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717A - 벌집형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벌집형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717A
KR20070030717A KR1020060130212A KR20060130212A KR20070030717A KR 20070030717 A KR20070030717 A KR 20070030717A KR 1020060130212 A KR1020060130212 A KR 1020060130212A KR 20060130212 A KR20060130212 A KR 20060130212A KR 20070030717 A KR20070030717 A KR 20070030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water
protrusion
end block
base layer
honey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4431B1 (ko
Inventor
신용권
Original Assignee
범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아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431B1/ko
Publication of KR2007003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파제에 관한 것으로 내해와 외해의 해수유통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벌집형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파제 본체를 중공관인 방파제용 구조체(22)로 구성한다. 상기 방파제용 구조체(22)는 외주연과 내부 중공이 정육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방파제용 구조체(22)는 다층 다열로 적층되어 시공되는데, 상기 방파제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콘크리트 구조체(22)를 이용하여 방파제용 구조체(22)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방파제 외측의 외해와 내측의 내해의 해수가 유통되므로 해수의 오염이 방지되고, 공장에서 제작된 콘크리트관을 사용하므로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방파제의 파손시에 파손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방파제, 중공관, 정육각형, 콘크리트

Description

벌집형 해수유통 방파제 { Honeycomb breakwater for sea-water flowing }
도 1은 종래의 방파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방파제용 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방파제용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방파제용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방파제용 구조체에 철근이 배근된 경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f는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시공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층 20 : 본체부
22 : 방파제용 구조체 24 : 중공
26 : 결합돌기 28 : 결합홈
30 : 전단철근 32 : 띠철근
36 : 지지말뚝 38 : 지지홈
40 : 단부블럭 41a : 체결돌기
41b : 체결홈 42 : 상부콘크리트
44 : 콘크리트 중량체
본 발명은 방파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가 방파제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방파제에 관한 것이다.
방파제란 항만시설을 보호하고, 선박 등이 안정적으로 정박하기 위하여 항만으로 해파가 밀려오는 해파를 막아주는 것으로, 해파가 진입하는 곳에 설치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방파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파제는 해양저면에 소정의 높이까지 쇄석층(1)이 형성되고, 상기 쇄석층(1)의 외부를 콘크리트(3)가 감싸고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파제는 해수를 방파제 외부쪽의 외해(5)와 내부쪽의 내해(7)로 구분시킨다. 한편, 종래의 방파제의 외해(5)와 접하는 면에는 해파의 파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구조물로 테트라포트(9)가 사용되는데, 상기 테트라포트(9)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뿔 형태로 형성된 콘크리트 덩어리이다. 이는 해파가 방파제를 직접 타격하면 방파제가 침식되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방파제에 의하여 상기 외해(5)로부터 밀려오는 해파는 차단되어 상기 내해(7)로 그 파력을 전달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파제는 해안으로부터 시작하여 방파제의 말단까지 순차적으로 시공된다. 즉, 해안 가까이에 쇄석을 해수면 위로 소정의 높이까지 쌓아올린다. 그 이후에 상기 쇄석 주위를 막고 해수를 배출시킨 후에 쇄석의 형태를 보수하고, 이들 측면과 상면에 콘크리트(3)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콘크리트(3)가 경화하면, 그 전면에 이어서 쇄석을 깔고 상기 방법을 반복하여 방파제를 시공한다. 이는 콘크리트(3) 양생을 위해서 해수를 인출시켜야 하는데, 바다를 막고 해수를 배출시키는 비용이 비싸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방파제에서는 외해(5)로부터 밀려오는 해수가 내해(7)로 들어오지 못한다. 따라서, 외해(5)로부터 밀려오는 파도의 파력이 효율적으로 차단되기는 하지만, 내해(7)의 해수는 유통하지 못하고 그대로 고여있게 된다. 항만의 해수가 한 곳에 장시간 머물게 되면 항만으로부터의 오염이 점차 누적되고, 해수의 자정능력을 벗어나게 되며, 악취를 풍기고 환경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방파제 건설에 있어 상기와 같은 환경오염이 문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방파제가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므로 유지보수가 어렵다. 