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236A -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236A
KR20070025236A KR1020050081140A KR20050081140A KR20070025236A KR 20070025236 A KR20070025236 A KR 20070025236A KR 1020050081140 A KR1020050081140 A KR 1020050081140A KR 20050081140 A KR20050081140 A KR 20050081140A KR 20070025236 A KR20070025236 A KR 20070025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ceramic substrat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8244B1 (ko
Inventor
이정훈
김보경
김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1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244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3Containers; 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of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32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세라믹을 이용하여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일 측면에 이미지 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가 위치한 타 측면 상에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 등과 같은 전자부품을 실장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원가 및 상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센서의 세라믹 패키지 모듈은, 윈도우 창을 구비한 양면 세라믹 기판의 일 측면 상에 상기 원도우 창을 덮도록 이미지 센서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센서가 부착된 양면 세라믹 기판의 타 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전자부품이 일측 및 타측면 상에 실장된 상기 세라믹 기판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 패키지 모듈, 커패시터, 크기, 축소, 소형화

Description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IMAGE SENSOR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AMERA MODULE USING THEREOF}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0 : 하우징(Housing)
120 : 렌즈(Lens)
122 : 렌즈부
140 : 적외선 차단용 필터(IR cut filter)
160 : 세라믹 기판
160a : 윈도우 창
180 :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200 :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10 :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 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또는 전자부품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원가 및 상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라믹 패키지(ceramic package)는 IC와 같은 칩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세라믹 소재로 패키징 되어있고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꽂을 수 있도록 외부에 다수의 핀(pin)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세라믹 패키지는 열 발산을 위한 통로 역할을 수행하고,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에 탑재된 IC를 보호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견디도록 밀봉되어 있다. 이때, 세라믹을 패키지로 사용하는 이유는 다른 재료에 비해 열전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한 변형이 작고, 절연체이면서 신호전달에 유리한 유전율과 유전손실이 작으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성질이 있고 배선패턴의 금속재료와 결합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카메라용 이미지 센서를 패키징하는 방식은 플립칩 방식의 COF(Chip On Flim), 와이어 본딩 방식의 COB(Chip On Board), 그리고 CSP(Chip Scale Package) 등이 있으며, 이 중 COF와 COB 방식이 널리 이용된다.
상기 COB 방식은 기존의 반도체 생산라인과 유사한 공정으로 다른 패키지 방식에 비해 생산성이 높지만, 와이어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PCB)과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모듈의 크기가 커지고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칩 크기의 축소, 열 방출 및 전기적 수행 능력 향상, 신뢰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패키징 기술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외부 돌출 접합부를 가진 범프를 기초로 한 COF 방식이 등장하였다.
상기 COF 방식은 무엇보다 와이어를 부착할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패키지 면적이 줄어들고, 경통의 높이를 낮출 수가 있어 경박 단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얇은 필름(film)이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견디는 신뢰성 있는 패키지가 가능하며 공정이 상대적으로 간단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COF 방식은 소형화와 더불어 저항의 절감으로 인한 신호의 고속처리, 고밀도, 다핀화 추세에도 부응한다.
그러나, 상기 COF 방식은 경박 최소의 칩 사이즈 웨이퍼 레벨 패키지로 집약되고 있으나 공정 비용이 고가이며, 납기대응이 불안정하다는 단점으로 이미지 센서용으로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COF 방식은 단층 구조로 인하여 현재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는 메가(Mega)급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는 모듈에서는 COF 방식의 장점이었던 모듈 소형화가 더이상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COB 방식보다 더 크게 설계될 수밖에 없었다.
