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225A -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225A
KR20070031225A KR1020060087174A KR20060087174A KR20070031225A KR 20070031225 A KR20070031225 A KR 20070031225A KR 1020060087174 A KR1020060087174 A KR 1020060087174A KR 20060087174 A KR20060087174 A KR 20060087174A KR 20070031225 A KR20070031225 A KR 20070031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base shell
long terminal
termi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4430B1 (ko
Inventor
츠네히로 안자이
히로히사 다나카
도시야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8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430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2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being of the push-push ki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 G06K13/085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the locking arrangement comprising a notch in the card and a complementary locking means in the card reading s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복수의 접촉 단자에 긴 단자가 포함되는 경우에, 해당 긴 단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를 얻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접촉 단자(10) 중, 긴 단자(10L)의 선단부(10a)측(즉, 짧은 단자(10S)의 지지위치보다 선단 측)을 베이스 셸(2)측에 지지하는 지지부(15)를 마련한다.

Description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MEMORY CARD SOCKET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의 사시도로서 메모리 카드 삽입 전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의 사시도로서, 메모리 카드가 꽂아 넣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의 셸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평면도로서,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의 셸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평면도로서, 메모리 카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콘택트 블록에 고정시킨 복수의 접촉 단자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콘택트 블록에 고정시킨 복수의 접촉 단자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의 도 6의 VIII-VIII 선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따른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의 변형예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따른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의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1a: 카드 수용부
1b: 삽입구 2: 베이스 셸
3: 커버 셸 5: 콘택트 블록
10: 접촉 단자 10a: 접촉 단자의 선단부
10S: 짧은 단자 10L: 긴 단자
15: 지지부(절연부재, 돌출부) 15A, 15B: 지지부(절연부재)
20: 메모리 카드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디지털카메라나 휴대전화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서, 미니 SD 메모리 카드(등록상표) 등의 소형 기억 매체(이하, 메모리 카드라 칭함)를 삽입, 이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를 장착한 것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에서는 전형적으로는 전자기기 측에 고정되는 메모리 카드의 케이스에 형성된 카드 수용부 내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해당 메모리 카드의 각 단자(I/O 접촉면)에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단자(콘택트)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접촉 단자를 거쳐서 메모리 카드와 상기 전자기기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나 신호의 수수가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서는 메모리 카드의 단자(전극) 수에 따라서 복수의 접촉 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각 접촉 단자의 기단부는 카드 수용부의 안쪽 측에 마련된 콘택트 블록에 고정되는 한편, 선단부는 카드 수용부의 안쪽으로 돌출해서 마련되며, 이 선단부와 메모리 카드의 단자가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접촉 단자에는 메모리 카드의 단자(전극)의 설정위치에 대응해서 짧은 단자와 긴 단자가 포함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119148호(제4쪽, 도 18)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에서는 긴 단자와 짧은 단자에서 휨량을 동일하게 설정한 경우, 긴 단자의 메모리 카드의 단자와의 접촉면압은 짧은 단자의 메모리 카드의 단자와의 접촉면압보다 낮아지고, 이에 부가해서 긴 단 자는 치수편차 등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것도 있어, 메모리 카드의 삽입시에 작용하는 힘이나 열 스트레스 등에 의해서, 구부림 변형이나 좌굴 변형이 생기기 쉽다. 