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767A -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767A
KR20070025767A KR1020050082278A KR20050082278A KR20070025767A KR 20070025767 A KR20070025767 A KR 20070025767A KR 1020050082278 A KR1020050082278 A KR 1020050082278A KR 20050082278 A KR20050082278 A KR 20050082278A KR 20070025767 A KR20070025767 A KR 20070025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formation
authentication
terminal
call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6598B1 (ko
Inventor
강문순
이종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82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598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93Notifying the calling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ed or connec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통화 인증 서버에서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통화 불가능한 상태의 착신 단말기로의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를 전화망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전화망으로부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전화망으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이력을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전화망은 통화 요청 이력을 착신 단말기로 전송함-를 포함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연결되지 않은 전화 통화 발신자의 공신력 있는 정보를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증 정보, 통화, 단말기, 전화망

Description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er of non-connected cal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에 따른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받은 단말기에서 인증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인증 서버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발신 단말기
30 : 전화망
31, 32 : 기지국
33, 34 : 기지국 제어기
35, 36 : 교환기
37, 38, 39 : 위치 등록기
50 : 통화 인증 서버
70 : 착신 단말기
본 발명은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성 통화를 이용하여 광고를 하는 경우가 많아, 전화기 사용자 특히 PCS,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더욱이, 공공기관, 금융기관 및 전화국 등의 특정 업체 또는 기관을 사칭하는 발신자에 의해 착신자의 사기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음성 통화 연결 시에 통화 연결되는 발신자가 누구인지 상대방 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 다.
현재, 음성 통화 연결 시에 전화를 건 발신측의 전화 번호를 알려주는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CNIP, Caller ID Presentation Service)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는 이미 알고 있는 번호 또는 주소록에 미리 저장된 번호 이외에는 상대방이 누구인지 알 수가 없다. 또한, 특정 기호 또는 번호를 입력하면 자신의 번호가 상대방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어서, 이 경우 착신자는 전화를 건 상대방의 번호마저도 확인할 수가 없다. 또한, 착신자가 모르는 번호의 발신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온 것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전화를 건 상대방이 누구인지 확인할 수가 없었다.
또한, 통화 연결 시에, 발신자가 원하는 문자 정보를 착신자의 단말기 상에 보여주는 서비스(CNAP, Caller Name Presentation Service)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 또한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보여주기를 희망하는 정보(즉, 자신에 대한 홍보, 자신을 나타내는 문자, 자신이 알리고 싶은 메시지 등)만이 전달될 수 있다.
특히, 단말기가 꺼져 있거나, 난청 지역에 위치하는 등에 따른 이유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전화를 건 발신자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가 없었다. 물론 자신에게 연결되지 않은 전화 통화 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예를 들어, 이동통신사의 캐치콜(catch call) 서비스)가 있으나 이는 발신 번호 등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여, 공신력있는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되지 않은 전화 통화 발신자의 공신력 있는 정보를 착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따르면, 통화 인증 서버에서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통화 불가능한 상태의 착신 단말기로의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를 전화망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화망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전화망으로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이력을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전화망은 상기 통화 요청 이력을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함-를 포함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인증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인증 정보 발급 기관으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요청 이력은 상기 전화망의 SMSC, LMSC 및 MMSC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망 또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인증 정보와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 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에만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전화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측면에 따르면, 전화망의 교환기에서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발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착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상기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이 가능하지 않음을 인식함에 따라, 통화 인증 서버로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통화 인증 서버는 상기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통화 가능 상태가 된 상기 착신 단말기에게 상기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이력을 제공함-를 포함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통화 인증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대방 인증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자신 인증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측면에 따르면, 전화망의 위치 등록기에서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호 요청을 수신한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경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이 가능하지 않음을 인식함에 따라, 통화 인증 서버로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통화 인증 서버는 상기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통화 가능 상태가 된 상기 착신 단말기에게 상기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이력을 제공함-를 포함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가 됨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인증 서버가 상기 착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 이력을 상기 착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착신 단말기 정보를 상기 통화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환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불가능 상태임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 1내지 제3측면에 따른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통화 요청 이력에 포함된 인증 정보 헤더를 인식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인증 표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발신자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전체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0), 착신 단말기(70), 전화망(30) 및 통화 인증 서버(50)를 포함한다.
