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091A - 자력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력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091A
KR20070029091A KR1020060086752A KR20060086752A KR20070029091A KR 20070029091 A KR20070029091 A KR 20070029091A KR 1020060086752 A KR1020060086752 A KR 1020060086752A KR 20060086752 A KR20060086752 A KR 20060086752A KR 20070029091 A KR20070029091 A KR 20070029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agnetic
rotating body
electromagne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6421B1 (ko
Inventor
현성희
김재조
데이빗 대호 김
Original Assignee
현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성희 filed Critical 현성희
Priority to PCT/KR2006/00568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29971A1/en
Publication of KR2007002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02K49/1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permanent-magnet type
    • H02K49/102Magnetic gearings, i.e. assembly of gears, linear or rotary, by which motion is magnetically transferred without physical conta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near Motor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력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축(20)과, 회전축(2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고정 설치되며 다극성을 갖도록 착자된 회전체(30)와, 인접한 회전체(30)의 자장 영향권 내에 설치되어 회전체(30)를 자력의 인력 또는 반발력으로 구동시키는 전자석(40)과, 각 전자석(40)에 순차적으로 여자(勵磁)되도록 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초기 구동력의 동력 손실이 적어 고효율의 회전 토크(torque)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자성의 회전체와 전자석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로 브러쉬가 필요 없어 견고하고, 유지 및 보수가 거의 필요 없으며, 생산 단가가 저렴한 모터를 제공하며, 동일한 원리를 역으로 적용하면 자력 회전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모터, 회전체, 전자석, 발전기

Description

자력회전장치{MAGNETIC FORCE ROTA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자력회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자력회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자력회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자력회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작동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자력회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회전축
30 : 회전체 40 : 전자석
50 : 제어부
본 발명은 자력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력을 가지는 회전체와 전자석을 이용하여 회전 구동력을 얻는 자력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모터로 불리고 있는 것은 전류를 흐르게 해서 전자력에 의해 회전구동력을 얻는 것으로, 전기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자동력장치이다.
전자모터는 비교적 효율이 높고, 취급이 쉬운데다가 제어성도 좋다. 전원만 있으면 어디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대출력의 것으로부터 소형의 것까지 만들 수 있는 데다가, 여러 가지 특성을 갖는 여러 가지 형식의 것이 있으며, 용도가 넓고, 가정에서 공장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전자모터의 동작원리는 고전적인 전자력에 기초한 것이다. 즉, 자계중에서 자계와 직각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자계의 방향과 전류의 방향의 각각에 직각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을 중심축 둘레의 일정방향의 회전력이 되도록 자계와 전류의 상대적인 방향 관계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전류의 방향을 순차회전에 따라 전환하도록 하면, 동일방향으로의 회전이 계속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모터의 종류로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을 이용한 DC브러쉬모터와, 로터에 계자, 스테이터에 전기자 권선을 설치하고, 홀센서, 보통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를 이용하여 권선의 전류방향을 결정함으로써 브러쉬형의 모터와 같은 특성을 갖도록 하는 브러쉬리스 직류모터(Brushless DC Motor; "BLDC"라고도 함)와, 변압기의 구조와 완전히 동일하며 1차측과 2차측이 분리되는 유도전동기(Induction Motor)와, 공기와 철은 자속을 흘리는데 있어서 6000배의 차이를 보이고 이 원리를 이용하는 릴럭턴스 모터(Reluctance Motor)와, 스테핑모 터(Stepping Motor), 그리고 초음파 모터(Ultrasonic Motor), 직선 운동을 하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각각 다른 특성과 용도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여러 가지 형식과 넓은 용도를 갖는 전자모터이지만, 입력에너지에 대한 증식의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점이 있으며, 아울러 브러쉬 등의 설치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초기 구동력의 동력 손실이 적어 고효율의 회전 토크(torque)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자력회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성의 회전체와 전자석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로 브러쉬가 필요 없어 견고하며, 유지 및 보수가 거의 필요 없고, 생산 단가가 저렴한 자력회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축과,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고정 설치되며 다극성을 갖도록 착자된 회전체와, 인접한 회전체의 자장 영향권 내에 설치되어 회전체를 자력의 인력 또는 반발력으로 구동시키는 전자석과, 각 전자석에 순차적으로 여자(勵磁)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력회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과,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고정 설치되며 다극성을 갖도록 착자된 회전체와, 인접한 회전체의 자장 영향 권 내에 설치되어 회전체가 회전할 때 유기되는 유도 기전력을 외부로 유도하도록 코일이 권선된 전기자와, 전기자로부터의 유도 기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력회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자력회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자력회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자력회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자력회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작동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자력회전장치의 사시도이다.
