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7675A - 약액 정량주입 밸브 - Google Patents

약액 정량주입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7675A
KR20070027675A KR1020070015036A KR20070015036A KR20070027675A KR 20070027675 A KR20070027675 A KR 20070027675A KR 1020070015036 A KR1020070015036 A KR 1020070015036A KR 20070015036 A KR20070015036 A KR 20070015036A KR 20070027675 A KR20070027675 A KR 20070027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chemical
pressure
elastic plat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5314B1 (ko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Priority to KR1020070015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3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27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6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pressurised by contraction of elastic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61M2039/2433Valve comprising a resilient or deformable element, e.g. flap valve, deformable dis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이 담겨진 약액저장튜브의 수축압력에 연동하여 약액의 배출압력이 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약액의 배출압력을 감소시켜 인체로 주입되는 약액의 배출량이 작아지도록 하고, 약액의 배출압력이 기준치(약액저장튜브의 최저 수축압력)에 이르게 되면 약액의 배출속도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여 상시 일정한 양의 약액이 환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약액정량 주입밸브에 관한 것으로, 이는 몸체(20)의 내부중앙에 가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26)을 중심으로 그 상하방향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격실(22)(24)과; 상기 격벽(26)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28)내에 결합되고 그 하단에 형성된 하부결합부(42)를 통하여 탄성판(30)이 결합되어 상기 탄성판(30)의 상면에 가해진 약액의 배출압력에 따라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상기 관통공(28)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압로드(40)와; 상기 몸체(20)의 하부면(27)에 결합되면서 그 상단둘레에 형성된 만곡면(52)이 상기 탄성판(30)의 양단에 형성된 테두리면(32)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하판(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은 약액이 담겨진 약액저장튜브(230)의 수축압력에 연동하여 약액의 배출압력이 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탄성판(30)과 연동하는 가압로드(40)의 하강동작에 의해 관통공(28)을 폐쇄시켜 약액의 배출압력이 감소되도록 하여 인체로 주입되는 약액의 배출량이 작아지도록 하고, 또한 약액저장튜브(230)의 수축압력이 기준치에 이르게 되면 형태 변형되어 있던 상기 탄성판(30)이 원상태로 복귀되어 가압로드(40)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관통공(28)을 개방시켜 약액의 배출속도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시 일정한 양의 약액이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약액 정량주입 밸브{VALVE FOR INJECTING A FIXED QUANTITY MEDICINE}
도 1 a 는 종래 가스압력배출방식 및 자연낙하배출방식에 따른 약액의 배출량을 시간변화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
도 1 b 는 종래 풍선압력배출방식에 따른 약액의 배출량을 시간변화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
도 1 c 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주입밸브를 이용한 약액의 배출량을 시간변화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
도 2 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정량주입 밸브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가압로드가 상승한 상태에서의 약액의 배출경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2 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정량주입 밸브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가압로드가 하강한 상태에서의 약액의 배출경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정량주입 밸브가 약액저장수단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정량주입 밸브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정량주입 밸브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 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약액정량주입밸브 20:몸체
22:제1격실 23:유입구
24:제2격실 26:격벽
27:하부면 28:관통공
30:탄성판 32:테두리면
34:결합홈 40:가압로드
42:하부결합부 44:걸림턱
50:하판 52:만곡면
60:오링 70:스프링
80:약액주입수단 82:몸체
83:접촉단 84:하부결합부
85:절개부 86:커넥터몸체
87:통공 88:역류방지패드
89:약액주입구 100:케이스
200:약액저장수단 210:고정관
211:약액배출공 220:이동축
230:약액저장튜브 400:약액주입구
