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223A -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모드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모드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223A
KR20070032223A KR1020060088126A KR20060088126A KR20070032223A KR 20070032223 A KR20070032223 A KR 20070032223A KR 1020060088126 A KR1020060088126 A KR 1020060088126A KR 20060088126 A KR20060088126 A KR 20060088126A KR 20070032223 A KR20070032223 A KR 20070032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data
fil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6655B1 (ko
Inventor
도요카즈 아이자와
다츠히코 이케하타
시로 나가오카
다츠로 아베
구니아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KR102006008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655B1/ko
Publication of KR2007003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에 있어서, 사용자는 동화상 녹화 시에, 동화상 파일을 분할 형식으로 또는 하나의 파일로서 저장할 것인지를, REC 버튼(42)의 기능을 변경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하나의 동화상 파일이 분할 형식으로 저장된 경우에, 재생될 동화상을 용이하게 검색하여 대상 챕터로부터 또는 분할된 서브 파일로부터 동화상이 신속하게 재생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모드 변경 방법{DIGITAL VIDEO CAMERA AND MODE CHANGING METHOD}
도 1은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개략 블록도.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카메라의 조작 장치와 표시 장치(모니터)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카메라에서 작성된 화상 파일의 데이터(파일)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카메라의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재생 대기 화면).
도 5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카메라의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REC 일시정지 버튼의 기능을 할당하는 MENU 화면).
도 6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카메라의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REC 일시정지 버튼의 기능에 대한 "비설정(리셋)" 상태 화면).
도 7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카메라의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REC 일시정지 버튼의 기능에 대한 "설정" 상태 화면).
도 8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카메라의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하 는 개략도["REC 일시정지" 모드의 "비설정(리셋)" 상태 화면, REC 상태 화면].
도 9는 도 2a와 도 2b 도시한 카메라의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REC 일시정지" 모드의 "설정" 상태 화면, REC 상태 화면).
도 10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카메라의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REC 일시정지" 모드의 "설정" 상태 화면, REC 일시정지 상태 화면).
도 11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카메라의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REC 일시정지" 모드의 "설정" 상태 화면, REC 정지(파일 닫힘) 상태 화면].
도 12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카메라의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REC 일시정지" 모드의 "설정" 상태로 녹화된 화상 데이터의 챕터 재생 입력 화면).
도 13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카메라의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REC 일시정지" 모드의 "설정" 상태로 녹화된 화상 데이터의 챕터의 재생, 챕터 선택 화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렌즈
21 : 표시 장치
41 : 조작 장치
42 : REC 버튼
43 : MENU 버튼
44 : 조그 다이얼
45 : OK 버튼
46 : 줌 키
103 : 메모리 컨트롤러
104 : 화상 표시 처리기
105 : 화상 압축/신장 처리기
106 : 메인 메모리(SDRAM)
107 : 버퍼 메모리
111 : 메인 컨트롤러(CPU)
121 : 기록 매체 인터페이스
122 :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123 : 메모리 카드 슬롯
M : 메모리 카드(반도체 메모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휴대용 녹화 장치, 특히 대용량의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모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카드(반도체 메모리)나, 기록 용량이 확장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 상에 동화상을 기록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테이프형 기록 매체 상에 동화상을 기록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비교해서,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 상에 동화상을 기록하는 방식의 비디오 카메라의 주요 특징은 녹화(REC) 버튼의 온/오프시마다 하나의 파일이 작성된다는 점이다.
이 특징은 재생용 파일에 액세스할 경우에 대상 화상으로의 고속의 직접 액세스에 유리하다.
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364325호 공보에는 광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 상에 화상을 녹화하는 방식의 녹화/재생 장치에 있어서, 녹화가 일시정지된 다음 녹화가 재개된 위치를 챕터(chapter)의 경계로 인식하는 기록 재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는 녹화(REC) 버튼이 턴온/턴오프될 때마다 하나의 파일이 작성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 내에 촬영한 하나의 동화상일지라도 녹화(REC) 버튼을 턴온/턴오프하는 횟수와 동일한 수의 파일로 구분되게 된다.