이러한 변형이 생긴 경우에는 긴 단자와 메모리 카드 단자의 접촉면압이 저하하여, 접촉불량의 원인으로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케이스가 금속의 전도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부러진 긴 단자의 선단부가 케이스에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단락해 버릴 우려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수의 접촉 단자에 긴 단자가 포함되는 경우에, 해당 긴 단자의 접촉면압을 확보하고, 또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양태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의 표리 방향에 대향하는 베이스 셸 및 커버 셸과, 상기 베이스 셸 및 커버 셸에 의해서 형성된 카드수용부의 안쪽 측에 마련된 콘택트 블록과, 상기 콘택트 블록에 고정되어 상기 카드수용부 내에서 삽입구 측을 향해서 연장하고, 메모리 카드의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접촉 단자에 짧은 단자와 긴 단자가 포함되는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긴 단자가 베이스 셸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위치는 상기 짧은 단자가 콘택트 블록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위치보다 상기 삽입구 측에 가까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셸을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하 고, 상기 베이스 셸과 상기 긴 단자 사이에 절연부재를 개재시키고, 해당 베이스 셸에 의해서 해당 절연부재를 거쳐서 해당 긴 단자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블록을 상기 베이스 셸을 따라서 상기 카드수용부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시키고, 해당 돌출시킨 부분에 의해서 상기 긴 단자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긴 단자가 베이스 셸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동규제기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콘택트 블록에 의한 짧은 단자의 지지위치보다 선단 측의 위치에서 긴 단자를 지지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긴 단자의 휘는 길이를 짧게 하여 해당 긴 단자의 휨량을 작게 할 수 있음으로써, 해당 긴 단자의 변형을 억제하여 메모리 카드의 단자와의 접촉면압의 저하, 더 나아가서는 접촉불량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셸이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긴 단자와 베이스 셸이 접촉하여 단락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긴 단자가 절연부재를 거쳐서 도전성 금속제의 베이스 셸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했기 때문에, 긴 단자와 베이스 셸 사이에 개재시키는 부재에 의해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콘택트 블록은 통상 절연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콘택트 블록의 일부를 긴 단자와 베이스 셸 사이에 개재시키도록 해도 좋고, 이렇게 하면, 절연부재를 별도로 마련한 경우에 비해 부품수가 저감하고, 더 나아가서는 제조에 필요로 하는 수고가 줄어,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콘택트 블록을 베이스 셸을 따라서 카드 수용부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시킨 부분에서 긴 단자를 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지지하는 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가 저감하고, 더 나아가서는 제조에 필요로 하는 수고가 줄어,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콘택트 블록을 카드 수용부의 안쪽을 향해서 연신시킴으로써, 긴 단자의 변형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 콘택트 블록의 넘어짐이나 회전이 억제되며, 더 나아가서는 메모리 카드의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베이스 셸에 대한 긴 단자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가 긴 단자에 걸리거나, 메모리 카드에의 접촉면압이 과대하게 되어 마모나 변형 등이 생기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긴 단자의 메모리 카드의 단자에 대한 접촉위치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향상하여, 접촉불량 등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은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의 사시도로서, 메모리 카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메모리 카드가 꽂아 넣어지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내는 셸 커버를 떼어낸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콘택트 블록에 고정시킨 복수의 접촉 단자의 평면도, 도 7은 콘택트 블록에 고정시킨 복수의 접촉 단자를 저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의 도 6의 VIII-VIII 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1)는 전자기기 등(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고, 메모리 카드(20)를 삽입, 이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소켓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메모리 카드(2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메모리 카드(20)의 표면 또는 이면에 노출 형성된 단자(전극; 도시하지 않음)와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1)에 마련된 접촉 단자(10)가 접촉해서 도통하여, 전자기기 등과 메모리 카드(20) 사이에서 데이터나 신호 등의 수수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1)는 메모리 카드(20)를 개구(입구)(1b)로부터 오목부로서의 카드 수용부(1a) 내에 삽입해서 밀어 넣음으로써 해당 메모리 카드(20)가 소정의 장착 상태에서 록되고, 재차 밀어 넣음으로써 록이 해제되어 메모리 카드(20)가 카드 수용부(1a)의 삽입구(1b)로부터 튀어 나가는 소위 푸시 온/푸시 오프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1)는 기본적으로는 1측면(전면)에 가늘고 긴 띠형상의 삽입구(1b)가 형성된 편평한 각통형상으로 구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카드 수용부(1a) 내에서 삽입구(1b) 측과 안쪽 측 사이에서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4)와, 슬라이더(4)를 카드 수용부(1a) 내에서 삽입구(1b) 측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기구로서의 코일 스프링(7)과, 카드 수용부(1a)의 안쪽 측에 마련된 콘택트 블록(5)과, 해당 콘택트 블록(5)에 고정된 복수의 접촉 단자(10)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1)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도전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메모리 카드(20)의 표리 방향에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 셸(2) 및 커버 셸(3)에 의해서, 메모리 카드(20)를 삽입, 이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카드 수용부(1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셸(2) 및 커버 셸(3)을 금속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케이스의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도전성재료로 함으로써 이들을 그라운드(어스)로서 이용하고 있다.
