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657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이용한 약속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이용한 약속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657A
KR20070028657A KR20050080165A KR20050080165A KR20070028657A KR 20070028657 A KR20070028657 A KR 20070028657A KR 20050080165 A KR20050080165 A KR 20050080165A KR 20050080165 A KR20050080165 A KR 20050080165A KR 20070028657 A KR20070028657 A KR 20070028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appointment
user
schedul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8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680B1 (ko
Inventor
나세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680B1/ko
Publication of KR20070028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68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 이용한 약속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 명의 사용자 또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약속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약속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응답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스케줄러의 승낙그룹, 거절그룹, 무응답그룹, 수정그룹 중 하나에 상기 응답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흔히 사용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기능을 연동하여 사용자가 한 명의 사용자 또는 다수의 사용자와의 약속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와의 약속의 경우 승낙, 거절, 무응답자의 명단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단문메시지서비스, 스케줄러, 약속관리.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 이용한 약속관리방법{METHOD FOR APPOINTMENT MANAGEMENT USING SHORT MESSAGE SERVICE AND SCHEDUL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약속메시지 전송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약속메시지 수신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러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 이용한 약속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이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 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이 급격히 늘면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파일뷰어(file viewer), 파일전송, 3D UI(User Interface), 스케줄러(scheduler)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단문메시지서비스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청소년층에서는 음성통화보다 단문메시지서비스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단문메시지서비스는 단순히 사용자의 전달메시지만을 교환하는 기본기능에 그치고 있다.
상기 스케줄러 기능은 사용자의 스케쥴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되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케줄러 기능을 개선하여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 기능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시간이 되면 스케줄러에 기록된 사용자들에게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도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단문메시지서비스 와 스케줄러 기능을 결합한 서비스도 각각의 단일 기능을 결합한 서비스이고 각각의 기능을 발전시킨 응용서비스를 아직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케줄러와 단문메시지서비스기능을 발전시켜 약속에 관련된 단문메시지를 수신시 상기 스케줄러에서 응답을 할 수 있는 기능과, 상기 응답결과가 상기 스케줄러에 반영되는 서비스를 아직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 이용한 약속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 기능과 스케줄러를 이용한 약속관리방법에 있어서, 한 명의 사용자 또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약속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약속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응답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스케줄러의 승낙그룹, 거절그룹, 무응답그룹, 수정그룹 중 하나에 상기 응답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약속메시지의 구성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단문메시지의 헤더(Header)에 약속메시지임을 나타내는 특정 플래그(Flag)를 추가하여 상기 약속메시지의 헤더를 생성하는 과정과, 기존의 단문메시지의 페이로드(Payload)에 상기 약속메시지의 수신대상을 표시하는 특정 문자와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할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 그리고 약속내용을 포함시켜 상기 약속메시지의 페이로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 기능과 스케줄러를 이용한 약속메시지 수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 후,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에 의한 참석, 불참, 보류 중 하나의 항목의 선택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 이용한 약속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롤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0)는 상기 이 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단문서비스 기능과 스케줄러의 기능을 이용한 약속관리 기능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102)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단문서비스 기능과 스케줄러의 기능을 이용한 약속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04)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쉬롬(flash ROM)(106)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특히,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단문서비스 와 스케줄러의 기능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108)는 0 ~ 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표시부(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 (11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스피커(116) 및 마이크(114)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2)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0)는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부(120)와 상기 제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약속메시지 전송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약속메시지는 단문메시지의 또 다른 형태로서 상기 단문메시지의 헤더에 특정 플래그(flag)를 추가한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210단계에서 사용자의 상기 약속메시지의 작성요구가 있다면 22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약속메시지의 내용을 입력받아 상기 약속메시지를 생성하고 225단계에서 상기 약속메시지 내용에 포함된 사용자에게 상기 약속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약속메시지는 한 명의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메시지와 다수의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2가지 메시지로 구분할 수 있고, 상기 2가지 메시지의 구분은 상기 약속메시지의 페이로드(Payload)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할 상대방의 이름과 전화번호도 상기 약속메시지의 페이로드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약속내용 그 자체도 페이로드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30단계에서 상기 약속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로부터 응답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2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응답메시지를 분석한다.
