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142A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142A
KR20070032142A KR1020050087071A KR20050087071A KR20070032142A KR 20070032142 A KR20070032142 A KR 20070032142A KR 1020050087071 A KR1020050087071 A KR 1020050087071A KR 20050087071 A KR20050087071 A KR 20050087071A KR 20070032142 A KR20070032142 A KR 20070032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enu
main
main menu
window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수
문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2142A/ko
Priority to US11/420,504 priority patent/US20070067740A1/en
Publication of KR2007003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자주 쓰는 기능을 간편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메인메뉴를 포함하는 메인 윈도우와 메인메뉴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메뉴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에 있어서,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의 서브메뉴 추가 옵션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서브메뉴를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 추가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메인메뉴, 서브메뉴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및 방법{Driver for constituting a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도,
도 2a ~ 2c는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설정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가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4a 와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도,
도 5a 와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메뉴를 메인메뉴에 추가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메뉴를 메인메뉴에 추가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된 서브메뉴를 삭제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를 복귀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303 : 드라이버 305 : 저장부
307 : 표시부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주 쓰는 기능을 간편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기타 프로세서, 램, 및 저장매체를 구비하는 호스트 장치에는, 호스트 장치에 접속되는 주변기기(예컨데, 프린터, 스캐너, 마우스,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 및 USB 저장매체등)를 사용하기 위해 주변기기를 호스트 장치에 인식시키기 위한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드라이버는 호스트 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주변기기를 호스트 장치에 인식시키며, 호스트 장치와 주변기기 간을 인터페이싱한다. 또한, 드라이버는 호스트 장치에 접속된 주변장치의 부가기능 및 구동방식에 대해 설정할 수 있다. 예컨데, 프린터에 대한 드라이버가 호스트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통해 인쇄물에 대한 해상도, 용지방향, 및 기타 다양한 인쇄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드라이버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부가 기능 및 구동방식에 대해 편리하게 수행토록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구성은 매우 중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는 트리(tree)형태로 상위 계층인 메인 윈도우는 메인메뉴 1과 메인메뉴 1의 탭 1 내지 메인메뉴 n과 메인메뉴 n의 탭 n 을 포함하고 있다. 하위 계층으로 메인메뉴 2에 연결되어 있는 팝업 윈도우는 서브메뉴 2-1과 서브메뉴 2-1의 탭 2-1 및 서브메뉴 2-2와 서브메뉴 2-2의 탭 2-2를 포함하고 있다. 이처럼 메인메뉴와 서브메뉴가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정의 서브메뉴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활성화 시키고자 하는 서브메뉴를 포함하는 메인메뉴를 먼저 활성화시켜야 한다.
도 2a 내지 2c는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설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Layout", "Paper", "Graphic", 및 "Extras" 와 같은 메인메뉴를 포함하는 메인 윈도우가 나타나 있다. 각각의 메인메뉴에 따른 설정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은, 각각의 탭을 누르면 표시된다. 도 2a에서는 "Graphic" 메인메뉴의 탭이 선택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color intent"의 기능을 설정하고자 할 때, 메인 윈도우(200)의 메인메뉴의 "Graphic" 탭(A)을 선택하고, 메인메뉴의 내부에 구성된 "color Adjust" 탭(B)을 클릭(click)한다. 클릭 결과, 도 2b와 같이 팝업 윈도우(250)가 나타날 수 있다. 나타난 팝업 윈도우에는 "Properties"와 "Settings"와 같은 서브메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서브메뉴들 중, "Settings"(C)의 서브메뉴를 선택하고, "Settings"(C)의 서브메뉴 내의 "Color Intent"(D)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서브메뉴들에 따른 설정치들을 설정하고자 할 때, 반드시 팝업 윈도우를 활성화 시킨 후에야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주 설정하는 메뉴가 서브메뉴인 경우, 사용자에게 번거롭고 작업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자주 쓰는 기능을 간편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메인메뉴를 포함하는 메인 윈도우와 상기 메인메뉴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메뉴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은,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의 상기 서브메뉴 추가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서브메뉴를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에서 상기 서브메뉴 삭제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서브메뉴를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에서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저장된 초기 구성 상태로의 복귀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인메뉴와 상기 서브메뉴의 구성을 상기 기저장된 초기 