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660A - 의류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660A
KR20070025660A KR1020050082067A KR20050082067A KR20070025660A KR 20070025660 A KR20070025660 A KR 20070025660A KR 1020050082067 A KR1020050082067 A KR 1020050082067A KR 20050082067 A KR20050082067 A KR 20050082067A KR 20070025660 A KR20070025660 A KR 20070025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water
steam
water tank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5111B1 (ko
Inventor
임명훈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2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1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된 의류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스팀 발생 장치; 및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탱크로 공급하는 저장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 착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에 의하면, 스팀 발생을 위한 구조가 단순화되고, 그 스팀 발생을 위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팀 발생 장치, 저장 용기, 안착부

Description

의류 재생 장치{Clothes refresh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에 채용되는 스팀 발생 장치 및 저장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스팀 발생 장치에 저장 용기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스팀 발생 장치 210 : 물탱크
211 : 물탱크 챔버 220 : 히터
230 : 스팀 발생 장치 케이싱 240 : 수위 감지부
260 : 공급 배관 280 : 저장 용기 안착부
281 : 유입구 300 : 저장 용기
310 : 저장 용기 챔버 320 : 손잡이
341 : 배출구
본 발명은 의류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된 의류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재생 장치는 내부에 의류를 보관/재생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의류 재생 장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또는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의류 재생 장치에 수납된 의류는 그 의류를 오염시킨 냄새 입자가 제거되거나, 구김이 제거되어 다림질 효과를 볼 수 있다.
의류 재생 장치에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물탱크와, 히터를 가진다. 물탱크 내에 수용된 물을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종래에는 물탱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탱크와 연결된 배관을 수도꼭지와 연결시켰다. 즉, 상수도에서 물탱크로 직접 물을 공급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종래의 물 공급 방식에 의하면, 지속적으로 물탱크에 물이 공급됨에 따라, 물탱크 내의 수량이 지속적으로 변하게 되어, 스팀 발생을 위하여 히터를 주기적으로 온/오프시켜야 하는 등의 제어가 요구된다. 따라서, 스팀 발생을 위해 복잡한 제어가 요구되는 등 스팀 발생을 위한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팀 발생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게 개선된 스팀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의류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스팀 발생 장치; 및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탱크로 공급하는 저장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 착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에 의하면, 스팀 발생 장치 내의 물탱크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저장 용기가 별도로 설치됨으로써, 스팀 발생 운정 중에 운전 정지없이도, 상기 물탱크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을 위한 스팀 운전 정지 등의 제어 등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스팀 발생을 위한 구조가 단순화되고, 그 스팀 발생을 위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류 재생 장치(100)는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을 개폐시키는 도어(12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의류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인 의류 수납홀(130)이 형성된다.
케이싱 하부(140)에는 스팀 발생 장치(200)와, 노즐(180)과, 스팀 공급관(213)과, 건조 덕트(170)가 설치된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에서 스팀이 발생 되면, 상기 스팀은 상기 스팀 공급관(213)을 통해 상기 노즐(180)로 이동되어, 상기 노즐(180)에서 상기 의류 수납홀(130)로 분사된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의 상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 용기(300)가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저장 용기(300)는 내부에 소정 양의 물이 저장되어,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에 공급된 물은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환된다. 상기 저장 용기(300)가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에 착탈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로의 물 공급이 원활해지면서, 상기 저장 용기(300)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이에 대하여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후술한다.
상기 건조 덕트(17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건조 덕트(170) 내부의 유로를 통해 유동된 다음 토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건조 덕트(170)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력을 발생시키는 팬(171)이 설치된다. 상기 팬(171)이 회전되면, 공기의 유동력이 발생된다. 그러면, 상기 유동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구를 통해 상기 건조 덕트(170)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상기 건조 덕트(170) 내부를 유동한 다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토출된 공기는 상기 노즐(200)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노즐(200)의 측방으로 상기 의류 수납홀(130)로 배출된다.