베이스 셸(2)은 대략 정방형상의 기저벽부(2a)를 구비하고, 그 기저벽부(2a)의 대향하는 1쌍의 폭 방향 단 가장자리를 대략 직각으로 접어 구부려 대략 일정높이의 측벽(2b, 2c)을 세워 마련해서, 전체로서 편평한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측벽(2b, 2c) 중, 한쪽 측(도 3중 먼 측)의 측벽(2c)의 삽입구(1b) 측의 단부에는 기저벽부(2a)의 모서리부를 기립시켜, 슬라이더(4)가 삽입구(1b)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2d)가 형성되어 있고, 또 기저벽부(2a)에는 콘택트 블록(5)을 걸어 장착하기 위한 발톱(2e)과, 메모리 카드(20)의 삽입, 이탈 방향을 따라서 신장하는 돌출 바(projection bar, 2f)를 마련하고 있다.
한편, 커버 셸(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셸(2)과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판으로 베이스 셸(2)의 기저벽부(2a)와 동일 형상으로 되는 대략 정방형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커버 셸(3)에는 메모리 카드(20)를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구조체(3a, 3b)와 후술하는 핀(6)을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구조체(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셸(3)을 베이스 셸(2)의 측벽(2b, 2c)의 기립선단에 탑재하고, 그들을 레이저 용접 등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그들 커버 셸(3)과 베이스 셸(2)에 의해 카드 수용부(1a)가 형성된다.
슬라이더(4)는 해당 슬라이더(4)에 형성한 오목부(4a)가 베이스 셸(2)에 마련한 상기 돌출 바(2f)에 대해 걸어 맞춤되는 것에 의해, 한쪽 측(도 3중 먼 측)의 측벽(2c)을 따라서 진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4)에는 메모리 카드(20)의 1측 가장자리의 단차부(20a)(도 4참조)에 적합한 걸림부(4b)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단차부(20a)보다도 삽입 방향과는 반대 측에 형성되는 메모리 카드(20)의 절결부(20b)(도 4참조)와 결합하는 돌기(4c)가 형성된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20)를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1)의 삽입구(1b)로부터 카드 수용부(1a)내에 꽂아 넣으면, 메모리 카드(20)는 단차부(20a)가 걸림부(4b)에 맞부딪침과 동시에, 절결부(20b)가 돌기(4c)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메모리 카드(20)가 슬라이더(4)에 유지된 상태에서 카드 수용부(1a) 내를 진퇴 가능하게 된다.
슬라이더(4)는 일단부(6a)를 콘택트 블록(5)의 끼워 맞춤 구멍(5a)에 회전운 동 가능하게 지지된 핀(6)과, 그 핀(6)의 타단부(6b)를 소정 경로로 안내하는 홈부(4d)와, 슬라이더(4)와 콘택트 블록(5)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슬라이더(4)를 삽입구(1b)측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7)에 의해서 카드 수용부(1a) 내에서의 위치가 규제된다.
홈부(4d)의 저면에는 적절한 단차가 마련되어 있고, 핀(6)의 타단부(6b)를 코일 스프링(7)의 가압력 혹은 메모리 카드(20)의 밀어 넣는 힘에 의해서 홈부(4d)의 측벽에 부딪치게 함과 동시에, 커버 셸(3)에 마련한 스프링 구조체(3c)에 의해서 홈부(4d)의 저벽에 접촉시킴으로써, 핀(6)의 타단부(6b)를 적어도 임의의 구간에서는 역행시키지 않고 규정된 소망하는 경로로 안내한다.
