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6062A - 광 플래쉬 생산 방법 및 촬상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광 플래쉬 생산 방법 및 촬상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6062A
KR20070026062A KR1020060081647A KR20060081647A KR20070026062A KR 20070026062 A KR20070026062 A KR 20070026062A KR 1020060081647 A KR1020060081647 A KR 1020060081647A KR 20060081647 A KR20060081647 A KR 20060081647A KR 20070026062 A KR20070026062 A KR 20070026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lor
color light
generating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256B1 (ko
Inventor
르네 피 헬빙
김 엥 츄
자넷 비 인 추아
우이 킨 군
데 린 모크
키 예안 엔지
Original Assignee
아바고 테크놀로지스 이씨비유 아이피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바고 테크놀로지스 이씨비유 아이피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바고 테크놀로지스 이씨비유 아이피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2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non-electronic flash apparatus; Non-electronic flash units
    • G03B15/04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ash apparatus; Arrangement of lamps, reflecto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3Control of the integration time
    • H04N25/531Control of the integration time by controlling rolling shutters in CMOS SSI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 H05B41/3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for single flash oper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05B45/22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using optical feedb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2Pulse-control circu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G03B2215/0567Solid-state light source, e.g. LED, la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광 플래쉬를 생산하기 위해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예로서 적색, 녹색 및 청색과 같은 하나 이상의 색의 광 펄스를 사용하는 광 플래쉬의 생산 방법 및 촬상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광원은 LED 다이들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색의 광들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 플래쉬 생산 방법 및 촬상 디바이스{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FLASH OF LIGHT WITH PULS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 플래쉬를 생산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의 픽셀 열들의 시차를 둔 출광 시간들과 전자 플래쉬의 LED로부터 방사된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의 발생 간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상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LED 광원으로부터 방사되어 광 플래쉬를 생산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광 펄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LED 광원으로부터 방사되어 출광 기간 동안 하나의 적색 광 펄스를 생산함으로써 광 플래쉬를 생산하는 적색 광 펄싱만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LED 광원으로부터 방사되어 출광 기간 동안 복수의 적색 광 펄스를 생산함으로써 광 플래쉬를 생산하는 적색 광 펄싱만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플래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전자 플래쉬(electronic flashes)는 사진 촬영에 있어서 추가의 광을 제공하여 카메라 또는 다른 촬상 디바이스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종래의 전자 플래쉬는, 아르곤, 크립톤, 네온 및 크세논과 같은 기체 또는 수은 증기와 같은 증기로 채워진 벌브(bulb)를 사용한다. 벌브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기체 또는 증기가 이온화되어, 전자들이 기체 또는 증기를 통해 흐르도록 한다. 이러한 전자들은 발광하는 기체 또는 증기의 원자들을 여기시킨다. 방사된 광의 파장 특성은 벌브 내의 기체 또는 증기에 따른다. 수은 증기의 경우, 방사되는 광은 자외선이며, 전형적으로 자외선은 필요치 않기 때문에 이것은 일반적으로 형광성의 재료를 사용하여 가시 광선으로 변환된다.
최근에, LED(light emitting diode)는 동작 효율에 있어 종래의 광원들뿐 아니라, 전자 플래쉬 내의 벌브를 대체할 정도로 향상되어 왔다. 현재의 LED는 자외선(UV),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IR) 파장 범위의 광을 방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LED는 좁은 폭(대략 ±10㎚)의 방출 스펙트럼을 갖는다. 예로서, 청색 InGaN LED는 470㎚±10㎚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녹색 InGaN LED는 510㎚±10㎚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적색 AlInGaP LED는 630㎚±10㎚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자 플래쉬는 전형적으로 연색성(color rendering)을 이유로 백색광 생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적색, 청색 및 녹색 LED와 같은 서로 다른 색의 LED가 하나의 전자 플래쉬에서 함께 사용되어 백색광 플래쉬를 생산한다.
LED 전자 플래쉬는 일반적으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를 갖는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된다. 이러한 CMOS 카메라에서, 전자 플래쉬의 LED는 출광(노출) 기간 동안 연속 모드(continuous mode)로 구동되며, 즉 LED들은 전체 출광 기간에 걸쳐 턴온된다. 그러나, 그들의 구조 때문에, CMOS 카메라는 픽셀 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를 판독한다. 따라서, 한 픽셀 열에서의 이미지 정보가 판독된 후에야, 다음 픽셀 열의 정보가 판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CMOS 이미지 센서 내의 모든 픽셀들에 대해 동일한 출광 시간을 유지하여 전체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해 각 픽셀 열에서의 출광 시간에 시차가 생기게 된다.