자력회전장치는, 크게 회전축(20)과, 회전축(20)에 복수개 고정 설치되는 회전체(30)와, 회전체(3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석(40)과, 이 전자석(40)을 제어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축(20)은 하우징(10)의 양단 내측 중심에서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30)는, 회전축(20)의 축 방향을 따라 회전 밸런스를 고려해서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고정 설치된다. 도시된 회전체(30a, 30b, 30c, 30d)는 원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링형상의 플레이트, 다각형의 판상이거나 요철을 갖는 3차원 구조물 등이 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 이외의 임의의 구조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각 회전체(30a, 30b, 30c, 30d....n)는 마주보는 면 전체 또는 일부에 N, S극이 반복적으로 자화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주의 방사 방향을 따라 극성(N, S)이 번갈아 반복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8등분으로 분할되어 있지만 극성 분할이 2등분부터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체(30)는 반대 극성으로 대향된 다른 회전체(30)와 사이에 형성된 자력선으로부터 원주 방향의 자력선 분력이 생기도록 소정 범위 내의 각도로 오프셋(offset)되어 어긋난 상태로 회전축(20)에 고정된다.
회전축(20)에 고정되는 각 회전체(30)에 오프셋 각도가 0ㅀ인 경우에는 즉, 인접한 회전체(30)가 정반대 극성으로 대향되었을 때 자력선의 방향은 회전축(20)과 평행인(정방향, 부방향) 자력선만 가능하나, 오프셋 각도를 주면 기존 회전축(20)과 평행인 자력선이 원주 방향의 자력선과 회전축(20)에 평행인 자력선으로 분력이 생기게 되고, 이 분력 중 원주 방향의 자력선 분력이 이와 동일 또는 반대 극성의 자력선과 만났을 때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 때, 오프셋 각도는 회전체(30)가 정 반대 극성으로 대향 되었을 때의 자력선 방향 즉, 회전축(20) 방향과 원주 방향의 분력선이 만드는 사이각으로 정의되 고 0ㅀ보다 크고 90ㅀ 보다 적은(기준 자력선 방향으로부터 정방향 및 부방향으로 각각)범위에 있으며, 회전체(30)의 크기와 회전체(30)의 극성수에 따라 원주방향의 최대 분력이 얻어지도록 한다.
전자석(40)은, 인접한 회전체(30)의 사이 즉, 자장 영향권 내에 배치되어 회전체(30)의 원주 방향의 분력과의 인력 또는 반발력에 회전체(3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철심(41)에 코일(42)이 권취되고 코일(42)에 통전됨에 따라 극성이 자화되는 것이다.
전자석(40)은 2개의 다른 자극(N, S)을 발생되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설치되거나 하우징(10)의 일부를 전극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본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석(40a, 40b, 40c...n)은 각 회전체(30)의 사이에서 원주 방향의 분력에 영향을 주도록 회전축(20)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전자석(40)은 하우징(10)에 일단이 고정되며, 각 회전체(30) 사이에 고정되는 위치는 임의로 선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다른 전자석(40a, 40b, 40c...n)과 순차적으로 극성을 조절하여 회전체(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전자석(40)의 배치는 도 2의 제 2 실시에서와 같이, 회전체(30-1)의 사이 즉, 회전체(30-1)의 자장 영향권내에서 복수개의 전자석(40-1)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실시예에 나타난다.
여기서 소형의 모터제작에 적합하도록 회전축(20) 상에 2개의 회전체(30a-1)(30b-1)가 설치되며, 경우에 따라 2개 이상의 회전체(30-1)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회전체(30-1)(30b-1)의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전자석(40a-1)(40a-2)(40a-3)이 배치된다.
전자석(40a-1)(40a-2)(40a-3)은 회전체(30a-1)(30b-1)의 사이에서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나 접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제 3 실시예에서는, 회전축(20)상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회전체(30)가 배치되며, 이 회전체(30)는 마주보는 면 전체 또는 일부에 N, S극이 반복되어 자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체(30)는 마주하는 다른 회전체(30)와 반대 극성에서 원주 방향의 자력선 분력이 생기도록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 오프셋(offset)되어 어긋난 상태로 회전축(20)에 고정된다.