그리고, 홈부(4d)의 삽입구(1b) 측의 일부를 평면에서 보아 대략 하트형으로 해서 소위 하트캠 기구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술한 메모리 카드(20)의 푸시 온/푸시 오프 기능이 구현화되어 있다.
콘택트 블록(5)은 절연성 수지를 평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한 안벽부(5b)와 측벽부(5c)를 구비하고 있고, 안벽부(5b)를 카드 수용부(1a)의 안쪽 측에 배치하고, 또한 측벽부(5c)를 카드 수용부(1a)의 한쪽 측벽(2b)(도 3에서 바로 앞 측)을 따라서 배치한 상태에서, 베이스 셸(2)에 발톱부(2e)를 거쳐서 고정된다.
안벽부(5b)에는 도전성 금속에 의해 봉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접촉 단자(10)가 관통해서 지지되어 있고, 그들 접촉 단자(10)의 선단부(10a)는 안벽부(5b)로부터 삽입구(1b)를 향해서 카드 수용부(1a) 내로 돌출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20)는 접촉 단자(10)와 커버 셸(3) 사이에 끼워 넣도록 되어 있으며, 그 접촉 단자(10)의 선단부(10a)에는 커버 셸(3) 방향으로 원활하게 돌출되는 만곡부(10b)가 형성되어 있어, 메모리 카드(20)가 카드 수용부(1a)의 안쪽 측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만곡부(10b)가 메모리 카드(20)의 베이스 셸(2)에의 대향 면(도면 중 하면)에 형성된 전극에 접촉한다.
또한, 안벽부(5b)에는 코일 스프링(7)의 안쪽에 삽입 통과되는 가이드 핀(11)이 고정되고, 그 가이드 핀(11)에 의해서 코일 스프링(7)의 좌굴 변형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 블록(5)의 안벽부(5b)로부터 돌출 설치된 원기둥형상 돌기(5d)에는 가동아암(12)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가동아암(12)의 회전운동 선단부(12a)는 원주형상 돌기(5d)에 끼워 맞춤되는 토션스프링(13)에 의해서 삽입구(1b)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 꽂아 넣어진 메모리 카드(20)의 선단부에 의해서 카드 수용부(1a)의 안쪽 측으로 밀어 넣어진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20)가 카드 수용부(1a)의 안쪽 측의 장착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 및 가동 아암(12)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동아암(12)의 회전운동 선단부(12a)는 삽입구(1b) 방향으로 압출된 상태에 있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20)가 카드 수용부(1a)의 안쪽 측의 장착위치까지 꽂아 넣어진 상태에서는 가동아암(12)의 회전운동 선단부(12a)는 카드 수용부(1a)의 안쪽 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가동아암(12)은 메모리 카드(20)의 진퇴에 수반해서 도 4에 나타내는 삽입구(1b)측의 위치와, 도 5에 나타내는 안쪽 측의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하고, 가동아암(12)이 삽입구(1b)측의 위치에 있을 때에, 콘택트 블록(5)에 고정시킨 2개의 고정접점(14, 14a)간을 전기적으로 단락하는 한편, 가동아암(12)이 안쪽 측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2개의 고정접점(14, 14a)간의 전기적 도통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접점(14, 14a)간의 전기적 도통 상태를 검지하는 것에 의해, 메모리 카드(20)가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1)의 소정 위치에 세트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측벽부(5c)는 카드 수용부(1a)의 폭방향 일단부에 있어서, 안쪽 측으로부터 삽입구(1b) 측까지 연장되어 마련되고 있어, 이것에 의해 콘택트 블록(5)의 넘어짐이나 회전이 억제됨과 동시에, 케이스의 지지강성이 높아지고 고 있다. 이 경우, 측벽부(5c)는 베이스 셸(2) 및 커버 셸(3)의 쌍방에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접촉 단자(1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20)의 단자위치에 따라서 짧은 단자(10S)와 긴 단자(10L)의 집합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접촉 단자(10)를 구성하는 짧은 단자(10S) 및 긴 단자(10L) 중, 긴 단자(10L)에, 그것의 선단부(10a)측에 대해서 베이스 셸(2)측에 지지하는 지지부(15)를 마련하고 있다.