이러한 점은 예컨대 일정 기간에 촬영한 동화상을 하나의 파일로서 관리하기에 부적합한 면이다.
이러한 문제는 상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364325호에서도 고려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녹화 장치, 특히 대용량의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일정 기간 내에 촬영한 동화상을 하나의 파일로서 기록하는 방법과 이 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르면,
대상 동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취득하고, 그 데이터를 동화상의 전기 신호로 변환한 다음 그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장치와;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출력된 동화상의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처리 회로와;
상기 화상 처리 회로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파일 형식으로 유지하는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인 데이터 기록 매체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야 하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단일 화상 파일로서 기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신호 입력 장치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야 하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단일 화상 파일 내에 선택적으로 주어진 단락 정보와 함께 기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신호 입력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한다.
명세서 안에 포함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전술한 개괄적 설명 및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을 지원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 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 예컨대 메모리 카드(반도체 메모리) 또는 대기록 용량의 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갖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디지털 카메라(1)에 있어서, 렌즈(11)를 통해 취득한 피사체상, 즉 동화상(또는 정지 화상)은 예컨대 CCD 센서인 촬상 소자(31)의 수광면 상에 결상되고, 빛의 명암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촬상 소자[이하, CCD 센서라고 한다(31)]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피사체상은 아날로그-디지털(A/D) 컨버터(101)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다음, 신호 처리기(102)에 입력된다.
신호 처리기(102)는 A/D 컨버터(101)에서 피사체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얻은 촬상 데이터에 대해, 예컨대 감마 보정, 색신호 분리 또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을 실시한다.
신호 처리기(102)로부터 출력된 촬상 데이터는 메모리 컨트롤러(103)를 경유하여 화상 표시 처리기(104)에 공급된다. 화상 표시 처리기(104)는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지만, 예컨대 비디오 인터페이스, 온스크린 표시(OSD) 처리기 및 비디오 디코더를 포함하고, 표시 출력을 위한 화상 신호, 즉 비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화상 표시 처리기(104)의 출력은, 예컨대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는 액정 패널 구동 회로를 통해 표시 장치(21), 즉 LCD 패널에 표시된다. 또한, 화상 표시 처리기의 출력은 외부 장치용 비디오 출력부(단자)에 출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기(102)로부터의 촬상 데이터는 기록시에는, [메모리 컨트롤 러(103)로부터]화상 압축/신장 처리기(인코더/디코더)(105)에 의해 압축된 다음, 메인 컨트롤러(CPU)(111)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기록 장치/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에 기록된다. 또, 화상 압축/신장 처리기(105)에 있어서, 정지 화상은 예컨대 JPEG 규격 등의 잘 알려진 압축 방식으로 압축되고, 동화상(비정지 화상)은 MPEG 규격으로 압축된다.
메인 컨트롤러(CPU)(111)는 기록 매체 컨트롤러(121)를 통해, 기록시 압축율(화질)에 따라, 약 10,000개의 정지 화상 또는 최대 몇 시간의 동화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대기록 용량의 하드 디스크(도시 생략)를 내장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이하, HDD라고 함)에 접속된다.
메인 컨트롤러(CPU)(111)는 기록 매체 컨트롤러(121)를 통해,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인 카드 매체(M)와 화상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예컨대 메모리 카드 슬롯(123)과 같은 착탈식(해체 가능) 기록 매체에 접속되어 있다. 카드 매체(M)로서는, 예컨대 SD 카드(등록 상표)나 mini-SD(등록 상표)로 불리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유사한 규격/기록 방식의 다양한 매체가 이용 가능하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CPU)(111)는 CCD(3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 음성 및 소리(비음성)를 디지털 신호로서 처리 가능한 오디오 입력/출력 처리기(131)에도 접속된다. 또, 그 촬상된 화상과 동시에(또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지만 편집에 의해 나중에 부가되는)취득된 음성/소리(비음성)는 예컨대 WAV, AC-3 또는 선형 PCM으로 대표되는 주지의 기록 방식에 의해 화상 데이터와 관련되어 소정의 기록 영역에 유지된다.
