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976A - 조직 증강용 이식물 및 조직 증강 방법 - Google Patents

조직 증강용 이식물 및 조직 증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976A
KR20070033976A KR1020067024335A KR20067024335A KR20070033976A KR 20070033976 A KR20070033976 A KR 20070033976A KR 1020067024335 A KR1020067024335 A KR 1020067024335A KR 20067024335 A KR20067024335 A KR 20067024335A KR 20070033976 A KR20070033976 A KR 20070033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composition
human
microparticles
soft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블레드미르 안드레비치 사베츠키
Original Assignee
티티디씨 바이오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티디씨 바이오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티티디씨 바이오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07003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2Dextr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86Metalloendopeptidases (3.4.24), e.g. collagen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09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lucans, e.g. polydextrose, alternan, glycogen; (alpha-1,4)(alpha-1,6)-D-Glucans; (alpha-1,3)(alpha-1,4)-D-Glucans, e.g. isolichenan or nigeran; (alpha-1,4)-D-Glucans; (alpha-1,3)-D-Glucans, e.g. pseudoniger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21Dextran, i.e. (alpha-1,4)-D-glucan; Derivatives thereof, e.g. Sephadex, i.e. crosslinked dextra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이비자를 포함하는 인간 조직 증강용으로 적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84953739-PCT00009
Figure 112006084953739-PCT00010
덱스트란, 미세구조, 다공도, 조직 증강, 성형

Description

조직 증강용 이식물 및 조직 증강 방법{TISSUE ENHANCEMENT IMPLANT AND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조직증강 방법 및 생체적합성 이식물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연조직 증강과 같은 조직 증강은 의학 및 미용을 목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증강은 성형수술을 위한 증강과 같은 외과적 및 조직의 특성을 증대 및 증진시키는 생체적합성물질의 주사와 같은 비외과적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증강"은 조직 부피의 증가(i.e.,조직확대) 및/또는 조직 기능의 향상을 의미한다. 용어 "생체적합성물질(biomaterial)"은 인체의 치료에 사용되는, 예컨대 조직의 증강을 가져오는 물질과 같은 치료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예를 들면, 의학적인 연조직의 증강은 HIV 양성 환자에서 안면 지방위축증 또는 소모(facial wasting)에 사용될 수 있다. 안면 지방위축증은 관자놀이 및 볼의 피하지방 손실을 언급하는 것으로서 뼈만 앙상한 여윈 모습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심하지 않은 경우로부터 심한 경우까지 있을 수 있다. 지방위축증 또는 비정상 체지방 증후군(예컨대 사지 및 엉덩이의 지방 손실)의 다른 증상과 마찬가지로, 안면 지방위축과 관하여 알려진 단 하나의 사항은 이러한 질환이 존재한다는 것뿐이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으며, 이의 성공적인 예방을 위한 방법도 요원할 뿐이다. 최근 개발된 안면 지방위축증의 미용적 치료로서, 폴리락트산 (polylactic acid (PLA)) 미세구 (상표명 New- Fill
Figure 112006084953739-PCT00001
으로 판매)는 유럽 임상 시험 및 그 후 보고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비록 상기 치료가 유럽 및 멕시코에서는 허가가 되었으나 New- Fill
Figure 112006084953739-PCT00002
미국내에서의 승인여부는 불확실하다.
미용용 연조직 증강은 볼, 입술, 가슴, 엉덩이 및 다리의 부피를 확대시키고, 피부의 잔주름(wrinkle) 및 깊은 주름(fold)의 감소를 위해 사용되어져 왔다. 기타 미용용 연조직 증강은 코성형(코 재건)용으로도 사용되어져 왔다. 최근 덱스트란 미세구 및 히알루론산 (또한 하일란젤로도 알려짐)을 포함하는 연조직 증강 조성 조성물이 네덜란드의 Rofil Medical International 사에서 Reviderm Intra
Figure 112006084953739-PCT00003
라는 상표명으로 개발되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잔주름 및 깊은 주름의 감소에 사용된다. Rofil 웹사이트인 www.rofil.com에 개시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eviderm Intra
Figure 112006084953739-PCT00004
는 주시기당 1ml에 하기의 조성을 갖는다: 20 mg의 히알루론산, 25 mg의 덱스트란 미세구, 9 mg의 염화나트륨, 1 mg의 인산완충액 및 1ml까지의 멸균수. 미세구는 안정화된 가교된 약학적 등급의 히알루론산 젤 중에 분산되어 있다. 상기 미세구는 완벽한 구이며, 40 내지 60 마이크론 크기이다. www.rofil.com 웹사이트 상의 덱스트란 미세구의 사진으로부터, 미세구는 가교된, 팽윤성 미세구인 것으로 판단된다.
덱스트란 미세구 주사부위에서 새로운 조직의 성장을 촉진하여 주름을 교정하는 방식으로 기능한다. 즉, 미세구는 콜라겐 합성을 개시하고 이로 인하여 신생 콜라겐 네트워크가 생성되며, 연조직 중의 히알루론산 축적물을 보충한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피부에 천연 수분 균형을 되돌려 주름제거 기능을 향상시킨다.
www.rofil.com 웹사이트에 의하면 치료때마다 적은 양의 Reviderm Intra
Figure 112006084953739-PCT00005
을 수회 주사할 것을 권장한다. 덱스트란 미세구 및 히알루론산은 생분해성이기 때문에, 이러한 충진제는 12 내지 24개월 지속된다. 따라서, Reviderm Intra
Figure 112006084953739-PCT00006
은 반복된 주사가 필요하며 연조직 충진제로서 제한된 지속성만을 갖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인간 조직 증강에 적합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인간 조직의 증강을 목적으로 인간 조직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 조직 증강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로하여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구현예를 또한 제시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 구현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현예는 단지 본 명세서의 자세한 기술 및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일뿐이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같은 번호는 같은 요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연조직과 같은 조직의 증강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용어 "증강시킨다" 및 "증강"은 조직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조직 확대 (예를 들면, 조직의 부피 확대)를 포함하거나/하고 조직의 기능 향상을 포함한다.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는 연조직 증강에 많은 이점이 있다. 이의 용해 산물은 통상적 생리 경로에 의해 몸 밖으로 용이하게 제거된다. 텍스트란 미세입자는 비독성, 비면역원성이고, 생체적합하며, 생분해되며, 동물 유래의 산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미세입자 형성방법은, 미세입자에서 제거되지 않을 경우 인간에게 유해한 유기용매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어떠한 화학적 가교제도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 구멍의 구조가 생분자의 확산 및 흡수에 사용될 수 다공성 미세입자가 초래된다. 선택적으로는, 조직 증강제, 예를 들면 성장인자를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구멍에 위치시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절 방출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조직의 증강 지속 기간을 증가시킨다. 더우기,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표면 특성을 부착의존성 세포용으로 적합하게 만들 수 있다.