케이싱 상부(140)에는 배출구(161)가 형성된 배출 덕트(160)가 배치된다. 상기 의류 수납홀(130)로 배출된 스팀/공기는 상기 의류 수납홀(130) 내를 유동한 다음, 상기 배출구(1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의류 재생 장치(100)의 내부에는 니트류 등의 의류가 얹힐 수 있는 선 반(190)이 설치된다. 상기 선반(190)은 힌지(140)에 의해 상기 케이싱(110)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선반(190)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접힐 수 있어, 그 취급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선반(190)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110)의 대면되는 내벽에 순차적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선반(190) 중 하나가 상기 케이싱(110)의 좌측 내벽에 설치되면, 상기 선반(19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케이싱(110)의 우측 내벽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190)의 길이는 상기 의류 수납홀(130)의 폭보다 소정 길이만큼 작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선반(190)은 그 설치된 면과 대면되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벽과 소정 거리로 이격된다. 상기 선반(190)과 상기 케이싱(110) 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상기 의류 수납홀(130)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선반(190)이 설치되며, 상기 의류 수납홀(130) 내부에서 공기가 균일하게 퍼질 수 있다.
이하에서 의류 재생 장치(100)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선반(190)에 의류가 얹혀, 상기 의류 수납홀(130)에 수납된다. 그밖에, 별도의 옷걸이를 이용하여 의류가 상기 의류 수납홀(130)에 수납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의류 재생 장치(200)의 건조 기능이 작동될 때는, 상기 팬(171)이 작동된다. 그러면, 공기의 유동력이 발생되어, 상기 건조 덕트(17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상기 건조 덕트(170) 내부를 유동한 다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토출된 공기는 상기 노즐(200)을 통해 측방으로 상기 의류 수납홀(130) 내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공기는 상기 의류 수납홀(130)에 수납된 의류를 건조시킨다.
한편, 상기 의류 재생 장치(200)의 스팀 기능이 작동될 때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스팀이 발생된다. 발생된 스팀은 상기 노즐(200)를 통해 상기 의류 수납홀(130)로 분사된다. 분사된 스팀은 상기 의류 수납홀(130)에 수납된 의류에 작용하여, 의류를 탈취시키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 또는 상기 의류 수납홀(130)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킨다.
그 후, 상기 배출구(161)를 통해 상기 의류 수납홀(130) 내부의 스팀 및/또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스팀 및/또는 공기와 함께 악취를 유발하는 원인 물질 등이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에 채용되는 스팀 발생 장치 및 저장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스팀 발생 장치에 저장 용기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팀 발생 장치(200)는 스팀 발생 장치 케이싱(230)과, 스팀으로 변환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210)와, 상기 물탱크(210)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저장 용기(300)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러면, 중력에 의해 상기 저장 용기(300) 내의 물이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그 물 공급 구조가 단순화된다.
상기 물탱크(210)에는 공급 배관 연결부(214), 물탱크 챔버(211) 및 스팀 공 급관 연결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공급 배관 연결부(214)에는 상기 저장 용기(300)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통로인 공급 배관(260)이 연결된다. 상기 물탱크 챔버(211)에는 상기 공급 배관(260)을 통해 공급된 물이 저장된다. 상기 공급 배관(260) 상에는 솔레노이드 밸브(250)가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0)는 상기 공급 배관(260)을 개폐 수준을 조절하여, 상기 공급 배관(260)을 통한 물 공급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물탱크 챔버(211)에 저장된 물은 상기 히터(220)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환된다. 또한, 상기 스팀 공급관 연결부(212)에는 상기 물탱크(210)에서 발생된 스팀을 노즐(180)로 공급하는 통로인 스팀 공급관(213)이 연결된다.