이러한 회전축(20)과 동일하게 회전체(30-2)를 구비한 회전축(20a)이 근접하여 설치된다. 즉, 회전체(30)의 사이사이에 또 다른 회전축(20a)의 회전체(30-2)가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원동 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피동 회전축(20a)이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 때, 다른 회전축(20a)의 회전체(30-2)는 원동 회전체(30)에 착자된 자화 극수와 다르게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원동 회전체(30)와 다른 회전 속도를 갖는 피동 회전체(30-2)를 구현할 수 있어서 가속 또는 감속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제 4 실시예는, 회전체(30-2) 대신 선형 운동을 하는 N, S극이 교대로 착자된 선형구조물(60)일 수도 있다. 여기서 선형구조물(60)이라 함은 임의의 체적을 갖는 구조물로 그 구조물의 일부에 일정 간격으로 N, S극으로 착자된 자화물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통칭한다. 즉, 인접한 원동 회전체(30)의 자 장 영향 범위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N, S극이 교대로 착자된 일정 길이의 선형구조물(60)이 회전축 방향과 직교 또는 일정 각도(회전체의 접선 방향)를 갖도록 근접하여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체(30)를 구동시키면 선형 구조물(60)도 연동하여 비접촉 선형 이동이 가능하다. 이 때, 선형구조물(60)이 곡선이면 곡선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N, S극이 교대로 착자된 선형구조물(60)을 고정하고, 이 선형구조물(60)의 자장 영향권내에서 인접한 원동 회전체(30)를 회전시켜 이동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전원(미도시)의 인가로 작동되는 제어부(50)는, 전자석(40)에 연결되어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50)는 회전체(3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미도시)을 구비하며,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원으로부터의 전류를 각 전자석(40)에 순차적으로 보내는 여자(勵磁)로 회전체(30)에 회전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50)를 통한 전자석(40)의 극성 변화에 따라 회전체(30)의 회전 방향이 바뀌어서 자력회전장치의 정, 역회전이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제 5 실시예는, 발전기로 사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위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품은 설명을 생략한다.
발전기의 구성은, 회전축(20)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2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고정 설치되며 다극성을 갖도록 착자된 회전체(30-3)가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축(20) 및/또는 회전체(30a-3,30b-3,30c-3,30d-3)의 일부 또는 전부에 직간접적으로 가해지는 외부 에너지를 받아 회전축(20)과 회전체(30a- 3,30b-3,30c-3,30d-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회전 수단(31)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회전수단(31)은 팬(fan)형태 이면 가능하다.
그리고 이 회전체(30a-3,30b-3,30c-3,30d-3) 사이의 인접하는 자장 영향권 내에 회전체(30a-3,30b-3,30c-3,30d-3)의 회전력에 의해 전류가 유기되는 유도 기전력을 외부로 유도하도록 코일이 권선된 전기자(70)가 설치되고, 각 전기자(70)에는 순차적으로 유기된 유도 기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력회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실시예를 도 5a로 하여 설명하면, 예시된 바와 같이, 어긋나서 마주하는 회전체(30a)의 N-1과 회전체(30b)의 S-1의 사이에서 자력선은 점선 방향으로 흐르나, N-1과 S-1이 서로 대향 위치가 어긋나 있기 때문에 일점쇄선과 같은 자력선이 흐르게 되며, 이 때, N-1으로부터 이어지는 일점쇄선의 일단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실선의 분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실선의 자장 영향권내에 위치된 접선 방향의 전자석(40a)에서는, 제어부(50)의 구동으로 전원을 인가 받아 N, S극이 동시에 발생하고, 그 중 N극이 회전체(30a)(30b)의 사이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회전체(30a)의 N-1은 전자석(40a)의 N극에 대한 반발력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같이 회전축(4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전자석(40a)의 극성 변화로 회전체(30a)(30b)의 사이에 S극이 위치하였을 경우에는, 회전체(30a)의 N-1은 전자석(40a)의 S극에 대한 인력으로 회전체(30a)가 회전축(20)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회전체(30a)의 회전 범위는 반발력이 0이 되는 위치로 대략, 대향하는 극성의 θ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는 전자석(40)의 권선 등에 의하여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축(20)에 연결된 다른 3개의 회전체(30a, 30c, 30d)도 θ각도만큼 회전력이 부여되며, 두 개의 전자석(40b)(40c)에는 여자가 되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회전체(30a)의 회전 정도를 검출수단(미도시)에서 감지하고, 이 검출수단이 제어부(50)에 신호를 보내어 첫 번째 전자석(40a)의 전류 흐름을 끊고, 두 번째의 전자석(40b)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된다.