화상의 재생시, 즉 HDD(122)에 내장되어 있는 하드 디스크 또는 카드 매체(M)에 유지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 HDD(122) 또는 카드 매체(M)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압축/신장 처리기(105)에서 신장된 다음, 메모리 컨트롤러(103)를 통해 화상 표시 처리기(104)에 공급되어 표시 장치(21)에 표시된다.
또, HDD(122) 또는 카드 매체(M)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몇몇 축소된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검색성(조작성)을 향상시킨 주지의 섬네일 표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녹화와 재생 기능을 조합한 기능으로서, 주지의 편집 및 재생 순서의 변경도 가능하다.
섬네일 화상의 작성시, 편집 모드에서의 편집시, 그리고 화상 파일의 순서의 변경시에,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지만, 메모리 컨트롤러(103)에 접속된 메인 메모리(메모리 회로, 예컨대 SDRAM)(106) 또는 버퍼(작업) 메모리(107)와 메모리 컨트롤러(103)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어 예컨대 축소 화상이 작성된다.
또, 버퍼 메모리(107)는 1화면분의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버퍼 메모리(107)는, 예컨대 HDD(122)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카드 매체(메모리 카드)(M)에 대하여 복사 또는 전송할 때의 전송 속도의 정합 등에도 이용된다. 또한, 버퍼 메모리(107)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즉 작성된 축소 화상 또는 편집중인 화상 등은 화상 표시 처리기(104)를 통해 표시 장치(21)에 표시되기 때문에, 하나씩 모니터될 수 있다(화상 편집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1)는 편집 또는 촬영시에, 오디오 입력/출력 처리기(131)에 접속된 마이크(132) 또는 오디오 입력단(Audio In)을 통해, 소리/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소리/오디오 데이터는 촬영된 화상 데이터, 즉 화상 파일과 관련된 다음, HDD(122) 또는 카드 매체(M)의 영역에 기록된다.
화상 파일과 관련되어 기록된 소리/오디오 데이터는 화상(동화상 및 정지 화상)의 재생 시에, 촬상된 화상 데이터에 관련되어 판독된 다음, 소리/오디오 출력으로서, 스피커(133) 또는 오디오 출력단(Audio Out)에 출력된다. 물론, 스피커(133)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오디오 데이터를 턴오프할 수도 있다(출력 레벨을 "제로" 설정).
또, 카메라(1)의 외관이 도 2a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표시 장치(21) 외에, 카메라(1)의 메인 본체에는 동작 모드의 선택, 재생/편집시의 화상 및 모드의 선택, 및 기록(녹화)의 개시(온)/정지(오프) 등으로 대표되는 제어 신호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111)에 지시(입력)할 수 있는 조작 장치(41)가 설치된다
조작 장치(41)에는 녹화의 개시/정지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REC(녹화) 버튼(42), 편집시 모드의 선택으로 이행하는데 이용되는 MENU(메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MENU 버튼(43), 편집시의 화상의 선택이나 재생/편집을 위해 화상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조그 다이얼(44), 조그 다이얼(44)에 의해 선택적으로 규정된 모드 또는 표시 변경을 설정하 기 위한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OK(설정) 버튼(45), 및 렌즈(11)를 통해 취득한 화상의 배율을 연속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줌 키(46)가 설치된다.
조그 다이얼(44)과 OK 버튼(45)에 의해, 많은 화상/타이틀의 선택이나 다양한 모드의 설정이 원활하게 선택될 수 있다. (많은 화상/타이틀을 검색하여 특정의 것을 찾을 경우, 조그 다이얼(44) 등의 조작성이 높은 스위치가 유용하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조그 다이얼(44)로부터 입력된 내용, 또는 카메라(l)의 동작 상태, 또는 MENU 버튼(43)에 의한 MENU 화면의 표시는 메인 컨트롤러 또는 CPU(111), 메모리 회로(106), 및 화상 표시 처리기(104)(그리고 도시하지 않는 비디오 인터페이스와 OSD 처리기)를 통해 합성된 다음 LCD(표시 장치)(21)에 표시된다. CPU(111)는 이 정보[OK 버튼(45) 온]에 기초로 하여, 예컨대 조그 다이얼(44)에 의해 선택된 화상, 타이틀 또는 모드를 결정하여 재생 또는 모드 설정을 실행한다.
