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75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755B1
KR101310755B1 KR1020060125874A KR20060125874A KR101310755B1 KR 101310755 B1 KR101310755 B1 KR 101310755B1 KR 1020060125874 A KR1020060125874 A KR 1020060125874A KR 20060125874 A KR20060125874 A KR 20060125874A KR 101310755 B1 KR101310755 B1 KR 10131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supply means
cartridge
heat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847A (ko
Inventor
김경환
임명훈
장진호
우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5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755B1/ko
Priority to EP07851401A priority patent/EP2126183B1/en
Priority to US12/448,013 priority patent/US8448478B2/en
Priority to CN2007800456154A priority patent/CN101553613B/zh
Priority to PCT/KR2007/006430 priority patent/WO2008072876A1/en
Publication of KR2008005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향기를 공급하는 향기공급수단; 및 상기 향기공급수단에 저장된 향기원의 증발이 촉진되도록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수단;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향기를 자체적인 발산에만 의존하지 않고 의류처리장치내로 능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향기공급수단의 향기공급효율이 향상된다.
의류처리장치, 향기공급수단, 열공급수단, 형상기억합금, 바이메탈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WASHING/DRY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공급수단과 향기공급수단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히터인 열공급수단과, 향기공급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1변형예에 따른 히터인 열공급수단과, 향기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레이트스프링을 구비한 향기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2변형예에 따른 히터인 열공급수단과, 향기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바이메탈 또는 형상기억합금을 구비한 향기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3변형예에 따른 열풍덕트인 열공급수단과 향기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4변형예에 따른 증기관인 열공급수단과 향기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케이싱 13 : 도어
21 : 터브 31 : 드럼
30 : 증기공급수단 48 : 열풍덕트
50 : 히터 60 : 향기공급관
100, 200, 300 : 향기공급수단 110, 220, 320 : 카트리지
120, 210, 310 : 카트리지도크 150, 160 : 개폐수단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향기공급수단 및 열공급수단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향기공급수단의 향기원의 증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열공급수단이 제공하는 열을 이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향기공급수단을 구비한 세탁기의 일 예로는, 도어의 하면에 세탁조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홀더가 일체로 형성되며, 홀더에는 수용공간과 이어지는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되고, 홀더의 수용공간에 향기를 발산하는 멤브레인향이 수용되도록 한 실용신안출원(등록번호: 20-0165264)에 개시된 세탁기를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향기공급수단만을 구비할 뿐 열공급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열공급수단이 제공하는 열을 향기공급수단의 향기원의 증발을 촉진시키는 데 사용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였다. 즉, 열을 이용하여 향기원의 발산을 강제적으로 촉진시키는 구성이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세탁기는 향기의 공급을 향기원의 자연적인 발산에만 의존하므로, 향기공급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탁기는 향기원이 소모되어 보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이를 손쉽게 보충하는 데 있어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즉, 실용신안출원(등록 번호: 20-0165264)의 경우 멤브레인향을 교체하기 위하여 도어를 열고 홀더에 멤브레인향을 삽입해야 하는 등, 이러한 작업이 사용자에게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열공급수단과 향기공급수단을 동시에 구비하여, 열공급수단이 제공하는 열을 이용하여 향기공급수단의 향기원의 증발을 촉진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향기원을 손쉽게 보충할 수 있는 향기공급수단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의류처리장치는, 향기를 공급하는 향기공급수단; 및 상기 향기공급수단에 저장된 향기원의 증발이 촉진되도록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열공급수단은 히터, 스팀관, 열풍덕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향기공급수단은, 향기원을 저장하며 저장된 향기원의 향기가 항시 배출되도록 하는 향기배출공이 형성된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도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향기공급수단은, 향기원을 저장하며 저장된 향기원의 향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향기배출공이 형성된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도크; 및 상기 향기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카트리지도크에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시 상기 향기배출공을 개방하는 플레이트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열공급수단의 열이 공급될 경우 상기 향기배출공을 개방하는 바이메탈이거나 형상기억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공급수단과 향기공급수단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히터인 열공급수단과 향기공급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화살표는 향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점선의 향기의 증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1); 케이싱(11)의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21); 터브(21)의 내부에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31); 드럼(31)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33); 터브(21)의 내부로 뜨거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열풍덕트(48); 드럼(31)에 수용된 세탁물에 증기를 제공하는 증기공급수단(30); 터브(21) 또는 드럼(31)의 내부로 향기공급관(60)을 통해 향기를 공급하는 향기공급수단(100); 및 향기공급수단(100)에 저장된 향기원의 증발이 촉진되도록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입구의 일측에는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터브(21)는 일측이 개방된 통형상을 가지며, 개방영역이 출입구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있다. 터브(21)의 상측 및 하측에는 터브(21)를 완충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부재(23) 및 댐퍼(25)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터브(21)의 하부 일측에는 세탁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관(27) 및 배수펌프(29)가 구비되어 있다.