발신 단말기(10) 및 착신 단말기(70)는 이동 통신망 및 유선 전화망을 통해 음성 통화가 가능한 PCS, PDA,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화기와 같은 일반 유선 단말기뿐만 아니라, 무선 랜(LAN) 단말기, 블루투스(Bluetooth) 단말기, 휴대인터넷 단말기 등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여 인터넷을 통해 음성 통화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되,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통화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자명해질 것이다.
전화망(30)은 이동 통신망 및 전화국을 통해 제공되는 유선 전화망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70)간의 음성 통화를 위한 채널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 통신망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유선 교환기를 포함하는 유선 전화망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전화망(30)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연결 시 발신자의 인증 정보(즉, 발신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하에서는 "발신자 인증 서비스"라 칭함)를 제공하기 위해 통화 인증 서버(50)와 연계하여 착신 단말기970)에게 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를 통화 인증 서버(50)로부터 취득하여 착신 단말기(70)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발신자 인증 서비스의 제공은, 발신 단말기(10)가 자신 인증 서비스에 가입되거나, 착신 단말기(70)가 상대방 인증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 수행된다. 즉, 발신 단말기(10)가 자신 인증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전화 통화에 따라 자신(즉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착신 단말기(70)에게 제공하는 것이며, 착신 단말기(70)가 상대방 인증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전화 통화에 따라 상대방(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발신 단말기(10)가 전화 통화 시 자신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자신 인증 서비스, 착신 단말기(70)가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상대방 인증 서비스라 칭하기로 하며, 두 서비스를 통틀어서 발신자 인증 서비스라 칭하기로 한다.
특히, 전화망(30)은 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착신 단말기(70)에게 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으로 제공한다. 전원이 꺼져있거나 통화권이 이탈된 지역에 위치해 있는 등 전화 통화가 연결되지 못하는 상황에 있는 착신 단말기(70)에게 전화를 건 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 또는 인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인증 정보 페이지가 위치한 서버의 URL을 착신 단말기(70)가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될 경우에 SMS, MMS 등을 통해 전송한다. 따라서, 착신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과 통화가 연결되지 못한 발신측의 공신력있는 인증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를 착신 단말기(70)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SMS, MMS 외에도 착신 단말기(70)에 고유의 IP가 할당된 경우에는 통화 인증 서버(50)가 직접 착신 단말기로 데이터 착신으로 해당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며, 이외의 인증 정보를 착신 단말기(70)에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인증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연결되지 못한 통화에 따른 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를 차후 착신 단말기(70)에게 제공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통화 인증 서버(50)는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화망(30)의 요청에 상응하여 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를 전화망(3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화망(30)은 통화 인증 서버(5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착신 단말기(70)로 제공한다.
또한, 통화 인증 서버(50)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상응하여, 발신 단말기(10)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대한 이력 정보를 착신 단말기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저장한다. 통화 요청 이력 정보로는 발신 단말기(10)의 전화번 호, 통화 시도 시간, 통화 시도 시의 발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한다. 따라서,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 상응하는 해당 착신 단말기(70)의 전원이 다시 켜지거나 통화 가능 지역에 위치하는 등, 착신 단말기(70)가 통화 연결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저장된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 따른 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를 전화망(30)과 연동하여 착신 단말기(70)에게 제공한다.
통화 인증 서버(50)는 공공기관, 금융기관 또는 음성 통화 시 공적으로 인증을 받기를 원하는 업체 또는 개인으로부터 인증 받기를 원하는 정보에 대한 자료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술한 해당 자료는 국세청과 같이 공적인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 정보 발급 기관(미도시)으로부터 발급되어 인터넷을 통해 전자문서로 통화 인증 서버(50)에 수신될 수도 있다.
