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287A -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287A
KR20070032287A KR1020067018138A KR20067018138A KR20070032287A KR 20070032287 A KR20070032287 A KR 20070032287A KR 1020067018138 A KR1020067018138 A KR 1020067018138A KR 20067018138 A KR20067018138 A KR 20067018138A KR 20070032287 A KR20070032287 A KR 20070032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brake
drive sheave
braking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4633B1 (ko
Inventor
가즈마사 이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633B1/ko
Publication of KR2007003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제동체는, 회전 가능한 쉬브의 외주부에 대하여 접리(接離) 가능하고, 또한 쉬브의 외주부에 접촉하면서 쉬브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동체는, 쉬브와 그리퍼 메탈(gripper metal)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퍼 메탈은, 쉬브의 외주부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고 있다. 제동체가 쉬브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에는, 쉬브의 외주부와 경사부와의 사이에 제동체가 맞물려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제동체에는, 쉬브에 대하여 변위가능한 연결체가 접속되어 있다. 연결체는, 제동체가 쉬브의 외주부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구동 장치에 의해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EMERGENCY BRAKE OF ELEVATOR}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승강을 제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종래,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 로프가 감아 걸려진 구동 쉬브(sheave)에 제동 볼트를 걸어 맞추고, 또한 구동 쉬브에 브레이크 편(片)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승강을 제동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구동 쉬브에는, 구동 쉬브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동 볼트가 걸어 맞춰진 복수 개의 스포크(spoke)가 설치되어 있다. 또, 구동 쉬브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한 쌍의 브레이크 편이 배치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 편은, 암(arm)에 설치되어 있다. 암은, 스프링에 의해 회동(回動)되도록 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 편은, 암의 회동에 의해 구동 쉬브의 외주부에 접리(接離)된다. 구동 쉬브의 회전은, 제동 볼트의 스포크로의 걸어 맞춤, 및 브레이크 편의 구동 쉬브로의 접촉에 의해, 제동된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개평5-193860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제동 볼트가 스포크에 걸어 맞춤 가능한 위치로 변위되어도, 스포크가 제동 볼트에 걸어 맞춰질 때까지는, 구동 쉬브가 회전하여 버린다.
또, 구동 쉬브에 대한 소정의 제동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암이나 스프링이 대형화해 버리고,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가 커져 버린다. 또, 제조 코스트도 들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쉬브를 보다 확실히 제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는, 회전 가능한 쉬브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연결체, 연결체에 설치되고, 쉬브의 외주부에 대하여 접리 가능하고, 또한 쉬브의 외주부에 접촉하면서 쉬브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제동체, 제동체가 쉬브의 외주부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으로 연결체를 변위시키는 브레이크 구동 장치, 및 쉬브의 외주부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며, 제동체가 쉬브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쉬브의 외주부와 경사부와의 사이에 제동체가 맞물려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그리퍼 메탈(gripper metal)을 구비하고, 제동체가 쉬브의 외주부에 접촉하여, 쉬브의 외주부와 그리퍼 메탈의 경사부와의 사이에 맞물려 들어가는 것에 의해,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동 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상부에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수평보(2)가 설치되어 있다.수평보(2) 위에는, 지지대인 기계대(3)가 고정되어 있다. 기계대(3)에는, 구동 장치인 권상기(卷上機)(4)와, 권상기(4)와 간격을 두어 배치된 쉬브인 디플렉터 쉬브(deflector sheave)(5)가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4)는, 모터를 포함한 권상기 본체(6)와, 권상기 본체(6)에 의해 회전되는 쉬브인 구동 쉬브(7)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7) 및 디플렉터 쉬브(5)는 서로 평행한 수평 축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7) 및 디플렉터 쉬브(5)에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8)가 감아 걸려져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9) 및 균형추(10)가 각 메인 로프(8)에 의해 매달려 있다. 각 메인 로프(8)는, 구동 쉬브(7)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디플렉터 쉬브(5)는, 각 메인 로프(8)의 이동에 의해 회전된다. 엘리베이터 칸(9) 및 균형추(10)는, 각 메인 로프(8)의 이동에 의해 승강된다. 또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9)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1)과, 균형추(10)를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12)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7)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구동 쉬브(7)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비상 브레이크 장치(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비상 브레이크 장치(13)는, 구동 쉬브(7)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비상 브레이크 장치(13)는, 기계대(3) 위에 설치되어 있다. 비상 브레이크 장치(13)는, 구동 쉬브(7)와 기계대(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구동 쉬브(7)의 일부 및 비상 브레이크 장치(1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는, 구동 쉬브(7)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홈부(14)가 설치되어 있다(도 3). 각 메인 로프(8)는, 각 홈부(14)에 따라서 구동 쉬브(7)에 감아 걸려져 있다.