도 1은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열(10(1), 10(2), 10(3)...10(N-2), 10(N-1), 10(N))로부터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판독하는 시차형 출광 기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CMOS 이미지 센서의 각 픽셀 열에 대한 출광 시간(12) 및 판독 시간(14)이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픽셀 열(10(1))을 제외하면, 각 픽셀 열에 대한 판독 시간(14)은 이전 픽셀 열에 대한 판독 시간이 종료된 후에 시작된다. 결과적으로, 모든 픽셀 열에 대한 출광 시간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각 픽셀 열에 대한 출광 시간(12)이 인접한 픽셀 열에 대해 시차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전체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한 전체 출광 시간은, 제 1 픽셀 열(10(1))에 대한 출광 시간(12)이 t=t1에서 시작될 때 시작하여, 마지막 픽셀 열(10(N))에 대한 출광 시간이 t=tn에서 종료될 때 종료한다.
CMOS 카메라용 전자 플래쉬의 LED는 연속 모드로 구동되기 때문에, LED는 사전 정의된 휘도(I)를 갖는 광 플래쉬(16)를 생산하기 위해 전체 출광 기간 동안 턴온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광 기간의 시작 및 종료 시점 부근에서 전자 플래쉬의 LED로부터의 광(16)은 CMOS 센서 내 대부분의 픽셀 열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예로서, t=t1 내지 t=t2의 구간에서, 전자 플래쉬의 LED로부터의 광(16)은 CMOS 이미지 센서의 픽셀 열(10(1))에 의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전자 플래쉬의 LED로부터의 광(16)은 CMOS 이미지 센서를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면, LED에 의해 발생된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이미지 디바이스 및 LED를 사용하는 광 플래쉬의 생산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촬상 디바이스와 광 플래쉬를 생산하기 위해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예로서 적색, 녹색 및 청색과 같은 하나 이상의 색의 광 펄싱(pulsing)을 사용하는 광 플래쉬의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광원은 LED 다이들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색의 광들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색의 광 펄싱(pulsing)은 순차적으로 픽셀 열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촬상 센서를 사용할 때 광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플래쉬의 제조 방법은 출광 기간 동안 제 1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출광 기간 동안 제 2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출광 기간 동안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색 광의 펄스는 출광 기간보다 짧은 펄스 폭을 갖는다. 제 1 색 광, 제 2 색 광 및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은 광 플래쉬의 구성 요소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플래쉬 제조 방법은 출광 기간 동안 제 1 휘도를 갖는 제 1 색 광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와, 출광 기간 동안 제 2 휘도를 갖는 제 2 색 광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와, 출광 기간 동안 제 3 휘도를 갖는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색 광의 펄스는 출광 기간보다 짧은 펄스 폭을 갖는다.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의 제 3 휘도는 제 1 색 광의 제 1 휘도 및 제 2 색 광의 제 2 휘도보다 높다. 제 1 색 광, 제 2 색 광 및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은 광 플래쉬의 구성 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디바이스는 전자 플래쉬, 플래쉬 제어기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전자 플래쉬는 광 플래쉬를 생산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플래쉬는, 하우징 구조체(housing structure)와 하우징 구조체에 접속되는 제 1, 제 2 및 제 3 광원을 포함한다. 제 1 광원은 출광 기간 동안 제 1 색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2 광원은 출광 기간 동안 제 2 색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3 광원은 출광 기간 동안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플래쉬 제어기는 전자 플래쉬의 제 1, 제 2 및 제 3 광원에 접속되어 제 1, 제 2 및 제 3 광원을 활성화한다. 플래쉬 제어기는 전자 플래쉬의 제 3 광원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되어 출광 기간 동안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킨다. 제 3 색 광 펄스는 출광 기간보다 짧은 폭을 갖는다. 