이후, 25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응답메시지가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약속모임에 참가한다는 참석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6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케줄러의 승낙그룹에 등록한다.
상기 스케줄러에는 약속시간과 함께 송신한 상기 약속메시지의 페이로드 내용 중 약속내용 자체가 스케줄러에 등록되고 상기 약속메시지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도 상기 스케줄러에 등록된다. 그리고 승낙, 거절 ,수정, 무응답 그룹을 생성하여 상기 약속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를 각기 항목에 포함시켜 구분한다.
만약, 270단계에서 상기 응답메시지가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약속모임의 날짜와 시간에 대한 수정요구를 포함한 수정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8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케줄러의 수정그룹에 등록한다.
상기 수정메시지는 한 명의 사용자에게 상기 약속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이다.
만약, 상기 270단계에서 상기 응답메시지가 수정메시지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9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응답메시지는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약속모임에 불참한다는 불참메시지이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케줄러의 거절그룹에 등록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듬을 종료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중 응답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사용자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케줄러의 무응답그룹에 등록한다.
이후, 사용자가 약속메시지를 다시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약속메시지 수신자를 다시 작성할 필요없이 스케줄러에 포함된 승낙, 거절, 무응답, 수정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별로 상기 약속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약속시간 1 시간전, 상기 스케줄러는 자동으로 등록된 약속내용을 표시부(10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약속시간이 얼마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이 경우, 스피커(116)로 특정음향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스케줄러에 등록이 된 상태에서 약속시간 전, 사용자가 스케줄러에서 상기 약속을 삭제하면 상기 스케줄러의 승낙그룹 과 수정그룹에 포함된 상대방에게 취소내용을 포함한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약속메시지 수신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300단계에서 상기 약속메시지 수신을 감지하면 3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한 약속메시지를 분석한다.
분석 후, 320단계에서 상기 약속메시지가 일대일 약속메시지일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33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상기 약속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날짜, 시간의 수정요구가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330단계에서 상기 수정요구를 감지하면 3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날짜, 시간을 변경한 수정메시지를 생성하고 350단계로 진행하여 수정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320단계에서, 상기 약속메시지가 일대일 약속메시지가 아닐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36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약속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참석결정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360단계에서 상기 참석결정을 감지하면 37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케줄러에 참석등록과 참석메시지를 생성하고 380단계에서 상기 참석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360단계에서 상기 참석결정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39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약속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불참결정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390단계에서 상기 불참결정을 감지하면 394단계로 진행하여 불참메시지를 생성하고 396 단계에서 상기 불참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390단계에서 상기 불참결정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392단계에서 상기 약속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결정을 참석보류로 처리한 후 상기 수신한 약속메시지를 저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듬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러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스케줄러의 화면 항목중 약속날짜(410), 약속내용(420) 항목은 약속메시지 전송시, 상기 약속메시지에 포함된 약속날짜와 약속내용을 나타낸다.