기계대(3) 위에는, 비상 브레이크 장치(13)를 지지하는 브레이크 지지 부재(15)가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지지 부재(15)의 상부에는, 구동 쉬브(7)의 아래쪽에 배치된 그리퍼 메탈(16)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퍼 메탈(16)은, 구동 쉬 브(7)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한 쌍의 경사부(17)를 가지고 있다. 각 경사부(17)는, 구동 쉬브(7)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브레이크 중심선에 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경사부(17)와 구동 쉬브(7)의 외주부와의 사이의 간격은, 브레이크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고 있다. 즉, 각 경사부(17)와 구동 쉬브(7)의 외주부와의 사이의 간격은, 그리퍼 메탈(16)의 중앙부 측보다 단부 측에서, 작아지고 있다.
구동 쉬브(7)와 그리퍼 메탈(16)과의 사이에는, 제동체인 제동 롤러(18)가 설치되어 있다. 제동 롤러(18)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이 고마찰재로 구성된 원주 모양 부재이다. 또, 제동 롤러(18)는, 브레이크 중심선 위를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동 롤러(18)는, 브레이크 중심선 위에서의 왕복 변위에 의해,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대하여 접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동 롤러(18)는, 회전되는 구동 쉬브(7)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접촉하면서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제동 롤러(18)는,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구동 쉬브(7)의 외주부와 경사부(17) 와의 사이에 맞물려 들어가게 되어 있다.
제동 롤러(18)에는, 구동 쉬브(7)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연결체(19)가 접속되고 있다. 또, 브레이크 지지 부재(15)의 하부에는, 제동 롤러(18)가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연결체(19)를 변위시키는 브레이크 구동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구동 장치(20)는, 연결체(19)에 접속되고, 중심선에 따라서 왕복 변위 가능한 플런져(plunger)(21)와, 제동 롤러(18)가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접하는 방향으로 플런져(21)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22)와, 제동 롤러(18)가 구동 쉬브(7)의 외주부로부터 개리(開離)되는 방향으로 가압 스프링(22)의 가압에 반(返)하여 플런져(21)를 변위시키기 위한 전자 마그넷(23)을 가지고 있다.
연결체(19)는, 그리퍼 메탈(16)을 피하여 제동 롤러(18) 및 플런져(2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동 롤러(18)는, 연결체(19)의 일단부에 핀(24)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제동 롤러(18)와 핀(24)과의 사이에는, 일정한 프릭션(friction)(마찰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플런져(21)는, 연결체(19)의 타단부에 핀(25)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연결체(19)는, 제동 롤러(18)의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핀(25)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즉, 연결체(19)는, 제동 롤러(18)가 브레이크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도록 회동되게 되어 있다. 또, 연결체(19)의 중간부에는, 연결체(19)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2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퍼 메탈(16)과 브레이크 구동 장치(20)와의 사이에는, 제동 롤러(18)가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제동 롤러(18)의 변위에 반하도록 연결체(19)를 가압하는 연결체 위치 복귀 장치(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연결체 위치 복귀 장치(27)는, 브레이크 중심선 위로 향하여 연결체(19)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연결체 위치 복귀 장치(27)는, 브레이크 지지 부재(15)에 고정된 고정 부재(28)와, 연결체(19)의 핀(25)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고정 부 재(28)에 대하여 변위되는 가동 부재(29)와, 연결체(19)가 브레이크 중심선 위로 변위되도록 가동 부재(29)를 가압하는 가압부인 한 쌍의 복귀용 스프링(30, 31)을 가지고 있다.
고정 부재(28)는, 고정판(32)과, 고정판(32)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고정측 멈춤부(33, 34)를 가지고 있다. 연결체(19)는, 각 고정측 멈춤부(33, 3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부재(29)는, 각 고정측 멈춤부(33, 34)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해진 슬라이드 봉(棒)(35)과, 슬라이드 봉(35)에 설치되고, 긴 구멍(26)에 통해진 안내 핀(36)과, 슬라이드 봉(35) 에 설치되고, 각 고정측 멈춤부(33, 34)에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가동측 멈춤부(37, 38)를 가지고 있다.