구성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바 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 개수는 가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메뉴로 추가될 상기 서브메뉴가 상기 메인메뉴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서브메뉴가 상기 메인메뉴로 추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서브메뉴가 상기 메인메뉴로 추가되지 않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옵션은, 마우스에 의한 드래그 방식, 옵션 박스 체크 방식, 및, 단축키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선택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메인메뉴를 포함하는 메인 윈도우와 상기 메인메뉴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메뉴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는,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의 상기 서브메뉴 추가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서브메뉴를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서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에서 상기 서브메뉴의 삭제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서브메뉴를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에서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기 구성 상태로의 복귀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인메뉴와 상기 서브메뉴의 구성을 상기 초기 구성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초기 구성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 개수는 가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메뉴로 추가될 상기 서브메뉴가 상기 메인메뉴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서브메뉴가 상기 메인메뉴로 추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서브메뉴가 상기 메인메뉴로 추가되지 않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옵션은, 마우스에 의한 드래그 방식, 옵션 박스 체크 방식, 및, 단축키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선택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버는 프린터 드라이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대한 드라이버가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5a와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메뉴를 메인메뉴에 추가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린터에 대한 드라이버가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드라이버(303), 저장부(305), 및 표시부(307)를 포함한다.
드라이버(30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표시부(307)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303)는, 도 4a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메인메뉴를 포함하는 메인 윈도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메인메뉴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메뉴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구성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드라이버"는, 본원 발 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지칭할 수 있으며, 그러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하드웨어(장치)를 지칭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303)는, 프린터 드라이버로서, 인쇄에 필요한 설정값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메인메뉴와 서브메뉴가 포함된다. 메인메뉴는, 예를 들면, 인쇄용지의 종류 설정 메뉴, 해상도 설정 메뉴, 레이아웃 설정 메뉴, 인쇄용지함 설정 메뉴, 또는 n-up 설정 메뉴일 수 있다. 메인 윈도우는 상술한 메인메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메인 윈도우가 표시부(309)에 의해 표시되면,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메뉴를 볼 수 있으며, 원하는 메인메뉴를 선택하여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서브메뉴는 상기 메인메뉴의 설정값을 보다 상세하게 설정하기 위한 메뉴이다. 예를 들면, 인쇄용지의 종류 설정 메뉴에서, 서브메뉴는 사용자가 인쇄용지의 크기를 직접 설정할 수 있는 메뉴일 수 있다. 서브메뉴는 팝업 윈도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메뉴는,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팝업 윈도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메인메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메뉴가 소정의 탭에 의해 링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탭을 누르면 링크된 서브메뉴가 포함된 윈도우가 팝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303)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서브메뉴를 메인 윈도우로 추가하는 옵션이 입력장치(미도시)에 선택된 경우, 선택 받은 서브메뉴를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 추가한다. 다르게는(alternatively), 드라이버(303)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메인메뉴를 메인 윈도우에서 삭제하는 옵션이 입력장치(미도시)에 선택된 경우, 해당 메인메뉴를 메인 윈도우로부터 삭제한다.
여기서, 입력장치(미도시)는 예를 들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 등일 수 있다. 입력장치로 입력되는 선택은 드라이버(303)에 의해 인식되며, 드라이버(303)는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303)는 메인 윈도우에 포함되는 메인메뉴의 수가 소정개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여기서, 메인 메뉴의 개수는 가변 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서브메뉴를 메인 윈도우로 추가 옵션이 선택되면, 드라이버(303)는 추가할 때 메인 윈도우에 포함되는 메인메뉴의 개수가 소정 값 이내인지를 판단하고 소정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하면 추가되지 않는다. 이 경우, 드라이버(303)는 사용자에게 메인메뉴의 개수가 많아서 추가되지 않는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드라이버(303)는, 추가할 팝업 윈도우(550)의 서브메뉴(520)가 윈도우(500)의 메인메뉴에 추가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이를 위해서, 드라이버(303)는, 저장부(305)에 저장되어 있는 메인 윈도우와 서브 윈도우의 구성 상태를 참조할 수 있다.