승낙그룹(430), 거절그룹(440), 무응답그룹(450), 수정그룹(460)에는 상기 약속메시지를 전송 후, 응답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 중 응답메시지 내용에 따라 분류한 사용자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가 약속메시지를 다시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약속메시지 수신 사용자를 다시 생성할 필요없이 상기 스케줄러 메뉴내에서 승낙그룹(430), 거절그룹(440), 무응답그룹(450), 수정그룹(460) 중 특정그룹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그룹의 사용자에게만 상기 약속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흔히 사용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 기능을 연동하여 사용자가 한 명의 사용자 또는 다수의 사용자와의 약속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와의 약속의 경우, 승낙, 거절, 무응답자의 명단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 기능과 스케줄러를 이용한 약속관리방법에 있어서,
    한 명의 사용자 또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약속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약속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응답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스케줄러의 승낙그룹, 거절그룹, 무응답그룹, 수정그룹 중 하나에 상기 응답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응답메시지를 수신한 후 다시 약속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케줄러에서 특정 그룹을 선택한 후, 상기 선택한 그룹의 사용자에게 약속메시지 또는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응답메시지가 불참메시지일 경우, 상기 스케줄러의 거절 그룹에는 상기 불참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응답메시지가 수정메시지일 경우, 상기 스케줄러의 수정 그룹에는 상기 수정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응답메시지가 참가메시지일 경우, 상기 스케줄러의 승낙 그룹에는 상기 참가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는 상기 스케줄러의 무응답 그룹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메시지는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한 명일 경우에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약속메시지의 구성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단문메시지의 헤더(Header)에 약속메시지임을 나타내는 특정 플래그(Flag)를 추가하여 상기 약속메시지의 헤더를 생성하는 과정과,
    기존의 단문메시지의 페이로드(Payload)에 상기 약속메시지의 수신대상을 표시하는 특정 문자와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할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 그리고 약속내용을 포함시켜 상기 약속메시지의 페이로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약속메시지의 수신대상은 한 명의 사용자, 다수의 사용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 기능과 스케줄러를 이용한 약속메시지 수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 후,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에 의한 참석, 불참, 보류 중 하나의 항목의 선택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약속메시지가 한 명의 사용자에게만 전송하는 메시지일 경우,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상기 약속메시지에 대한 약속날짜, 시간에 의한 수정요구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약속참석결정을 할 경우,
    참석메시지를 응답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약속불참결정을 할 경우,
    불참메시지를 응답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약속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결정을 하지 않은 경우,
    응답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80165A 2005-08-30 2005-08-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이용한 약속관리방법 KR10116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165A KR101161680B1 (ko) 2005-08-30 2005-08-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이용한 약속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165A KR101161680B1 (ko) 2005-08-30 2005-08-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이용한 약속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657A true KR20070028657A (ko) 2007-03-13
KR101161680B1 KR101161680B1 (ko) 2012-07-02

Family

ID=3810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165A KR101161680B1 (ko) 2005-08-30 2005-08-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이용한 약속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6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724B1 (ko) * 2008-06-10 2010-06-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약속 협의 방법 및장치
KR20140068469A (ko) 2012-11-28 2014-06-0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일정을 공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648A (ko) 2022-09-29 2024-04-05 현성환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845B1 (ko) * 2002-09-16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스케줄 전송 및 등록 방법
KR20040104106A (ko) * 2003-06-03 2004-12-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모임 통보서비스 방법
KR100556872B1 (ko) * 2003-07-15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정 관리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그룹 약속 서비스 방법
KR20030079854A (ko) * 2003-08-28 2003-10-10 장준현 휴대전화에 입력된 일정자료를 이용하여 상호간 중복을 피하면서 약속을 정하는 일정관리시스템
KR100593976B1 (ko) * 2004-02-1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그룹 스케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724B1 (ko) * 2008-06-10 2010-06-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약속 협의 방법 및장치
KR20140068469A (ko) 2012-11-28 2014-06-0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일정을 공유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680B1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12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ering a data backup service for mobile terminals
US2007010557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new message alert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20080102802A1 (en) Presence information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1212740A (zh) 一种提醒未读短信的移动通信终端及方法
KR10116168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이용한 약속관리방법
KR1006790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의 발신 취소 방법
JP2005086584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0762642B1 (ko)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및 그 단말기
US20080293442A1 (en) Broadcast message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888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신저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효과를가진 이모티콘 사용방법
KR200700756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체 메시지 작성 방법
KR10172914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748991B1 (ko) 메시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6811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KR2007003372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KR200700475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설정에 의한 자동응답 방법
JP2005266986A (ja) 移動通信システム、携帯電話機及びそれらに用いるチャットメールデータ転送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94563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sending a message with a call to a mobile device
KR101013657B1 (ko) 관용구 삽입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9667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약속 협의 방법 및장치
KR10062621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예약 발신하기 위한 방법
KR2007001633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파일분할 및 병합방법
KR1006898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JP2006033255A (ja) メール機能付き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407070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情報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