연결체(19)가 핀(25)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연결체(19)가 브레이크 중심선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에는, 통과 핀(36)의 연결체(19)에 대한 걸어 맞춤에 의해, 가동 부재(29)가 연결체(19)와 함께 고정 부재(28)에 대하여 변위된다. 또, 연결체(19)가 브레이크 중심선에 따라서 변위되었을 때에는, 통과 핀(36)이 긴 구멍(26) 내를 슬라이드되는 것에 의해, 가동 부재(29)의 고정 부재(28)에 대한 위치가 유지된 채로, 연결체(19)가 고정 부재(28)에 대하여 변위된다.
복귀용 스프링 30은, 고정측 멈춤부 33과 가동측 멈춤부 37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복귀용 스프링 31은, 고정측 멈춤부 34와 가동측 멈춤부 38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복귀용 스프링 30 및 복귀용 스프링 31은, 연결체(19)가 브레 이크 중심선 위에 있을 때 균형이 잡히도록 가동 부재(29)를 가압하고 있다. 가동 부재(29)의 위치는, 복귀용 스프링(30, 31)의 가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연결체(19)의 위치가 브레이크 중심선으로부터 벗어났을 때에는, 복귀용 스프링 30 및 복귀용 스프링 31의 어느 한쪽이 줄어들고, 복귀용 스프링 30 및 복귀용 스프링 31의 다른 한쪽이 성장한다. 이것에 의해, 연결체(19)는, 브레이크 중심선을 향하여 가압된다.
또한, 비상 브레이크 장치(13)는, 그리퍼 메탈(16), 제동 롤러(18), 연결체(19), 브레이크 구동 장치(20) 및 연결체 위치 복귀 장치(27)를 가지고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비상 브레이크 장치(13) 및 권상기(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9)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는 예를 들면 엔코더(encoder) 등의 검출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 센서는, 제어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검출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비상 브레이크 장치(13) 및 권상기(4)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전자 마그넷(23)에 통전되고, 제동 롤러(18)는 구동 쉬브(7)의 외주부로부터 개리되어 있다(도 2의 실선).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7)에 대한 제동은, 해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9)의 속도가 극단적으로 커지거나, 혹은 각 층에 통상 정지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9)이 구동 쉬브(7)로의 제동력의 저하 등에 의 해 이동되거나 하면,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제어장치에 의해 검출된다. 이 후,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전자 마그넷(23)으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제동 롤러(18)는,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 스프링(22)의 가압에 의해 변위된다. 이 때, 연결체(19)는, 가동 부재(29)에 대하여 슬라이드된다. 이 후, 제동 롤러(18)는,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접한다.
제동 롤러(18)가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접한 상태로 구동 쉬브(7)가 회전되면, 제동 롤러(18)는, 핀(24) 및 구동 쉬브(7)와의 마찰력에 의해 전동(轉動)되면서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때, 연결체(19)는, 핀(25)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또, 가동 부재(29)는, 통과 핀(36)의 연결체(19)에 대한 걸어 맞춤에 의해, 연결체(19)와 함께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복귀용 스프링(30, 31) 의 한쪽이 줄어들고, 다른 한쪽이 늘어난다.
구동 쉬브(7)의 회전이 소정량을 넘으면, 제동 롤러(18)는, 구동 쉬브(7)의 외주부와 경사부(17)와의 사이에 맞물려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7)의 회전이 제동되고, 엘리베이터 칸(9)의 이동이 정지된다.
복귀시에는, 전자 마그넷(23)에 통전(通電)한 후, 구동 쉬브(7)를 역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동 롤러(18)의 구동 쉬브(7)와 경사부(17)와의 사이로의 맞물려 들어감이 어긋나서, 제동 롤러(18)는 구동 쉬브(7)의 외주부로부터 개리된다. 이 때, 제동 롤러(7) 및 연결체(19)는, 복귀용 스프링(30, 31)의 가압에 의해, 브레이크 중심선 위로 변위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13)에서는, 제동 롤러(18)를 구 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시켜서, 그리퍼 메탈(16)과 구동 쉬브(7)와의 사이에 제동 롤러(18)를 맞물려 들어가게 하는 것에 의해, 구동 쉬브(7)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구동 쉬브(7)의 회전력을 제동 롤러(18)의 구동 쉬브(7) 에 대한 가압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브레이크 장치(13)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비상 브레이크 장치(13)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 코스트도 저감(低減)할 수 있다. 또, 구동 쉬브(7)의 회전을 보다 확실히 제동할 수도 있다.