방파제는 해파에 의해 외해(5)와 접하는 면이 세굴되거나 침식되어 파손되는데, 실질적으로 이를 보수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특히, 전방에 테트라포트(9)와 같은 구조물이 설치되므로 보수시에는 이들을 제거하고 보수공사를 하여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방파제에서는 파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테트라포트(9)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므로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방파제는 해안선으로부터 시작하여 방파제의 말단부까지 순차적으로 시공해나가는 방식이므로 시공기간이 매우 길어 공사비가 증가되고, 시공중에 큰 해일 등이 덮치는 경우 시공중인 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해의 파력이 내해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면서도 해수는 이동하도록 하는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체를 조립하여 시공하므로, 방파제 완성 이후에 일부 구조체만을 교체할 수 있는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 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해파의 파력을 방파제의 내부가 고르게 부담하여 상쇄시킬 수 있는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에서 타설되고 양생 되는 콘크리트부분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에 소요되는 시공기간을 최소화하는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해양 저면에 쇄석을 깔아 평평하게 다짐한 기초층과, 상기 기초층위에 정육각형의 단면을 가진 중공관으로 형성되는 방파제용 구조체가 다층 다단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기 위해 다층으로 쌓아 올려지는 단부블럭,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상기 단부블럭의 상면을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파제용 구조체는, 철근 콘크리트 또는 무근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방파제용 구조체가 적층되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이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부 블럭은 일측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단부블럭이 다층으로 적층시에 상 기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홈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초층의 전단부에는 상단이 상기 기초층 상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지지말뚝이 구비되며, 상기 단부블럭중 전방의 최하단 단부블럭에는 상기 지지말뚝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지지홈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말뚝의 돌출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파제는 본체의 전부가 상기 방파제용 구조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본체부의 일부구간은 해수가 유통할 수 없도록 콘크리트 중량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를 시공하는 방법은, 해저면에 쇄석을 깔고 평평하게 다져 기초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초층위에, 정육각형의 단면을 가진 중공관으로 형성되는 방파제용 구조체를 병렬로 배치하는 제 2 단계와, 배치된 상기 방파제 구조체의 전단과 후단에 상기 방파제 구조체를 지지하는 단부블럭을 설치하는 제 3 단계와, 상부에 방파제 구조체를 다층으로 소정의 높이까지 쌓아 올리는 제 4 단계와, 제 3 단계와 제 4 단계를 반복 시공하여 원하는 높이까지 상기 방파제 구조체 및 단부블럭을 쌓아 올리는 제 5 단계, 그리고 원하는 높이까지 시공된 방파제 구조체의 상면과 단부블럭의 상면을 일체로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기초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기초층의 전단부에 지지말뚝을 박되, 상기 지지말뚝의 상단은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 단계는 하단면에 상기 지지말뚝의 돌출부에 대응 하는 형태로 함몰된 지지홈이 구비된 단부블럭을 상기 전단부 단부블럭으로 사용하여, 상기 지지홈이 상기 지지말뚝의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전단부 단부블럭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단계에서 사용되는 방파제용 구조체의 외주면에는,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방파제용 구조체를 적층시에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서로 결합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외해의 해수와 내해의 해수가 서로 이동하므로 항만 내의 해수 오염이 누적되지 않고,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해파의 파력을 방파제 내부가 고르게 부담하므로 세굴 등의 우려가 적어 테트라포트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으며,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체를 조립하여 시공하므로 시공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방파제용 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방파제용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방파제용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방파제용 구조체에 철근이 배근된 경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파제는 해저저면에 쇄석으로 이루어지는 기초층(10)을 포함한다. 상기 기초층(10)은 쇄석을 해저면에 깔고 평평하게 다짐을 하여 형성된다.