따라서, 통화 인증 서버(50)는 미리 설정된 고유한 정보인 일련번호(예를 들어, 단말기 전화번호)와 그에 따른 인증 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전화망(30)으로부터 특정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해당 인증 정보를 전화망(30)에 제공한다.
이하, 이동 통신망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 및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전체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0), 기지국(31, 32), 기지국 제어기(33, 34), 교환기(35, 36), 위치 등록기(37), 통화 인증 서버(50) 및 착신 단말기(70)를 포함한다.
기지국(31, 32) 및 기지국 제어기(33, 34)는 각 단말기와 교환기(30, 35) 간의 통신을 위한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31, 32) 및 기지국 제어기(33, 34)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치 등록기(37)는 가입된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등록기(37)는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sister) 및 방문 위치 등록기(VLR, Visit Location Resister)가 있으며, 위치 등록기(37)는 연계되는 단말기의 가입된 서비스 정보, 호 연결을 위한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위치 등록기는 연계된 단말기의 전원이 온(On)되어 있는지 오프(Off)되어 있는지에 대한 단말기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즉, 수시로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통상적으로 위치 등록기(37)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 뿐만 아니라, 기타 가입된 다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발신 단말기(10)로부터 교환기(35, 36)를 경유하여 수신한 정보(발신 단말기 정보 및/또는 착신 단말기 정보)를 통해 특정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판단하고, 가입한 서비스가 있을 경우 해당 서비스에 상응하는 정보를 교환기(35, 36)에게 제공한다.
위치 등록기(37)는 연계된 단말기의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의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정보를 교환기(35, 36) 또는 지능망 교환기(39)에 제 공하거나, 통화 인증 서버(50)와 연동하여 인증 정보를 교환기(35, 36)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술한 위치 등록기(37)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모든 장치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착신 단말기(70)의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등록기를 착신측 위치 등록기 칭하기로 하며, 발신 단말기(10)의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등록기를 발신측 위치 등록기라 칭하기로 한다. 물론, 하나의 위치 등록기에서 발신 단말기(10) 및 착신 단말기(70)의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교환기(35, 36)는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70) 간의 음성 호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발신측의 교환기(35)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착신 단말기(70)의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착신측 위치 등록기로부터 해당 착신 단말기 정보(연계되는 교환기 및 경로 정보 등)를 취득하여 착신측의 교환기(36)와의 호를 설정한다. 여기서, 발신측의 교환기(35)는 착신측 위치 등록기로부터 착신 단말기(70)의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한다. 즉, 교환기(35)는 상대방 인증 서비스 가입 여부 또는 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위치 등록기가 직접 통화 인증 서버(50)와 연동할 경우)를 착신측 위치 등록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교환기(35)는 발신측 위치 등록기로부터 발신 단말기(10)의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한다. 즉, 교환기(35)는 자신 인증 서비스 가입 여부 또는 발신 단말기(70)의 인증 정보(위치 등록기가 직접 통화 인증 서버(50)와 연동할 경우)를 발신측 위치 등록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교환기를 발신측 교 환기(35), 착신 단말기(70)와 기지국(22)을 통해 연결되는 교환기를 착신측 교환기(36)라 칭하기로 한다. 물론, 하나의 교환기 처리 영역에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70)가 위치할 경우에는 하나의 교환기가 발신측 교환기(35) 및 착신측 교환기(36)의 기능을 수행함은 당연하다.