본 발명은 약액 정량주입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약액이 담겨진 약액저장튜브의 수축압력에 연동하여 약액의 배출압력이 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약액의 배출압력을 감소시켜 인체로 주입되는 약액의 배출량이 작아지도록 하고, 약액의 배출압력이 기준치에 이르게 되면 약액의 배출속도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여 상시 일정한 양의 약액이 환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약액 정량주입 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암이나 백혈병 등과 같은 중증의 환자에게는 특수의 항생제를 투여하게 되고, 또한 수술 후 지속적으로 통증이 따르는 환자에게는 통증을 신속히 가라앉히기 위해 일정한 시간주기로 진통제를 투여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암이나 백혈병 등과 같은 환자에게 투여되는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약액과는 달리 약의 특성상 미세한 량이 항상 일정하게 투여되어야 하는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투여방식은 약액이 투여되는 호오스에 사용자가 임의로 량을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를 갖추어 상기 조절부를 의료진(의사 및 간호사)이 직접 조작시켜 조절자의 육안에 의한 투여량을 조절시켜 주도록 하고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정확한 량이 투여되지 못함으로서, 이로 인해 수시로 투여량을 조절시켜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환자의 치료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의료진이 직접적으로 투여량을 수작업에 의해 조절시켜 주도록 하고 있어 조절된 약액의 투여량이 정상 수치에서 높을 경우 과다한 약액의 투여로 의한 혼수상태 및 쇼크사 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고, 이와는 반대로 투여량이 기준치보다 적을 경우 정확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항생제나 기타의 약액을 투여하는 도중에 진통제 등과 같은 다른 약액을 함께 투여하여 주고자 할 경우에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인체에 직접적으로 투여하거나 약액이 투여되는 호오스에 주사기를 꽂아 투여하도록 하고 있어, 인체에 직접적으로 투여할 경우 환자에게 많은 아픔을 주게 되어 환자의 안정을 해치게 됨은 물론, 호오스에 주사기를 꽂을 경우 잦은 투여에 의해 호오스가 손상됨에 따라 그 손상부위를 통해 투여되고 있는 약액이 누출되는 단점과 외부로부터의 균 침투로 인한 감염이 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호오스 및 약액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약액이 저장된 약액저장수단을 일정한 가스압력을 통하여 이를 가압하여 약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그러나 이러한 가스압력에 의한 약액배출방식은 첨부된 도면의 도 1 a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자연낙하방식의 배출방식과 마찬가지로 약액의 배출시간 초기로부터 말기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그 약액의 배출압력이 서서히 감퇴되어 약액의 배출량이 일정치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도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풍선압력에 의한 배출방식은 약 액이 담겨진 풍선이 서서히 수축되면서 그 수축압력에 의해 일정량의 약액이 지속적으로 환자에게 공급되도록 한 것이나, 그러나 이러한 풍선압력에 의한 약액배출방식도 첨부된 도면의 도 2 b 에 나타난 그래프와 같이 일정한 약액의 배출압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배출초기에 유지했던 풍선의 수축압력이 중기를 거치게 되면서 서서히 하향의 곡선을 그리게 되고 또한 중기에서 말기로 넘어가는 경우 풍선의 수축압력이 서서히 증가(풍선자체의 탄성에 의해 풍선내부에 담겨진 약액의 양이 적어지게 되면 급격이 수축되는 경향이 발생함)하여 약액의 배출량이 기준치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결국 정량의 약액공급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약액이 담겨진 약액저장튜브의 수축압력에 연동하여 약액의 배출압력이 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약액의 배출압력을 감소시켜 인체로 주입되는 약액의 배출량이 작아지도록 하고, 약액의 배출압력이 기준치에 이르게 되면 약액의 배출속도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여 상시 일정한 양의 약액이 환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약액 정량주입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정량주입밸브는, 몸체의 내부중앙에 가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을 중심으로 그 상하방향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격실과; 상기 격벽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내에 결합되고 그 하단에 형성된 하부결합부를 통하여 탄성판이 결합되어 상기 탄성판의 상면에 가해진 약액의 배출압력에 따라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상기 관통공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압로드와;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 결합되면서 그 상단둘레에 형성된 만곡면이 상기 탄성판의 양단에 형성된 테두리면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하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정량주입밸브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정량주입 밸브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가압로드가 상승한 상태에서의 약액의 배출경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고, 도 2 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정량주입 밸브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가압로드가 하강한 상태에서의 약액의 배출경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각각의 도면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정량주입밸브는 몸체(20)의 내부중앙에 가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26)을 중심으로 그 상하방향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격실(22)(24)과; 상기 