상기 기초층(10)의 상부로부터 해수면 상부의 소정의 높이까지는 해파의 파력을 감소시키는 본체부(20)가 위치한다. 상기 본체부(20)는 중공형 관의 형태로 형성되는 방파제용 구조체(22)(이하 '구조체(22)'라 함)로 형성된다. 상기 구조체(2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내부에 종방향의 중공(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체(22)의 외주연의 형태가 정육각형으로 형성되어 다층 다단으로 쌓이는 경우, 각 구조체(22)의 접하는 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물론 박스형 거더와 같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중공관도 가능하나, 중공관은 원형에 가까울수록 구조적으로 안정하므로 정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인 안정성과 시공상의 편의를 고려해볼 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조체(22)의 크기는 방파제의 크기나 해양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중공(24)을 통하여 사람이 들어가 청소 또는 보수 등이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조체(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26)와, 상기 결합돌기(26)에 대응 하는 형태로 함몰된 결합홈(28)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돌기(26)와 결합홈(28)은 상기 구조체(22)의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26)와 결합홈(28)이 상기 구조체(22)의 외주면을 따라 교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기(26)와 결합홈(28)의 배열순서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데, 상기 구조체(22)가 적층되면서 결합될 수 있으면 어떠한 배열순서라도 무방하다. 도 4는 돌출부를 가진 부분(A-A)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함몰부를 가진 부분(B-B)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결합돌기(26)와 결합홈(28)은 상기 구조체(22)가 적층된 경우에, 파도에 의해 상기 구조체(22)가 상기 구조체(22)의 종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조체(22) 중공(24)의 단면 형상은 상기 구조체(22)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정육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정육각형 형태의 중공단면은 상기 구조체(22)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므로 응력이 집중되는 취약단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각진 형태의 중공은 해파가 상기 중공내부를 통과할 경우 해파가 각진 면에 부딪히므로, 파력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체(22)의 중공(24) 형태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해파의 파력이 비교적 작은 소형 방파제의 경우나, 방파제 상부에 큰 하중이 작용하여 방파제의 강도가 중요시되는 때에는 원형중공을 가진 구조체(22)를 사용할 수도 있다. 원형 중공을 가진 구조체(22)는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강도 면에서는 정육각형 중공을 가진 구조체(22)보다 효율적인 형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체(22)는 내부에 철근이 배근 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인 해양구조물의 경우 해수에 포함된 염소 이온 (cl­)때문에 무근콘크리트를 사용한다. 염소 이온은 알칼리골재반응을 일으켜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철근의 부동태피막을 파괴하여 철근을 부식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구조체(22)가 큰 하중을 받는 경우에는 콘크리트만으로 하중을 부담하지 않고 철근을 배근하여 하중을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26)는 순수전단을 받는 부분이므로 전단철근(30)을 배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조체(22)의 내경을 둘러싸는 띠철근(32)을 배근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구조체(22) 내부에 배치되는 띠철근(32)은 수직의 외력에 대한 압축철근 및 휨철근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구조체(22)에 철근이 배근된 경우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즉, 상기 구조체(22)의 제작시에 함수비를 줄이기 위해 감수제 등의 혼화제를 사용하거나 피복된 철근을 사용하는 등의 대책을 병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구조체(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층(10)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벌집형 방파제의 본체부(20)를 형성한다. 상기 구조체(22)는 상기 결합돌기(26)와 결합홈(28)이 서로 결 합하여 안정된 상태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20)는 그 전면이 경사지도록 쌓아질 수도 있고, 수직으로 쌓아질 수도 있다. 방파제의 안정성이 중요시되는 대형 방파제의 경우에는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방파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공의 편의성이 중요시되는 경우에는 수직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2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상기 본체부(20)를 지지하는 단부블럭(40)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부(20)와 접하는 상기 단부블럭(40) 면은 상기 본체부(20)의 전면과 후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빈틈없이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단부블럭(40)은 다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부블럭(40)이 결합하여 상기 본체부(20)를 지지한다. 이때 각각의 단부블럭(40)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돌기(41a)와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체결홈(41b)이 형성되는데 이들 체결돌기(41a) 와 체결홈(41b)이 결합되어 상기 단부블럭(40) 사이의 유통이 방지된다.