용어 조직 증강은 임의의 적절한 조직에 바람직한 적절한 증강기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직은 인간 연조직이다. 용어 증강은 조직의 부피 증가, 피부의 잔주름 및/또는 깊은 주름의 제거 또는 감소, 안면 지방이상 및 지방위축증의 치료 및 성형수술부위 조직의 충진제로서의 기능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용어 증강은 외과적 및 비외과적 또는 미용적 증강을 포함한다.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미용적 결함, 선천적 기형 및/또는 후천적 조직의 손상의 재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덱스트란 미세입자가 위치하는, 용매와 같은 생체적합성 유체성 담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 담체는 멸균수와 같은 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PBS(인산완충식염수) 및 알콜을 기본으로 하는 용매와 같은 적절한 유기용매를 물과 조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유체 담체는 조성물의 1 내지 99 부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미세입자, 및 사용되는 경우, 치료제는 조성물의 99 내지 1 부피%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직 증강 조성물은, 조직에서 이식물을 형성하여 조직 증강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다공성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한다. 증강 조성물은 충진제(i.e., 조직의 부피 증가)로서 사용되어 주사 부위에서의 신생 조직의 성장을 자극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직 증강 조성물은 다공성의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 및 부가의 조직 증강제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적어도 일부의 조직 증강제는 상기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구멍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조절 방출시스템으로서 사용된다. 일부 조직 증강제는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표면 및/또는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방출 조절성 조직 증강제는 보툴리눔 독소, 예컨대 보툴리눔 독소 유형A (예를 들면 인간 혈청 알부민 및 NaCl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의, 상표명 BOTOX
Figure 112006084953739-PCT00007
로 판매되는 독소과 같은 것), B, F, C1, D, E, 및/또는 G를 포함한다. 보툴리눔 독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6,585,99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근육 주사로 미간주름의 치료, 치골직장근의 괄약근에 주사하여 변비의 치료, 눈꺼풀의 근육에 주사하여 안검연축의 치료, 및 팔의 경직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미국 특허 제6,585,99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최종 사용자에 따라 5 내지 200 유니트의 보툴리눔 독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 내지 10 유니트의 상기 독소를 미간 주름의 치료에 사용한다. 보툴리눔 독소과 다공성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사용은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의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적은 양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독성이 매우 강한 물질이 긴 시간에 걸쳐 구멍으로부터 조절되어 방출되기 때문에 이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에 조성물을 주사한 후, 조직은 한번에 많은 양의 독소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는 독소 주사의 안정성 및 치료의 지속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미세입자는 그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추가로 세포 또는 세포 부착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대상체 유래의 자가성 세포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세포는 치료되는 조직과 동일한 유형의 예컨대 지방세포, 근육세포, 진피세포 및 상피 세포와 같은 자가성 세포이다. "세포부착촉진제"는 이의 존재로 인해 또는 다른 미세입자와 연합으로, 세포의 미세입자 표면으로의 부착을 촉진 또는 증대시키는 임의의 화합물을 언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종종 공유결합을 통하여 미세입자 표면에 부착된 단백질 또는 단백질 및 덱스트란의 부착에 의해 미세입자에 부착된 단백질이다.
본 조성물은 또한 선택적으로는, 증강에 부가하여 조직에 기타 이로움 및 치료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치료 또는 예방제, 방사능 진정제 (radio-pacifying agent), 조영제 또는 기타 검출성 물질, 표적제,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제"는 유기체의 전체적인 생물적 또는 생리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치료효과 및/또는 포유류의 하나 이상의 질환의 치료 또는 치유를 가져오는 임의의 물질을 언급하는 것이다. 치료제의 예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감소를 가져오는 항염증제,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또는 항히스타민제이다.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다공성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상기 조직 증강 조성물은 조직 증강용으로 포장(packaged)된다. 본 구현예의 한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인간 투여에 적합한 양으로 용기(vessel)에 위치한다. 상기 용기는 현탁액, 젤 또는 고형 형태의 본 조성물을 담을 수 있는 임의의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유리병, 관, 드롭퍼, 파우치 및/또는 기타 적합한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유형의 용기는 사용 및 취급이 편리한 미리 채워져 있는 주사기이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용기는 조성물의 예컨대 주사와 같은 인간 투여를 위한 안내문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문은 예컨대 용기에 직접 인쇄되거나 또는 용기에 부착되는 레이블에 인쇄되는 것과 같이, 용기에 인쇄될 수 있거나, 또는 판지 박스 또는 약국봉투 중에 용기와 함께 넣는 종이에 인쇄되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내문은 각 투약단위로 투여될 조성물의 양, 투약단위의 투여 횟수, 투약단위체의 투여부위, 주사용 조성물의 투약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약사 및/또는 약물을 투여하는 의료종사자에게 필요한 기타 안내를 기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안내문은 예컨대 안내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링크 또는 전화번호 또는 안내를 들을 수 있는 녹음과 같은, 투약 및 투여안내에 관하여 청각적 또는 전자적 접근 방법에 대한 안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조직 증강 조성물은 인간 조직 증강에 적합화된 키트로서 제공된다. 상기 키트는 판매 장소에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의료업 종사자 및/또는 약사가 조성물의 투여 전에 별개의 부분을 모아 조립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조직 증강을 위해 상기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인간에게 투여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것으로서, 예컨대 주사 및 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투여 전에 보관 용기에서 주사기로 넣는다.