격벽(26)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28)내에 결합되고 그 하단에 형성된 하부결합부(42)를 통하여 탄성판(30)이 결합되어 상기 탄성판(30)의 상면에 가해진 약액의 배출압력에 따라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상기 관통공(28)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압로드(40)와; 상기 몸체(20)의 하부면(27)에 결합되면서 그 상단둘레에 형성된 만곡면(52)이 상기 탄성판(30)의 양단에 형성된 테두리 면(32)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하판(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격실(22)의 일측에는 유입구(23)가 형성되어 이 유입구(23)를 통하여 약액의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제2격실(24)의 일측에는 배출구(29)가 형성되어 이 배출구(29)를 통하여 약액의 배출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격실(22)의 상부방향으로는 상부결합부(25)를 형성하여 이 상부결합부(25)를 통하여 약액주입수단(8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약액주입수단(8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상부결합부(25)에 대해 나사결합되는 하부결합부(84)를 포함하는 몸체(82)와; 상기 하부결합부(84)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면서 그 중앙에는 통공(87)이 형성되어진 커넥터몸체(86)와; 상기 커넥터몸체(86)의 상면에 안착되고 그 상부는 상기 몸체(82)의 내부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약액주입구(89)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반구형의 역류방지패드(8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가압로드(4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44)은 그 하부에 탄성재질의 오링(60)이 결합되어 이 오링(60)에 의해 상기 격벽(26)에 형성된 관통공(28)의 유로를 보다 긴밀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압로드(40)의 하부에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된 하부결합부(42)는 상기 탄성판(30)의 상부중앙에 형성된 결합홈(34)내에 탄성끼움 결합되어 탄성판(30)의 형태변형에 따라 상기 가압로드(4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정량주입 밸브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 면도로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판(30)은 그 재질을 경질화하면서 그 하부에 배치된 하판(50)사이에 스프링(70)과 같은 탄성수단이 결합되도록 하여 탄성판(30)의 형태변형이 아닌 탄성판(30)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가압로드(40)가 연동하여 상하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약액정량 주입밸브의 구체적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의 도2a, 도2b, 도3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정량주입 밸브(10)를 통해 환자의 신체내로 약액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약액량 조절수단(미도시)의 버튼조작을 통하여 유로를 개방하면 도면에 예시된 하나의 실시예인 약액저장수단(200)로 부터 약액이 서서히 배출된다.
즉 상기 약액저장수단(200)내에 담겨진 약액은 약액저장튜브(230)의 수축압력에 의해 배출압력이 발생되어 고정관(210)의 일측에 형성된 약액배출공(211)을 따라 연결관(300)통해 제1격실(22)내로 유입되어지고, 이렇게 제1격실(22)의 내부로 유입된 약액은 도2a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격벽(26)의 중앙에 형성되어진 관통공(28)을 통하여 제2격실(24)내로 유입됨과 동시에 그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29)를 통하여 환자에게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격실(22)을 통하여 제2격실(24)내로 유입된 약액의 배출압력이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그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된 배출압력에 상응하는 만큼 약액의 배출압력이 서서히 탄성판(30)의 상부에 작용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탄성판(30)은 첨부된 도면의 도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부분이 하판(50)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면서 그 상부에 결합된 원기둥 형태의 가압로드(40)를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20)의 제2격실(24)내에 유입된 약액의 압력이 기준치(탄성판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압력)이상으로 증가(압력이 증가하면 그 증가된 만큼 단위 시간당 약액의 배출량이 늘어나게 됨)하게 되면 그 압력증가에 비례하여 탄성판(30)의 중앙이 하향 변형됨과 동시에 그 상부에 맞물린 원기둥 형태의 가압로드(40)가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결국, 상기 걸림턱(44)의 하부에 결합된 오링(60)이 관통공(28)을 밀폐시키게 되면서 제1격실(22)내로 유입된 약액이 제2격실(24)내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2격실(24)내로의 약액공급이 차단되어도 상기 제2격실(24)의 일측에 마련된 배출구(29)를 통해 배출되는 약액량은 미세(상기 배출구(29)를 통해 배출되는 약액은 모세관형태로 구성되는 호오스를 통하여 환자에게 공급됨)하므로 급격한 배출압력의 상쇄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28)이 오링(60)에 의해 폐쇄되어 제2격실(24)내로의 약액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제2격실(24)내부에서의 약액 배출압력은 더 이상 상승됨이 없이 서서히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그 하강된 약액의 배출압력에 상응하는 만큼 탄성판(30)의 형태복원력이 발생하여 상기 가압로드(40)는 다시 서서히 상승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첨부된 도면의 도2a 와 같이 상승하게 되어 관통공(28)의 유로를 완전히 개방시켜 결국, 제1격실(22)에서 