또한, 대부분, OK 버튼(45)에 의해 CPU(111)에 입력되는 신호는 버튼이 눌러짐을 나타내는 정보(온 신호)이다. 그러나, 그 횟수(통상은 "1") 및 그 시각에서의 동작 상태에 기초한 CPU(111)의 판정에 의해, 예컨대 도시하지 않는 메인 스위치에 의해 메인 전원이 턴온되는 대기 상태에서, OK 버튼(45)을 턴온함으로써 녹화(동화상의 촬영)가 시작되고, OK 버튼(45)을 다시 턴온함으로써 녹화(촬영)가 중지된다.
또한, OK 버튼(45)은 예컨대 표시 장치(21)에 MENU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그 다이얼(44)의 조작에 의해 반전 표시되는 아이콘 또는 표시바 등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의해 규정되는 동작 또는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결정 신호를 입력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조그 다이얼(44)은 다이얼의 회전각과 회전 속도에 관한 정보를 CPU(111)에 제공한다. 이 정보에 의해 CPU(111)는 다음 화상 또는 GUI를 표시하는 속도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OK 버튼(45)은 예컨대 조그 다이얼(44)의 회전 중심에서 동축(동심)으로 설치된다. 또한, OK 버튼(45)은 (사용자에 의해)실질적으로 중심(축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눌러지는 경우)에 전술한 온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버튼의 원주를 4등분한 4방향(일반적으로 "상/하/좌/우"라고 부름)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OK 버튼(45)은 예컨대 표시 장치(2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힘이 가해진 방향(사용자가 요구하는 4방향 중 한 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제어 커맨드(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REC 버튼(42) 및 OK 버튼(45)은 CPU(111)에 각각의 버튼의 누름에 관한 정보(버튼이 눌러질 때마다 온 신호를)를 부여한다. 또, REC 버튼(42) 및 OK 버튼(45)의 기능은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순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런데, OK 버튼(45)은 턴온될 때마다 약간의 클릭(조작) 잡음이 발생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조그 다이얼(44)과 동심으로, 또한 그 중심에 위치되는 OK 버튼(45)의 조작성을 높이는데 유용하다. 이것에 대하여, REC 버튼(42)에는 조작음(클릭음)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가 부여된다.
이 때문에, 하나의 동화상 파일 내에 시간적으로 비연속으로 구획된 단락(섹 터 또는 챕터라고 부르기도 함)을 포함하기 위해 PAUSE(일시정지) 모드로 동화상을 촬영하는 경우는 REC 버튼(42)에 PAUSE/REC(리셋)용 제어 신호의 입력을 할당하고, OK 버튼(45)에 FILE CLOSE(하나의 파일로서의 녹화 종료)용 제어 신호의 입력을 할당함으로써 일시정지시에 버튼의 조작음(클릭음)이 녹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일시정지 모드는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그 데이터(파일)의 구조에 있어서 공통적이지만,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았다(발명자가 선례를 확인하지 못했다).
다음에, 일시정지 모드를 설명하기로 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녹화중에 REC(녹화) 버튼이 턴온될 때 대부분의 경우 일시정지 모드가 설정된다. REC 버튼이 녹화중에 다시 턴온되는 경우, 이전 데이터가 기록된 (테이프 상의)위치로부터 이어서 화상이 기록된다(녹화가 계속된다).
이것에 대하여, 하드 디스크나 카드 메모리 등의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녹화중에 REC(녹화) 버튼이 턴온되는 경우, 파일은 통상 닫히고(녹화 종료), 하나의 파일이 작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REC 버튼(42)에는 일시정지 모드를 설정하는 기능이 부여되고, 일시정지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녹화가 일시 정지될 수 있고(파일이 닫히지 않음), REC 버튼(42)이 다시 턴온되는 경우, 이전에 기록된 녹화 데이터에 이어서 재생 가능하게 동화상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기능 을 REC 일시정지 모드라고 부른다.