또, 연결체(19)에는, 제동 롤러(18)가 일정한 프릭션(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동 쉬브(7)와 그리퍼 메탈(16)과의 사이로의 제동 롤러(18)의 맞물려 들어감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 연결체 위치 복귀 장치(27)는, 제동 롤러(18)가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제동 롤러(18)의 변위에 반하도록 연결체(19)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구동 쉬브(7)와 그리퍼 메탈(16)과의 사이로의 제동 롤러(18)의 맞물려 들어감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연결체(19)를 가압할 수 있어, 비상 브레이크 장치(13)의 작동 복귀를 용이하게 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1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연결체(19)의 구동 쉬브(7) 측의 단부에는, 제동체인 쐐기(41)가 핀(24)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쐐기(41)는, 구동 쉬브(7)에 대향 하는 제동면(42)을 가지고 있다. 제동면(42)은,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쐐기(41)는,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대하여 접리 가능하고, 또한 구동 쉬브(7)의 회전에 의해,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접촉되면서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체(19)는,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의 쐐기(41)의 변위에 의해 핀(25)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연결체(19)는, 핀(25)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브레이크 중심선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브레이크 지지 부재(15)의 상부에는, 구동 쉬브(7)와 간격을 두어 배치된 그리퍼 메탈(43)이 장착되어 있다. 쐐기(41)는, 그리퍼 메탈(43)과 구동 쉬브(7)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퍼 메탈(43)은, 브레이크 지지 부재(15)에 고정된 그리퍼 메탈 고정부(44)와, 그리퍼 메탈 고정부(44)와 쐐기(41)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퍼 메탈 고정부(44)에 대하여 브레이크 중심선에 따른 방향으로 왕복 변위 가능한 받이부인 누름판(45)과, 누름판(45)과 그리퍼 메탈 고정부(44)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누름판(45)이 그리퍼 메탈 고정부(44)에 대한 변위에 의해 신축되는 가압부인 복수의 누름 스프링(46)과, 쐐기(41)의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의 변위량을 규제하는 한 쌍의 스토퍼(47)를 가지고 있다.
누름판(45)은,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대하여 경사진 한 쌍의 경사부(48)를 가지고 있다. 각 경사부(48)는, 브레이크 중심선에 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쐐기(41)는, 각 경사부(48)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누름판(45)은, 쐐기(41)가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접촉하면서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쐐기(41)에 밀려 구동 쉬브(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즉, 누름판(45)은, 쐐기(41)가 브레이크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쐐기(41)에 의해 경사부(48)가 슬라이드되면서 밀려, 그리퍼 메탈 고정부(4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각 누름 스프링(46)은, 누름판(45)의 구동 쉬브(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그리퍼 메탈 고정부(4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줄어들어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즉, 각 누름 스프링(46)은, 누름판(45)의 구동 쉬브(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그리퍼 메탈 고정부(4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반하여, 쐐기(41)를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누름판(45)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쐐기(41)가 브레이크 중심선 위에 있을 때는, 각 누름 스프링(46)은, 누름판(45)에 대한 구동 쉬브(7) 측으로의 가압력을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구동 쉬브(7)의 회전은, 쐐기(41)의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대한 가압에 의해 제동된다.
각 스토퍼(47)는, 누름판(45)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스토퍼(47)는, 브레이크 중심선에 관하여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스토ㅍ퍼(47)는, 그리퍼 메탈 고정부(44)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쐐기(41)의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에 대한 변위량은, 쐐기(41)가 각 스토퍼(47)에 맞닿는 것에 의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전자 마그넷(23)에 통 전되고, 쐐기(41)는 구동 쉬브(7)의 외주부로부터 개리되어 있다(도 5의 실선).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7)에 대한 제동은, 해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제어장치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에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전자 마그넷(23)으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쐐기(41)는,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 스프링(22)의 가압에 의해 변위된다. 이 때, 가동 부재(29)의 위치가 유지된 채로, 연결체(19)가 가동 부재(29)에 대하여 슬라이드된다. 이 후, 쐐기(41)의 제동면(42)이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접한다.
쐐기(41)가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접한 상태로 구동 쉬브(7)가 회전되면, 쐐기(41)는, 구동 쉬브(7)의 외주부와 제동면(42)과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 쉬브(7)의 외주부와 함께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때, 연결체(19)는, 핀(25)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또, 가동 부재(29)는, 통과 핀(36)의 연결체(19)에 대한 걸어 맞춤에 의해, 연결체(19)와 함께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복귀용 스프링(30, 31)의 한쪽을 줄어들고, 다른 한쪽이 늘어난다.
쐐기(41)가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되면, 누름판(45)은, 쐐기(41)에 의해 경사부(48)를 슬라이드되면서 밀려 구동 쉬브(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누름 스프링(46)이 줄어들고, 누름판(45)은, 구동 쉬브(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 누름 스프링(46)에 의해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7)와 누름판(45)과의 사이에서 쐐기(41)가 구동 쉬브(7)의 외주부로 가압된다.
