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643A -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 - Google Patents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643A
KR20070023643A KR1020067016202A KR20067016202A KR20070023643A KR 20070023643 A KR20070023643 A KR 20070023643A KR 1020067016202 A KR1020067016202 A KR 1020067016202A KR 20067016202 A KR20067016202 A KR 20067016202A KR 20070023643 A KR20070023643 A KR 20070023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re earth
permanent magnet
magnet material
earth permanent
fluo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히로타
다케히사 미노와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3643A/ko
Publication of KR2007002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질량 백분율로 R=25∼45 wt%(R은 Nd, Pr, Dy, Tb 및 Ho 중 1종 또는 2종 이상), Co=0.1∼4.5 wt%, B=0.8∼1.4 wt%, Al=0.05∼3.0 wt%, Cu=0.02∼0.5 wt%, M=0.03∼0.5 wt%(M은 Zr, Hf, Ti, Cr, Nb, Mo, Si, Sn, Zn, V, W 및 Cr 중 1종 또는 2종 이상), C=0.01∼0.5 wt%, O=0.05∼3.0 wt%, N=0.002∼0.1 wt%, F=0.001∼2.0 wt%,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
Figure 112006057472409-PCT00001
희토류, 영구 자석, 불순물

Description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R-Fe-B BASED RARE EARTH PERMANENT MAGNET MATERIAL}
본 발명은 자기 특성을 현저하게 개량한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에 관한 것이다.
희토류 영구 자석은 우수한 자기 특성과 경제성을 갖기 때문에, 전기·전자기기의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최근, 수요가 증대되어, 그 고특성화가 요구되고 있다. 희토류 영구 자석 중,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은 희토류-코발트계 자석에 비해 주요 원소의 하나인 Nd가 Sm보다 자원적으로 풍부하고, 자기 특성적으로도 희토류-코발트 자석을 훨씬 능가한다. 또한, 대부분이 저렴한 Fe로 차지되어 경제적으로도 유리하기 때문에, 대단히 우수한 영구 자석 재료이다.
그러나, R-Fe-B계 영구 자석은 (1) Fe를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자석 자체가 대단히 녹슬기 쉬워, 어떠한 표면처리를 시행할 필요가 있고, (2) 퀴리점이 낮아 고온 환경 하에서의 사용이 곤란한 등의 과제도 갖는다.
지금까지, R-Fe-B계 영구 자석의 자기 특성의 더 한층의 향상, 및 상기 과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여러 원소의 첨가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안정한 보자력을 얻기 위해서, Ti, Ni, Bi, V 등을 첨가한 자석 재료(일본 특개소59-64733호 공 보, 일본 특개소59-132104호 공보 참조), 보자력을 개선하기 위해서, Te, Zn, Se 등을 함유한 자석 재료(일본 특개소60-176203호 공보 참조), 열처리 조건의 최적화를 위해, Cu를 0.02∼0.5 at% 첨가한 자석 재료(일본 특개평1-219143호 공보 참조), 내식성의 개선을 위해, Fe를 Co 및 Ni로 고농도로 치환한 자석 재료(일본 특허 제2675430호 공보 참조), 저렴하고 보자력 또한 비전기 저항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희토류 산화물 R'mOn(R'은 Y, La, Pr, Nd,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을 첨가한 자석 재료(일본 특개평11-251125호 공보 참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산소, 탄소 등의 가스계 원소에 대해서는, 입계상에 편재하는 잉여의 희토류 원소를 소비하여 자기 특성을 저하시킨다고 해서, 일반적으로 배제해야 할 불순물로서 취급되고 있다. 그 때문에, 동 가스계 불순물의 혼입을 저감하기 위해서 제조 공정에서 자석 합금 또는 그 분말을 이들 원소로부터 격리하는 방법이나, 고순도의 원료의 사용, 원료로부터 혼입한 불순물 원소를 계 외로 제거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자기 특성을 현저하게 개량한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R-Fe-B계 영구 자석에 적당량 첨가된 불소는, R-O-F 화합물(R은 Nd, Pr, Dy, Tb 및 Ho 중 1종 또는 2종 이상, O는 산소, F는 불소)을 생성하고, 이 자석의 입계부분에 편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R-O-F 화합물이 자석 중에 미세하게 분산됨으로써 상기 R-Fe-B 영구 자석 재료의 소결 공정에서 주상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고, 이것에 의해 R-Fe-B 영구 자석 재료의 보자력을 상승시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질량 백분율로 R=25∼45 wt%(R은 Nd, Pr, Dy, Tb 및 Ho 중 1종 또는 2종 이상), Co=0.1∼4.5 wt%, B=0.8∼1.4 wt%, Al=0.05∼3.0 wt%, Cu=0.02∼0.5 wt%, M=0.03∼0.5 wt%(M은 Zr, Hf, Ti, Cr, Nb, Mo, Si, Sn, Zn, V, W 및 Cr 중 1종 또는 2종 이상), C=0.01∼0.5 wt%, O=0.05∼3.0 wt%, N=0.002∼0.1 wt%, F=0.001∼2.0 wt%,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를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보자력이 향상되어, 각형성이 좋은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가 안정하게 제조가능하게 되어 산업상 그 이용가치는 대단히 높다.