물론, 파일이 닫혀지지 않는 일시정지 모드시의 녹화(직전에 기록된 녹화 데이터에 이어서 재생 가능하게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는 선택적이다. 하드 디스크 장치(HDD)(122) 내의 하드 디스크 또는 카드 메모리에 동화상을 기록하는데 현재 이용되는 다양한 방법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REC 일시정지 모드가 일시정지 모드시에 REC 버튼(42)을 턴온함으로써 실행되면, 하나의 동화상 파일로서 관리하기 위해서, 시간적으로 비연속적이 되는 순간에 제어 신호, 플래그 또는 시각 정보가 삽입되거나, 파일 내에서(데이터 관리상 필요한)서브(소) 파일이 규정된다. 이 때문에, 제어 신호, 플래그, 시각 정보, 또는 서브(소) 파일의 개시 위치(녹화 개시 위치의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단락(섹터 또는 챕터라고도 부름)을 기록한다. 이 단락(이하 챕터라고 부름)을 이용함으로써, 직접 액세스에 의한 재생(모든 미리 정해진 시각에서 매 챕터의 선두 데이터 또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양 단위만큼 재생)이 가능하다.
도 3은 전술한 REC 일시정지 모드를 이용하여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의 배열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REC 일시정지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시간적으로 비연속적인 복수의 단락(챕터)이 하나 파일에 형성된다. 또, 도 3에 있어서, REC 일시정지 1 내지 REC 일시정지 n은 REC 일시정지 모드시에 REC 버튼(42)이 (한 번)턴온되고 기록이 일시적으로 중단된 상태를 나타내고, REC 버튼(42)이 다시 턴온되는 경우, 직전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연속으로 재생 가능하게 화상 데이 터가 기록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 있어서, 시간축 상에서 가장 최근 단부(우측 단부)에서 REC 정지(STOP)는 일련의 녹화된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서 저장함으로써 파일을 닫히는 것(녹화 종료)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이 형성되기 때문에,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적 챕터(단락)가 특정되고, 기록된 화상이 그 위치(챕터/단락)로부터 재생될 수 있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REC 일시 정지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비디오 카메라(1)의 도시하지 않는 메인 전원 스위치가 턴온되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 모드 스위치가 "플레이"로 설정되는 경우 재생 대기 상태 설정을 나타내는, 표시 장치(21)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재생 대기 상태에서 MENU 버튼(43)이 턴온되어 MENU 화면이 표시 장치(21)에서 표시되는 것과, REC 일시정지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조그 다이얼(44)을 조작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그 다이얼(44)이 MENU 화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 커서(21-5)가 REC 일시정지로 이동되어[실제로는 조그 다이얼(44)이 회전하는 경우, 표시 항목이 수직으로 이동하며, 반전 표시된 항목은 커서(21-5)에 해당한다], OK 버튼(45)이 (사용자에 의해)턴온되는 경우 REC 일시정지 모드가 설정/리셋(비설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표시예는 REC 일시정지 모드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팩토리 디폴트 설정시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나중에 리셋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REC 일시정지 모드의 설정/리셋은 REC 일시정 지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REC 버튼(42)을 일시정지 버튼으로서 취급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설정 입력(버튼의 기능 변경)과 같이 기능한다.