여기서, 전체 시스템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 서버는 기지국을 이용한 셀 방식으로 해당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나 향후 개발될 위치 정보 취득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치 정보 제공 서버는 취득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통화 인증 서버(50)로 직접 제공할 수 있으며, 교환기(35) 또는 위치 등록기(37)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를 통화 인증 서버(50)로 제공함에 있어서, 위도, 경도 등의 위치 좌표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강남역 사거리"와 같은 방식으로 간략화된 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이동통신망에서 통화 인증 서버(50)와 연동하여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첫번째는, 위치 등록기(37)에서 발신자 인증 서비스의 가입 여부를 판단하고, 서비스 가입 여부를 교환기(35)로 제공하여 교환기 (35)에서 통화 인증 서버(50)와 연동하여 해당 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를 착신 단말기(70) 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위치 등록기(37)가 직접 통화 인증 서버(50)와 연동하여 해당 인증 정보를 취득하여 교환기(35)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 인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 과정은 착신 단말기(10)가 상대방 인증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와, 발신 단말기(10)가 자신 인증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 따라 각각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에 따른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이유로 착신 단말기(70)의 전원이 꺼져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이외에도 통화권 이탈 등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착신 단말기(70)와 발신 단말기(10)간의 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자명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두가지 실시예 중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로 하되, 도 3은 착신 단말기(70)의 상대방 인증 서비스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발신 단말기(10)의 자신 인증 서비스에 따 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310에서 발신 단말기(10)는 기지국(31)을 통해 발신측 교환기(35)로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요청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기(10)는 착신 단말기(70)의 전화번호를 발신측 교환기(35)로 전송한다.
단계 315에서 발신측 교환기(35)는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로 호 연결을 위한 착신 단말기(70)로의 호 연결 경로를 요청한다. 단계 320에서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는 착신 단말기(70)의 전원이 꺼져있는 것을 확인한다. 또한, 착신 단말기(70)가 상대방 인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착신 단말기 상태 정보 및 상대방 인증 서비스 가입 정보를 단계 325에서 발신측 교환기(35)로 전송한다.
단계 330에서 발신측 교환기(35)는 착신 단말기(70)가 현재 전원이 오프된 상태라 통화 연결이 되지 않음과, 착신 단말기(70)의 상대방 인증 서비스 가입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인식함에 따라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를 통화 인증 서버(50)로 전송한다.
단계 335에서 통화 인증 서버(50)는 발신 단말기(10)의 통화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즉, 착신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도록 발신 단말기 정보, 통화 요청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는 발신 단말기(10)의 통화 요청 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는 GPS 수신기와 같은 위치 측정 수단을 구비한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기지국(31)의 셀 측정 방식 등을 이용하여 측정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단계 340 내지 단계 350에서 착신 단말기(70)의 전원이 켜지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로 전달된다.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는 착신 단말기(70)의 상태 정보를 변경한다.
단계 355에서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는 착신 단말기(70)가 통화가 가능한 상태임을 통화 인증 서버(50)에 알린다. 여기서,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는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단말기(즉, 착신 단말기(70)가 상대방 인증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일 경우에만 해당 착신 단말기의 서비스 가입 정보를 통해 해당 정보를 통화 인증 서버(50)로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로 위치 등록기(37)는 통화 불가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모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통화 인증 서버(50)로 알릴 수도 있다.
단계 360에서 통화 인증 서버(50)는 착신 단말기 정보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추출하고,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기(10)에 대한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통화 요청 이력(예를 들어, 발신 시간, 발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등)과 함께 착신 단말기(7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인증 정보 및 통화 요청 이력은 전화망(30)의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미도시) 또는 MMSC(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미도시)를 통해 SMS나 MMS로 전송될 수 있으며, 착신 단말기(70)에 고유의 IP가 할당된 경우에는 통화 인증 서버(50)가 직접 착신 단말기(70)로 데이터 착신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발신 단말기(10)의 자신 인증 서비스 가입에 따른 발신자 인 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410에서 발신측 교환기(35)는 발신 단말기(10)로부터 기지국(31)을 통해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415 내지 425에서 발신측 위치 등록기(39)는 발신측 교환기(35)로부터 수신한 발신 단말기(10)가 가입한 부가 서비스에 대한 가입 정보의 요청에 따라 자신 인증 서비스 가입 정보를 발신측 교환기(35)로 제공한다.
단계 430에서 발신측 교환기(35)는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로 호 연결을 위한 착신 단말기(70)로의 호 연결 경로를 요청한다. 단계 435내지 단계 440에서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는 착신 단말기(70)의 전원이 꺼져있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발신측 교환기(35)로 전송한다.