현재는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를 사용하여 COB 방식에서와 비슷한 크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COF 방식의 장점인 소형화에 못 미치기 때문에 점차 COB를 사용하는 추세로 진행되으므로, COF 방식의 장점인 소형화를 살리기 위한 설계 및 공정상의 기술개발 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COF 방식을 이용한 종래의 이미지 센서 모듈에 대해 설명하고 그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모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특히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16)의 일 측면에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 Multi Layer Ceramic Capacitor)(20)와 이미지 센서(18)가 함께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종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에 렌즈(12)를 구비한 하우징(Housing)(10)과, 상기 렌즈(12)가 구비된 하우징(10)의 개구부의 내측에 설치된 적외선 차단용 필터(IR cut filter)(14)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20)와 이미지 센서(18)가 일 측면에 배치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16)으로 구성되는 이미지센 서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 센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16)에는 상기 렌즈(12) 및 적외선 차단용 필터(14)를 통해 들어온 이미지 신호를 반대편에 설치된 상기 이미지 센서(18) 쪽으로 전달하기 위해 윈도우 창(16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 센서(18)는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적외선 차단용 필터(14)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적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20)는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하는 화면 노이즈(noise) 문제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16) 중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20)가 설치된 면과 동일한 면상에 이미지 센서(18)를 함께 부착하였기 때문에,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 상에서 차지하는 전체적인 이미지 센서 모듈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미지 센서 모듈에 있어서는, 사용자(User)의 요청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일정한 크기로 제한하게 되면, 제한된 카메라 모듈의 크기 내에서 제품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로부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20)를 포함하는 능동 또는 수동소자를 빼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때, 이미지 센서 모듈로부터 가령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20)를 빼게 되면 화면 노이즈 문제가 발생하지만,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전체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를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나아가, 화면 노이즈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의 이미지 센서의 모듈에서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20)를 설치하는 경우,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16)의 일 측면에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20)와 상기 이미지 센서(18)를 같이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면에 이미지 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가 위치하는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 상에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 등과 같은 전자부품을 배치한 세라믹 기판을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 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상에 실장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모듈과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은, 윈도우 창을 구비한 양면 세라믹 기판의 일 측면 상에 상기 원도우 창을 덮도록 이미지 센서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센서가 부착된 양면 세라믹 기판의 타 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전자부품이 일측 및 타측면 상에 실장된 상기 세라믹 기판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부품으로서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를 사용하고,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를 실장하는 방법은,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의 부착 부위에 무연솔더를 도포한 후 경화 공정을 통해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를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과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이방성도전성필름(ACF)을 삽입한 후 압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를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과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전도성이 없는 액성폴리머(NCP)를 넣고 가압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를 부착하는 방법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라믹 기판은, 소성한 세라믹에 금속물을 인쇄한 후 배선을 형성시켜 도금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금된 세라믹 기판은, 전해 도금방식과 무전해 도금방식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 및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라믹 기판을 실장하는 방법은, 상기 세라믹 기판의 부착 부위에 무연솔더를 도포한 후 경화 공정을 통해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하우징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센서 모듈은, 윈도우 창이 형성된 양면 세라믹 기판; 상기 윈도우 창이 덮히도록 상기 양면 세라믹 기판의 일측면 상에 부착된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부착된 양면 세라믹 기판의 타측면 상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 및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전자부품이 일측 및 타측면에 부착된 상기 양면 세라믹 기판을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윈도우 창과 상기 이미지 센서 외주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과 부착되는 면에 다수의 전극 패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패드에는 범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프는 스터드형 범프, 무전해형 범프, 전해형 범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 및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실장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하는 입사광으로부터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실장되는 적외선 차단용 필터; 및 상기 적외선 차단용 필터를 통과한 입사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윈도우 창이 형성된 양면 세라믹 기판과, 상기 윈도우 창이 덮히도록 상기 양면 세라믹 기판의 일측면 상에 부착된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부착된 양면 세라믹 기판의 타측면 상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과,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전자부품이 실장된 양면 세라믹 기판을 실장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윈도우 창과 상기 이미지 센서 외주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양면 세라믹 기판의 일 측면과 부착되는 면에 다수의 전극 패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패드에는 범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프는 스터드형 범프, 무전해형 범프, 전해형 범프 중 어느 하 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 및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일측면에 이미지 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가 위치하는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 상에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 등과 같은 전자부품을 배치한 세라믹 기판을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 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상에 실장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카메라 모듈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100)은, 크게 개구부(110a)에 렌즈(120)를 구비한 하우징(110)과, 상기 렌즈(120)가 구비된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된 적외선 차단용 필터(IR cut filter)(140)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결합된 이미지 센서의 세라믹 패키지 모듈(3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렌즈(120)와 상기 적외선 차단용 필터(140) 및 상기 이미지 센서(180)는 입사광 축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300)은, 하부면에 이미지 센서(180)가 부착되고 상부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210)이 부착된 세라믹 기판(160)과, 상기 세라믹 기판(160)을 실장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은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 또는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라믹 기판(160)에는 윈도우 창(160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렌즈 및 적외선 차단용 필터(140)로 들어온 이미지 신호가 상기 윈도우 창(160a)을 통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180) 쪽으로 전달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180)는 상기 렌즈(120) 및 적외선 차단용 필터(140)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세라믹 기판(160)의 일 측면과 부착되는 면에 다수의 전극 패드(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전극패드에는 범프(Bump)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센서(180)를 COF 플립칩 방식으로 부착할 경우, 전극 패드 외관에 돌출시킨 범프와 이방성 전도성 고형물(ACF: Anisotropic Condunctive Film) 대신 전도성이 없는 액상 폴리머(NCP: Non-Conductive Paste)를 사용하여 부착한다.