도 5에 도시하는 MENU 화면 상에서 REC 일시정지가 선택되는 경우에, 표시 장치(21)의 표시예에서 표시 영역(21-3)에 오프가 표시된다. 이 경우, 반전된 커서 표시(21-5)와 표시 영역(21-3) 사이에 위치하는 원호형의 다이얼 링 표시(21-6)에는 온 제어 커맨드를 입력하는데 사용된 REC 일시정지 ON 아이콘(21-7)과 오프 제어 커맨드를 입력하는데 사용된 REC 일시정지 OFF 아이콘(21-8)이 표시된다. [도 6은 오프 아이콘(21-8)이 눌러지는 상태를 나타낸다(비설정이 선택된다).] 또, REC 일시정지가 설정되지 않는 녹화시의 표시 화면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에 OK 버튼(45)을 누른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아이콘(마크 또는 화상), 즉 정지(STOP) 마크가 미리 결정된 위치(도 8에서는 좌측 아래)(21-1)에 표시된다. 이 때, 현재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도 8에서는 중앙 윗부분)(21-2)에는 녹화중임을 나타내는 "○··· 적색"이 표시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OK 버튼(45)이 턴온되는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EC 일시정지 ON 아이콘(21-7)이 눌러진 상태[REC 일시정지 OFF 아이콘(21-8)이 리셋된 상태]가 표시되고, REC 버튼(42)에는 메인 컨트롤러(111)(도 1 참조)의 제어에 의해 REC 일시정지 버튼의 기능이 설정된다. 또한, 표시 장치(21)의 표시 영역(21-3)의 내용은 온으로 변경된다. REC 일시정지가 설정된 경우의 녹화시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8에서 다음에 OK 버튼(45)이 눌러진 경우(턴온)의 동작을 나타내는 아이콘(화상/마크)이 표시되고 있 는 위치(21-1)에는, 다음에 OK 버튼(45)을 누를 경우에 이루어지는 동작을 도시하는 아이콘(마크)으로서 일시정지 마크가 표시된다. 이 때, 현재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21-2)에는 녹화중임을 나타내는 "○ ... 적색"이 표시된다.
도 10은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REC 일시정지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녹화시에, [여기서는 일시정지(PAUSE) 버튼으로서 기능하는]REC 버튼(42)이 턴온되는 경우에 표시 장치(21)에 표시되는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EC 일시정지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녹화 동작시에 REC 버튼(42)이 턴온되는 경우, 현재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21-2)에는 일시정지를 나타내는 마크, 예컨대 가늘고 긴 2개의 선 ... 녹색 또는 황색이 표시된다. 또한, 다음에 OK 버튼(45)이 눌러질 경우(턴온)에 이루어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아이콘(화상/마크)을 표시하는 영역(21-1)에는 REC 마크가 표시된다. 또한, REC 일시정지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녹화 동작중인 표시의 특징으로서, 예컨대 표시 영역(21-1)의 우측(중앙 하부)에는, 녹화 정지를 위해 다음에 조작하여야 할 버튼, 즉 OK 버튼(45)을 턴온하여 파일을 닫음으로써 녹화 정지를 나타내는 정지 표시 마크(21-4)가 표시된다. 또, 파일을 닫음으로써 녹화의 정지를 나타내는 표시로는, 예컨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기(WAIT)를 의미하는 표시가 이용된다.
또,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REC 버튼(42)을 일시정지 버튼으로서 취급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설정은 팩토리 디폴트 설정시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리셋되는 경우에는, REC 일시정지 모드와 함께 무효화된다. 그렇기 때문에, REC 일시정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사용자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이것은 종래의 사용 방법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조작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도 12는 도 3에 도시한 데이터(파일) 구조에 의해 기록된 동화상을 재생할 때의 표시 장치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의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모드 스위치가 플레이로 설정되어 재생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대기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줌 키(46)가 조작되는 경우(T에 슬라이딩된 경우), 표시 장치(21)에 표시되어 있는 대기 화면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챕터 표시 프레임(221-A), 챕터 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챕터 번호 표시 영역(221-B), 및 재생 시간(챕터로 구획되는 파일에서의 연속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재생 시간 표시 영역(221-C)을 구비할 것이다. 또한, 줌 키(46)를 이용하는 대신에, 표시 장치(21)에 표시되는 대기 화면(도 4)에서의 우측 상에 있는 화살표(21-11)로 표시되는 조그 다이얼(44)에 의한 선택 및 OK 버튼(45)의 턴온에 의한 입력에 의해서도 챕터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21)의 표시가 챕터 표시로 전환된 경우, 예컨대 도 3에 도시하는 데이터(파일) 구조에 따르면, 챕터 1의 선두 화상 즉 REC 개시 위치(보통, 0:00 초)에서의 화상, 챕터 2의 선두 화상 즉 REC 일시정지 (1)의 위치(도 13에서의 01:56 초)에서의 화상, 챕터 3의 선두 화상 즉 REC 일시정지 (2)의 위치에서의 화상, 챕터 4의 선두 화상 즉 REC 일시정지 (3)의 위치에서의 화상의 각각의 섬네일 화상이 메인 메모리(106)(도 1 참조) 또는 버퍼 메모리(107)(도 1 참조)에 준비되 어 챕터 표시 프레임(221-A)에 챕터 번호의 순서로 표시된다.