터브(21)의 후방영역에는 일단은 터브(21)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향 연장되게 응축관(4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응축관(41)의 상단에는 응축관(41)을 통해 터브(21)의 내부의 공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4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송풍팬(47)의 배출측에는 일단이 터브(21)의 상부 전면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 열풍덕트(48)의 타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열풍덕트(48)의 내부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4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응축관(41)은 내부에 터브(21)로부터 인출된 공기 및 응축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L”형상을 가지며, 상부영역에는 송풍팬(47)이 결합될 수 있도록 팬결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응축관(41)의 하단에는 일단이 터브(21)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 연결주름관(45)의 타단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탈수행정이 종료되고 건조행정이 개시되어 송풍팬(47)이 구동되면 터브(21)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인출되어 응축관(41)을 따라 상향 유동하게 된다. 상향 유동된 공기는 열풍덕트(48)를 따라 유동되고 히터(49)에 의해 가열되어 터브(21)의 내부로 유입된다.
터브(21)로 유입된 고온의 공기는 세탁물의 수분을 함유하여 응축관(41)을 따라 유동되고, 응축수공급관(43)을 통해 공급된 응축수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 다. 수분이 제거된 건조한 저온의 공기는 히터(49)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고온의 건조한 공기는 터브(21)의 내부로 유입되어 세탁물의 수분을 함유하여 응축관(41)에서 응축됨으로써 세탁물의 건조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증기공급수단(30)은 내부에 배치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와, 응축수공급관(43)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라인(38)과, 터브(21) 또는 드럼(31)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관(40)과, 급수라인(38)으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 또는 소통시키도록 급수라인(38) 상에 배치되는 개폐밸브(미도시)로 구성된다. 이러한 증기공급수단(30)에서 발생된 증기는 증기관(40)을 거쳐 드럼(31)내 수용된 세탁물에 뿌려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향기공급수단(100)는 도어(13)의 상측으로 케이싱(11)을 관통하여 케이싱(11)의 정면에 설치된다. 이렇게, 향기공급수단(100)이 외부에서 케이싱(11)의 정면으로 착탈가능하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향기공급수단(100)을 케이싱(11)으로부터 분리하여 향기원을 보충한 후, 다시 케이싱(11)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향기공급수단(100)은 향기원을 저장하며 저장된 향기가 항시 배출되도록 하는 향기배출공(111)이 형성된 카트리지(110); 카트리지(110)가 장착되는 카트리지도크(120); 카트리지(1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카트리지도크(120)에 끼워지는 카트리지캡(130); 및 카트리지도크(120)와 카트리지캡(130)사이를 실링하여 향기가 의류처리장치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도크실러(140);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110)의 내부에는 향기원이 저장된다. 이러한, 향기원은 아로 마향 또는 맴브레인향을 가진다. 물론 이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른 향을 가진 향기원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110)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카트리지캡(130)이 카트리지(110)의 상측에서 결합되도록 카트리지(11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캡(130)에는 이에 상응되게 암사나부(112)가 결합되는 수나사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카트리지캡(130)을 카트리지(110)로부터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 돌려서 분리한 후 카트리지(110)내에 향기원을 보충한다. 향기원을 보충한 후에는 카트리지캡(130)을 카트리지(110)에 나사가 감기는 방향으로 돌려서 결합한다.