상기 단부블럭(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부블럭(40)의 자중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블럭(40)의 활동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말뚝(36)을 설치한다. 상기 지지말뚝(36)은 상기 기초층(10)의 전단부에 그 상단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말뚝(36)의 돌출부는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되어 최하단층의 단부블럭(40) 저면에 형성된 지지홈(38)에 끼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지지말뚝(36)과 지지홈(38)의 결합을 통해 단부블럭(40)은 상기 기초층(1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20)와 상기 단부블럭(40)의 상단은 상부콘크리트(4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상부콘크리트(42)는 수면위로 소정의 높이까지 시공된 상기 본체부(20)와 상기 단부블럭(40)의 상단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2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가 상기 구조체(22)에 의하여 구성되고, 다른 일부는 관통공(24)이 없는 콘크리트 중량체(44) 또는 내부에 쇄석이 구비되고 외부는 콘크리트에 의해 결합된 콘크리트 중량체(44)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부(20)는 해수의 유동성은 줄어드는 반면에, 해파의 차단효율은 높아지므로 해양조건이나, 방파제의 설치 목적 등에 의해, 상기 구조체(22)부와 중량체부의 비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의 시공방법을 시공 순서에 의해 상세하게 살피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의 시공순서는 도 11a 내지 도 11f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의 시공은 해양저면에 기초층(10)을 형성하는 제 1 단계로부터 시작된다. 상기 제 1 단계는 쇄석을 해저면으로 침강시키고 침강 된 쇄석 층을 잠수부 또는 기타의 장비를 이용하여 평평하게 다짐을 하여 이루어진다(도 11a 참조). 또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기초층(10)의 전단부에 지지말뚝(36)을 박는 단계(도 11b 참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말뚝(36)은 그 머리 부 분이 상기 기초층(10)의 상부로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말뚝(36)은 설치되는 방파제의 크기나 방파제가 부담하는 하중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개수와 크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계의 시공이 완료되면, 그 이후에 상기 기초층(10) 상부에 상술한 구조체(22)를 설치하는 제 2 단계를 시공한다(도 11c 참조). 상기 제 2 단계는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초층(10)에 상기 구조체(22)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구조체(22)는 다단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데, 설치되는 구조체(22)의 단수는 상기 단부블럭(40)의 크기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상기 구조체(22)가 결합돌기(26)와 결합홈(28)을 구비한 경우에는 상기 구조체(22)의 결합홈(28)에 인접하는 구조체(22)의 결합돌기(26)가 끼워지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구조체(22)를 설치한다.
상기 제 2 단계에 의하여 상기 구조체(22)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구조체(22)의 전단과 후단에 단부블럭(40)을 설치하는 제 3 단계를 시공한다(도 11d 참조). 이때 전단부의 단부블럭(40)은 저면에 상기 지지말뚝(36)의 상단부분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지지홈(38)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38)에 상기 지지말뚝(36)의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설치한다.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는 배치된 구조체(22)의 상부에 다시 상기 구조체(22)를 쌓아올리는 제 4 단계를 시공한다..
상기 제 4 단계의 시공 이후에는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를 반복시공하여 상기 구조체(22)와 단부 블럭을 해수면위로 소정의 높이까지 올라가도록 하 는 제 5 단계를 수행한다(도 11e 참조).