인간의 조직 증강 방법은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인간의 조직 향상을 위해 인간 조직으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진피 조직과 같은 인간의 연조직으로 도입된다. 목적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미세입자로부터 조절 방출되는 부가의 연조직 증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직 증강은 외부활동으로 인한 피부 및 관련된 부위와 같은 조직의 천연 상태의 임의의 변화를 언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진피 조직 증강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상기 부위는 표피, 진피, 피하층, 지방, 털세움근, 모간, 모공, 및 피부기름샘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투여방법은 본 조성물을 증강의 필요가 있는 대상체의 부위에 주사하는 것이다. 주사는 주사기, 카테터, 바늘 및 기타 다른 주사방법, 또는 액체 매질 중의 미세입자 주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의 상기 주사성 조성물의 주사는 상기 조성물을 조직 증강의 필요가 있는 부위에 주사하여 수행된다. 상기 주사는 치료할 필요가 있는 대상체 몸의 임의의 부위, 예를 들어, 이로 제한 하는 것은 아니나, 얼굴, 목, 몸통, 팔, 손, 다리 및 발을 포함하는 부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주사는 예컨대 표피, 진피, 지방, 근육 또는 피하 층과 같은 특정 부위의 임의의 부위에 주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기관, 기관의 구성성분, 또는 대상체의 몸, 기관 또는 기관의 구성성분으로의 주입전 조직으로 체외적으로 주사될 수 있다. 주사의 횟수 및 양은 치료될 특정 부위의 결함의 성질 및 위치를 근거로 결정된다.
진피 조직 증강 방법은, 나이, 환경적 노출, 체중감소, 임신, 손상, 수술, 또는 HIV로 인한 지방 위축증, 여드름 및 암과 같은 질환에 의해 종종 야기되는 피부 윤곽의 치료에 적합하다. 윤곽 결함은 곡선 주름, 걱정 주름(worry lines), 주름, 눈초리주름, 마리오네트 주름(wrinkles), 스트레치 마크, 및 부상, 상처, 물린상처, 수술흉터, 질환 또는 사고로 인한 내적 및 외적 흉터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입술, 가슴, 엉덩이, 볼 및 다리 조직과 같은 연조직은 예를 들면 조직의 부피 증가에 의해 향상된다. 따라서, 인간의 연조직 부피 증가 방법은 유효량의,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연조직 보충 조성물을 연조직의 부피 증대를 위해 상기 인간의 연조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 및 선택적으로 연조직 증강제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진피 조직의 잔주름 및 깊은 주름 중 하나 이상을 제거 또는 감소함으로써, 연조직의 증강을 위해, 예컨대 표피, 진피, 지방, 피하층 또는 근육에 도입된다. 따라서, 진피 조직의 잔주름 및 깊은 주름 중 하나 이상을 제거 또는 감소 또는 제거하는 방법은 유효량의 연조직 증강용의,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잔주름 및 깊은 주름을 포함하는 인간 진피에 주사하여 잔주름 및 깊은 주름 중 하나 이상을 제거 또는 감소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상기 조직 증강 조성물은 성형 수술후에 충진제로서 성형수술대상 부위의 연조직에 도입된다. 상기 조성물은 유체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사에 의해 도입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지방 위축증의 치료를 위해 인간 연조직에 도입된다. 따라서, 유효량의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지방위축증이 발생한 인간의 연조직 부위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지방위축증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재는 인간에서의 연조직의 향상에 중점을 두었지만, 상기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을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방법 및 조성물은 인간을 제외한 기타 포유류의 조직 증강 및 포유류의 조직과 연관된 다양한 의학적 증상의 증강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덱스트란 미세입자는 내부 가교를 포함하지 않는 적절한 결정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러나, 반드시 이 방법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미세입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수용액에서 형성된다. 비가교성, 다공성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제조방법은 예컨대 수용성 덱스트란 용액과 같은 덱스트란 용액의 제조, 결정화 방법을 수행하여 결정화된 다공성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결정화 수행, 및 필요에 따라, 용액으로부터 결정화된 다공성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분리 단계를 포함한다.
만약, 선택적인 부가의 조직 증강제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라면, 상기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 및 조직 증강제는 미세입자가 결정화되어 수성 현탁액을 형성한 후에 물과 조합된다. 상기 증강제는 결정화전에 용액에 상기 증강제를 제공하거나, 또는 분리된 미세입자 및 증강제를 제2 수성 용액과 같은, 제2 용액에 제공하여 미세입자의 구멍으로 침투된다. 미세입자는 예컨대 물과 같은 용매에, 상기 증강제를 용매에 넣기 전에, 동시에 및/또는 넣은 후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공성 미세입자를 먼저 형성한 후에, 이어서 증강제를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에 넣어서 증강제가 미세입자의 구멍으로 침투하여 들어가도록 한다. 물론, 일부 증강제는 또한 이 과정에서 미세입자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만약 조성물에 부가의 증강제가 존재한다면, 상기 미세입자는 바람직하게는 구멍내에 상기 증강제를 포함하여 구멍으로부터 증강제를 시간에 따라 조절 방출하기에 충분한 다공성을 가진다. 즉, 상기 증강제는, 한 번에 모두 방출되기 보다는 구멍으로부터 시간의 경과, 예컨대 1시간에 걸쳐, 예컨대 수시간 또는 수개월에 걸쳐 방출된다. 따라서, 입자성 물질, 구멍의 크기 및 구멍의 부피를 사용되는 증강제의 유형, 전달이 필요한 증강제의 양, 증강 전달의 지속기간, 증강제가 전달된 환경 및 기타 요인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증강제는 미세입자에 미세캡슐화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미세입자는 쉘을 형성하여 그 핵(중심)에 증강제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목적하는 경우, 증강제의 일부는 미세입자의 구멍내에 위치하는 것에 부가하여, 미세입자의 쉘내에 캡슐화되거나/되고 미세입자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구멍 중의 증강제의 위치로 인하여 증강제의 적절한 시간에 따른 방출이 가능하다. 대조적으로, 미세입자의 표면에 부착된 증강제는 종종 너무 빨리 방출되거나, 미세입자의 쉘내에 캡슐화된 증강제는 적절한 시기에 방출되지 못하다가 미세입자의 쉘의 붕괴시에 한번에 모두 방출된다.