도 1은 불소를 0.045질량% 첨가했을 때의 R-Fe-B계 자석 재료의 소결체 입도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불소 무첨가의 R-Fe-B계 자석 재료의 소결체 입도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희토류 영구 자석의 반사전자상과 Nd, 산소, 불소의 원소분포를 나타 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는 질량 백분율(wt%)로
R(Nd, Pr, Dy, Tb, Ho의 1종 또는 2종 이상): 25∼45 wt%,
Co: 0.1∼4.5 wt%,
B: 0.8∼1.4 wt%,
Al: 0.05∼3.0 wt%,
Cu: 0.02∼0.5 wt%,
M(Zr, Hf, Ti, Cr, Nb, Mo, Si, Sn, Zn, V, W, Cr의 1종 또는 2종 이상): 0.03∼0.5 wt%,
C: 0.01∼0.5 wt%,
O: 0.05∼3.0 wt%,
N: 0.002∼0.1 wt%,
F: 0.001∼2.0 wt%,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 잔부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에 사용하는 R은 네오디뮴(Nd), 프라세오디뮴(Pr), 디스프로슘(Dy), 테르븀(Tb) 및 홀뮴(Ho)이며, 이들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R(Nd, Pr, Dy, Tb 및 Ho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양이 영구 자 석 재료 중 25 wt% 미만에서는 보자력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45 wt%를 초과하면 잔류 자속 밀도의 감소가 현저하기 때문에, R은 25∼45 wt%로 범위를 한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8∼32 wt%이다.
B가 0.8 wt% 미만에서는 보자력의 감소가 현저하게 되고, 1.4 wt%를 초과하면 잔류 자속 밀도의 감소가 현저하게 되기 때문에, B는 0.8∼1.4 wt%로 범위를 한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1.15 wt% 이다.
Al은 저코스트로 보자력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0.05 wt% 미만에서는 보자력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작아지고, 3.0 wt%를 초과하면 잔류 자속 밀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Al은 0.05∼3.0 wt%로 범위를 한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1.5 wt%이다.
Cu는 0.02 wt% 미만에서는 보자력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작아지고, 0.5 wt%를 초과하면 잔류 자속 밀도의 감소가 크기 때문에, Cu는 0.02∼0.5 wt%로 범위를 한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3 wt% 이다.
M(M은 Zr, Hf, Ti, Cr, Nb, Mo, Si, Sn, Zn, V, W 및 Cr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은 자기 특성 중, 특히 보자력을 상승시키는 점에서 유효하다. M이 0.03 wt% 미만에서는 보자력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대단히 작아지고, 0.5 wt%를 초과하면 잔류 자속 밀도의 감소가 현저하게 되기 때문에, M은 0.03∼0.5 wt%로 범위를 한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5 wt% 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각종 구성 원소는 원료로서 사용하는 Fe나 Al의 화합물 또는 혼합물이어도 된다.
산소(O)는 0.05 wt% 미만에서는 과소결이 되기 쉽고, 또한 각형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3.0 wt%를 초과하면 보자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각형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산소는 0.05∼3.0 wt%의 범위로 한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0 wt% 이다.