한편, 드라이버(303)는 바람직하게는 저장부(305)에 초기 구성 상태가 있어서, 초기 구성 상태로의 복귀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인메뉴와 상기 서브메뉴의 구성을 상기 저장된 초기 구성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표시부(307)는 드라이버에 의해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305)는 메인 윈도우와 팝업 윈도우의 구성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저장부(305)는, 드라이버(303)에 의해 재구성된 현재의 메인 윈도우와 팝업 윈도우의 구성 상태, 그리고 초기의 메인 윈도우와 팝업 윈도우의 구성 상태를 저장한다. 저장부(305)는 소정의 설정값을 저장하며, 이러한 설정값은 메인 윈도우와 팝업 윈도우의 구성 상태를 나타내는 설정값과, 메인메뉴나 서브메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드라이버(303)가 팝업 윈도우(550)의 서브메뉴(520)를 메인 윈도우(500)의 메인메뉴로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드라이버(303)는, 저장부(305)에 저장되는 설정값을 변경하여 재저장함으로써, 서브메뉴(520)를 메인메뉴로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저장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드라이버(303)가 팝업 윈도우와 메인 윈도우를 구성하여 표시부(307)를 통해서 표시한다. 이때, 저장부(30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초기 구성 상태의 설정값을 백업(backup)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유사하게, 드라이버(303)는 메인 윈도우(500)에 추가된 서브메뉴(530)를 삭제할 수 있다. 즉, 드라이버(303)는 저장부(30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값을 변경하여, 메인 윈도우(500)에 추가된 서브메뉴(530)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드라이버(303)는, 사용자로부터 초기 구성 상태로 복귀하라는 선택을 받을 경우, 저장부(305)에 저장된 현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값을, 저장부 (305)에 기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초기 구성 상태의 설정값으로 변경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윈도우(500)의 메인메뉴(510)는 각 기능별로 메인메뉴(510)에 대한 식별자(이하 '탭(tab)'이라 함)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탭을 선택시, 이에 응답하여 해당 메인메뉴(510)를 표시부(307)에 표시한다. 또한, 서브메뉴도 메인메뉴와 같은 서브메뉴에 대한 탭을 구비할 수 있다.
팝업 윈도우(550)의 서브메뉴(520)를 메인 윈도우(500)의 메인메뉴로 추가하는 명령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로, 사용자가 팝업 윈도우(550)의 서브메뉴(520)의 탭을 마우스로 선택하여 메인 윈도우(500)의 메인메뉴 영역으로 소정의 인식키(예를 들면, ctrl, alt, 및 shift등)누른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는 경우.
둘째, 사용자가 팝업 윈도우(550)의 서브메뉴(520)의 탭을 마우스로 선택하여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click)하였을 때 나타나는 선택 메뉴에 '메인메뉴로 추가'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셋째, 사용자가 팝업 윈도우(550)의 서브메뉴(520) 내부에 옵션 박스를 두어 체크하는 경우, 그리고
넷째, 사용자가 팝업 윈도우(550)의 서브메뉴(52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소정의 단축키를 사용하여 윈도우(500)의 메인메뉴로 추가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장치(미도시)에 추가 옵션이 선택될 수 있다.
도 4a 와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는 트리(tree)형태로 상위 계층인 메인 윈도우는 메인메뉴 1과 메인메뉴 1의 고정탭 1 내지 메인메뉴 n과 메인메뉴 n의 고정탭 n 및 서브메뉴가 추가될 수 있는 유동탭 1 내지 유동탭 n 을 포함하고 있다. 하위 계층으로 메인메뉴 2에 연결되어 있는 팝업 윈도우는 서브메뉴 2-1과 서브메뉴 2-1의 탭 2-1 및 서브메뉴 2-2와 서브메뉴 2-2의 탭 2-2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메인메뉴의 고정탭은, 메인 윈도우를 구성하고 있는 초기 상태의 메인메뉴를 나타내고, 유동탭은 메인 윈도우로 추가되는 메인메뉴를 나타낸다.