상기 미세입자는 미세입자가 형성된 용매 중에서 포유류에게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은 형성된 용매로부터 분리되어 물 또는 기타 투여용 용매에 넣을 수 있거나, 건조하여 제로젤 또는 분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기의 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0.5 내지 3.5 마이크론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가 1.0 내지 200.0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덱스트란 용액 (10 - 90 % W/W)중에서, 0 - 99.9 ℃의 온도범위에서 자생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발견하였다. 분자량 40 kDa, 50% W/W 및 60 ℃의 텍스트란 수용액이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제조에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입자는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 모양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모양을 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구형이며, 바람직하게는 직경 10 마이크론 이하, 예컨대 0.5 내지 5 마이크론의 구형이다.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미세다공 구조를 관찰하였다 (도 2A 및 2B). 바람직하게, 상기 미세입자의 다공도는 10 부피% 이상, 예컨대 약 10 내지 약 50 부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40 부피%이다. 따라서, 상기 구조는 농축된 현탁액 또는 제로젤 중의 입자 사이에 위치한 거대다공도의 부위 및 미세다공성 미세입자를 포함한다.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수성 현탁액의 분무 건조 결과는 직경이 10.0 내지 150.0 마이크론 범위인 실질적으로 구형의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 응집체의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도 3 참조).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형성하는 방법의 비제한적 예는 다음과 같다.
Amersham Biosciences의 50.0 g의 덱스트란 T40 (40 kDa 분자량)을 500ml의 실험실용 비이커에 들어있는 50.0 g의 멸균수에 첨가 하여 50% w/w 용액을 수득한다. 상기 혼합물을 덱스트란이 완전히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형성할 때까지 50rpm으로 60℃에서 자석 교반한다. 상기 용액에 진공처리하여 포함된 모든 공기를 제거한다. 상기 투명 용액을 예를 들면 Tyvek
Figure 112006084953739-PCT00008
lid와 같은 리드를 덮어 60℃의 실험실 오분에 넣는다. 3.5시간 후에,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형성으로 인한, 탁한 점성의 현탁액이 생성된다
비결졍형 덱스트란을 제거하기 위해, 미세입자를 예컨대 3,000 g로 30분간 원심분리에 의해 멸균 증류수 250 ml로 3회 세정하거나 또는 예컨대 입자 및 물 1:10으로 희석한 미세입자 현탁물(멸균 필터를 통한 멸균 증류수 3x250 ml)을 여과하여 세정하였다. 미세입자는 500 ml의 실험용 비이커에 넣고 수분 함량이 약 3-5%가 될때까지 실험 오븐에서 8 내지 12시간동안 60 ℃에서 건조시켰다. 수득되는 건조 분말은 평균 직경 약 2 ㎛의 입자로 구성된다.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농축 현탁물 또는 이의 응집체는 동물 신체에 주입하여 이의 생체친화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마우스 실험에서 임플란트로서 사용하였다.
도 4 및 5는 실험 동물(마우스)에 피하 주입(도4) 및 근육내(도 5) 주입한 후의 조직내 임플란트를 나타낸 것이다. 동물 조직에서는 180일동안 염증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도 6A, 6B 및 6C는 주입 후 마우스 근육 조직내 각각 1, 4 및 28일째의 임플란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 및 7B는 주입후 180일된 마우스 근육 조직내 임플란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8B 및 8C는 피하 주입 후 각각 4, 11 및 28일째의 임플란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8D 및 8E는 피하 주입 후 180일째의 임플란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8F 및 8G는 모두 피하 주입후 일년된 임플란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8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식부위에는 흉터 조직이 아닌 정상 조직이 형성된다. 따라서, 임플란트는 완전 분해 및 실질적인 부작용없이 적어도 1년 이상 인간의 연조직내에서 유지된다.
임플란트로부터 거대분자의 느린 방출은 주입전에 거대 분자가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 또는 그것의 응집체의 수성 현탁액 중에 용해한 실험에서 입증되었다.
도 9 및 10은 형광 표지된 거대분자(FITC-덱스트란, MW 500 kDa)를 함유하는 임플란트를 나타낸 것으로, 근육내 주입 후 14일째에 임플란트로부터 마우스 근육 조직으로의 거대분자의 느린 방출(도 9)과 플라스미드 DNA의 임플란트에서의 방출 이후의 마우스 근육 조직내에서의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도 10)을 보인다.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 및 그 응집체를 주성분으로한 자가 조립형 임플란트 구조는 2상 시스템을 기초로 형성될 수 있다.
오일, 리포좀, 미세입자, 나노입자 및 세포의 방울(droplet)과 같은 콜로이달 시스템은 결정형 미세입자의 현탁물중에 분산될 수 있으며, 포유류의 체내에 투여된 후 치료제를 방출하는 임플란트를 형성하도록 주입될 수 있다.
예컨대, 오일의 경우, 특정 유형의 임플란트 구조는, 오일 코어가 수중이나 또는 다당류(예, 덱스트란)와 같은 유기 폴리머 수용액중에 분산된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 또는 그것의 응집체로 구성된 셀(shell)로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는 캡슐로 기재될 수 있다. 상기 셀은 캡슐이 조직으로 둘러싸였을 때 형성되는 거의 구형의 셀을 포함할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그러나, 캡슐이 뼈와 같은 장애물(barrier) 근처에 위치되면, 캡슐은 한면은 미세입자의 하나 이상의 벽이고 한면은 장애물인 그 사이에 위치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일을 예로 사용하는 경우, 코어는 다른 폴리머, 세포 등과 같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2상의 수성 시스템이 적용된다. 여러가지 폴리머 수용액을 상기 특정 농도로 혼합하는 경우, 이들은 미분산성 액체 2상 용액을 흔히 형성한다. 각 상들은 일반적으로 90% 이상의 물로 구성되며 완충화될 수 있으며 등장성이 될 수 있다. 입자 현탁물을 상기 시스템에 첨가하는 경우, 입자들은 흔히 상들 사이에 불균등하게 분할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선호적인 분할 양상은 이들 시스템내 분할이 입자 표면 특성에 의해 직접적으로 결정되므로, 입자를 구별하는 분리 공정에 대한 기초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동일한 표면 특성을 가지지 않는 입자들은 충분히 다른 분할 양상을 보인다.