상기 카트리지도크(120)는 케이싱(11)의 정면을 관통하여 케이싱(11)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케이싱(11)과 카트리지도크(120)를 결합시키는 연결부재(12)가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부재(12)의 일측은 케이싱(11)의 내면에 본딩 또는 용접되고, 타측은 카트리지도크(120)의 외주면에 본딩 또는 용접된다. 카트리지도크(120)에는 카트리지(110)의 향기배출공(111)을 통해 빠져나온 향기가 의류처리장치 내부로 퍼지도록 또 다른 향기배출공(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향기배출공(121)에는 향기공급관(60, 도 1 참조)이 연결되며, 이러한 향기공급관(60, 도 1 참조)을 통해 향기배출공(121)을 빠져나온 향기가 터브(21) 또는 드럼(31)으로 유입된다.
카트리지도크(120)의 상측에는 카트리지캡(130)이 후크 결합하도록 하는 걸림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캡(130)에는 이에 상응되게 걸림돌기(122)에 걸리는 후크(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카트리지도크(120)에 카트리지(110)를 밀어넣을 경우, 카트리지캡(130)의 후크(131)가 카트리지도크(120)의 걸림턱(122)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카트리지(110)가 카트리지도크(120)에 장착된다.
카트리지도크(120)의 바닥면에는 열공급수단으로서 히터(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히터(50)에 의해 카트리지(110)의 향기원의 증발을 촉진하는 열이 제공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히터(50)가 꺼져 있을 경우에는 카트리지(110)에 수용된 향기원에 열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향기배출공(111, 121)이 개방되어 있다고는 하나, 향기원의 증발이 촉진되지 않으므로 향기의 배출은 약하게 일어난다. 한편, 히터(50)가 켜져 있을 경우에는 카트리지도크(120)의 바닥면을 통해 카트리지(110)에 열이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열은 카트리지(110)에 수용된 향기원의 증발을 촉진한다. 따라서, 향기배출공(111, 121)을 통해 향기가 대량으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향기를 자체적인 발산뿐만 아니라 열에 의해 강제적인 발산 시킬 수 있으므로 향기공급효율이 향상되고, 공급되는 향기의 양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3은 제1변형예에 따른 히터인 열공급수단과, 향기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레이트스프링을 구비한 향기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화살표는 향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점선의 향기의 증발을 나타낸다. 참고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의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향기공급수단(100)은 향기원을 저장하며 저장된 향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향기배출공(111)이 형성된 카트리지(110); 카트리지(110)가 장착되는 카트리지도크(120); 카트리지(1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카트리지도크(120)에 끼워지는 카트리지캡(130); 카트리지도크(120)와 카트리지캡(130)사이를 실링하여 향기가 의류처리장치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도크실러(140); 향기배출공(1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150)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개폐수단(15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개폐수단(150)은 카트리지(110)가 카트리지도크(120)에 장착시에만 향기배출공(111)을 개방하는 플레이트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플레이트스프링은 카트리지(110)의 지지블럭(115)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로운 휨부(151); 휨부(151)의 끝단에 형성되며 카트리지도크(120)내 형성된 돌기(123)와 접촉하는 선단부(153); 및 휨부(15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선단부(153)가 돌기(123)와 접촉시 향기배출공(111)을 개방하는 마개부(155);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카트리지(110)가 카트리지도크(120)에 장착될 때, 선단부(153)가 돌기(123)와 접촉하면서 휨부(151)가 상측으로 휘어진다. 이로 인해 마개부(155)가 막고 있던 향기배출공(111)이 열리게 된다.