5b에서는 θ만큼 회전된 회전체(30)는 전자석(40b)을 사이에 두고 회전체(30b)의 N-2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체(30c)의 S-2가 위치되며, 여기에서도 N-1과 S-1에서와 같이 실선의 분력이 시계 방향으로 발생되고, 이 분력이 두 번째 전자석(40b)의 인가로 하여 N-2의 반발력에 따라 회전체(30)가 연속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5c에서도 마찬가지로 회전체(30c)(30d)에서도 동일 방법으로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작동 방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서 회전축(20)은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구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 6을 참고하면, 제 1 실시예와 같이 어긋나서 마주하는 회전체(30a-1)의 N-1과 회전체(30b-1)의 S-1의 사이에서는 화살표 방향의 분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실선의 자장 영향권내에 위치된 전자석(40a-1)에서는 N극이 발생되고, 회전체(30a-1) N-1의 분력은 전자석(40a-1)의 N극에 대한 반발력으로 회전체(30a-1)가 회전축(20)과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 때, 전자석(40a-1)의 극성 변화로 회전체(30a-1)(30b-1)의 사이에 S극이 위치하였을 경우에는, 회전체(30a-1)의 N-1은 전자석(40a-1)의 S극에 대한 인력으로 회전체(30a-1)가 회전축(20)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회전체(30-1)의 회전 범위는 반발력이 0이 되는 위치로 대략, 대향하는 극성의 θ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는 전자석(40-1)의 권선 등에 의하여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두 개의 전자석(40b-1)(40c-1)에는 여자가 되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회전체(30a-1)의 회전 정도를 검출수단(미도시)에서 감지하고, 이 검출수단이 제어부(50)에 신호를 보내어 첫 번째 전자석(40a-1)의 전류 흐름을 끊고, 두 번째의 전자석(40b-1)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이와 같이 원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자석(40b-1)(40c-1)에 전원이 인가되면, 극성 변화에 따라 각 해당 회전체(30-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연속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체(30)의 각 사이에 회전축(20a)의 회전체(30-2)가 위치됨으로써, 회전체(30)의 회전력이 자 장 영향권이 배치된 회전체(30-2)에 미쳐서 회전체(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회전체(30-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회전체(30)가 반시계방향일 때는 회전체(30-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 3 실시예는 마주하여 역회전되는 두 개 이상의 회전축을 필요로 하는 동력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4 실시예는, 회전 운동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인접한 회전체(30)의 자장 영향권 내에서 회전축(20)에 대하여 도시된 직교방향 또는 일정 각도로 배치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선형구조물(60)에 회전체(30)의 회전에 따른 분력이 미치면, 이 분력이 회전체(30)의 접선 방향으로 배치된 선형구조물(60)의 N, S극과 만나게 되고, 이에 따라 인력 또는 반발력으로 선형구조물(60)이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 길이의 선형구조물(60)이 직선 이동된 후, 회전체(3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선형구조물(60)의 일정 길이 내에서 반복 선형 운동을 하게 된다. 반대로 선형구조물(60)을 고정하고 회전체(30)를 이동 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나 선로 위를 운행하는 기차 또는 문의 개폐 등과 같이 직선 운동을 요하는 운반 수단에 활용할 수 있다.
발전기로 사용되는 제 5 실시예의 구동은, 외부의 힘 즉, 바람이나 수력으로부터 회전축(20) 및/또는 각 회전체(30a-3,30b-3,30c-3,30d-3)상에 설치된 회전수단(31)이 회전을 시작하게 되며, 각 회전체(30a-3,30b-3,30c-3,30d-3)의 회전에 의하여 착자된 다극의 극성은 서로 극성이 어긋나 있음으로 하여 각 회전체(30a- 3,30b-3,30c-3,30d-3)의 사이에 위치된 전기자(70)에 순차적으로 전류를 유기시키게 된다.