이미지 센서는 출광 기간 동안 대상 장면의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포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 및 장점들이 본 발명의 원리의 예를 도시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상 디바이스(20)가 도시된다. 디지털 촬상 디바이스(20)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또는 카메라 폰과 같은, 대상 장면의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디지털 촬상 디바이스(20)는 LED 플래쉬에 의해 발생된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외부의 광이 요구되는 조명 조건에서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해 동작되는 LED(light emitting device) 전자 플래쉬(2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촬상 디바이스(20)는 렌즈(24), 이미지 센서(26), ADC(AD 변환기)(28), 프로세서(30), 저장 디바이스(32), 플래쉬 제어기(34) 및 LED 플래쉬(22)를 포함한다. 디지털 이미지 디바이스(20)는 또한 종래의 디지털 이미지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 다른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상 디바이스의 특성이 불분명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도시 및 기술되지 않는다. 렌즈(24)는 대상 장면을 이미지 센서(26) 상으로 포커싱하여 그 장면의 이미지를 포착한다. 이미지 센서(26)는 출광 또는 노출 기간 동안 픽셀에 수신된 광에 상응하는 이미지 센서의 각 픽셀에서의 전하를 축적함으로써 전자적으로 이미지를 포착한다. 예로서, 이미지 센서(26)는 CMOS 센서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26)는 이미지 센서(26)의 모든 픽셀로부터의 축적된 전하가 한 열씩 순차적으로 판독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센서(26)의 픽셀로부터 전하를 축적하고 판독하는 프로세스는 보다 자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판독된 전하들은 ADC(28)로 전송되어, 신호 처리 과정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것이다.
촬상 디바이스(20)의 프로세서(30)는 ADC(28)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포착된 대상 장면의 디지털 이미지를 생산한다. 프로세서(3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디모자이킹(demosaicing), 이미지 개선 및 압축을 포함한다. 결과적인 디지털 이미지는 착탈 가능한 메모리 카드를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디바이스(32)에 저장된다. 프로세서(30)는 또한 플래쉬 제어기(34)를 통해 이미지 센서(26) 및 LED 플래쉬(22)와 같은, 촬상 디바이스(20)의 다양한 제어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LED 플래쉬(22)는 하우징 구조체(36), 광학적으로 투명한 커버(38) 및 LED 광원(40, 42, 44)을 포함한다. 하우징 구조체(36)는 LED 광원(40, 42, 44)에 대해 구조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하우징 구조체(36)는 LED 광원에 의해 발생된 광의 대부분이 유용한 광 플래쉬로서 커버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반사면(46)을 포함하여 LED 광원(40, 42, 44)에 의해 발생된 광의 일부를 광학적으로 투명한 커버(38)를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커버(38)는 LED 광원(40, 42, 44)으로부터 방사된 광을 조향시켜 더욱 포커싱된 광 플래쉬를 생산하도록 렌즈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LED 플래쉬(22)의 LED 광원(40, 42, 44)은 하우징 구조체(housing structure)(36)의 반사면(46) 상에 장착된다. LED 광원(40, 42, 44)은 LED들 또는 LED 다이로 패키지될 수 있다. LED 광원(40, 42, 44)은 밀봉재(48) 내에 밀봉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커버(38)는 밀봉재(48)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밀봉재(48)는 에폭시, 실리콘, 실리콘과 에폭시의 혼합물, 비결정질의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플루오르화 탄소, 유리 및/또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임의의 투명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각 LED 광원(40, 42, 44)은 특정 색의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LED 광원(40, 42, 44)은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되어, 방사된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의 혼합으로 백색광 플래쉬를 생산한다. 예로서, LED 광원(40)은 InGaA 기반의 LED 광원일 수 있으며, LED 광원(42, 44)은 InGaN 기반의 LED 광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LED 광원(40, 42, 44)은 혼합되었을 때 백색광 플래쉬를 생산할 수 있는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촬상 디바이스(20)의 플래쉬 제어기(34)는 LED 플래쉬(22)의 LED 광원(40, 42, 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래쉬 제어기(34)는 출광 기간 동안 LED 광원(40, 42, 44)으로 구동 신호를 제공하여 각 LED 광원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특정 색의 광을 방사한다. LED 광원(40, 42, 44)으로부터 방사된 광은 백색광 플래쉬일 수 있는 광 플래쉬를 생산한다. 