상기 히터(220)는 상기 물탱크(210)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 챔버(211)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킨다. 상세히, 상기 히터(220)는 발열할 수 있는 히트 파이프(221)와, 상기 히트 파이프(221)와 전원을 연결시키는 단자(222)와, 상기 히터(220)를 상기 물탱크(210)에 결합시키는 고정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히트 파이프(221)는 상기 물탱크 챔버(211) 내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히터 파이프(221)에 의해 상기 물탱크 챔버(211) 내의 물이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220)와 상기 물탱크(210) 사이는 실링 부재(224)에 의해 밀폐되어, 상기 물탱크(210) 내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210)에는 수위 감지부(240)가 설치된다. 상기 수위 감지부(240)의 일부는 상기 물탱크 챔버(211) 내로 소정 길이로 길게 돌출되어, 상기 물탱크 챔버(211)의 수위를 감지한다. 그러면, 상기 수위 감지부(240)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0)와 연동되어, 상기 물탱크 챔버(211) 내부의 수위가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케이싱(230)에는 상기 저장 용기(300)가 안착되는 저장 용기 안착부(280)가 형성된다. 상기 저장 용기 안착부(280)에는 상기 저장 용기(3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벽(27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 용기 안착부(280)에는 상기 저장 용기(300)에서 물이 유입되는 통로인 유입구(28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 용기 안착부(280)의 일측에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케이싱(230)이 소정 길이로 연장된 지지벽(27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벽(271)은 상기 저장 용기 안착부(280)에 안착되는 상기 저장 용기(300)가 신뢰성있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 용기(300)의 측면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저장 용기(300)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저장 용기(300)에는 저장 용기 챔버(310)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 용기 챔버(310)에 물이 저장된다. 상기 저장 용기(310)는 외부의 물 공급원과 독립적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다. 즉, 상기 저장 용기(310)는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1회 정도의 물 공급에 의해 물을 저장한 다음,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로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 용기(310)는 그 저장된 물이 대부분 소진된 후, 다시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저장 용기(310)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물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저장 용기(31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 배관 등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저장 용기(300)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그 제조 및 취급이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용기(300)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저장 용기(300)는 상기 저장 용기 안착부(280)에 안착되고, 그 측면이 상기 가이드 벽(270)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면, 상기 저장 용기(300)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용기(300)의 하단부에는 배출구 형성부(340)에 배출구(341)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341)는 상기 유입구(281)와 맞추어져서, 상기 저장 용기 챔버(310)의 물을 상기 공급 배관(260)으로 유입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저장 용기(300)가 상기 저장 용기 안착부(28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유입구(281)/상기 배출구(341)를 통해 유동되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저장 용기(300) 하단면에는 별도의 실링 부재(330)가 설치된다. 신뢰성있는 밀폐를 위하여, 상기 실링 부재(330)는 상기 배출구(341)를 폐곡선으로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 용기(300)의 용량, 즉 상기 저장 용기 챔버(310) 내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양은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의 스팀 발생량에 따라 조절된다. 상기 저장 용기(300)의 용량은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의 1회 스팀 발생량에 대응되는 물의 양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저장 용기(300)에 1회의 물 공급이 이루어진 후, 별도의 추가적인 물 공급없이도,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의 충분한 스팀 발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의 작동 중에, 상기 저장 용기(300)에 추가적인 물 공급을 하기 위하여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를 작동 정지시키는 등의 제어가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 므로,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에서의 스팀 발생을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저장 용기(300)의 일측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손잡이(32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320)는 상기 저장 용기(300)가 착탈될 때, 사용자의 용이한 파지를 위한 부분이다.
이하에서 상기 저장 용기(300) 및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저장 용기(300)로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급수된다. 그러면, 공급된 물은 상기 저장 용기 챔버(310) 내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 용기 챔버(310) 내에 적정 수준, 즉 적어도 1회의 스팀이 발생될 수 있을 정도의 물이 저장되면 상기 저장 용기(300)로의 물 공급이 차단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저장 용기(300)가 상기 저장 용기 안착부(280)에 안착된다. 그러면, 상기 저장 용기(300)는 상기 가이드 벽(270)과, 지지벽(271)에 의해 지지되어, 신뢰성있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341)와 상기 유입구(281)가 맞추어지고, 실리 부재(330)에 의해 실링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 용기(300)가 상기 저장 용기 안착부(280)에 안착된 다음, 상기 저장 용기(300)로의 급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후,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0)가 열리면, 상기 저장 용기 챔버(310)의 물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0)를 지나 상기 공급 배관(260)을 통해 유동된다. 유동된 물은 상기 물탱크(210) 내로 유입되어, 상기 물탱크 챔버(211)에 수용된다. 상기 물의 공급은 상기 히터(220)가 잠길 정도로 공급된다.
