11-30 2011-11-30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및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048A KR101204328B1 (ko) 2011-11-30 2011-11-30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및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328B1 true KR101204328B1 (ko) 2012-11-23

Family

ID=4756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048A KR101204328B1 (ko) 2011-11-30 2011-11-30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및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328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481B1 (ko) * 2014-11-25 2015-02-23 서전엔지니어링(주) 재실인원 정보를 활용한 에너지절감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2118A (ko) * 2014-03-26 2015-10-07 주식회사 나인에코 대형건물 실내공기질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591735B1 (ko) * 2015-05-29 2016-02-11 주식회사 나인에코 실내공기질의 예측을 통한 오염 정보 제공 방법
KR20160143049A (ko) * 2015-06-04 2016-12-14 주식회사 나노렉스 열교환 환풍기 및 이를 포함한 공기질 관리시스템
JP2017003203A (ja) * 2015-06-11 2017-01-05 株式会社東芝 推定装置、推定方法、及び推定プログラム
WO2017135628A1 (ko) * 2016-02-05 2017-08-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환기 공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8981B1 (ko) 2016-11-28 2018-05-17 창신정보통신(주) 이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외부 침입 감지 장치
KR101989982B1 (ko) * 2019-03-08 2019-06-17 이봉규 디지털 트윈 기반의 실내 공간 분석을 통한 모델링 시스템과 모델링 방법
CN110848909A (zh) * 2019-11-27 2020-02-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新风设备的控制方法、新风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00064196A (ko) 2018-11-23 2020-06-08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 실내 정원이 설치된 실내 공간의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00374A (ko) * 2019-02-18 2020-08-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공간에 대한 환기 알림 장치
KR102249491B1 (ko) * 2020-04-09 2021-05-12 (주)유원기술 폐열 회수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US20210389004A1 (en) * 2018-12-26 2021-12-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ntilation control system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estimation method
KR20220156122A (ko) * 2021-05-17 2022-11-25 박근수 스마트 환풍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5218465B (zh) * 2022-08-05 2023-08-18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新风控制方法、控制装置和空调器
KR102627133B1 (ko) * 2022-07-12 2024-0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실인원의 변경을 반영하는 환기 제어시스템 및 환기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5625A (ja) 2006-02-01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装置
JP2010096382A (ja) 2008-10-15 2010-04-30 Panasonic Corp 換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5625A (ja) 2006-02-01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装置
JP2010096382A (ja) 2008-10-15 2010-04-30 Panasonic Corp 換気装置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118A (ko) * 2014-03-26 2015-10-07 주식회사 나인에코 대형건물 실내공기질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29809B1 (ko) * 2014-03-26 2016-06-14 주식회사 나인에코 대형건물 실내공기질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495481B1 (ko) * 2014-11-25 2015-02-23 서전엔지니어링(주) 재실인원 정보를 활용한 에너지절감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91735B1 (ko) * 2015-05-29 2016-02-11 주식회사 나인에코 실내공기질의 예측을 통한 오염 정보 제공 방법
KR20160143049A (ko) * 2015-06-04 2016-12-14 주식회사 나노렉스 열교환 환풍기 및 이를 포함한 공기질 관리시스템
KR101689869B1 (ko) * 2015-06-04 2016-12-26 주식회사 나노렉스 열교환 환풍기 및 이를 포함한 공기질 관리시스템
JP2017003203A (ja) * 2015-06-11 2017-01-05 株式会社東芝 推定装置、推定方法、及び推定プログラム
WO2017135628A1 (ko) * 2016-02-05 2017-08-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환기 공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8981B1 (ko) 2016-11-28 2018-05-17 창신정보통신(주) 이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외부 침입 감지 장치
KR20200064196A (ko) 2018-11-23 2020-06-08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기반 실내 정원이 설치된 실내 공간의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US20210389004A1 (en) * 2018-12-26 2021-12-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ntilation control system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estimation method
EP3904775A4 (en) * 2018-12-26 2022-01-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NTILATION CONTROL SYSTEM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ESTIMATION PROCESS
KR20200100374A (ko) * 2019-02-18 2020-08-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공간에 대한 환기 알림 장치
KR102156121B1 (ko) * 2019-02-18 2020-09-1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공간에 대한 환기 알림 장치
KR101989982B1 (ko) * 2019-03-08 2019-06-17 이봉규 디지털 트윈 기반의 실내 공간 분석을 통한 모델링 시스템과 모델링 방법
CN110848909A (zh) * 2019-11-27 2020-02-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新风设备的控制方法、新风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0848909B (zh) * 2019-11-27 2021-05-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新风设备的控制方法、新风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249491B1 (ko) * 2020-04-09 2021-05-12 (주)유원기술 폐열 회수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156122A (ko) * 2021-05-17 2022-11-25 박근수 스마트 환풍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19286B1 (ko) * 2021-05-17 2024-01-16 이동욱 스마트 환풍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27133B1 (ko) * 2022-07-12 2024-0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실인원의 변경을 반영하는 환기 제어시스템 및 환기 제어방법
CN115218465B (zh) * 2022-08-05 2023-08-18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新风控制方法、控制装置和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328B1 (ko) 지능형 환기제어 시스템 및 지능형 환기제어 방법
CA3120436A1 (en) Using smart occupancy detection and control in buildings to reduce disease transmission
KR101495481B1 (ko) 재실인원 정보를 활용한 에너지절감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7205625A (ja) 換気装置
KR101717836B1 (ko) 온도변화율 정보를 활용한 자동제어시스템
KR20070017270A (ko)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135628A1 (ko) 자동 환기 공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72870A (ko) 먼지센서를 적용한 스마트 윈도우 장치 및 제어방법
JP2009274050A (ja) 空気清浄機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10060266A (ja) 集塵装置
JP2007127338A (ja) 換気装置
KR20200056141A (ko) 공기질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102085130B1 (ko) 에너지 절감형 공조기 관리장치
KR20170089048A (ko) 라돈 센서를 이용한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243314B2 (ja) 換気装置
KR102031650B1 (ko) 전열교환기 무선 연동으로 오염표시 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KR102404374B1 (ko) 실내외 센서 모듈을 이용한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70101592A (ko) 재실인원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JPH06148107A (ja) 空気質検知装置
JP2006340889A (ja) 活動量検出方法とその活動量検出方法を用いた換気装置
US20220244686A1 (en) Virus control building management system
JP2000338261A (ja) 人体検知装置及び人体検知方法並びにその設置方法
TWI555953B (zh) 室內空氣汙染源之追蹤與調控的方法
JP6743842B2 (ja) エレベータ
KR20170089047A (ko) 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