후술된 바와 같이, 플래쉬 제어기(34)는 방사된 광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출광 기간 동안 LED 광원(40, 42, 44)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 플래쉬의 LED가 출광 기간의 전시간에 걸쳐 연속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이미지 센서의 각 픽셀 열에 대한 출광 시간에 시차가 있기 때문에 광 플래쉬의 상당 부분이 이미지 센서의 픽셀 열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만약 LED가 픽셀 열들의 전체 출광 시간 중에서 공통적인 기간 동안 광 펄스를 한꺼번에 방사하도록 구동된다면, 방사된 모든 광들이 이미지 센서의 픽셀 열들에 의해 사용될 것이다. 이것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이미지 센서(26)의 각 픽셀 열(10(1), 10(2), 10(3)...10(N-2), 10(N-1), 10(N))에 대한 출광 시간(12) 및 판독 시간(14)이 도시된다. 전체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한 통합 출광 기간은 제 1 픽셀 열(10(1))에 대한 출광 시간(12)이 t=t1에서 시작될 때 시작하여 마지막 픽셀 열(10(N))에 대한 출광 시간이 t=tn에서 종료될 때 종료한다. 만약 예로서, t3 내지 t4와 같은, 짧은 공통의 출광 기간 동안, LED 플래쉬(22)의 LED 광원(40, 42, 44)이 플래쉬 제어기(34)에 의해 구동되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 펄스(50)(도 3에 집합적으로 도시됨)를 생산한다면, 출광 시간 동안 LED 광원(40, 42, 44)으로부터 방사된 모든 광은 각 픽셀 열(10(1), 10(2), 10(3)...10(N-2), 10(N-1), 10(N))에 대해 사용될 것이다. 그러므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 펄스(50)의 폭(t4-t3)은 출광 기간에 비하여 상당히 짧다.
광 펄스(50)로부터 필요한 노출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LED 광원(40, 42, 44)으로부터 방사된 광의 휘도가 예로서 보다 높은 구동 전류와 같은, 보다 높은 구동 신호로 증가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종래의 광 플래쉬(16)의 휘도(I)보다 높은 휘도(I1)를 갖는 광 플래쉬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청색 또는 진한 녹색 광 을 방사하는 InGaN 기반의 LED 광원과 같은 일부 유형의 LED 광원에서, 높은 구동 신호를 사용할 때 광 출력 효율은 실질적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적색 및 황녹색 광을 방사하는 InGaA 기반의 LED 광원과 같은 다른 유형의 LED 광원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만약 하나 이상의 LED 광원(40, 42, 44)이 전자의 성질을 갖는다면, 그러한 LED 광원들은 광 펄스를 생산하도록 동작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이러한 LED 광원들은 표준 구동 신호를 사용하여 연속 모드로 구동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플래쉬 제어기(34)는 전체 출광 기간 동안 LED 광원(42)을 연속 모드로 구동시켜 휘도(I2)를 갖는 녹색 광(52)을 방사한다. 유사하게, 플래쉬 제어기(34)는 동일한 전체 출광 기간 동안 LED 광원(44)을 연속 모드로 구동시켜 실질적으로 휘도(I2)와 동일한 휘도(I3)를 갖는 청색 광(54)을 방사한다. 그러나, 플래쉬 제어기(34)는 출광 기간 동안 광원(40)을 펄스 모드(pulse mode)로 구동시켜, 방사된 녹색 광(52)의 휘도(I2) 및 방사된 청색 광(54)의 휘도(I3)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휘도(I4)를 갖는 적색 광 펄스(56)를 방사한다. 예로서, 적색 광 펄스(56)의 휘도(I4)는 방사된 녹색 광(52)의 휘도(I2) 또는 방사된 청색 광(54)의 휘도(I3)의 몇 배수일 수 있다. 적색 광 펄스(56)의 폭(t4-t3)은 실질적으로 출광 기간에 비하여 짧다. 예로서, 전체 출광 기간은 수십 ㎳일 수 있지만, 적색 광 펄스(56)의 폭은 수 ㎳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적색 광 펄스(56)는 각 픽셀 열(10(1), 10(2), 10(3)...10(N-2), 10(N-1), 10(N))의 모든 출광 시간의 공통 기간(t3 내지 t4) 동안 방사된다. 즉, 적색 광 펄스(56)는 각각의 픽셀 열(10(1), 10(2), 10(3)...10(N-2), 10(N-1), 10(N))이 광을 수신하도록 노출되어 있는 기간 동안 방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LED 플래쉬(22)의 LED 광원(40)이 동작되어 출광 기간 동안 하나 이상의 적색 광 펄스를 생산할 수도 있다.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LED 광원(40)이 동작되어 출광 기간 동안 세 개의 적색 광 펄스(58)를 생산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플래쉬 제어기(34)는 LED 광원(40, 42)을 전체 출광 기간 동안 연속 모드로 구동시켜 휘도(I2)를 갖는 녹색 광(52)과 휘도(I3)를 갖는 청색 광(54)을 각각 방사한다. 방사된 청색 광(54)의 휘도(I3)는 방사된 색 광(52)의 휘도(I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플래쉬 제어기(34)는 LED 광원(44)을 출광 기간 동안 펄스 모드로 구동시켜, 방사된 녹색 광(52)의 휘도(I2) 및 방사된 청색 광(54)의 휘도(I3)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휘도(I5)를 갖는 세 개의 적색 광 펄스(58)를 방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광 펄스(58)의 폭은 실질적으로 출광 기간에 비하여 짧다. 