상기 범프는 스터드형 범프, 무전해형 범프, 전해형 범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중 스터드형 범프는 플립칩 가압시 범프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세라믹 리드간 단차를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성 향상면에서도 유리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한다.
상기 적외선 차단용 필터(14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적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180)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자외선에 반응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머로 도포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180)의 중앙부에 부착한다.
상기 전자부품(210)은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며, 그 밖에 저항,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의 다른 전자부품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는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하는 화면 노이즈(noise) 문제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그 밖에 사용된 다른 전자부품은 화면 노이즈 문제 이외의 다른 품질 개선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는 근래 반도체가 고성능, 고집적, 고속화 방향으로 발전함에 따라 단칩 패키지보다는 다칩 패키지와 다층화의 3차원 적층구조를 접목시킴으로써 경박단소 패키지를 실현한다.
한편, 이미지 센서 모듈(300)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기판(160)에 배치 및 설치되는 전자부품(210)과 이미지 센서(180)와의 구체적인 관계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라믹 기판(160)에 형성된 윈도우 창(160a)을 중심으로 하여 그 상부면에는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자부품(210)이 실장되며 그 하부면에는 이미지 센서(180)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자부품(210)은 상기 이미지 센서(180)가 부착되는 면의 내부, 즉 상기 윈도우 창(160a)과 상기 이미지 센서(180) 외주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실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연성인쇄회로기판 중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가 설치된 면과 동일한 면상에 이미지 센서를 같이 부착한 종래의 이미지 센서 모듈에 비하여, 전체적인 이미지 센서 모듈의 크기를 작게 설계할 수 있게 되며, 일례로서 종래의 이미지 센서 모듈의 크기가 6.6×.6 사이즈였던 반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6.0×6.0 사이즈까지로 축소설계가 가능하여 결국 전체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이미지 센서 모듈 크기를 사용한다면,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센서 모듈의 크기를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나머지 공간에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 외에 품질 개선을 위한 기타 칩 레지스터 등의 부품들을 실장할 수 있어, 결국 충분한 공간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자부품(210)과 상기 이미지 센서(180)가 일측 및 타측면에 실장된 상기 세라믹 기판(160)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에 실장한다. 이때, 상기 세라믹 기판(16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에 부착될 때, 상기 이미지 센서(18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에 닿지 않도록 상기 세라믹 기판(160)의 양측 끝단부가 아래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은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 또는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방법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작방법, 즉 이미지 센서(180)와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210)를 상기 세라믹 기판(160)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에 각각 부착하는 방법과, 일측 및 타측면에 상기 이미지 센서(180)와 적층형 세라믹 커 패시터(210)가 부착된 상기 세라믹 기판(160)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에 부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미지 센서(180)를 상기 세라믹 기판(160)의 일 측면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세라믹 기판(160)의 일 측면과 상기 이미지 센서(180) 사이에 이방성도전성필름(ACF)을 삽입한 후 압착하여 부착하는 방법과, 상기 세라믹 기판(160)의 일 측면과 상기 이미지 센서(180) 사이에 전도성이 없는 액성폴리머(NCP)를 넣고 가압하여 부착하는 방법과, 초음파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210)를 상기 세라믹 기판(160)의 타 측면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210)의 부착 부위에 솔더 크림(solder cream)을 도포한 후 경화 공정을 통해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에 비해 제조 비용이 저렴한 솔더 크림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상기 이미지 센서(180)와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210)가 일측 및 타측면에 부착된 상기 세라믹 기판(160)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에 부착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은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함으로써, 기밀성 및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 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일측면에 이미지 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가 위치하는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 상에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 등과 같은 전자부품을 배치한 세라믹 기판을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 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상에 실장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 및 상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와 이미지 센서가 같은 방향에 배치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와 이미지 센서가 모두 덮히도록 에폭시(Epoxy) 등으로 몰딩(Molding)을 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가 상기 이미지 센서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미지 센서만 덮히도록 몰딩하면 되므로, 종래에 비해 몰딩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종래의 이미지 센서의 모듈에서는 설계 공간이 적기 때문에 화면 노이즈를 개선하기 위한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만을 장착할 수밖에 없었지만, 본 발 명에서는 공간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 다른 품질 개선을 위한 다른 전자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윈도우 창을 구비한 양면 세라믹 기판의 일 측면 상에 상기 원도우 창을 덮도록 이미지 센서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센서가 부착된 양면 세라믹 기판의 타 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전자부품이 일측 및 타측면 상에 실장된 상기 세라믹 기판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으로서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를 사용하고,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를 실장하는 방법은,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의 부착 부위에 무연솔더를 도포한 후 경화 공정을 통해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를 실장하는 방법은:
    상기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타 측면과 상기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 사이에 이방성도전성필름(ACF)을 삽입한 후 압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 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과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이방성도전성필름(ACF)을 삽입한 후 압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과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전도성이 없는 액성폴리머(NCP)를 넣고 가압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부착하는 방법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기판은, 소성한 세라믹에 금속물을 인쇄한 후 배선을 형성시켜 도금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된 세라믹 기판은, 전해 도금방식과 무전해 도금방식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 및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기판을 실장하는 방법은:
    상기 세라믹 기판의 부착 부위에 무연솔더를 도포한 후 경화 공정을 통해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하우징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12. 이미지 센서 모듈에 있어서,
    윈도우 창이 형성된 양면 세라믹 기판;
    상기 윈도우 창이 덮히도록 상기 양면 세라믹 기판의 일측면 상에 부착된 이 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부착된 양면 세라믹 기판의 타측면 상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 및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전자부품이 일측 및 타측면에 부착된 상기 양면 세라믹 기판을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윈도우 창과 상기 이미지 센서 외주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양면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과 부착되는 면에 다수의 전극 패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패드에는 범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스터드형 범프, 무전해형 범프, 전해형 범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 및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18.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실장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하는 입사광으로부터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실장되는 적외선 차단용 필터; 및
    상기 적외선 차단용 필터를 통과한 입사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윈도우 창이 형성된 양면 세라믹 기판과, 상기 윈도우 창이 덮히도록 상기 양면 세라믹 기판의 일측면 상에 부착된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부착된 양면 세라믹 기판의 타측면 상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과,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전자부품이 실장된 양면 세라믹 기판을 실장하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윈도우 창과 상기 이미지 센서 외주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적층형 세라믹 커패시터(MLC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양면 세라믹 기판의 일 측면과 부착되는 면에 다수의 전극 패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패드에는 범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스터드형 범프, 무전해형 범프, 전해형 범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PCB) 및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50081140A 2005-09-01 2005-09-01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KR100748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140A KR100748244B1 (ko) 2005-09-01 2005-09-01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140A KR100748244B1 (ko) 2005-09-01 2005-09-01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236A true KR20070025236A (ko) 2007-03-08
KR100748244B1 KR100748244B1 (ko) 2007-08-09

Family

ID=38099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140A KR100748244B1 (ko) 2005-09-01 2005-09-01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2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830B1 (ko) * 2009-07-24 2011-04-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10055970A (ko) * 2009-11-20 2011-05-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30053178A (ko) * 2011-11-15 2013-05-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117401A (ko) * 2016-09-30 2016-10-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148B1 (ko) 2009-08-28 2011-06-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7431C2 (de) * 2000-04-07 2002-05-23 Melzer 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Datenträgern mit integriertem Transponder
KR100385590B1 (ko) * 2000-11-20 2003-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체 촬상 장치의 패키지 모듈
KR20030091549A (ko) * 2002-05-28 2003-12-03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미지 센서모듈 및 그 제조공정
KR100467841B1 (ko) * 2002-06-21 2005-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폰 내장형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JP4285966B2 (ja) * 2002-09-27 2009-06-24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830B1 (ko) * 2009-07-24 2011-04-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10055970A (ko) * 2009-11-20 2011-05-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30053178A (ko) * 2011-11-15 2013-05-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117401A (ko) * 2016-09-30 2016-10-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244B1 (ko)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167B1 (ko)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KR100721163B1 (ko) 이미지 센서 모듈과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모듈의 제조방법
KR100744925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US8139145B2 (en) Camera module
US8045026B2 (en) Solid-state image sensing device
US8054634B2 (en) Camera module package
KR100741823B1 (ko) 손떨림 보정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모듈 패키지
US20060016973A1 (en) Multi-chip image sensor package module
KR20110001659A (ko) 카메라 모듈
US20100025793A1 (en) Assembly for image sensing chip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7368795B2 (en) Image sensor module with passive component
KR100748244B1 (ko)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US8300124B2 (en) Image sensor module and camera module package having the same
KR100818486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0741830B1 (ko) 양면 fpcb를 사용한 카메라모듈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4221875A (ja) 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20080051445A (ko) 이미지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KR100691436B1 (ko) 이미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JP2001292363A (ja) 撮像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KR100721153B1 (ko) 카메라모듈 패키지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커팅 지그
KR100658149B1 (ko) 이미지센서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JP2004221634A (ja) 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CN111835943A (zh) 影像感测器封装结构、镜头模组及电子装置
KR20090118255A (ko) 인쇄회로기판
WO2006080359A1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