상기 제 5 단계의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구조체(22)의 상단과 단부 블럭의 상단을 일체로 결합시키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부콘크리트(42)를 완성하는 제 6단계를 시공한다(도 11f 참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벌집형 방파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가 설치된 항만에 해파가 밀려오면, 파도는 방파제의 외해쪽 면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파도는 일부가 상기 구조체(22)의 측면에 부딪혀 파력이 감소되고, 일부는 상기 구조체(22)의 중공을 통해 중공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상기 중공관으로 들어온 해파는 중공관 내부를 통과하면서, 파력이 대부분 감소되어 상기 방파제의 내해쪽에 이르러서는 잔잔하게 해수가 흘러든다.
한편, 해저면을 따라 흐르는 해류는 중공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를 관통하여 흐를 수 있으므로, 그 흐름이 끊기지 않고 흐르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벌집형 방파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방파제의 외해와 내해의 해수가 자유롭게 유통될 수 있으 므로 해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체가 일체의 구조물로 형성되지 않고 구조체들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구조체중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에 파손된 일부의 구조체만을 보수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그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파제의 외해쪽 전면에 해파의 파력을 모두 전달되지 않고, 구조체의 중공내부를 통해 고르게 전달되므로 방파제가 쇄굴될 우려가 적고, 따라서 방파제의 외해쪽에 테트라포트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본 발명의 경우, 구조체의 중공을 따라 바람이 통과할 수 있으므로 바람에 의한 풍하중이나 바람에 의한 침식우려 또한 적으며, 따라서 테트라포트와 같은 부대시공비용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방파제는 상부 콘크리트를 제외하고는 공장에서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조립하여 사용하므로, 콘크리트제품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크게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공기간이 단축된다. 시공기간의 단축은 시공비용의 절감뿐만 아니라 방파제와 같은 해양구조물의 경우에 매우 중요하다. 즉, 시공기간이 길어지면 시공기간 중에 기상변화 등에 의해 시공중인 구조물의 파손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공 기간이 단축되는 본 발명에서는 공기 단축에 의한 비용의 절감뿐만 아니라 시공기간 중에 시공중인 구조물이 파손될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해양 저면에 쇄석을 깔아 평평하게 다짐한 기초층과;
    상기 기초층위에 중공관으로 형성되는 방파제용 구조체가 다층 다단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기 위해 다층으로 쌓아 올려지는 단부블럭;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상기 단부블럭의 상면을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방파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파제용 구조체는,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정육각형 형태의 단면형태를 가지며,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방파제용 구조체가 적층되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이 체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방파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블럭은,
    일측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 몰된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단부블럭이 다층으로 적층시에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홈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방파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층의 전단부에는, 상단이 상기 기초층 상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지지말뚝이 구비되며,
    상기 단부블럭중 전방의 최하단 단부블럭에는 상기 지지말뚝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지지홈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말뚝의 돌출부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방파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층의 전단부는, 상단이 상기 기초층 상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지지말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부블럭중 전방의 최하단 단부블럭에는 상기 지지말뚝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지지홈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말뚝의 돌출부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방파제.
  6. 해양 저면에 쇄석을 깔아 평평하게 다짐한 기초층과;
    일부는 상기 기초층위에 중공관으로 형성되는 방파제용 구조체가 다층 다단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해수유통을 차단하도록 콘크리트 중량체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기 위해 다층으로 쌓아 올려지는 단부블럭;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상기 단부블럭의 상면을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방파제.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철근 콘크리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방파제.