이 실시예에서, 적색 광 펄스(58)는 이미지 센서(26)의 각 픽셀 열(10(1), 10(2), 10(3)...10(N-2), 10(N-1), 10(N))이 그 출광 시간 동안 적색 광(58)의 세 개의 펄스 중 두 개의 펄스에 노출되도록 방사되고, 이에 따라 각 픽셀 열들은 출광 기간 동안 동일한 양의 적색 광에 노출되게 된다. 그러므로, 제 1 픽셀 열(10(1))은 적색 광(58)의 처음 두 펄스에 노출되고, 마지막 픽셀 열(10(N))은 적색 광(58)의 마지막 두 펄스에 노출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LED 플래쉬(22)의 LED 광원(40)이 동작되어 출광 기간 동안 세 개 이상의 적색 광 펄스를 생산할 수 있다. 사실, LED 플래쉬(22)의 LED 광원(40)은 이미지 센서(26)에 포함된 픽셀 열의 수와 동일한 수의 적색 광 펄스를 출광 기간 동안 생산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플래쉬의 생산 방법은 도 6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블록(602)에서, 출광 기간 동안 제 1 색 광이 발생된다. 제 1 색 광은 전체 출광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블록(604)에서, 출광 기간 동안 제 2 색 광이 발생된다. 제 2 색 광도 출광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블록(606)에서, 출광 기간 동안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이 발생된다. 제 3 색 광의 펄스는 통합 기간에 비해 짧은 폭을 갖는다. 제 1 색 광, 제 2 색 광 및 제 3 색 광 펄스는 광 플래쉬의 구성 요소이다. 도 6에서 블록(602) 내지 블록(606)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블록(602) 내지 블록(606)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기술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기술 및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형태 또는 부분의 배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것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에 의해 발생된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이미지 디바이스 및 LED를 사용하는 광 플래쉬의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20)

  1. 출광 기간(an integration period) 동안 제 1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제 2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색 광의 펄스는 상기 출광 기간보다 짧은 펄스 폭을 가지며, 상기 제 1 색 광, 상기 제 2 색 광 및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은 광 플래쉬의 성분인
    광 플래쉬 생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제 1 LED(light emitting diode) 다이에서 상기 제 1 색 광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제 2 LED 다이에서 상기 제 2 색 광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제 3 LED 다이에서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플래쉬 생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LED 다이에서 상기 제 1 색 광을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LED 다이에서 녹색 광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LED 다이에서 상기 제 2 색 광을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LED 다이에서 청색 광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LED 다이에서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LED 다이에서 적어도 한 펄스의 적색 광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플래쉬 생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제 1 휘도(intensity)를 갖는 제 1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제 2 휘도를 갖는 제 2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제 3 휘도를 갖는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휘도는 상기 제 1 휘도 및 상기 제 2 휘도보다 높은
    광 플래쉬 생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이미지 센서에 관련된 각 픽셀 열이 한 펄스의 제 3 색 광에 노출되도록 상기 출광 기간의 일부 기간 동안 상기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플래쉬 생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이미지 센서에 관련된 각 픽셀 열이 사전 결정된 복수의 펄스의 제 3 색 광에 노출되도록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플래쉬 생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상기 제 1 색의 광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플래쉬 생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상기 제 2 색의 광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플래쉬 생산 방법.