히터(50)가 꺼져 있을 경우에는 카트리지(110)에 수용된 향기원에 열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향기배출공(111, 121)이 개방되어 있다고는 하나 향기원의 증발이 촉진되지 않으므로 향기의 배출은 약하게 일어난다. 한편, 히터(50)가 켜져 있을 경우에는 카트리지도크(120)의 바닥면을 통해 카트리지(110)에 열이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열은 카트리지(110)에 수용된 향기원의 증발을 촉진한다. 따라서, 향기배출공(111, 121)을 통해 향기가 대량으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향기를 자체적인 발산뿐만 아니라 열에 의해 강제적인 발산 시킬 수 있으므로 향기공급효 율이 향상되고, 히터(50)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공급되는 향기의 양을 조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4는 제2변형예에 따른 히터인 열공급수단과, 향기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바이메탈 또는 형상기억합금을 구비한 향기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화살표는 향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점선의 향기의 증발을 나타낸다. 참고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의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향기공급수단(100)은 향기원을 저장하며 저장된 향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향기배출공(111)이 형성된 카트리지(110); 카트리지(110)가 장착되는 카트리지도크(120); 카트리지(1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카트리지도크(120)에 끼워지는 카트리지캡(130); 카트리지도크(120)와 카트리지캡(130)사이를 실링하여 향기가 의류처리장치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도크실러(140); 향기배출공(1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150)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개폐수단(15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개폐수단(150)은 카트리지도크(120)에 카트리지(110)가 장착시 향기배출공(111)을 개방하는 바이메탈 또는 형상기억합금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바이메탈 또는 형상기억합금은 카트리지(110)의 지지블럭(115)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로운 휨부(161); 휨부(16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히터(50)로부터 열을 받을 경우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향기배출공(111)을 개방하는 마개부(165);를 포함한다.
히터(50)가 꺼져 있을 경우에는 카트리지(110)에 수용된 향기원에 열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향기원의 증발 촉진도 이루어지지 않고 향기배출공(111)도 개방되지 않는다. 한편, 히터(50)가 켜져 있을 경우에는 카트리지도크(120)의 바닥면을 통해 카트리지(110)에 열이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열은 카트리지(110)에 수용된 향기원의 증발을 촉진한다. 또한, 휨부(161)를 상측으로 휘어짐과 동시에 마개부(165)가 향기배출공(111)을 개방시킨다. 따라서, 향기배출공(111, 121)을 통해 향기가 대량으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향기를 자체적인 발산뿐만 아니라 열에 의해 강제적인 발산 시킬 수 있으므로 향기공급효율이 향상되고, 히터(50)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공급되는 향기의 양을 조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5는 제3변형예에 따른 열풍덕트인 열공급수단과 향기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여기서는 열공급수단으로 열풍덕트(48)를 지나는 뜨거운 공기를 이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향기공급수단(200)은 열풍덕트(48)에 설치된 카트리지도크(210); 및 카트리지도크(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향기원이 수용되는 카트리지(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향기공급수단(200)의 구체적인 내부구성 및 작동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향기공급수단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여기서는 향기공급수단(200)이 터브(21)와 연결된 열풍덕트(48)에 설치된 관계로, 향기배출공(121, 도 2 참조)를 빠져나온 향기가 뜨거운 공기와 섞여 터브(21) 또는 드럼(31)에 공급되므로 별도의 향기공급관(60, 도 1참조)이 필요 없다.
도 6은 제4변형예에 따른 증기관인 열공급수단과 향기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여기서는 열공급수단으로 증기관(40)을 지나는 증기의 열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향기공급수단(300)은 케이싱(11) 상측을 관통하여 증기관(40)에 근접하게 설치된 카트리지도크(310); 및 카트리지도크(310)에 착탈가 능하게 결합되며 향기원이 수용되는 카트리지(320)를 포함한다. 이러한, 향기공급수단(300)의 구체적인 내부구성 및 작동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향기공급수단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첫째, 열공급수단과 향기공급수단을 구비하므로, 열공급수단이 제공하는 열을 이용하여 향기공급수단의 향기원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향기공급효율이 향상된 향기공급수단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둘째, 향기원이 소모되어 보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향기원을 손쉽게 보충할 수 있다.