그런 다음, 상기 히터(2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히터(220)가 발열된다. 그러면, 상기 히터(220)가 상기 물탱크 챔버(211)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킨다. 발생된 스팀은 상기 스팀 공급관(213)을 통해 상기 노즐(180)로 유동된다. 유동된 스팀은 상기 노즐(180)을 통해 상기 의류 수납홀(130)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스팀이 발생되고, 분사되는 중에는,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저장 용기(300)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저장 용기(300) 내에 저장된 물이 상기 물탱크(210)로 공급된다. 따라서,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물탱크(21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스팀 발생을 위한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이 운전이 정지되지 아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요구되는 스팀량이 발생될 때까지, 상기 스팀 발생 장치(200)의 운정 정지없이, 스팀 발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후, 발생된 스팀량이 요구되는 양에 부합되면, 상기 히터(220)의 전원이 차단되어, 스팀 발생 운전이 정지된다. 이 때, 상기 저장 용기(300)에 다음 스팀 발생 운전을 위해 요구되는 수량이 보충되어야 하면, 외력에 의해 상기 저장 용기(300)가 제거된다. 제거된 저장 용기(300)에 상술된 바와 같이 외부 물 공급원으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 완료된 상기 저장 용기(300)는 상기 저장 용기 안착부(280)에 재안착되어, 다음 스팀 발생 운전을 위해 대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에 의하면, 스팀 발생 장치 내의 물탱크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저장 용기가 별도로 설치됨으로써, 스팀 발생 운정 중에 운전 정지없이도, 상기 물탱크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을 위한 스팀 운전 정지 등의 제어 등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스팀 발생을 위한 구조가 단순화되고, 그 스팀 발생을 위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스팀 발생 장치; 및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탱크로 공급하는 저장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 착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물탱크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는 상기 저장 용기가 안착되는 저장 용기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 안착부에는 상기 저장 용기에서 상기 스팀 발생 장치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 용기의 하단부에는 상기 유입구에 대응되 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재생 장치.
KR1020050082067A 2005-09-05 2005-09-05 의류 재생 장치 KR100705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067A KR100705111B1 (ko) 2005-09-05 2005-09-05 의류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067A KR100705111B1 (ko) 2005-09-05 2005-09-05 의류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660A true KR20070025660A (ko) 2007-03-08
KR100705111B1 KR100705111B1 (ko) 2007-04-06

Family

ID=3809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067A KR100705111B1 (ko) 2005-09-05 2005-09-05 의류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1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784B1 (ko) * 2007-03-14 2014-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86358B1 (ko) * 2008-07-14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8966943B2 (en) 2008-07-14 2015-03-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a rotatable water supply part
WO2024065941A1 (zh) * 2022-09-29 2024-04-0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
WO2024065933A1 (zh) * 2022-09-29 2024-04-0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4298U (ko) 1979-02-27 1980-09-03
JPH04144598A (ja) 1990-10-05 1992-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リフレッシュ装置
EP1491677B1 (en) 2003-06-25 2005-10-0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lothes treating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784B1 (ko) * 2007-03-14 2014-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86358B1 (ko) * 2008-07-14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8966943B2 (en) 2008-07-14 2015-03-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a rotatable water supply part
WO2024065941A1 (zh) * 2022-09-29 2024-04-0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
WO2024065933A1 (zh) * 2022-09-29 2024-04-0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111B1 (ko) 200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818B1 (ko)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KR101220579B1 (ko) 의류 재생 장치
KR100595263B1 (ko) 건조 장치의 리프레쉬 모드 제어 방법
US9982380B2 (en) Laundry machine
KR100705111B1 (ko) 의류 재생 장치
KR20070110653A (ko) 의류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27104A (ko) 드럼세탁기의 스팀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899522A1 (en) Laundry machine
US8046854B2 (en) Washing machine
KR20090079560A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세탁장치
KR20060082472A (ko) 증기수병 장착기능을 구비한 스팀 오븐
KR101376605B1 (ko) 의류처리장치
EP1967640B1 (en)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710221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0658840B1 (ko) 의류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EP2389474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supply unit
KR101392913B1 (ko) 향기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131075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023322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4237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075325A (ko) 액체 공급 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장치
KR20100007342A (ko) 의류처리장치
KR101208531B1 (ko) 건조기
KR100891661B1 (ko) 세탁 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 방법
KR20060098802A (ko) 세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