예컨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그 다이얼(44)의 조작에 의해 챕터 2의 화상이 선택되어 OK 버튼(45)이 턴온되는 경우, 챕터 2의 선두 화상, 즉 REC 일시정지 (1)의 화상 데이터(01:56 초에서의 동화상)가 재생된다.
물론, 섬네일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에 대한 구성은 선택적이며, 하드 디스크(12) 또는 카드 메모리(M)에 기록된 동화상의 재생 방법으로서 현재 이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따르면, 녹화중에, REC 일시정지 기능에 할당된 버튼을 누르는 경우, 녹화가 정지되고, REC 일시정지 화면이 표시된다(REC 일시정지가 실행된다). 이 상태로는 파일이 아직 닫히지 않기 때문에, 녹화를 재개하는 경우 이전 녹화로부터 이어서 하나의 파일로서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 REC 일시정지 화면 상에는, 녹화가 일시정지임을 알리는 REC 일시정지 마크가 표시된다. 즉, 일시정지를 포함하는 동화상의 기록[하나의 파일내에서, 시간적으로 연속하지 않는 임의수의 단락(섹터 또는 챕터라고 부르기도 함)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하다. 이것은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보고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녹화중 및 REC 일시정지 중에 REC 일시정지 기능에 할당된 버튼을 누르면, 녹화를 정지하고, 파일 닫힘 메시지를 표시하여 동화상 파일을 닫고, 모니터 화면이 표시된다[하나의 파일로서 시간적으로 비연속인 임의수의 서브(소) 파일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한다].
또, REC 일시정지 기능에 할당된 버튼에, 조작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클릭음(조작음)을 발생하는 버튼을 채용한 경우에도, 클릭음(조작음)을 생기지 않는 정음 설계된 버튼을 (사용자 설정에 의해 임의로) REC 일시정지 버튼에 할당함으로써 REC 일시정지 모드에서 클릭음이 녹음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REC 일시정지 기능 그 자체를,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리셋(비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REC 일시정지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종래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또, REC 일시정지 모드에 있어서, REC 일시정지 버튼, 즉 REC 버튼이 턴온되어 REC 일시정지가 실행된 경우에, 시간적으로 비연속적이 되는 순간에 제어 신호, 플래그, 또는 시각 정보를 삽입하거나, 또는 파일에 (데이터 관리상 필요한)서브(소)파일을 작성함으로써, 공통의 장면이 수개의 개별 동화상 파일로 분할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나의 동화상 파일로서 관리할 수 있다. 이것은 파일 정리나 재생시에 즉시 액세스, 또는 리스트 양식 표시에 유익하다.
즉, REC 일시정지 모드에서 REC 일시정지가 실행될 때(전체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위치)마다 단락(섹터 또는 챕터라고 부르기도 함)이 기록되고, 하나의 동화상 파일중에 섬네일 화상을 준비하기 위한 시각(포인트)이 규정되며, 재생 개시 위치로서 임의의 섬네일 화상으로부터 동화상을 재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화상 녹화시에, 동화상 파일을 분할할 것인지 또는 하나의 파일로서 저장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동화상 파일을 정리하는데 유용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동화상 파일을 분할하여 저장한 경우에, 재생할 동화상 파일을 즉시 액세스하여 대상 챕터로부터 신속하게 동화상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는데, 이점은 특히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중요한 것이다.