제2격실(24)로의 약액공급은 다시 반복하여 재개되어지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상기 탄성판(30)의 상면에 가해지는 약액의 배출압력에 따라 상기 탄성판(30)이 하부로 형태 변형되거나 복원되는 동작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되면서 이와 결합된 가압로드(40)도 승하강 동작을 반복하여 관통공(28)의 유로를 개폐시키게 됨으로서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약액정량 주입밸브(10)는 첨부된 도면의 도2c 에 나타난 그래프와 같이 상기 탄성판(30)이 형태 변형되는 시점을 정량기준(약액저장튜브(230)의 최소 수축압력기준)에 부합하여 제조할 경우 약액의 배출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단위 시간당 약액의 배출량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약액정량 주입밸브(10)는 첨부된 도면의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2)의 상부에 상부결합부(25)를 구비하고 이 상부결합부(25)에는 별도의 약액주입수단(80)을 결합하여 약액저장수단(200)으로의 약액공급을 첨부된 도면의 도 3 에 나타난 연결관(300)에 배치되는 약액주입구(400)를 통한 공급방식이 아닌 형태로 구성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약액주입수단(80)을 통한 약액저장수단(200)으로의 약액공급과정을 설명하게 되면, 우선 약액이 담겨진 주사기(미도시)의 선단노즐 부분이 몸체(82)의 내부중앙에 형성된 약액주입구(89)를 통하여 그 하단의 접촉단(83)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역류방지패드(88)의 중앙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역류방지패드(88)의 중앙부분이 눌려지게 되면서 유로가 형성되므로 상기 약액주입구(89)를 통하여 유입된 약액은 역류방지패드(88)의 양측에 형성된 절개부(85)와 커넥터몸체(86)의 중앙에 형성되어진 통공(87)을 거쳐 제1격실(22)의 내부로 공급되고 이렇 게 제1격실(22)의 내부에 공급된 약액은 그 일측의 유입구(23)를 통하여 약액저장수단(200)을 구성하는 약액저장튜브(23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정량 주입밸브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정량주입 밸브는 약액이 담겨진 약액저장튜브(230)의 수축압력에 연동하여 수축압력이 기준치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탄성판(30)과 연동하는 가압로드(40)의 하강동작에 의해 관통공(28)을 폐쇄시켜 약액의 배출압력이 감소되도록 하여 인체로 주입되는 약액의 배출량이 작아지도록 하고, 또한 약액저장튜브(230)의 수축압력이 기준치에 이르게 되면 그 약액의 배출압력에 의해 형태 변형되어 있던 상기 탄성판(30)이 원상태로 복귀되어 가압로드(40)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관통공(28)을 개방시켜 약액의 배출속도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시 일정한 양의 약액이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몸체(20)의 내부중앙에 가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26)을 중심으로 그 상하방향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격실(22)(24)과; 상기 격벽(26)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28)내에 결합되고 그 하단에 형성된 하부결합부(42)를 통하여 탄성판(30)이 결합되어 상기 탄성판(30)의 상면에 가해진 약액의 배출압력에 따라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상기 관통공(28)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압로드(40)와; 상기 몸체(20)의 하부면(27)에 결합되면서 그 상단둘레에 형성된 만곡면(52)이 상기 탄성판(30)의 양단에 형성된 테두리면(32)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하판(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정량 주입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실(22)의 일측에는 유입구(23)가 형성되어 이 유입구(23)를 통하여 약액의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격실(24)의 일측에는 배출구(29)가 형성되어 이 배출구(29)를 통하여 약액의 배출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격실(22)의 상부방향으로는 상부결합부(25)를 형성하여 이 상부결합부(25)를 통하여 약액주입수단(8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정량 주입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주입수단(80)은 상기 상부결합부(25)에 대해 나사결합되는 하부결합부(84)를 포함하는 몸체(82)와; 상기 하부결합부(84)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면서 그 중앙에는 통공(87)이 형성되어진 커넥터몸체(86)와; 상기 커넥터몸체(86)의 상면에 안착되고 그 상부는 상기 몸체(82)의 내부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약액주입구(89)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반구형의 역류방지패드(8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정량 주입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드(4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44)은 그 하부에 탄성재질의 오링(60)이 결합되어 이 오링(60)에 의해 상기 격벽(26)에 형성된 관통공(28)의 유로의 보다 긴밀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압로드(4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부(42)는 상기 탄성판(30)의 상부중앙에 형성된 결합홈(34)내에 탄성끼움 결합되어 탄성판(30)의 형태변형에 따라 상기 가압로드(4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정량 주입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30)은 그 재질을 경질화하면서 그 하부에 배치된 하판(50)사이에 스프링(70)이 결합되도록 하여 탄성판(30)의 형태변형이 아닌 상하 승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가압로드(40)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정량 주입밸브.