2상 시스템에서 입자의 경쟁적인 상 흡착은 폴리머의 화학적인 특징에 따라 결정된다. 2상 폴리머 방법은 세포, 단백질, 핵산 및 미네랄을 분리 또는 분할하기 위해 적용되고 있다("Partitioning in Aqueous Two-Phase Systems", 1985, eds., H. Walter, D. Brooks, and D. Fisher, pubis. Academic Press).
도 11 및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상 시스템에서의 분포에 대한 예컨대 덱스트란/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혼합물로부터 유래된 실험으로, 덱스트란 미세입자는 덱스트란 상중에 있는 것을 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른 PEG 상은 덱스트란 상에 분산되어 W/W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으며, PEG 상의 용적이 덱스트란 상의 용적보다 큰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11은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덱스트란 수용액 중의 PEG 수용액 에멀젼의 사진이다. 도 11의 구조에서, PEG 상의 용적은 덱스트란 상의 용적 보다 낮다. 덱스트란 상은 덱스트란과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함유한다. 따라서, PEG 상은 덱스트란/덱스트란 미세입자 셀로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구형 코어(즉, 닫힌 기공 구조)로 된다.
도 12는 PEG 수용액 중의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덱스트란 수용액 에멀젼 사진으로, PEG 상의 용적은 덱스트란 상의 용적보다 높다. 이 경우, 덱스트란 상은 PEG 상으로 둘러싸인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구를 형성한다(즉, PEG가 조직액에 흩어지면서 생체내에서 형성되는 열린 기공 구조).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덱스트란 상의 보다 작은 용적(방울)은 덱스트란/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보다 작은 구형들이 연결 및 융합되어 큰 구형의 덱스트란/덱스트란 미세입자 코어를 형성한다(도 12의 우측 하단).
따라서, 제2 상의 용적에 대한 제1 상의 용적 비가 1 보다 작은 경우(PEG 상 및 그것의 함유물, 예컨대 치료제 및/또는 증강제 또는 그것의 미세입자 함유 또는 세포 생성), 이때 캡슐은 자가 조립에 의해 제2 상의 셀로 둘러싸인 제1 상의 코어를 형성한다. 상기 조성물이 PEG 상으로 분할되는 치료제 또는 증강제와, 덱스트란 상으로 분할되는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함유한다면, 치료제 또는 증강제는 선택적으로 PEG 코어로 선택적으로 분할되지만, 미세입자는 분할되어 자가 조립에 의해 PEG 코어 주변의 셀을 형성한다.
에멀젼은 각각 준비한 덱스트란 상 및 PEG 상을 혼합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 각각 PEG 상 또는 덱스트란 상에 선호적으로 있는 여러가지 입자 타입의 현탁물일 수 있다. 원리는 입자들의 여러가지 폴리머 상으로의 분할이 그것의 표면 구조와 폴리머 용액중의 입자의 계면 에너지에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2상 수성 시스템을 실험 동물 조직에 주입한 결과, 도 13 및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슐 구조의 임플란트가 형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2상 시스템에서 덱스트란 상의 용적은 PEG 상의 용적 보다 크다. 도 13 및 14 모두 PEG 코어를 가지는 캡슐을 나타내며, 덱스트란/덱스트란 미세입자 셀은 생체내(즉, 포유류 조직에 주입 후)에서 자가 조립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겔은 인접한 미세입자들간의 거대다공성 부위 뿐만 아니라 미세입자 자체의 미세다공성 부위를 포함한다.
덱스트란 미세입자는 2상 시스템에 제공되는 용액 중에서 덱스트란과 상이한 분자량의 덱스트란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따라서,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는 2상 시스템에 제공되는 500 kDa 덱스트란일 수 있는 덱스트란 용액 보다 낮은 분자량의 덱스트란 용액, 예컨대 5 kDa 용액중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저분자량의 용액을 사용하여 결정화 시간을 단축시키고 결정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저분자량의 미세입자는 생체내에서 보다 빠르게 용해될 수 있다.
2상 시스템으로부터 형성된 캡슐 구조는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단일 상을 구성하는 조성물보다 코어로부터 치료제 또는 증강제의 방출을 보다 연장시키도록 할 수 있으므로, 유익하다. 또한, 캡슐 구조를 이용함으써, 단일 상 시스템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동일하거나 보다 우수한 물질의 방출 시간을 수득하는데 저량의 미세입자가 요구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2상 시스템에서 미세입자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미세입자의 셀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셀이 두꺼울수록 2상 시스템내 미세입자의 양은 증가한다. 따라서, 캡슐 코어로부터 제제의 방출량, 지속 및/또는 시기는 셀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물질의 방출 프로파일은 각 환자 또는 환자군에 따라 적정될 수 있다.
PEG 및 덱스트란은 2상의 물질 예로 사용되지만, 그외 다른 적합한 물질, 하기 상 형성 양상을 보이는 물질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도 15A는 2상 수성 시스템에서의 여러가지 종류의 입자들의 분할 양상을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예컨대, 바람직하기로는 입자 10, 12 및 14인, 3가지 유형의 분자 또는 분자 응집체와 2개의 상 16 및 18을 도 15A에 나타낸다. 그러나, 2종이거나 4종 이상의 입자가 있을 수 있다. 입자는 유기 및/또는 무기 물질, 리포좀, 살아있는 세포, 바이러스 및 거대분자로부터 제조된 미세구 또는 나노구와 같은 미세입자일 수 있다. 제1 타입의 입자 10은 제1 상 16으로 선호적으로 분리된다. 제2 타입의 입자 12는 제1 상인 16과 제2 상인 18의 경계로 선호적으로 분리된다. 제3 타입의 입자 14는 제2 상인 18로 선호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이전의 비제한적인 예와 유사하게, 제1 입자 10은 치료제 또는 증강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입자 12 및/또는 제3 입자 14는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상인 16은 PEG 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상 18은 덱스트란 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A의 영역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다 적은 양의 제1 상 16을 보다 다량의 제2 상 18에 제공하는 경우, 제2 상 18 중에 위치한, 제1 타입 입자 10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제1 상 16의 개별 구(discreet sphere)들을 포함하는 캡슐 타입 구조가 형성된다. 제2 타입의 입자 12는 상 16, 18의 인터페이스에 위치할 수 있으며, 캡슐의 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입자 14는 제2 상 18 중에 분산되며/되거나 캡슐의 셀을 형성한다.