이에 순차적으로 유기된 유도 기전력을 제어부(80)로 제어하면서 외부로 전달하여 부하(미도시)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처럼 자력회전장치장치는,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는 회전체(30)의 사이에서 전자석(40)의 여자 작용으로 반발력이 발생되어 초기의 손실이 최소화된 동력으로 하여 효율이 매우 높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적용 범위가 많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력회전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력회전장치는, 초기 구동력의 동력 손실이 적어 고효율의 회전 토크(torque)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자성의 회전체와 전자석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로 브러쉬가 필요 없어 견고하고, 유지 및 보수가 거의 필요 없으며, 생산 단가가 저렴한 모터 및 발전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고정 설치되며 다극성을 갖도록 착자된 회전체와,
    상기 인접한 회전체의 자장 영향권 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를 자력의 인력 또는 반발력으로 구동시키는 전자석과,
    상기 각 전자석에 순차적으로 여자(勵磁)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력회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근접하여 마주하는 상기 회전체가 원주 방향의 자력선 분력이 생기도록, 반대 극성으로 대향된 상태로부터 정방향 또는 부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각도로 오프셋(offset)되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회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체의 마주보는 면 전체 또는 일부에 N, S극이 반복되어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회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판상이나 요철을 갖는 구조물 또는 복수개의 다른 크기와 다른 형상의 판상을 겹쳐 놓은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회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각 회전체의 사이에서 원주 방향의 분력에 영향을 주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회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체의 사이에 복수개의 전자석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회전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회전체에 대하여 접선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회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철심에 코일이 권취되고 상기 코일에 통전됨에 따라 극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회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극성 변화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이 바뀌어 정,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자력회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와 동일수 이거나 다른 수의 회전체를 가지며 각 회전체의 착자수가 상기 회전체와 동일하거나 다른 회전체를 갖는 회전축이 상기 회전체의 자장 영향권 내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원동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피동 회전축이 반대 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며, 상기 피동 회전체를 상기 원동 회전체의 회전수와 다르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회전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N, S극이 교대로 착자된 일정 길이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선형 구조물이 인접한 상기 회전체의 자장 영향권내에 상기 회전축과 직교 방향 또는 일정 각을 유지하도록 근접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선형 구조물의 길이 내에서 직선 또는 일정 각도의 곡선으로 반복 선형운동을 하거나, 반대로 고정된 선형 구조물의 자장 영향권내에서 상기 회전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자력회전장치.
  12.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고정 설치되며 다극성을 갖도록 착자된 회전체와,
    상기 인접한 회전체의 자장 영향권 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때 유기되는 유도 기전력을 외부로 유도하도록 코일이 권선된 전기자와,
    상기 전기자로부터의 유도 기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력회전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및/또는 상기 회전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직간접적으로 가해지는 외부 에너지를 받아 회전축과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회전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회전장치.
KR1020060086752A 2005-09-08 2006-09-08 자력회전장치 KR100816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5683 WO2008029971A1 (en) 2006-09-08 2006-12-22 Magnetic rot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3645 2005-09-08
KR1020050083645 2005-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091A true KR20070029091A (ko) 2007-03-13
KR100816421B1 KR100816421B1 (ko) 2008-03-25

Family

ID=3783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752A KR100816421B1 (ko) 2005-09-08 2006-09-08 자력회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224550A1 (ko)