KR1020070015036A 2007-02-13 2007-02-13 약액 정량주입 밸브 KR10080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036A KR100805314B1 (ko) 2007-02-13 2007-02-13 약액 정량주입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036A KR100805314B1 (ko) 2007-02-13 2007-02-13 약액 정량주입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675A true KR20070027675A (ko) 2007-03-09
KR100805314B1 KR100805314B1 (ko) 2008-02-20

Family

ID=3810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036A KR100805314B1 (ko) 2007-02-13 2007-02-13 약액 정량주입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3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042B1 (ko) * 2013-07-09 2014-12-23 김용무 약물주입용 레귤레이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약물주입장치
CN107921198A (zh) * 2015-07-08 2018-04-17 W&G有限公司 输注器
KR20210053136A (ko) 2019-11-01 2021-05-11 김용현 약액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20041445A (ko) * 2020-09-25 2022-04-0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관절개 환자용 흡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492B1 (ko) 2011-07-29 2013-07-02 (주)이화메디텍 회전눈금을 구비한 약액주입기
KR101661400B1 (ko) * 2014-11-07 2016-09-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주입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2377A (en) * 1997-12-03 2000-05-16 Jervis B. Webb Company Air supported flat belt conveyor and method of conveying articles
KR100378940B1 (ko) * 1998-12-10 2003-04-08 장인국 압력유체 정량공급 및 공급조절장치
JP2003299732A (ja) * 2002-04-12 2003-10-21 Terumo Corp 薬液注入装置および薬液容器
KR100516446B1 (ko) * 2002-05-15 2005-09-26 주식회사 이화양행 주입량 조절장치
KR100531576B1 (ko) * 2003-05-03 2005-11-29 박연수 유체의 압력에 의한 유출 량 조절과 유체 자동차단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042B1 (ko) * 2013-07-09 2014-12-23 김용무 약물주입용 레귤레이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약물주입장치
WO2015005581A3 (ko) * 2013-07-09 2015-04-09 김용무 약물주입용 레귤레이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약물주입장치
US9987424B2 (en) 2013-07-09 2018-06-05 Young Mu KIM Regulator for drug infusion and drug infusion device including same
US10322232B2 (en) 2013-07-09 2019-06-18 Young Mu KIM Regulator for drug infusion and drug infusion device including same
CN107921198A (zh) * 2015-07-08 2018-04-17 W&G有限公司 输注器
KR20210053136A (ko) 2019-11-01 2021-05-11 김용현 약액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20220041445A (ko) * 2020-09-25 2022-04-0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관절개 환자용 흡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314B1 (ko)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3719B1 (en) Multireservoir implantable drug delivery pumps
US4013074A (en) Implantable medication-dispensing device
US7867203B2 (en) Implantable pump with adjustable flow rate
KR100805314B1 (ko) 약액 정량주입 밸브
JPS61113469A (ja) 埋め込み可能な薬剤投与組立体
AU2021203345B2 (en) Medical liquid administration device
US6500156B1 (en) Thumb-powered flushing device for catheters
JP4539382B2 (ja) 薬剤持続注入ならびに追加投与可能な患者制御鎮痛(pca)装置
US20080027415A1 (en) Vascular access device volume displacement
ITRM20010090A1 (it) Dispositivo e metodo per guidare e limitare l'accesso di aghi ipodermici al setto di un dispositivo impiantabile in esseri umani per trattam
KR20060043793A (ko)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
KR20050099951A (ko) 외부 주입포트가 구비된 약물주입기
KR102196122B1 (ko) 환자 제어식 약물 투여 장치
US11602595B2 (en) Medical fluid injector including bolus counter
KR200429641Y1 (ko)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수액세트
KR20200038827A (ko) 링거투여 안전장치
KR20020082640A (ko) 의료용 수액투여기 세트 안전장치
KR20030014825A (ko)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JP7213528B2 (ja) 加圧式医薬品注入器
CA3078139C (en) Medical fluid injector including bolus counter
JPH0338860B2 (ko)
KR20030014522A (ko) 주사액 수액세트의 혈액 역류방지장치
KR20200006760A (ko) 공기유입 자동 차단 수액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