단계 445에서 발신측 교환기(35)는 착신 단말기(70)가 현재 전원이 오프된 상태라 통화 연결이 되지 않음과, 발신 단말기(70)의 자신 인증 서비스 가입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인식함에 따라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를 통화 인증 서버(50)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신측 교환기(35)는 발신 단말기(10)에게 통화가 연결되지 않음을 통보한다. 또한, 통화 연결되지 않음을 통보받은 발신 단말기(10)의 선택에 따라 착신 단말기(70)에게 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내역을 제공할지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자신 인증 서비스 가입된 발신 단말기(10)는 통화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해서 자신의 인증 정보를 제공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통화 인증 서버(50)는 발신 단말기(10)의 통화 요청에 상응하 는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단계 455 통화 인증 서버(50)는 이후 착신 단말기(70)에게 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이력을 제공하기 위해, 착신 단말기(70)가 통화 가능 상태가 될 시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해당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로 착신 단말기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460에서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는 착신 단말기(70)가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통화 인증 서버(50)로 제공할 수 있도록 수신한 착신 단말기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착신측 위치 등록기(38)가 통화 불가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모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통화 인증 서버(50)로 알릴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455 내지 단계 45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후, 단계 470 내지 단계 480에서 착신 단말기(70)의 전원이 켜지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로 전달된다.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는 착신 단말기(70)의 상태 정보를 변경한다.
단계 485에서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는 착신 단말기(70)가 통화가 가능한 상태임을 통화 인증 서버(50)에 알린다.
단계 490에서 통화 인증 서버(50)는 착신 단말기 정보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추출하고,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기(10)에 대한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통화 요청 이력과 함께 착신 단말기(70)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두가지 실시예 중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처리 절차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510에서 발신 단말기(10)는 기지국(31)을 통해 발신측 교환기(35)로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요청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기(10)는 착신 단말기(70)의 전화번호를 발신측 교환기(35)로 전송한다.
단계 515에서 발신측 교환기(35)는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로 호 연결을 위한 착신 단말기(70)로의 호 연결 경로를 요청한다. 단계 520에서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는 착신 단말기(70)의 전원이 꺼져있는 것을 확인하며, 또한 착신 단말기(70)가 상대방 인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따라서, 단계 525에서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는 현재 착신 단말기(70)와의 통화가 연결되지 못함을 발신측 교환기(35)에 알리고, 단계 530에서 착신 단말기(70)의 상대방 인증 서비스 가입에 따라 통화 인증 서버(50)로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따른 상대방 인증 정보 제공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즉, 착신측 위치 등록기(38)는 통화 인증 서버(50)가 차후 착신 단말기(70)가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될 경우 해당 발신 단말기(10)로부터의 통화 요청에 따른 통화 요청 이력 및 발신 단말기 인증 정보를 착신 단말기(70)에 전송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신측 교환기(35)는 발신 단말기(10)에게 통화가 연결되지 않음을 통보할 수 있다. 또한 단계 525 및 단계 530은 순서가 바뀔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단계 535에서 통화 인증 서버(50)는 발신 단말기(10)의 통화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단계 540 내지 단계 560은 상술한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단계 340 내지 단계 360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인증 정보를 제공할 때, 발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이에 대한 실시예 및 인증 정보 제공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출력 예시를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받은 단말기에서 인증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10)가 AAA은행의 전화 또는 AAA은행의 직원의 이동 단말기일 경우에 착신 단말기(70)에 표시되는 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가 각각 나타나 있다.
도 6은 발신 단말기(10)가 전화기일 경우의 착신 단말기(70)의 예시 화면이다.