  8. 해저면에 쇄석을 깔고 평평하게 다져 기초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초층위에, 정육각형의 단면을 가진 중공관으로 형성되는 방파제용 구조체를 병렬로 배치하는 제 2 단계와,
    배치된 상기 방파제 구조체의 전단과 후단에 상기 방파제 구조체를 지지하는 단부블럭을 설치하는 제 3 단계와,
    상부에 방파제 구조체를 다층으로 소정의 높이까지 쌓아 올리는 제 4 단계와,
    제 3 단계와 제 4 단계를 반복 시공하여 원하는 높이까지 상기 방파제 구조체 및 단부블럭을 쌓아 올리는 제 5 단계, 그리고
    원하는 높이까지 시공된 방파제 구조체의 상면과 단부블럭의 상면을 일체로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방파제의 시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기초층을 형성항 후에 상기 기초층의 전단부에 지지말뚝을 박되,
    상기 지지말뚝의 상단은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 단계는,
    하단면에 상기 지지말뚝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지지홈이 구비된 단부블럭을 상기 전단부 단부블럭으로 사용하여,
    상기 지지홈이 상기 지지말뚝의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전단부 단부블럭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방파제의 시공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사용되는 방파제용 구조체의 외주면에는,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방파제용 구조체를 적층시에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서로 결합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형 방파제의 시공방법.
KR1020060130212A 2006-12-19 2006-12-19 벌집형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04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212A KR100704431B1 (ko) 2006-12-19 2006-12-19 벌집형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212A KR100704431B1 (ko) 2006-12-19 2006-12-19 벌집형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338A Division KR100798116B1 (ko) 2005-09-13 2005-09-13 벌집형 해수유통 방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717A true KR20070030717A (ko) 2007-03-16
KR100704431B1 KR100704431B1 (ko) 2007-04-09

Family

ID=4162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212A KR100704431B1 (ko) 2006-12-19 2006-12-19 벌집형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48B1 (ko) * 2007-03-22 2008-06-17 범아건설 주식회사 벌집형 해수유통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KR102607803B1 (ko) * 2023-10-12 2023-11-29 주식회사 쿠도해양기술 조립형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직립식 해안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147B1 (ko) 2009-09-14 2011-12-06 한국해양연구원 커튼식 방파제 시공방법
KR102483769B1 (ko) * 2019-02-19 2022-12-30 김석문 정온도 향상을 위한 방파제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530B2 (ja) * 1987-03-23 1996-03-13 株式会社クボタ 波浪吸収消波ブロツクおよびこのブロツクを用いた消波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48B1 (ko) * 2007-03-22 2008-06-17 범아건설 주식회사 벌집형 해수유통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KR102607803B1 (ko) * 2023-10-12 2023-11-29 주식회사 쿠도해양기술 조립형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직립식 해안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4431B1 (ko) 2007-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141B2 (en) Wave-attenuating system
US7704013B2 (en) Prefabricated breakwater
JP6619204B2 (ja) 締切工法および止水壁構造体
KR100704431B1 (ko) 벌집형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
CN212103878U (zh) 一种防波堤构件及其防波堤结构
JP2007217952A (ja) 杭式桟橋及びその補強工法
KR100798116B1 (ko) 벌집형 해수유통 방파제
US20080310919A1 (en) Breakwater
KR100705725B1 (ko) 벌집형 방파제용 구조체
KR100837848B1 (ko) 벌집형 해수유통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KR101312920B1 (ko) 보강부재가 형성된 폰툰, 폰툰조립체 및 폰툰조립체 제조방법
JP6630610B2 (ja) 防波構造物の改良方法
KR102200448B1 (ko)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KR100714234B1 (ko) 방파대
KR100649137B1 (ko) 벌집형 해수유통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CN111535247A (zh) 一种柔性网消浪装置及其使用方法
JPH1121847A (ja) 護岸防波堤等の波返部補強工法
KR200255723Y1 (ko) 조립식 가물막이 구조
CN110939100A (zh) 一种防波堤构件及其应用
KR101639187B1 (ko) 소파블록
JP3772945B2 (ja) フーチングケーソン及びこのフーチングケーソンの据付け方法
KR200263821Y1 (ko) 하천 시공용 다기능블록
KR200330339Y1 (ko) 조립식 잔교형 부두
JP6413954B2 (ja) 杭式壁体構造および杭式壁体集合構造ならびに壁体ユニット
KR200234644Y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frp로 제작된 합성구조틀을사용한 해상도로용 수중교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