JP (1) JP2009509482A (ko)
KR (1) KR100816421B1 (ko)
CN (1) CN101443988A (ko)
DE (1) DE112005003694T5 (ko)
WO (1) WO20070299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802090A2 (pt) * 2008-05-23 2010-01-19 Associacao Keppe & Pacheco motor elÉtromagnÉtico e equipamento gerador de torque de trabalho
KR101532786B1 (ko) * 2008-12-24 2015-06-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붐 또는 암이 회전 거동할 수 있는 굴삭기
GB0905343D0 (en) 2009-03-27 2009-05-13 Ricardo Uk Ltd A flywheel
GB0905344D0 (en) 2009-03-27 2009-05-13 Ricardo Uk Ltd A flywheel
GB0905345D0 (en) 2009-03-27 2009-05-13 Ricardo Uk Ltd A flywheel
CN102428630B (zh) * 2009-04-03 2014-04-02 罗伯特·M·琼斯 包覆模制的液体冷却三堆叠马达
KR101151376B1 (ko) 2009-11-19 2012-06-08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발전기능이 있는 건설기계의 스윙시스템
GB2479926B (en) * 2010-04-30 2016-05-11 Atherton Nigel Electricity generator
GB201019473D0 (en) 2010-11-17 2010-12-29 Ricardo Uk Ltd An improved coupler
GB201106768D0 (en) 2011-04-20 2011-06-01 Ricardo Uk Ltd An energy storage system
JP6142799B2 (ja) * 2012-01-20 2017-06-07 株式会社Takumi 永久磁石型回転機
JP5960068B2 (ja) * 2013-01-17 2016-08-0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回転電機システム
KR101584509B1 (ko) * 2014-11-17 2016-01-15 석세명 자력회전 가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
US10608509B2 (en) 2016-10-17 2020-03-31 Roul Delroy MARTIN Rotatable electric machines
CN110566984B (zh) * 2019-08-06 2021-04-13 江西齐劲材料有限公司 一种锅炉炉渣余热回收利用系统
KR20230028165A (ko) 2021-08-19 2023-02-28 김상렬 자력회전장치
WO2023144859A1 (ja) * 2022-01-25 2023-08-03 須山弘次 磁石反転式モーター兼発電機
CN114587512B (zh) * 2022-02-28 2024-02-27 蓝帆外科器械有限公司 医用水刀器械和医用水刀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2313A (en) * 1930-04-05 1932-08-16 F L Cowan Magnetic motor
US4358693A (en) * 1981-06-15 1982-11-09 Charles L. Palmer Permanent magnet motor
US4520300A (en) * 1982-12-06 1985-05-28 Fradella Richard B Brushless ultra-efficient regenerative servomechanism
US4745345A (en) * 1986-12-02 1988-05-17 Camatec Corporation D.C. motor with axially disposed working flux gap
US5179307A (en) * 1992-02-24 1993-01-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Direct current brushless motor
CA2246367A1 (en) * 1998-09-02 2000-03-02 Phillip G. Adams A two-phase stepper motor
JP2003204663A (ja) * 2002-01-09 2003-07-18 Aidekku Kk 回転装置
KR20040021749A (ko) * 2002-09-04 2004-03-11 (주)드림에너지 자력 발전기
JP2004248422A (ja) * 2003-02-14 2004-09-02 Moric Co Ltd 磁石界磁型回転電気機器
JP2005245079A (ja) * 2004-02-25 2005-09-08 Kohei Minato 磁力回転式モータ発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24550A1 (en) 2008-09-18
KR100816421B1 (ko) 2008-03-25
WO2007029905A2 (en) 2007-03-15
DE112005003694T5 (de) 2008-07-17
CN101443988A (zh) 2009-05-27
WO2007029905A3 (en) 2009-04-30
JP2009509482A (ja)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421B1 (ko) 자력회전장치
US6552460B2 (en) Brushless electro-mechanical machine
US7148596B2 (en) Magnetic rotating motor generator
JPS62171458A (ja) 磁力回転装置
JP4727819B2 (ja) ロータリー装置を制御するシステム
US5917261A (en) Motive power generating apparatus utilizing energy of permanent magnet
US20110074232A1 (en) Pulsed multi-rotor constant air gap switched reluctance motor
US10523098B1 (en) Progressive magnetic rotation motor
WO2013073416A1 (ja) 回転電機
JP5091425B2 (ja) 磁力発電装置
AU769122B2 (en) Universal electric motor with variable air gap
WO2003065551A1 (fr) Moteur electrique a ecartement axial
JP5763198B2 (ja) 磁気駆動送風機又は発電機
KR20220107356A (ko) 발전기 전기자의 좌우측에 회전계자 장치하여 좌우계자가 서로 역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 발전장치
WO2012070514A1 (ja) 永久磁石を用いた回転装置
JP2004336880A (ja) 磁束量可変磁石型ロータ
RU2440660C2 (ru) Возбудитель механических колебаний
TWM566946U (zh) 具有最適槽數配置之馬達
EP1076402A2 (en) A permanent magnet electric motor
KR100610157B1 (ko) 발전기 및 전동기의 겸용 사용을 가능케 하는 회전기
WO2008029971A1 (en) Magnetic rotating device
KR20230028165A (ko) 자력회전장치
JP2023082228A (ja) シンクロナスモーターおよびモーターアッセンブリ
KR100594884B1 (ko) 내각 회전자형 에스알엠 모터
JP2016171615A (ja) 電動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