지지부(15)는 긴 단자(10L)의 적어도 베이스 셸(2)로의 대향 측(도 8 참조)에 일체화된 절연부재로서의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고, 그 절연성 수지를 긴 단자(10L)와 베이스 셸(2)(상세하게는 기저벽부(2a))의 사이에 개재시켜서, 그들 긴 단자(10L)와 베이스 셸(2)을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콘택트 블록(5)을 절연성 수지로 성형할 때에, 접촉 단자(10)를 동시에 인서트 성형하도록 되어 있고, 그 인서트 성형시에 지지부(15)를 동일한 절연성 수지로 동시에 인서트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15)는 본 실시예에서는 긴 단자(10L)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까지 콘택트 블록(5)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하고, 그 긴 단자(10L)의 외주를 절연성 수지로 둘러싸고 있으며, 특히 그 절연성 수지는 베이스 셸(2)로의 대향 측의 두께를 다른 부분보다도 두껍게 형성해서, 그 두께 부분에 의해서, 기저벽부(2a)와 긴 단자(10L)의 소정 거리를 확보하고 이다.
이 때, 긴 단자(10L)를 둘러 싼 절연성 수지는 도 3,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긴 단자(10L)의 커버 셸(3)로의 대향 측(도 3중 상측)의 일부에, 절연성 수지가 주조되지 않는 노출 부분(15a)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절연성 수지에 노출 부분(15a)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절연성 수지로 인서트 성형했을 때에, 용융한 절연성 수지가 경화할 때의 열수축률을 베이스 셸(2) 측(도면 중 하측)에서 크게 하여, 긴 단자(10L)가 커버 셸(3)측( 도면 중 상측)으로 젖혀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메모리 카드(20)를 빼고 꽂을 때에 긴 단자(10L)로부터 받는 반력이 과대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15)에 긴 단자(10L)가 베이스 셸(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압입돌기(1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압입돌기(16)는 지지부(15)의 베이스 셸(2)측(도면 중 하측) 선단부로부터 일체로 짧은 원기둥형상으로 돌출 마련되고, 그 압입돌기(16)는 베이스 셸(2)의 기저벽부(2a)에 형성한 끼워 맞춤 구멍(2g)에 압입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이 압입돌기(16)와 끼워 맞춤 구멍(2g)에 의해서 이동규제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 관한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에 따르면, 접촉 단자(10)를 구성하는 짧은 단자(10S)와 긴 단자(10L) 중, 긴 단자(10L)의 선단부(10a)측, 즉 짧은 단자(10S)의 지지위치보다 선단측이, 지지부(15)를 거쳐서 베이스 셸(2)에 지지되므로, 메모리 카드(20)의 단자에 접촉하는 긴 단자(10L)의 선단부(10a)의 스프링정수가 커져, 긴 단자(10L)의 변형이 억제됨으로써, 해당 긴 단자(10L)와 메모리 카드(20) 단자의 접촉면압의 저하, 더 나아가서는 접촉불량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짧은 단자(10S) 및 긴 단자(10L)를 포함시킨 접촉 단자(10)가 열 스트레스에 의해서 휨 변형된 경우에도 지지부(15)에 의해서 긴 단자(10L)의 선단부(10a)측이 지지되기 때문에, 그 긴 단자(10L)의 휨 변형량을 적게 억제하여, 선단부(10a)가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1)의 베이스 셸(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긴 단자(10L)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 베이스 셸(2)과 전기적으로 단락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지지위치로부터 각 단자(10L, 10S)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대략 동등하게 하면, 긴 단자(10L)와 짧은 단자(10S)에서, 메모리 카드(20)의 단자와의 접촉면압을 대략 동등하게 설정할 수 있어, 특정한 단자만이 마모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용 효과에 부가해서, 지지부(15)를 절연성 수지로 형성해서 긴 단자(10L)의 적어도 베이스 셸(2)로의 대향 측에 일체화하고, 그 절연성 수지를 긴 단자(10L)와 베이스 셸(2)의 사이에 개재시켜, 그들 긴 단자(10L)와 베이스 셸(2)(기저벽부(2a))을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켰으므로, 절연성 수지에 의해서 긴 단자(10L)와 베이스 셸(2)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긴 단자(10L)의 위치정밀도를 확보하면서 절연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콘택트 블록(5)을 베이스 셸(2)의 기저벽부(2a)를 따라서 카드 수용부(1a)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시킨 부분으로서 지지부(15)를 형성하고, 해당 지지부(15)에 의해 긴 단자(10L)를 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지지부를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수가 저감하고, 더 나아가서는 제조에 필요로 하는 수고가 줄어,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돌출시킨 부분, 즉 지지부(15)는 긴 단자(10L)의 변형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콘택트 블록(5)의 넘어짐이나 회전을 억제하고, 또 케이스의 강성을 높인다고 하는 효과도 얻는다.