탄소(C)는 0.01 wt% 미만에서는 과소결이 되기 쉽게, 또한 각형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0.5 wt%를 초과하면 보자력이 저하되어 분말의 열화가 현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탄소는 0.01∼0.5 wt%의 범위로 한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3 wt% 이다.
질소(N)는 0.002 wt% 미만에서는 과소결로 되기 쉽고, 각형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0.1 wt%를 초과하면 소결성 및 각형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질소는 0.002∼0.1 wt%의 범위로 한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0.5 wt% 이다.
불소(F)는 0.001 wt% 미만에서는 결정립이 성장하기 쉬워지고, 보자력이 저하되고, 또한 각형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2.0 wt%를 초과하면 잔류 자속 밀도(Br)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또한 소결체 불소 화합물 상의 입경이 비대하여, 도금 열화를 보이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불소는 0.001∼2.0 wt%의 범위로 한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1.5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1.0 wt% 이다.
불소의 첨가 방법은 불소를 적당량 함유하는 용해염 전해법 또는 Ca환원법에 의해 제조된 희토류(R) 금속(R은 Nd, Pr, Dy, Tb 및 Ho 중 1종 또는 2종 이상), R- T 합금(R은 Nd, Pr, Dy, Tb 및 Ho 중 1종 또는 2종 이상, T는 Fe 혹은 Fe와 그 밖의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천이금속임) 또는 R-T-B 합금(R은 Nd, Pr, Dy, Tb 및 Ho 중 1종 또는 2종 이상, T는 Fe 또는 Fe와 그 밖의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천이금속, B는 붕소 임)을 사용함으로써 첨가하는 방법, 또는 R-Fe-B 합금 분말(R은 Nd, Pr, Dy, Tb 및 Ho 중 1종 또는 2종 이상), 또는 동 조성이 되는 혼합분말에 적당량의 희토류 불화물(NdF3, PrF3, DyF3, TbF3 및 Ho3F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첨가하는 방법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에서, Fe의 일부를 Co로 치환하면, 퀴리 온도(Tc)를 상승시키는 점에서 유효하지만, 0.1 wt% 미만에서는 퀴리 온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작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4.5 wt%를 초과하면 원료 가격이 높고, 코스트적으로 불리하기 때문에, Co는 0.1∼4.5 wt%의 범위로 한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2∼4.3 wt% 이다.
또한, 사용 원료 중에 포함되고, 또한 제조 공정 중에서 혼입되는 불가피한 La, Ce, Sm, Y, Ni, Mn, Ca, Mg, Ba, Li, Na, S, P 등의 불순물의 미량의 존재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면 된다. 즉, 상기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합금의 주조, 조분쇄, 미분쇄, 성형, 소결, 또한 소결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에서의 열처리를 거쳐 제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성이 되도록 필요한 원료를 사용하고, 이것을 고주파 용 해 등의 수법으로 용해 후, 주조한다. 이것을 크러셔 및 브라운 밀 등으로 입경 0.1∼1 mm 정도의 평균 입경으로 조분쇄하고,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제트밀 등으로 평균 입경 0.01∼30 ㎛ 정도로 더욱 미분쇄 하고, 10∼15 kOe의 자계 중에서 프레스 압 1∼1.5 ton/㎠로 성형 후, 진공 분위기 중에서 1,000∼1,200℃로 소결하고, Ar 분위기 중에서 400∼600℃로 열처리를 행하여 영구 자석 재료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원료 합금에 스트립 캐스팅을 사용하여, 수소화 탈수소화 처리로 조분쇄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소결 조제로서, R 풍부한 합금을 모합금에 첨가 혼합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하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비교예 1∼3]
출발 원료로서, Nd 금속(불소 함유량 0.0∼10.0 wt%), Dy 금속(불소 함유량 0.0∼5.0 wt%), 전해철, Co, 페로보론, Al, Cu, Ti를 적당하게 사용하고, 질량비로 30Nd-1Dy-BAL.Fe-4Co-1.1B-0.3Al-0.2Cu-0.1Ti-XF(X=0.0∼3.5)의 조성으로 배합 후, 고주파 용해 하고, 수냉 구리 주형으로 주조함으로써 각종 조성의 주괴를 얻었다.