예시 화면 610은 발신자 명칭에 대한 인증 정보만이 제공되는 것이며, 예시 화면 630은 개별 사업 부서가 통화 인증 서버(5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전화번호에 따른 사업 부서에 대한 내용이 인증 정보에 포함되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예시 화면 650과 같이 담당자 정보까지 통화 인증 서버(5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증 정보에 담당자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발신 단말기(10)가 PCS,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일 경우의 착신 단말기(70)의 예시 화면이다. 이 경우에는 위치 정보와 결합하여 보다 다양한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 화면 710 또는 예시 화면 730은 발신 단말기(10)가 AAA 은행 담당자라는 인증 정보와 함께 전화를 건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발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기(10) 사용자가 근무지로 등록한 위치와 발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가 상이할 경우에는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근무지 이외의 장소에 있을 경우에는, 근무에 상관없는 전화일 가능성이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처리 방법으로, 통화 인증 서버(50)는 단말기의 인증 정보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발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 교환기(35)(또는 위치 등록기(37))로부터 현재 발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와 비교한다. 따라서, 현재 발신 단말기(10)의 위치가 상기 인증 정보와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 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에만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정보임을 나타내는 인증 표시인 "[KTF 인증 정보]"는 발신 단말기(10) 사용자가 SMS를 통해 인용할 수 없도록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증 표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일 실시예로써 도 8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 810과 같이 단말기(10) 상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공간 이외의 공간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 또는 단말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에 미리 설정된 인증 표시(820)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10)는 인용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이력에 포함된 헤더를 분석하여, 인용 정보임을 나타내는 인증 정보 헤더가 포함된 경우 통화 요청 이력이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동안 단말기 상의 고정 영역(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 또는 단말기 상태 표시 영역)에 공신력 있는 인증 정보임을 나타내는 인증 표시(820)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단말기는 인증 정보 헤더를 수신하면 램프가 특정 색깔의 빛을 방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램프, 스피커(특정 소리) 등의 단말기 상태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인증 정보에 따른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가 인증 정보를 인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인증 서버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9에 따르면, 통화 인증 서버(50)는 저장부(51), 메시지 발송부(53), 송수신부(55), 제어부(57) 및 웹 페이지 제공부(59)를 포함한다.
저장부(51)는 인증 정보 및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물론 인증 정보와 통화 요청 이력 정보는 별도의 공간에 저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메시지 발송부(53)는 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이력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인증 정보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정보를 SMS, LMS, MMS 등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메시지 발송부(53)는 이동 통신망의 SMSC, LMSC, MMSC로 해 당 정보를 전송하여 착신 단말기(70)로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55)는 위치 등록기(37) 및 교환기(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즉, 위치 등록기(37) 및 교환기(35)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통화 연결되지 않은 통화 요청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등록기(37)로부터 통화 연결이 가능하게 된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 이력 정보 제공에 따른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메시지 발송부(53)를 통해 해당 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 또는 접속 정보를 전화망(30)의 SMSC, LMSC, MMSC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착신 단말기(7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57)는 위치 등록기(37)로부터 특정 단말기의 상태변경(통화 불가능 상태에서 통화 가능 상태로의 상태변경)을 수신함에 따라 해당 단말기의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확인하여 그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한 단말기(발신 단말기(10))의 인증 정보를 저장부(51)로부터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인증 정보를 등록하고자 하는 단말기로부터 직접 또는 인증 정보를 발급하는 인증 정보 발급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이를 등록하고 저장부(51)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와 연동된 인증 정보를 제공할 경우, 제어부(57)는 전화망(30) 또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발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정보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비교 결과 미리 설정된 위치 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현재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경우에만 해당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착신 단말기(70)에게 제공한다.