Claims (7)

  1. 대상 동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취득하여 그 데이터를 동화상의 전기 신호로 변환한 다음 그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장치와;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출력된 동화상의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처리 회로와;
    상기 화상 처리 회로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파일 형식으로 유지하는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인 데이터 기록 매체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단일 화상 파일로서 기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신호 입력 장치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단일 화상 파일 내에 선택적으로 주어진 단락 정보와 함께 기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신호 입력 장치
    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입력 장치는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 상에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신호 입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단일 화상 파일로서 기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게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얻은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표시 장치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 상에 단일 화상 파일로서 유지된 상기 단일 화상 파일 내에 선택적으로 주어진 단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얻은 화상을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출력 화상 제어 장치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화상 제어 장치는 상기 단일 화상 파일 내에 선택적으로 주어진 단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얻은 축소 화상을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입력 장치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축소 화상에 의해, 상기 단일 화상 파일 내에 선택적으로 주어진 단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하는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표시된 축소 화상에 의해, 상기 단일 화상 파일 내에 선택적으로 주어진 단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축소 화상을 선택하여 지시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3 신호 입력 장 치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7. 대상 동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취득하여 그 데이터를 동화상의 전기 신호로 변환한 다음 그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장치와,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출력된 동화상의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처리 회로와, 상기 화상 처리 회로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파일 형식으로 유지하는 비테이프형 기록 매체인 데이터 기록 매체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단일 화상 파일로서 기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신호 입력 장치와,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단일 화상 파일 내에 선택적으로 주어진 단락 정보와 함께 기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신호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의 신호 입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모드 변경이 지시된 시점에서 표시 장치에 모드 변경 접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모드 변경 접수 화면 상에 선택된 모드에 대하여 변경/리셋을 입력하도록 구성된 변경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선택된 모드의 변경이 입력된 시점에서, 데이터 기록 매체 상에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제2 신호 입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1 신호 입력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단일 화상 파일로서 기록하기 위한 신호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변경 방법.
KR1020060088126A 2005-09-16 2006-09-12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모드 변경 방법 KR10080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126A KR100806655B1 (ko) 2005-09-16 2006-09-12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모드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70758 2005-09-16
KR1020060088126A KR100806655B1 (ko) 2005-09-16 2006-09-12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모드 변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223A true KR20070032223A (ko) 2007-03-21
KR100806655B1 KR100806655B1 (ko) 2008-03-03

Family

ID=4162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126A KR100806655B1 (ko) 2005-09-16 2006-09-12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모드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655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7895B1 (en) * 1998-05-28 2005-05-24 Sanyo Electric Co., Ltd. Digital camera
CN100477735C (zh) * 1999-02-08 2009-04-08 三洋电机株式会社 移动图像记录装置与数码照相机
JP2004007435A (ja) * 2002-04-04 2004-01-08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FR2838218B1 (fr) * 2002-04-08 2004-10-08 Eastman Kodak Co Affichage des imagettes d'un support photographique sur un terminal
JP2004304425A (ja) * 2003-03-31 2004-10-28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655B1 (ko) 2008-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9927B2 (en) Digital video camera and mode changing method
US10405047B2 (en) Image pickup device
US67380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 interactive slide show in a digital imaging device
US63171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heterogeneous media objects in a digital imaging device
US66836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multimedia presentation from heterogeneous media objects in a digital imaging device
US8436920B2 (en) Camera apparatus with magnified playback features
US20100260472A1 (en)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238627A1 (en) Camera apparatus capable of switching reduced guide image upon playback of magnified image, and image displaying method
JP2001111963A (ja) 光ディスクを利用したビデオカメラにおける録画再生方法
CN100423550C (zh) 具有在多图像选择屏中播放移动图像的功能的摄像装置
JP4646046B2 (ja) 録画再生装置
JP2006261953A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撮像装置
CN100417194C (zh) 拍摄装置的模式选择开关
KR100806655B1 (ko)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및 모드 변경 방법
JP4743264B2 (ja) 録画再生装置
JP4915978B2 (ja) 動画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097727A (ja) 動画再生装置
JP2005339645A (ja) 記録/再生装置、その記録/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10177778A (ja) モニタ付きカメラ一体型vtr
JP2005020191A (ja) 撮像装置
JP2007215006A (ja) 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