  9. 출광 기간 동안 제 1 휘도를 갖는 제 1 색 광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제 2 휘도를 갖는 제 2 색 광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제 3 휘도를 갖는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색 광의 펄스는 상기 출광 기간보다 짧은 펄스 폭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의 상기 제 3 휘도는 상기 제 1 색 광의 상기 제 1 휘도 및 상기 제 2 색 광의 상기 제 2 휘도보다 높으며, 상기 제 1 색 광, 상기 제 2 색 광 및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은 광 플래쉬의 성분인
    광 플래쉬 생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 광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는 제 1 LED 다이에서 상기 제 1 색 광을 연속적으로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색 광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는 제 2 LED 다이에서 상기 제 2 색 광을 연속적으로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제 3 LED 다이에서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플래쉬 생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LED 다이에서 상기 제 1 색 광을 연속적으로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LED 다이에서 녹색 광을 연속적으로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LED 다이에서 상기 제 2 색 광을 연속적으로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LED 다이에서 청색 광을 연속적으로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LED 다이에서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LED 다이에서 적어도 한 펄스의 적색 광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플래쉬 생산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이미지 센서에 관련된 각 픽셀 열이 한 펄스의 제 3 색 광에 노출되도록 상기 출광 기간의 일부 기간 동안 상기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플래쉬 생산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이미지 센서에 관련된 각 픽셀 열이 사전 결정된 복수의 펄스의 제 3 색 광에 노출되도록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플래쉬 생산 방법.
  14. 광 플래쉬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며, 하우징 구조체(housing structure)와, 상기 하우징 구조체에 접속되며 출광 기간 동안 제 1 색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 1 광원과, 상기 하우징 구조체에 접속되며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제 2 색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 2 광원과, 상기 하우징 구조체에 접속되며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 3 광원을 포함하는 전자 플래쉬와,
    상기 전자 플래쉬의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광원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광원을 활성화하고, 상기 전자 플래쉬의 상기 제 3 광원을 활성화하여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상기 출광 기간보다 짧은 폭을 갖는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플래쉬 제어기와,
    상기 출광 기간 동안 대상 장면의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포착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촬상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광원들은 LED 다이인
    촬상 디바이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은 녹색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광원은 청색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광원은 적색 광원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촬상 디바이스.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 제어기는 상기 제 1 광원을 활성화하여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제 1 휘도를 갖는 제 1 색 광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광원을 활성화하여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제 2 휘도를 갖는 제 2 색 광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 3 광원을 활성화하여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상기 제 1 휘도 및 상기 제 2 휘도보다 높은 제 3 휘도를 갖는 적어도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촬상 디바이스.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 제어기는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상기 이미지 센서의 각 픽셀 열이 한 펄스의 제 3 색 광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 3 광원을 활성화하여 상기 출광 기간의 일부 기간 동안 상기 한 펄스의 제 3 색 광을 발생시키는
    촬상 디바이스.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 제어기는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상기 이미지 센서의 각 픽셀 열이 사전 결정된 복수의 제 3 색 광 펄스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 3 광원을 활성화하 여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제 3 색 광 펄스를 발생시키는
    촬상 디바이스.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 제어기는 상기 제 1 또는 상기 제 2 광원 중 하나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출광 기간 동안 상기 제 1 색 광 또는 상기 제 2 색 광 중 하나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촬상 디바이스.