메인 윈도우가 사용자에게 실제 표시될 때는, 유동탭1 내지 n는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팝업 윈도우의 서브메뉴를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 추가했을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도이다.
팝업 윈도우의 서브메뉴 2-2를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 추가하였을 경우, 메인 윈도우의 서브메뉴 2-2와 서브메뉴 2-2의 유동탭 1(400)로 나타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메뉴를 메인메뉴에 추가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예시도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윈도우즈 계열의 운영체제(예컨데 Windows 2000 Professional)에서 프린터에 대한 등록정보를 선택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Layout", "Paper", "Graphic", 및 "Extras" 가 메인메뉴이다. 각각의 메인메뉴에 따른 설정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은, 각각의 탭을 누르면 된다. 도 5a에서는 "Graphic" 메인메뉴의 탭이 선택된 상태이다.
메인 윈도우(500)의 "Graphic" 탭이 선택되고, 메인메뉴(510)의 "Color Adjust" 탭(미도시)이 선택되면, "Color Adjust"의 팝업 윈도우(550)가 나타난다. 팝업 윈도우(550)에는 "Properties"와 "Settings"라는 서브메뉴가 포함되어 있다.
이하에서, "Settings" 서브메뉴를 메인메뉴로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Color Adjust"의 팝업 윈도우(550)의 "Settings"의 탭을 선택하여, 소정의 인식키를 누르면서 마우스를 이용하여 메인 윈도우(500)의 일 영역으로 드래그한다. 이에 대응하여 드라이버(303)는, 메인 윈도우(500)에 "Color Adjust-Sttings"라는 메인메뉴(530)를 추가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Color Adjust-Sttings"가 메인메뉴(530)로서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메뉴를 메인메뉴에 추가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장치(미도시)에 팝업 윈도우의 서브메뉴를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 추가 옵션이 선택되면(S601), 드라이버(303)는 추가 선택을 수신하여, 조건에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603), 여기서, 예를 들면 조건은 추가될 서브메뉴가 최대 개수 내에 들어오는지와 추가될 서브메뉴가 중복되지 않는지 이다. 조건에 만족하는 경우(S603:Y), 드라이버(303)는 저장부(305)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값을,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설정값으로 변경함으로써, 팝업 윈도우의 서브메뉴를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 추가시킨다(S605). 만약,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S603:N), 드라이버(303)는 표시부(307)로 판단 결과를 전송한다. 표시부(307)는 사용자에게 서브메뉴 추가 실패 통보 한다(S607).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된 서브메뉴를 삭제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장치(미도시)에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에 추가된 서브메뉴를 삭제 옵션이 선택되면(S701), 드라이버(303)는 수신한 삭제 선택에 따라, 저장부(305)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값을,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설정값으로 변경함으로써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에 추가된 서브메뉴를 삭제한다(S703).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를 초기화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장치(미도시)에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를 초기화 옵션이 선택되면(S701), 드라이버(303)는 수신한 초기화 선택에 따라, 저장부(305)에 저장된 현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값을, 저장부(305)에 저장된 초기 구성 상태의 설정값으로 변경함으로써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를 초기 구성 상태로 복귀한다(S803).