셋째, 열공급수단이 공급하는 열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공급되는 향기의 양을 조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Claims (10)

  1. 향기를 공급하는 향기공급수단; 및
    상기 향기공급수단에 저장된 향기원의 증발이 촉진되도록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향기공급수단은,
    향기원을 저장하며, 저장된 향기원의 향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향기배출공이 형성된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도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공급수단은,
    상기 향기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카트리지도크에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시 상기 향기배출공을 개방하는 플레이트스프링인 의류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스프링은,
    상기 카트리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로운 휨부;
    상기 휨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도크내 형성된 돌기와 접촉하는 선단부; 및
    상기 휨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가 상기 돌기와 접촉시 상기 향기배출공을 개방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열공급수단의 열이 공급될 경우, 상기 향기배출공을 개방하는 바이메탈인 의류처리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열공급수단의 열이 공급될 경우, 상기 향기배출공을 개방하는 형상기억합금인 의류처리장치.
  8.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수단은 히터인 의류처리장치.
  9.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수단은 스팀관인 의류처리장치.
  10.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수단은 열풍덕트인 의류처리장치.
KR1020060125874A 2006-12-11 2006-12-11 의류처리장치 KR101310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874A KR101310755B1 (ko) 2006-12-11 2006-12-11 의류처리장치
EP07851401A EP2126183B1 (en) 2006-12-11 2007-12-11 Washing/drying machine
US12/448,013 US8448478B2 (en) 2006-12-11 2007-12-11 Washing/drying machine
CN2007800456154A CN101553613B (zh) 2006-12-11 2007-12-11 洗衣机/干衣机
PCT/KR2007/006430 WO2008072876A1 (en) 2006-12-11 2007-12-11 Washing/dry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874A KR101310755B1 (ko) 2006-12-11 2006-12-11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847A KR20080053847A (ko) 2008-06-16
KR101310755B1 true KR101310755B1 (ko) 2013-09-25

Family

ID=3980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874A KR101310755B1 (ko) 2006-12-11 2006-12-1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0755B1 (ko)
CN (1) CN1015536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6233A1 (de) 2009-01-27 2010-08-05 Miele & Cie. Kg Verfahren zur Abgabe eines Duftstoffes während des Trocknungsprozesses in einem Wäschetrockner
DE102011051854B3 (de) 2011-07-15 2012-10-04 Miele & Cie.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äschetrockners mit Duftzuführung und Wäschetrockner
CN106930079B (zh) * 2017-03-28 2020-01-17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具有烘干功能的衣物处理装置
CN108660675A (zh) * 2018-08-06 2018-10-16 佛山黎咖珑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洗衣烘干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325A (ko) * 2005-04-04 200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향분사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411B1 (ko) * 2000-09-20 2003-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향제 발산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100739202B1 (ko) * 2001-01-20 2007-07-1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방향제가 장착된 의류 건조기
JP2004350840A (ja) * 2003-05-28 2004-12-16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CN2773135Y (zh) * 2004-12-15 2006-04-19 杭州松下家用电器有限公司 一种带香味的洗衣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325A (ko) * 2005-04-04 200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향분사 세탁기
KR100765278B1 (ko) * 2005-04-04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향분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53613B (zh) 2011-09-28
CN101553613A (zh) 2009-10-07
KR20080053847A (ko) 200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364B1 (ko) 세탁 및 건조 장치
US8176656B2 (en) Laundry dryer
US20080072693A1 (en) Sc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120005915A1 (en) Clothes dryer having a steam generator using a hot air heater
US20110138864A1 (en) Laundry machine
US201101386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machine
KR10248926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028275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20070110698A (ko) 의류 재생 장치
KR20100009043A (ko) 발향체 모듈을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20090013949A (ko) 의류처리장치
US20050284195A1 (en) Washing machine
KR20030084065A (ko) 드럼형 건조세탁기의 통기장치
KR10131075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376605B1 (ko) 의류처리장치
JP5430348B2 (ja) 洗濯乾燥機
KR100594388B1 (ko) 세탁기의 향기부여방법
KR100587330B1 (ko) 세탁물 건조기 및 그의 드라이크리닝 모드를 위한 운전 방법
KR20080097656A (ko) 향기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159436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55066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1265611B1 (ko) 건조기
CN219951483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KR20110078379A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JP2014004055A (ja) 衣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