또한, 지지부(15)에 압입돌기(16)를 마련하고, 그 압입돌기(16)를 베이스 셸(2)의 끼워 맞춤 구멍(2g)에 압입한 것에 의해, 긴 단자(10L)가 베이스 셸(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긴 단자(10L)가 베이스 셸(2)로부터 부상하는 방향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20)를 카드 수용부(1a)에 꽂아 넣을 때에, 긴 단자(10L)가 부상하여 그것에 메모리 카드(20)가 걸려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 꽂아 넣어진 메모리 카드(20)의 전극에 대한 접촉면압이 과대하게 되어, 해당 긴 단자(10L)나 메모리 카드(20)의 전극에 마모나 변형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 도 10은 상기 실시예와는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실시예와 동일 구성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해서 각각 설명한다. 또, 도 9, 도 10은 모두 지지부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15)가 콘택트 블록(5)으로부터 긴 단자(10L)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까지 연속해서 절연성 수지를 돌출시킨 경우를 개시했지만, 도 9에 관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5A)를 콘택트 블록(5)과 연속시키지 않고 긴 단자(10L)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부분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물론, 지지부(15A)는 긴 단자(10L)의 베이스 셸(2)측(도면에서 하측)에 마련됨과 동시에, 절연성 수지로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도 10에 관한 실시예에서는 긴 단자(10L)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베이스 셸(2)측으로 돌출하는 대략 V자형상의 굴곡부(15b)를 형성하고, 그 굴곡부(15b)를 지지부(15B)로 해서 굴곡 선단부(15c)를 베이스 셸(2)에 접촉시키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베이스 셸(2)이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굴곡선단부(15c)의 외측(베이스 셸(2)측)에 수지 등의 절연부재를 고착하는 등 하면 좋 다. 또한, 절연부재를 베이스 셸(2)측에 마련해도 좋다.