이와는 반대로, 보다 적은 양의 제1 상 18을 다량의 제1 상 16에 제공하는 경우, 도 15A의 영역 22에 나타낸 비와 같이, 제1 상 16중에 위치한, 제3 타입의 입자 14의 농축물 포함하는 제2 상 18의 개별 구를 포함하는 캡슐 타입 구조가 형성된다. 제2 타입의 입자 12는 상 16, 18의 인터페이스에 위치할 수 있으며, 캡슐의 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입자 10은 제1 상 16에 분산되며/되거나 캡슐의 셀을 형성한다. 2상 시스템 20 및 22는 예컨대 포유류에 주입 또는 외과적인 이식됨으로써 임플란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캡슐은 구조화된 3차 구조의 임플란트를 형성하며, 셀을 통해 치료제나 증강제의 조절성 방출을 제공하기 위한 저장소 또는 데포트로서 작용하는 코어를 가진다. 반대로, 미세입자가 균등하게 분배된 임플란트는 구조화되지 않는 임플란트이다.
더욱이, 입자(즉, 분자 응집체) 10, 12 및 14는 선택적으로 상들중 하나로 분할되는 액체 물질(예, 오일) 또는 거대 분자로 치환될 수 있다. 특정 입자 및 물질이 선택적으로 분할될때, 용어 "선택적으로 분할된"은 입자 또는 물질 100%가 상들중 하나로 분할되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주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분활되는 종들의 대부분, 바람직하기로는 분할되는 종들의 80%는 상들중 하나로 분할된다.
도 15B는 도 15A에 도시된 2상 시스템을 근간으로한 임플란트 구조 횡단면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제1 덱스트란 상, 제2 PEG 상 및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2상 수성 조성물은 세파로스 겔에 주입하였다. 상기 겔 조성물은 주입부로부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확산을 금하는 포유류 조직을 모방한 것이다. 도 15B에서 사진은 코어-셀 임플란트 구조의 형성을 예시한 것이다. 코어는 셀 34로 둘러싸인 영역 30 및 32를 포함한다. 영역 30은 횡단면 SEM 이미지화를 위한 겔을 절단하기 이전에 PEG 상 영역으로 충진된 공간이다. PEG 상 부위는 상기 겔을 횡절단할 때 겔의 방울로 떨어진다. 영역 32는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 중에 위치한 PEG 방울을 포함하는 코어의 외측이다. 영역 34는 코어를 포함하는 PEG를 둘러싸고 위치를 점유하는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로 구성된 셀이다.
특별한 이론에 결부되지 않으며, 본 발명자들은 도 15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가 조립에 의해 도 15B의 코어-셀 구조가 형성된다고 믿는다. 제1 16 및 제2 118 상들은, 예컨대 상이하고, 비혼화성 폴리머의 수용액은 유리 비이커 또는 바이얼과 같은 적정 유리 용기 19에 두며, 상 16은 다른 상 18 위로 올라온다. 2상 조성물을 입자 16 및 18의 자유 흐름을 제한하는 물질, 예컨대 포유류 조직이나 기질 물질, 예컨대 조직을 모방한 겔에 주입하였을때, 상기 조성물은 코어-셀 구조로 자가 조립된다. 우선, 용적이 작은 상이 도 15C의 중간 부분에 개시한 바와 같이, 대략적인 구형을 형성한다. 이후, 도 15C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형은 연결되어 다른 상의 셀로 둘러싸인 하나의 상의 구형 코어를 형성한다. 다중상 시스템의 예로 2상 시스템을 기재하지만, 다중상 시스템은 적절하다면 2상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기재는 예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을 총망라하거나 개시된 실시 형태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수정 및 변형은 상기 기재된 내용에 비추어 가능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도면 및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제 적용을 설명하기 위해 선정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의 동급의 내용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공개 문헌 및 특허 출원 및 특허는 원용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변이 용어 "포함하는"은 포괄적이며 비제한적이며, 본 발명에서 인용되지 않은 추가적인, 요소 또는 방법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분자량 40.0 kDa 덱스트란의 55.0% (W/W) 수용액에서 자생적으로 형성된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사진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낸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단면도 사진이다.
도 2B는 도 2A의 미세입자의 단면도이다. 미세입자의 미세구멍을 볼 수 있다.
도 3은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응집체의 사진이다.
도 4는 도 3의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로 구성된, 피하 주사된 이식물의 사진이다.
도 5는 도 3의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로 구성된 근육내 주사된 이식물의 사진이다.
도 6A, 6B 및 6C는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로 구성된 주사된 이식물이 들어있는 마우스 근육의 단면도 사진이다 (각각 주사후, 1일, 4일, 및 28일째).
도 7A 및 7B는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로 구성된 주사된 이식물이 들어있는 마우스 근육의 단면도 사진이다 (주사 후 180일째).
도 8A, 8B, 8C, 8D, 8E, 8F 및 8G는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로 구성된 주사된 이식물이 들어있는 마우스 근육의 단면도 사진이다 (주사 후, 1일, 4일, 및 28일, 180일 및 1년째).
도 9는 근육내 주사 후 14일째,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이식물로부터 형광 표지된 거대분자가 마우스 조직으로의 서서히 방출되는 사진이다.
도 10은 이식물로부터 플라스미드 DNA의 방출 후, 마우스 근육 조직 중의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1은 도 1의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덱스트란 (MW 500 kDa) 수용액 중의 PEG 수용액 에멀젼의 사진이다.
도 12는 PEG 수용액 중의 도 1의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덱스트란 (MW 500 kDa) 수용액의 에멀젼 사진이다.
도 13은 도 1의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덱스트란 (MW 500 kDa) 수용액 중의 PEG 수용액 에멀젼의 근육내 주사 사진이다.
도 14는 도 1의 결정화된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덱스트란 (MW 500 kDa) 수용액 중의 PEG 수용액 에멀젼의 피하 주사 사진이다.