쐐기(41)의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의 변위량이 소정량에 이르면, 쐐 기(41)는 스토퍼(47)에 맞닿고, 쐐기(41)가 구동 쉬브(7)와 그리퍼 메탈(43)과의 사이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 쉬브(7)의 회전이 제동되어, 엘리베이터 칸(9)의 이동이 정지된다.
복귀시에는, 전자 마그넷(23)에 통전한 후, 구동 쉬브(7)를 역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쐐기(41)는, 브레이크 중심선 위로 변위되면서, 구동 쉬브(7)의 외주부로부터 개리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13)에서는, 쐐기(41)가 구동 쉬브(7)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누름판(45)이 쐐기(41)에 의해서 밀려 변위되고, 누름판(45)의 변위에 반하여 쐐기(41)를 구동 쉬브(7)의 외주부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누름 스프링(46)이 누름판(45)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구동 쉬브(7)의 회전력을 쐐기(41)의 구동 쉬브(7)에 대한 가압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브레이크 장치(13)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비상 브레이크 장치(13)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 코스트도 저감할 수 있다. 또, 구동 쉬브(7)의 회전을 보다 확실히 제동할 수도 있다. 또한, 쐐기(41)는, 누름 스프링(46)에 의해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구동 쉬브(7)의 회전속도가 큰 경우에 있어서도, 극단적으로 큰 제동력을 구동 쉬브(7)에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9)으로의 충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연결체(19)에는, 쐐기(4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체(19)가 브레이크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구동 쉬브(7)의 외주부에 대한 쐐기(41)의 접촉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쐐기(41)의 구동 쉬브(7)에 대한 제동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쉬브를 보다 확실히 제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5)

  1. 회전 가능한 쉬브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연결체,
    상기 연결체에 설치되고,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대하여 접리(接離) 가능하며, 또한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쉬브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제동체,
    상기 제동체가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체를 변위시키는 브레이크 구동 장치, 및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제동체가 상기 쉬브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상기 쉬브의 외주부와 상기 경사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동체가 맞물려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그리퍼 메탈
    을 구비하고,
    상기 제동체가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접촉하고, 상기 쉬브의 외주부와 상기 경사부와의 사이에 맞물려 들어가는 것에 의해, 상기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체는, 상기 연결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동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3. 회전 가능한 쉬브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연결체,
    상기 연결체에 설치되고,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대하여 접리 가능하며, 또한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쉬브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제동체,
    상기 제동체가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체를 변위시키는 브레이크 구동 장치, 및
    상기 제동체가 상기 쉬브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상기 제동체에 밀려 상기 쉬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받이부와, 상기 받이부의 상기 쉬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반(返)하여,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상기 제동체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받이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가지는 그리퍼 메탈
    을 구비하고,
    상기 제동체가 상기 받이부에 의해 상기 쉬브의 외주부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체는, 상기 연결체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체가 상기 쉬브의 회전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상기 제동체의 변위에 반하도록 상기 연결체를 가압하는 연결체 위치 복귀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KR1020067018138A 2006-09-06 2004-10-05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KR100844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8138A KR100844633B1 (ko) 2006-09-06 2004-10-05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8138A KR100844633B1 (ko) 2006-09-06 2004-10-05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287A true KR20070032287A (ko) 2007-03-21
KR100844633B1 KR100844633B1 (ko) 2008-07-07

Family

ID=4163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138A KR100844633B1 (ko) 2006-09-06 2004-10-05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6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2053485A1 (ja) * 2000-12-28 2004-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ブレーキ装置
JP4987213B2 (ja) * 2001-06-29 2012-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633B1 (ko) 2008-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12455B (zh) 紧急停止装置及电梯
US8006806B2 (en) Emergency brake of elevator
US7080717B2 (en) Emergency brake apparatus of elevator
JP7204448B2 (ja)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US7753176B2 (en) Emergency stop system of elevator
JP4987213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ブレーキ装置
US6758310B2 (en) Safety brake and method for unlocking a safety brake
KR101033378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1033343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1124931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JP7157718B2 (ja)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CN109795930B (zh) 紧急停止装置以及电梯
JP6854974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安全システム
CN111348518B (zh) 电梯安全促动器系统
KR100844633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JP7319878B2 (ja) エレベーター及び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WO2022249793A1 (ja) 非常止め装置、エレベーター及び非常止め装置の復帰方法
KR10088487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23152979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作動装置
CN114364627B (zh) 施工用升降机
CN114426236B (zh) 紧急停止装置及电梯
JP2005343648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KR100777513B1 (ko)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