KR1020060081647A 2005-08-29 2006-08-28 광 플래쉬 생성 방법 및 촬상 디바이스 KR101249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15,609 2005-08-29
US11/215,609 US7400826B2 (en) 2005-08-29 2005-08-29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flash of light with pul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062A true KR20070026062A (ko) 2007-03-08
KR101249256B1 KR101249256B1 (ko) 2013-04-01

Family

ID=3710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647A KR101249256B1 (ko) 2005-08-29 2006-08-28 광 플래쉬 생성 방법 및 촬상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00826B2 (ko)
JP (1) JP2007068178A (ko)
KR (1) KR101249256B1 (ko)
CN (1) CN1924690B (ko)
GB (1) GB24297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0774A (ja) * 2002-12-27 2005-06-09 Casio Comput Co Ltd 照明装置及び撮像装置
WO2006033360A1 (ja) * 2004-09-21 2006-03-30 Nikon Corporation 携帯型情報機器
JP4254672B2 (ja) * 2004-09-21 2009-04-15 株式会社ニコン 携帯型情報機器
JP4407485B2 (ja) * 2004-11-12 2010-02-03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0527457A (ja) * 2007-04-18 2010-08-12 株式会社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 移動物体を撮像するための撮像方法及び撮像装置
US8253824B2 (en) * 2007-10-12 2012-08-28 Microsoft Corporation Multi-spectral imaging
JP2009139553A (ja) * 2007-12-05 2009-06-25 Samsung Techwin Co Ltd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5467797B2 (ja) * 2009-05-11 2014-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およびled点灯制御方法
WO2010151535A1 (en) * 2009-06-22 2010-12-29 The Board Of Regents For Oklahoma State University Handheld optical sensor for measuring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ve index in plants
CN106796388A (zh) * 2014-07-31 2017-05-3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来自发光二极管(led)投影仪的白色闪光生成
FR3057060B1 (fr) * 2016-10-03 2019-12-20 Tpl Vision Uk Ltd Interface de commande pour dispositif d'eclairage de vision industrielle
TWI621892B (zh) * 2017-06-19 2018-04-21 群光電子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相機模組
TWI807742B (zh) * 2022-03-30 2023-07-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具有閃光功能的電子裝置及閃光燈的驅動方法
CN114928699B (zh) * 2022-04-28 2023-08-01 中山大学 一种基于彩色数字相机的超快成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412A (en) * 1988-12-27 1991-04-23 The Boeing Company High frequency, low power light source for video camera
US6379022B1 (en) * 2000-04-25 2002-04-30 Hewlett-Packard Company Auxiliary illuminating device having adjustable color temperature
JP4288553B2 (ja) 2000-07-25 2009-07-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のストロボ装置
JP2003084344A (ja) * 2001-09-14 2003-03-19 Casio Comput Co Ltd 閃光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装置、閃光装置の色温度制御方法
US20050078477A1 (en) * 2002-08-12 2005-04-14 Chin-Feng Lo Light emitting diode lamp
JP2005150774A (ja) * 2002-12-27 2005-06-09 Casio Comput Co Ltd 照明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4309710A (ja) * 2003-04-04 2004-11-04 Stanley Electric Co Ltd 写真撮影用光源装置
JP2005073227A (ja) * 2003-08-04 2005-03-17 Sharp Corp 撮像装置
JP2005128413A (ja) * 2003-10-27 2005-05-19 Pentax Corp 照明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29793A (en) 2007-03-07
CN1924690B (zh) 2010-05-26
KR101249256B1 (ko) 2013-04-01
CN1924690A (zh) 2007-03-07
JP2007068178A (ja) 2007-03-15
US20070047946A1 (en) 2007-03-01
GB0616890D0 (en) 2006-10-04
US7400826B2 (en) 200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256B1 (ko) 광 플래쉬 생성 방법 및 촬상 디바이스
CN101645442B (zh) 发光二极管装置
KR101256933B1 (ko) 전자 플래시, 촬영 장치 및 광 플래시 생성 방법
US7551848B2 (en) Photographic light system,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ifferent types of photographic light using a single multifunctional light module
KR101383874B1 (ko) 전자 플래쉬, 촬상 디바이스 및 광 플래쉬 생성 방법
US7223956B2 (en) Electronic imaging system
EP1263215B1 (en) Control of flashlight in a digital camera
KR100752812B1 (ko) 조명장치, 영상장치용 조사방법 및 영상장치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2011233983A (ja) 撮像装置
US2006008299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output light having a wavelength spectrum in the infrared wavelength range and the visble wavelength range
US7463825B2 (en) Camera flash with improved color balance
CN1936689A (zh) 产生输出光的装置和方法
KR20090059043A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JP2006126814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4140117A (ja) カメラ装置及び撮像方法
KR100713179B1 (ko) 카메라모듈의 발광장치
JP5348455B2 (ja) 光源装置、プロジェクタ、及び光源装置の製造方法
KR200408502Y1 (ko) 카메라모듈의 발광장치
JP2005192058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