도 15A 및 15C는 수성 2상 시스템(two phase system) 중의 상 및 상이한 입자 유형의 분포 양상을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도 15B는 2상 시스템을 기본으로하는 이식구조의 단면 사진이다.

Claims (59)

  1. 다공성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며, 조직 증강용으로 패키지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평균 직경은 0.5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체성 담체 매질중의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입에 의한 조직 증강용으로 패키지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직 용적 증가에 의해 조직을 증강하기 위한 조직 증강용으로 패키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진피 조직의 하나 이상의 잔주름 및 깊은 주름(fold)을 제거 또는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위축증(lipoatrophy)을 치료하기 위한 조직 증강용으로 패키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기공에 위치한 연조직 증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 증강제는 보툴리눔 독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 증강제는 시간 경과에 따라 기공으로부터 조절가능하게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 및 조직을 증강하기 위해 인간 조직내로 상기 결정형 미세입자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수단을 포함하는, 인간 조직 증강용으로 고안된 키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기공에 위치한 연조직 증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 증강제는 보툴리눔 독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키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 증강제는 시간 경과에 따라 기공으로부터 조절가능하게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평균 직경은 0.5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단은 조직의 용적 증가에 의해 조직을 증강하기 위해 인간 조직내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은 입술, 가슴, 엉덩이, 볼 및 다리 조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단은 진피 조직의 하나 이상의 잔주름 및 깊은 주름을 제거 또는 개선시키기 위해 인간 진피 조직내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단은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인간 조직내로 주입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0. 유체성 담체; 및
    유체성 담체중에 위치된 인간 연조직 증강용 제2 수단을 포함하는, 인간 연조직 증강용 조성물.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단은 다공성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성 담체를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 20항에 있어서,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기공에 위치한 연조직 증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단은 조직의 용적 증가에 의해 조직을 증강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단은 진피 조직내 하나 이상의 잔주름 및 깊은 주름 제거 또는 개선에 의해 조직을 증강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단은 지방위축증을 치료하기 위한 수단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6. 인간 조직을 증강하기 위해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인간 조직내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 조직의 증강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인간 연조직을 증강하는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기공에 위치한 연조직 증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 증강제는 시간 경과에 따라 기공으로부터 조절가능하도록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체성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는 인간 연조직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은 조직의 용적 증가에 의해 증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은 입술, 가슴, 엉덩이, 볼 및 다리 조직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는 진피 조직의 하나 이상의 잔주름 및 깊은 주름을 제거 또는 개선시키기 위해 인간 진피 조직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는 인간 진피 조직내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미세입자는 성형 수술 이후에 충진제로서 성형 수술이 수행된 인간 연조직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는 지방 위축증을 치료하기 위해 인간 연조직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직경은 0.5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는 인간 연조직내에서 임 플란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이식부위에 흉터 조직이 아닌 정상 조직을 형성하도록 완전 분해 및 실질적인 부작용 없이 적어도 1년 이상 인간 연조직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공동 핵(hollow core) 부위 주변의 덱스트란 미세입자 셀을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형성하는 2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유효량의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지방위축증 인간의 연조직 부위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의 지방위축증 치료 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체성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는 인간 연조직내에서 임플란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완전한 분해 및 실질적인 부작용없이 적 어도 1년 이상 인간 연조직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평균 직경은 0.5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하나 이상의 잔주름 및 깊은 주름을 제거 및 개선시키기 위해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유효량의 연조직 증강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잔주름 및 깊은 주름을 포함하는 인간 진피 조직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 진피 조직의 잔주름 및 주름을 제거 또는 개선시키는 방법.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체성 담체 및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기공에 위치한 잔주름 및 깊은 주름 개선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잔주름 및 깊은 주름 개선제는 보툴리눔 독소 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는 인간 연조직내에서 임플란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이식 부위에서 흉터 조직이 아닌 정작 조직을 형성하도록 완전한 분해 및 실질적인 부작용없이 적어도 1년 이상 인간 연조직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평균 직경은 0.5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연조직의 용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유효량의 연조직 충진제 조성물을 인간 연조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 연조직의 용적을 증가시키는 방법.
  53.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체성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는 인간 연조직내에서 임플란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이식 부위에서 흉터 조직이 아니 정작 조직을 형성하도록 완전한 분해 및 실질적인 부작용없이 적어도 1년 이상 인간 연조직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공동 핵(hollow core) 부위 주변의 덱스트란 미세입자 셀을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형성하는 2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덱스트란 미세입자의 평균 직경은 0.5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은 입술, 가슴, 엉덩이, 볼 및 다리 조직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성형 수술 이후에 충진제로서 성형 수술이 수행된 인간 연조직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7024335A 2004-04-20 2005-04-20 조직 증강용 이식물 및 조직 증강 방법 KR200700339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6347404P 2004-04-20 2004-04-20
US60/563,474 2004-04-20
PCT/RU2005/000217 WO2005102285A1 (en) 2004-04-20 2005-04-20 Tissue enhancement implant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976A true KR20070033976A (ko) 2007-03-27

Family

ID=3498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335A KR20070033976A (ko) 2004-04-20 2005-04-20 조직 증강용 이식물 및 조직 증강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003503A1 (ko)
EP (1) EP1744728A1 (ko)
KR (1) KR20070033976A (ko)
CN (1) CN101035513A (ko)
AR (1) AR050148A1 (ko)
AU (1) AU2005235168A1 (ko)
TW (1) TW200603843A (ko)