웹 페이지 제공부(59)는 단말기(인터넷 기능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게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SMS를 통해 접속 정보를 수신한 착신 단말기(70)는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 제공부(59)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되지 않은 전화 통화 발신자의 공신력 있는 정보를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신력 있는 인증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특정 기관, 업체, 개인 등을 사칭하는 발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피해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통화 인증 서버에서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통화 불가능한 상태의 착신 단말기로의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를 전화망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화망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전화망으로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이력을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전화망은 상기 통화 요청 이력을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함-
    를 포함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인증 정보 발급 기관으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 이력은 상기 전화망의 SMSC, LMSC 및 MMSC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망 또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인증 정보와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 정보의 일정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에만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전화망으로 전송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
  5. 전화망의 교환기에서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발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착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상기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이 가능하지 않음을 인식함에 따라, 통화 인증 서버로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 계-여기서, 상기 통화 인증 서버는 상기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통화 가능 상태가 된 상기 착신 단말기에게 상기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이력을 제공함-
    를 포함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통화 인증 서버로 전송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대방 인증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자신 인증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
  8. 전화망의 위치 등록기에서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통화 호 요청을 수신한 교환기로부터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 경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이 가능하지 않음을 인식함에 따라, 통화 인증 서버로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통화 인증 서버는 상기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통화 가능 상태가 된 상기 착신 단말기에게 상기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이력을 제공함-
    를 포함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가 됨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인증 서버가 상기 착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 이력을 상기 착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착신 단말기 정보를 상기 통화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
  10. 제 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통화 요청 이력에 포함된 인증 정보 헤더를 인식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인증 표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에 표시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 인증 정보 제공 방법.
  11.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화 불가능한 상태의 착신 단말기로의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를 전화망으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연결되지 않은 통화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 이력 정보를 저장하거나,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전화망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화망과 연동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통화 요청 이력 정보에 상응하는 통화 요청 이력을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메시지 발송부
    를 포함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 인증 서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송부는 상기 전화망의 SMSC, LMSC 및 MMSC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통화 요청 이력을 제공하는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통화 인증 서버.
KR1020050082278A 2005-09-05 2005-09-05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66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278A KR100766598B1 (ko) 2005-09-05 2005-09-05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278A KR100766598B1 (ko) 2005-09-05 2005-09-05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767A true KR20070025767A (ko) 2007-03-08
KR100766598B1 KR100766598B1 (ko) 2007-10-11

Family

ID=3809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278A KR100766598B1 (ko) 2005-09-05 2005-09-05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882B1 (ko) * 2009-10-12 2013-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싱 방지를 위한 발신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5825B2 (en) 2017-02-28 2019-02-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automated call based on preferences and conditions
US10681206B1 (en) 2018-12-05 2020-06-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tecting a spoofed cal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325A (ko) * 2003-01-13 2004-07-22 주식회사 웰게이트 불완료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30073627A (ko) * 2002-03-12 2003-09-19 주식회사 웰게이트 휴대전화 불완료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20030072285A (ko) * 2003-08-13 2003-09-13 양창호 유무선 통신의 발신 불완료호에 대한 문자 전송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882B1 (ko) * 2009-10-12 2013-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싱 방지를 위한 발신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598B1 (ko)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1107B2 (ja) 複数の受信機に電子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40023670A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mobile device to a group of mobile devices
KR1004203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상자의 현상태 표시 및 간편정보전송방법
KR100766598B1 (ko) 연결되지 않은 통화 발신자의 인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5635997A (zh) 呼叫请求的处理方法、呼叫请求的处理装置和服务器
KR100646377B1 (ko) 스팸 호 수신 거부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7332A (ko) 지능망을 이용한 휴대폰 위치확인 시스템
KR20060132254A (ko) 애칭 전송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60111112A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JP2018046530A (ja) Sms配信装置及びsms配信方法
KR100716680B1 (ko) 통화 상대방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16707B1 (ko) 통화에 따른 자신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62849B1 (ko) 불완료호 발신번호 통보 방법 및 시스템
KR100718454B1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착신자 위치 표시 시스템
KR100554373B1 (ko) 음성문자 통합 자동응답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687245B1 (ko)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위치정보 송수신 서비스 방법
KR101712151B1 (ko) 위치 기반 선택적 메시지 제공 방법
KR20060094301A (ko) 이동통신 상에서의 사용자 상태 감지별 호 연결,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7779B1 (ko) 위치 기반 선택적 메시지 제공 방법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101493061B1 (ko) 위치를 이용한 메시지 처리 방법
KR101564682B1 (ko) 위치 기반 선택적 메시지 출력 방법
KR101493071B1 (ko) 선택적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93066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동작 방법
KR10111927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자 상황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