다음에, 이들 주괴를 브라운 밀로 조분쇄하고, 또한 질소 기류 중의 제트밀로 평균 입경 4 ㎛ 정도의 미분을 얻었다. 그 후, 이들 미분을 성형 장치의 금형에 충전하고, 10 kOe의 자계 중에서 배향하고, 자계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1 ton/㎠의 압력으로 성형하였다. 그 성형체를 1,060℃에서 2 시간, 진공 분위기 중에서 소결 하고, 또한 냉각한 후, 600℃에서 1 시간, Ar 분위기 중에서 열처리하여, 각종 조성의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를 얻었다. 이들 자석 재료의 산소 농도는 0.287∼0.364 wt%, 탄소농도는 0.039∼0.046 wt%, 질소 농도는 0.008∼0.016 wt% 였다.
얻어진 자석 재료에 대하여, 잔류 자속 밀도(Br) 및 보자력(iHc)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표 1로부터 불소의 첨가량이 1.8 wt%까지는 무첨가인 것과 비교하여 잔류 자속 밀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보자력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불소 첨가량이 1.8 wt%를 초과하면 잔류 자속 밀도(Br)가 현저하게 저하하였다.
불소 첨가량 (wt%) Br (kG) iHc (kOe) C (wt%) O (wt%) N (wt%)
비교예 1 무첨가 13.02 14.97 0.040 0.340 0.014
실시예 1 0.05 13.06 15.70 0.042 0.351 0.010
실시예 2 0.12 13.10 16.21 0.039 0.364 0.011
실시예 3 0.56 13.11 16.08 0.040 0.301 0.008
실시예 4 1.1 13.12 15.93 0.046 0.361 0.011
실시예 5 1.8 12.98 15.53 0.046 0.287 0.012
비교예 2 2.7 11.72 15.62 0.043 0.330 0.010
비교예 3 3.5 10.68 15.37 0.043 0.0309 0.016
[실시예 6]
출발 원료로서, Nd 금속(불소 함유량 0.0∼10.0 wt%), Dy 금속(불소 함유량 0.0∼5.0 wt%), 전해철, Co, 페로보론, Al, Cu, Zr를 적당하게 사용하고, 질량비로 30Nd-1Dy-BAL.Fe-4Co-1.1B-0.3Al-0.2Cu-0.1Zr-XF(X=0.045)의 조성으로 배합 후, 고주파 용해하고, 수냉 구리 주형으로 주조함으써 표시 조성의 주괴를 얻었다.
다음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를 얻었다. 이 자석 재료의 산소 농도는 0.352 wt%, 탄소 농도는 0.039 wt%, 질소농도는 0.12 wt%였다.
얻어진 자석 재료에 대해, 잔류 자속 밀도(Br) 및 보자력(iHc)을 측정한 바, Br=13.03 kG, iHc=16.02 kOe로 양호한 자기 특성이었다. 또한, 동 자석 재료의 자화 방향 단면을 경면이 나올 때까지 습식 연마 후, 자석을 HCl-HNO3-C2H5OH 혼합액에 1 분간 침지하여, 결정립계를 에칭하고, 남은 주상의 입경을 광학 현미경 사진을 바탕으로 화상 해석하여 측정하고, 그 입도 분포를 조사하였다(도 1 참조). 그 결과, 평균 결정립 직경은 6.28 ㎛이고, 입도 분포도 뚜렷하여 실제 조업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4]
출발 원료로서, Nd 금속(불소 함유량<0.005 wt%), Dy 금속(불소 함유량<0.005 wt%), 전해철, Co, 페로보론, Al, Cu, Zr을 적당히 사용하고, 질량비로 30Nd-1Dy-BAL.Fe-4Co-1.1B-0.3Al-0.2Cu-0.1Zr-XF(X<0001)의 조성으로 배합 후, 고주파 용해하고, 수냉 구리 주형으로 주조함으로써 표시 조성의 주괴를 얻었다.