WO (1) WO20051022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0146B2 (en) * 2001-01-11 2015-07-14 Celonova Biosciences, Inc. Substrates containing polyphosphazene as matrices and substrates containing polyphosphazene with a micro-structured surface
US20080226723A1 (en) * 2002-07-05 2008-09-18 Celonova Biosciences, Inc. Loadable Polymeric Particles for Therapeutic Use in Erectile Dysfunction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KR101153785B1 (ko) 2004-10-25 2012-07-09 셀로노바 바이오사이언시스 저머니 게엠베하 치료 및/또는 진단용으로 부가할 수 있는 중합체 입자 및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US20210299056A9 (en) 2004-10-25 2021-09-30 Varian Medical Systems, Inc. Color-Coded Polymeric Particles of Predetermined Size for Therapeutic and/or Diagnostic Applications and Related Methods
US9114162B2 (en) 2004-10-25 2015-08-25 Celonova Biosciences, Inc. Loadable polymeric particles for enhanced imaging in clin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US9107850B2 (en) * 2004-10-25 2015-08-18 Celonova Biosciences, Inc. Color-coded and sized loadable polymeric particles for therapeutic and/or diagnostic applica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KR101430767B1 (ko) 2005-07-18 2014-08-19 유니버시티 오브 메사츄세츠 로웰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PT3295955T (pt) 2005-12-01 2021-07-12 Univ Massachusetts Lowell Nanoemulsões botulínicas
US9486408B2 (en) 2005-12-01 2016-11-08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Botulinum nanoemulsions
SE529040C2 (sv) * 2006-01-18 2007-04-17 Bows Pharmaceuticals Ag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n dextranmatris för kontrollerad frisättning av insulin
WO2008070538A2 (en) 2006-12-01 2008-06-12 Anterios, Inc. Micellar nanoparticles comprising botulinum toxin
CN107080703A (zh) 2006-12-01 2017-08-22 安特里奥公司 肽纳米粒子和其用途
EP2162117B1 (en) 2007-05-31 2018-02-21 Anterios, Inc. Nucleic acid nanoparticles and uses therefor
US20090111763A1 (en) * 2007-10-26 2009-04-30 Celonova Biosciences, Inc. Loadable polymeric particles for bone augmentation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US20090110738A1 (en) * 2007-10-26 2009-04-30 Celonova Biosciences, Inc. Loadable Polymeric Particles for Cosmetic and Reconstructive Tissue Augmentation Applica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US20090110731A1 (en) * 2007-10-30 2009-04-30 Celonova Biosciences, Inc. Loadable Polymeric Microparticles for Therapeutic Use in Alopecia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US20090110730A1 (en) * 2007-10-30 2009-04-30 Celonova Biosciences, Inc. Loadable Polymeric Particles for Marking or Masking Individual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MX2019005833A (es) 2016-11-21 2019-10-30 Eirion Therapeutics Inc Administracion transdermica de agentes grandes.
GB201714590D0 (en) 2017-09-11 2017-10-25 Pilkington Automotive Finland Oy Glazing with electrically operable light sour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3249A (en) * 1981-11-12 1987-12-15 Schroeder Ulf Crystallized carbohydrate matrix for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 process of preparing said matrix, and the use thereof
US5183462A (en) * 1990-08-21 1993-02-02 Associated Synapse Biologics Controlled administration of chemodenervating pharmaceuticals
US5211644A (en) * 1991-09-20 1993-05-18 Pmt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a dermal graft
US6537574B1 (en) * 1992-02-11 2003-03-25 Bioform, Inc. Soft tissue augmentation material
AU6526100A (en) * 1999-08-06 2001-03-0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rug releasing biodegradable fiber implant
US20030211166A1 (en) * 2001-07-31 2003-11-13 Yamamoto Ronald K Microparticulate biomaterial composition for medical use
US6436424B1 (en) * 2000-03-20 2002-08-20 Biosphere Medical, Inc. Injectable and swellable microspheres for dermal augmentation
US6306423B1 (en) * 2000-06-02 2001-10-23 Allergan Sales, Inc. Neurotoxin implant
EP1184032A1 (en) * 2000-08-31 2002-03-06 OctoPlus B.V. Dextran hydrogels
ES2385030T3 (es) * 2001-06-29 2012-07-17 Medgraft Microtech, Inc. Implantes inyectables biodegradables y procedimientos relacionados con su fabricación y uso
US20030068297A1 (en) * 2001-08-18 2003-04-10 Deepak Jai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skin rejuvenation and repair
EP1454630B1 (en) * 2003-03-04 2010-10-20 The Technology Development Company Ltd. Long acting injectable insulin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02285A1 (en) 2005-11-03
CN101035513A (zh) 2007-09-12
AU2005235168A1 (en) 2005-11-03
AR050148A1 (es) 2006-10-04
US20070003503A1 (en) 2007-01-04
TW200603843A (en) 2006-02-01
EP1744728A1 (en)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3976A (ko) 조직 증강용 이식물 및 조직 증강 방법
US10918611B2 (en) Methods for forming implants from injected thermoreversible gels
US9345777B2 (en) Methods for local drug delivery by microinjection array
JP7340374B2 (ja) 組織再生のための組織スキャフォールド材料および作製方法
CN103703079B (zh) 核-壳微球
BR112017022045B1 (pt) Composição para matrizes de microgel pseudoplástico
MXPA05009493A (es) Composicion de insulina oral y metodos para producirla y utilizarla.
KR20070057767A (ko) 인지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Nanda et al. Nanocosmetics: fundamentals, applications and toxicity
Wen et al. Intra-articular nanoparticles based therapies for osteo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management
Xiang et al. Self-nanoemulsifying electrospun fiber enhancing drug permeation
WO2013025940A1 (en) Angiogenesis promoted by alpha-keratose
Aktas et al. Polymeric organo-hydrogels: novel biomaterials for medical, pharmaceutical, and drug delivery platforms
Zeng et al. Controlled delivery of bioactive BDNF for potential treatment of peripheral nerve injury
WO2014160387A2 (en) Compositions, methods and devices for local drug delivery
CN113877000B (zh) 注射用微球组合物及其应用
TW201106965A (en) Controlled release multidrug formulations for spinal cord injury
Dahiya et al. An Overview on Nanocarriers for Nasal Delivery
Yadav et al. Drug Delivery Systems for Cartilage
Villamagna Preparation of Intra-articular Drug Delivery Systems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Sanati et al. Liposome-integrated hydrogel hybrids: Promising platforms for cancer therapy and tissue regeneration
El-Nablaway et al. Prospectives and challenges of nano-tailored biomaterials-assisted biological molecules delivery for tissue engineering purposes
Perteghella et al. Silk-fibroin Micro-drug Delivery Systems
Chen et al. Ultrasound-Triggered on Demand Lidocaine Release Relieves Postoperative Pain
JP2012001461A (ja) 金ナノロッドを含有するs/o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