본 발명은 프린터 드라이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와 같이 드라이버의 설치를 필요로 하는 모든 인터페이스카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나 비디오 인터페이스 카드의 드라이버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이 거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도면과 설명을 줄이기 위해서 예시하지 않았을 뿐이며, 본 발명에서 예시한 프린터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도 본원 발명에 포함되며, 그러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도 본원 발명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자주 쓰는 기능을 간편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비록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지만 본 방법은 상술한 실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경이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모든 변화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이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한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메인메뉴를 포함하는 메인 윈도우와 상기 메인메뉴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메뉴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의 상기 서브메뉴 추가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서브메뉴를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에서 상기 서브메뉴 삭제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서브메뉴를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기저장된 초기 구성 상태로의 복귀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인메뉴와 상기 서브메뉴의 구성을 상기 기저장된 초기 구성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 개수는 가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메뉴로 추가될 상기 서브메뉴가 상기 메인메뉴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서브메뉴가 상기 메인메뉴로 추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메뉴가 상기 메인메뉴로 추가되지 않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은, 마우스에 의한 드래그 방식, 옵션 박스 체크 방식, 및, 단축키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
  8. 적어도 하나의 메인메뉴를 포함하는 메인 윈도우와 상기 메인메뉴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메뉴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의 상기 서브메뉴 추가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서브메뉴를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로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에서 상기 서브메뉴의 삭제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서브메뉴를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10. 제8항에 있어서,
    초기 구성 상태로의 복귀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인메뉴와 상기 서브메뉴의 구성을 상기 초기 구성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구성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윈도우의 메인메뉴 개수는 가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메뉴로 추가될 상기 서브메뉴가 상기 메인메뉴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서브메뉴가 상기 메인메뉴로 추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메뉴가 상기 메인메뉴로 추가되지 않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은, 마우스에 의한 드래그 방식, 옵션 박스 체크 방식, 및, 단축키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프린터 드라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KR1020050087071A 2005-09-16 2005-09-16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및 방법 KR20070032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071A KR20070032142A (ko) 2005-09-16 2005-09-16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및 방법
US11/420,504 US20070067740A1 (en) 2005-09-16 2006-05-26 Driver to configure a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071A KR20070032142A (ko) 2005-09-16 2005-09-16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142A true KR20070032142A (ko) 2007-03-21

Family

ID=3788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071A KR20070032142A (ko) 2005-09-16 2005-09-16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67740A1 (ko)
KR (1) KR200700321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1890B2 (en) 2008-11-10 2012-09-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9200A2 (en) * 2004-01-09 2005-07-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wo panel navigation
USD782494S1 (en) * 2014-01-22 2017-03-28 AI Squared Display screen with icon
USD760271S1 (en) * 2014-03-19 2016-06-28 Wargaming.Net Limite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0862S1 (en) * 2016-04-24 2018-06-19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7239S1 (en) * 2016-07-06 2019-01-01 Fujifilm Corporation Digital camera display panel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JP7283109B2 (ja) * 2019-02-19 2023-05-3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3915A (en) * 1998-06-17 2000-10-1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controls on a toolb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1890B2 (en) 2008-11-10 2012-09-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101227077B1 (ko) * 2008-11-10 2013-01-2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9565323B2 (en) 2008-11-10 2017-02-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67740A1 (en)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3629B2 (en) Area selectable menus
KR100972722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4467068B (zh) 基于应用布局和用户工作流来定位用户界面组件
TWI381304B (zh) 使用者介面顯示區域的調整方法、裝置及儲存媒體
US9690447B2 (en) Dynamically changing appearances for user interface elements during drag-and-drop operations
US8650510B2 (en) User interface
US955214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data processing system
KR101330369B1 (ko) 리치 드래그 드롭 사용자 인터페이스
EP1637986B1 (en) An improved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electable software functionality controls that are relevant to a selected object
JP5514830B2 (ja) コンテキスト依存型ポップアップ・メニュー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TWI395114B (zh) 用於豐富型拖放式使用者介面之電腦可讀取儲存媒體、方法與系統
KR20070032142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및 방법
WO2018166434A1 (zh) 图标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MX2013003562A (es) Vista previa de contenido.
EP2109036A1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MX2014002955A (es) Entrada de formula para dispositivos de presentacion limitada.
US20170255357A1 (en) Display control device
JP201316130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7350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fining page size when displaying a data list
JP2015114799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130139106A1 (en) Graphic flow having unlimited number of connections between shapes
KR101332644B1 (ko)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JPH0830420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電子デスクトップ環境の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