다음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를 얻었다. 이 자석 재료의 산소 농도는 0.384 wt%, 탄소 농도는 0.041 wt%, 질소 농도는 0.13 wt% 였다.
얻어진 자석 재료에 대해, 잔류 자속 밀도(Br) 및 보자력(iHc)을 측정한 바, Br=12.98 kG, iHc=14.62 kOe의 자기 특성이었다. 또한, 동 자석 재료의 입도 분포를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하였다(도 2 참조). 그 결과, 평균 결정립 직경은 9.47 ㎛이고, 또한 입경 20 ㎛를 초과하는 이상성장립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자석 재료의 Nd, 불소, 산소의 분포와 반사전자상을 EPMA에 의해 관찰(도 3 참조)하였다. 동 도면으로부터 불소는 입계 부분에 Nd-O-F 화합물로서 편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7∼10, 비교예 5∼7]
출발 원료로서, Nd 금속(불소 함유량 0.0∼10.0 wt%), Dy 금속(불소 함유량 0.0∼5.0 wt%), 전해철, Co, 페로보론, Al, Cu, Zr을 적당하게 사용하고, 질량비로 30Nd-1Dy-BAL.Fe-4Co-1.1B-0.3Al-0.2Cu-0.1Zr-XF(X=0.03∼3.3)의 조성으로 배합 후, 고주파 용해하고, 수냉 구리 주형으로 주조함으로써 각종 조성의 주괴를 얻었다.
다음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조성의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를 얻었다. 이들 자석 재료의 산소 농도는 0.261∼0.356 wt%, 탄소 농도는 0.041∼0.046 wt%, 질소 농도는 0.008∼0.015 wt% 였다.
얻어진 자석 재료를 5×5×2 mm의 형상으로 가공하고, Ni 도금을 시행한 후, 이하의 조건 하에서 내식 시험을 실시하고, 시험 후의 외관 관찰을 행하였다.
침지액: 5% NaCl 수용액
온도: 35℃
시간: 24 시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불소 첨가량이 2.6 wt% 이상에서 현저하게 도금 열화가 발생하였다.
불소 첨가량 (wt%) 시험 후의 외관 C (wt%) O (wt%) N (wt%)
실시예 7 0.03 양호 0.044 0.286 0.012
실시예 8 0.56 양호 0.042 0.330 0.010
실시예 9 1.2 양호 0.046 0.307 0.011
실시예 10 1.9 0.043 0.356 0.008
비교예 5 2.6 핀홀 발생 0.043 0.290 0.012
비교예 6 2.8 핀홀 발생 0.041 0.292 0.013
비교예 7 3.3 도금막 박리 0.044 0.261 0.015
[실시예 11∼14, 비교예 8∼10]
출발 원료로서, Nd 금속(불소 함유량 0.001 wt%), Dy 금속(불소 함유량 0.002 wt%), 전해철, Co, 페로보론, Al, Cu, Zr을 적당하게 사용하고, 질량비로 29Nd-2Dy-BAL.Fe-4Co-1.1B-0.3Al-0.2Cu-0.1Zr의 조성으로 배합 후, 고주파 용해하고, 수냉 구리 주형으로 주조함으로써 얻은 주괴를 브라운 밀로 조분쇄를 행하였다. 얻어진 조분말에 NdF3 분말을 무첨가에서부터, 혼합 후의 불소 농도가 0.04∼4.1 wt%가 되도록 첨가하고, 질소 기류 중의 제트밀로 평균 입경 4.3 ㎛ 정도의 미분을 얻었다.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 조성의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를 얻었다. 이들 자석 재료의 산소 농도는 0.352∼0.432 wt%, 탄소 농도는 0.043∼0.050 wt%, 질소 농도는 0.009∼O.020 wt%였다.