따라서, 이상의 도 9, 도 10에 관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긴 단자(10L)의 선단부(10a)가 베이스 셸(2) 측에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도 긴 단자(10L)가 베이스 셸(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동규제기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 블록에 의한 짧은 단자의 지지위치보다 선단 측의 위치에서 긴 단자를 지지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긴 단자의 휘는 길이를 짧게 하여 해당 긴 단자의 휨량을 작게 할 수 있음으로써, 해당 긴 단자의 변형을 억제하여 메모리 카드의 단자와의 접촉면압의 저하, 더 나아가서는 접촉불량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셸이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긴 단자와 베이스 셸이 접촉하여 단락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긴 단자가 절연부재를 거쳐서 도전성 금속제의 베이스 셸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했기 때문에, 긴 단자와 베이스 셸 사이에 개재시키는 부재에 의해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콘택트 블록은 통상 절연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콘택트 블록의 일부를 긴 단자와 베이스 셸 사이에 개재시키도록 해도 좋고, 이렇게 하면, 절연부재를 별도로 마련한 경우에 비해 부품 수가 저감하고, 더 나아가서는 제조에 필요로 하는 수고가 줄어,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 블록을 베이스 셸을 따라서 카드 수용부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시킨 부분에서 긴 단자를 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지지하는 부분을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점수가 저감하고, 더 나아가서는 제조에 필요로 하는 수고가 줄어,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콘택트 블록을 카드 수용부의 안쪽을 향해서 연신시킴으로써, 긴 단자의 변형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 콘택트 블록의 넘어짐이나 회전이 억제되며, 더 나아가서는 메모리 카드의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셸에 대한 긴 단자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가 긴 단자에 걸리거나, 메모리 카드에의 접촉면압이 과대하게 되어 마모나 변형 등이 생기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긴 단자의 메모리 카드의 단자에 대한 접촉위치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향상하여, 접촉불량 등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4)

  1. 메모리 카드의 표리 방향에 대향하는 베이스 셸 및 커버 셸과,
    상기 베이스 셸 및 커버 셸에 의해서 형성된 카드수용부의 안쪽 측에 마련된 콘택트 블록과,
    상기 콘택트 블록에 고정되어 상기 카드수용부 내에서 삽입구 측을 향해서 연장하고, 메모리 카드의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접촉 단자에 짧은 단자와 긴 단자가 포함되는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긴 단자가 베이스 셸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위치는 상기 짧은 단자가 콘택트 블록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위치보다 상기 삽입구 측에 가까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셸을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셸과 상기 긴 단자 사이에 절연부재를 개재시키고, 해당 베이스 셸에 의해서 해당 절연부재를 거쳐서 해당 긴 단자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블록을 상기 베이스 셸을 따라서 상기 카드수용부의 안쪽을 향해서 돌출시키고, 해당 돌출시킨 부분에 의해서 상기 긴 단자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긴 단자가 베이스 셸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이동규제기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KR1020060087174A 2005-09-14 2006-09-11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KR100884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174A KR100884430B1 (ko) 2005-09-14 2006-09-11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67451 2005-09-14
KR1020060087174A KR100884430B1 (ko) 2005-09-14 2006-09-11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747A Division KR100952807B1 (ko) 2005-09-14 2008-05-26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225A true KR20070031225A (ko) 2007-03-19
KR100884430B1 KR100884430B1 (ko) 2009-02-19

Family

ID=4134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174A KR100884430B1 (ko) 2005-09-14 2006-09-11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4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9120A (en) * 1983-03-23 1985-12-17 Rush-Presbyterian-St. Luke's Medical Center Agarose gel electrophoresis technique for the determination of amylase isoenzymes
FR2821988A1 (fr) 2001-03-09 2002-09-13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eur electrique pour cartes a memoire electronique a grande capacite de stockage
JP3982371B2 (ja) * 2002-09-25 2007-09-26 松下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775338B2 (ja) * 2001-11-15 2006-05-17 松下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52541A (ja) * 2002-10-29 2004-05-27 Tokyo Eletec Kk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4023389B2 (ja) * 2003-05-26 2007-12-19 松下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430B1 (ko)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807B1 (ko)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EP1783657B1 (en) Memory card socket structure
EP1760841B1 (en) Memory card socket structure
KR100762068B1 (ko)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US20070054553A1 (en) Connector, receptacle for connector and plug for connector
KR100865610B1 (ko) 카드용 커넥터
US7780476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EP0797276B1 (en) Connector with reinforced latch
US7377814B2 (en) Card connector
US7628624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an improved guiding member
US20090149071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card restriction structure
US751723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CN100361143C (zh) 存储卡适配器
US7727033B2 (en)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US5860825A (en) Socket for printed circuit board
JP4184251B2 (ja) カードコネクタ
KR100884430B1 (ko)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JP4527887B2 (ja) カード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装置
KR100781480B1 (ko) 메모리 카드 유지 구조체
US7985096B2 (en) Connector with switch
JP2023020413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EP0804819A1 (en) Socket for printed circuit board
JP2004179094A (ja) 挿入基板の電気コネクタ
KR20100032297A (ko)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