얻어진 자석 재료에 대해, 잔류 자속 밀도(Br) 및 보자력(iHc)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동 표로부터 불소의 첨가량이 1.6 wt%까지는 무첨가의 것과 비교하여 잔류 자속 밀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지 않고 보자력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불소 첨가량이 4.1 wt%를 초과하면 불소를 첨가하지 않는 것보다 보자력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불소 첨가량이 0.8 wt%일 때, 무첨가의 것에 비해 보자력을 1.3 kOe 정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불소 첨가량 (wt%) Br (kG) iHc (kOe) C (wt%) O (wt%) N (wt%)
비교예 8 무첨가 12.76 16.02 0.044 0.407 0.010
실시예 11 0.04 12.80 16.81 0.043 0.432 0.009
실시예 12 0.8 12.73 17.34 0.044 0.366 0.013
실시예 13 1.3 12.60 17.21 0.046 0.408 0.011
실시예 14 1.6 12.54 17.05 0.045 0.426 0.009
비교예 9 3.6 10.51 16.75 0.047 0.374 0.015
비교예 10 4.1 8.08 14.38 0.050 0.352 0.020

Claims (3)

  1. 질량 백분율로 R=25∼45 wt%(R은 Nd, Pr, Dy, Tb 및 Ho 중 1종 또는 2종 이상),
    Co=0.1∼4.5 wt%,
    B=0.8∼1.4 wt%,
    Al=0.05∼3.0 wt%,
    Cu=0.02∼0.5 wt%,
    M=0.03∼0.5 wt%(M은 Zr, Hf, Ti, Cr, Nb, Mo, Si, Sn, Zn, V, W 및 Cr 중 1종 또는 2종 이상),
    C=0.01∼0.5 wt%,
    0=0.05∼3.0 wt%,
    N=0.002∼0.1 wt%,
    F=0.001∼2.0 wt%,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F의 함유량이 0.005∼1.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
  3. 제2항에 있어서, F의 함유량이 0.008∼1.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
KR1020067016202A 2004-06-22 2005-06-20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 KR20070023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202A KR20070023643A (ko) 2004-06-22 2005-06-20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3288 2004-06-22
KR1020067016202A KR20070023643A (ko) 2004-06-22 2005-06-20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643A true KR20070023643A (ko) 2007-02-28

Family

ID=4365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202A KR20070023643A (ko) 2004-06-22 2005-06-20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36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192A (ko) * 2019-12-24 2022-03-31 시아멘 텅스텐 코., 엘티디. 고 Cu 고 Al의 네오디뮴철붕소 자성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192A (ko) * 2019-12-24 2022-03-31 시아멘 텅스텐 코., 엘티디. 고 Cu 고 Al의 네오디뮴철붕소 자성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5193B2 (en) R-FE-B based rare earth permanent magnet material
EP2752857B1 (en) R-T-B rare earth sintered magnet
EP2387044B1 (en) R-T-B rare earth sintered magnet
KR101030267B1 (ko) 희토류 영구자석
KR101062229B1 (ko) 희토류 영구자석
JP4702546B2 (ja) 希土類永久磁石
EP2590181B1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n r-t-b based rare earth permanent magnet
KR101084340B1 (ko) 경사기능성 희토류 영구자석
EP3660872B1 (en) Sintered body,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reparation method of a sintered magnet
EP2500915B1 (en) R-T-B rare earth sintered magnet
JP4702549B2 (ja) 希土類永久磁石
EP1398800B1 (en) Rare earth element permanent magnet material
EP3076406A1 (en) R-fe-b sintered magnet and making method
JP4702548B2 (ja) 傾斜機能性希土類永久磁石
JPH0521218A (ja) 希土類永久磁石の製造方法
EP2415541A1 (en) Alloy material for r-t-b-type rare-earth permanent magnet, process for production of r-t-b-type rare-earth permanent magnet, and motor
EP1961506A1 (en) Rare earth sintered magn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05015580A1 (ja) R-t-b系焼結磁石および希土類合金
EP0553527A1 (en) Powder material for rare earth-iron-boron based permanent magnets
EP0561650A2 (en) Alloy powder material for R-Fe-B permanent magnets
KR100204256B1 (ko) 자기적 이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희토류-에프이-비 계영구자석분말 및 접합자석
EP0386286B1 (en) Rare earth iron-based permanent magnet
KR20070023643A (ko) R-Fe-B계 희토류 영구 자석 재료
JP4303937B2 (ja) 永久磁石合金
KR100204344B1 (ko) 자기적 이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희토류-철-코발트-붕소계 영구자석분말 및 접합자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