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286A - 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286A
KR20070023286A KR1020050077701A KR20050077701A KR20070023286A KR 20070023286 A KR20070023286 A KR 20070023286A KR 1020050077701 A KR1020050077701 A KR 1020050077701A KR 20050077701 A KR20050077701 A KR 20050077701A KR 20070023286 A KR20070023286 A KR 20070023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topic
database
items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7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3286A/ko
Publication of KR20070023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별로 일정을 관리하는 일정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정관리 장치는 다수의 일정주제 항목이 저장되되, 일정주제 항목 각각이 기준일을 기준으로 한 시행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항목을 복수 개 포함하도록 구성된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와, 시간별 일정이 저장되는 일정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일정주제 항목을 추출하고, 이 일정주제 항목에 포함된 일정항목을 입력된 기준일 및 저장된 시행 정보를 참조하여 산출되는 시간의 일정으로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제별 일정 입력부와,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읽어 지정된 시각에 사용자에게 알리는 일정 알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정 관리 장치는 일정내용들을 개별적으로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주제별로 일정 항목을 일괄적으로 입력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게 일정 관리를 할 수 있다.
일정 주제 데이터베이스, 일정 주제 항목, 기준일, 일정 데이터베이스.

Description

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rating schedule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일정 관리 장치 110 : 제어부
111 : 개별 일정 입력부 112 : 일정 편집부
113 : 주제별 일정 입력부 114 : 일정 주제 편집부
115 : 일정 알람부 130 : 달력/시각부
140 : 일정 데이터베이스 150 : 일정 주제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개인별로 일정을 관리하는 일정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은 기억해야할 일이 발생할 때, 일반적으로 특정 날짜와 시각 그리고 내용을 입력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 내용은 일정 관리 장치 내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이 된다. 그리고 일정 관리 장치는 저장된 일정 정보의 날짜, 시각과 현재의 날짜, 시각을 비교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현재의 날짜와 시간이 저장된 일정 항목 중의 하나와 일치하게 되면 기억된 통지방법에 따라 자신의 일정을 확인하게 함으로써 일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일정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각각의 일정 항목을 입력해야 한다. 그래서 한 번의 약속 등 단발성의 일정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다. 하지만 하나의 주제로 주기적인 복수의 항목이 연관되어 있는 경우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 예를 들면, 출산/육아인 경우 임신 일로부터 주기적인 병원검진, 출산 준비물 마련, 특정 검사 및 예방 접종 등의 필요한 주기와 항목들을 사용자가 알기도 어렵고 해당 항목들을 각각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일정 관리의 활용성이 떨어진다.
또 출산, 육아, 장례 등 일상적이지 않고 처음 경험하는 일을 겪을 때 사람들은 불안해하며 어느 일부터 언제 해야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련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일정주제들에 대해 입력을 간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일정 관리 장치는 다수의 일정주제 항목이 저장되되, 일정주제 항목 각각이 기준일을 기준으로 한 시행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항목을 복수 개 포함하도 록 구성된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와, 시간별 일정이 저장되는 일정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일정주제 항목을 추출하고, 이 일정주제 항목에 포함된 일정항목을 입력된 기준일 및 저장된 시행 정보를 참조하여 산출되는 시간의 일정으로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제별 일정 입력부와,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읽어 지정된 시각에 사용자에게 알리는 일정 알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른 일정 관리 장치는 주제별로 일정 항목을 제공하기 때문에 입력 사항들을 개별적으로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서 보다 효과적이고 유용하게 일정 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주제별 일정은 사용자가 자신이 익숙하지 않은 행사들, 예를 들어 장례식, 결혼식 등의 일정을 차질 없이 준비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관리 장치(100)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관리 장치(100)는 개인휴대용정보단말기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관리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일정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개인용 컴퓨터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같 은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정보기기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장치(100)는 다수의 일정주제 항목이 저장되되, 일정주제 항목 각각이 기준일을 기준으로 한 시행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항목을 복수 개 포함하도록 구성된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와, 시간별 일정이 저장되는 일정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일정주제 항목을 추출하고, 이 일정주제 항목에 포함된 일정항목을 입력된 기준일 및 저장된 시행 정보를 참조하여 산출되는 시간의 일정으로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제별 일정 입력부와,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읽어 지정된 시각에 사용자에게 알리는 일정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관리장치(100)는 개별일정입력부(111)와, 일정편집부(112)와 같은 공지된 구성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일정 입력부(111)는 단발성의 일정 또는 통상적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일정을 입력 받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어떤 약속이 있을때 개별 일정 입력부(111)는 약속이 시행될 날짜 및 시간과 시행될 일정내용을 입력한다. 또 매주, 또는 매월 3번째 수요일 등과 같이 일정한 시기에 반복되는 기념일, 모임과 같은 일정을 입력할 수 있다. 일정 편집부(112)는 개별 일정 입력부(111)에서 입력된 데이타를 편집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편집부(112)는 개별 일정 입력부(111)에서 입력된 약속에 대한 날짜나 시간 또는 단편적인 내용이 잘못 기록되었을 때나 변경하고자 할 때 각각의 내용들을 수정하고 편집한다.
일정 데이터베이스(140)는 개별 일정 입력부(111) 등에서 입력된 개별 일정을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별 일정은 일정이 시행될 시각과 미리 알림 시각, 또 시행될 내용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반복되는 일정의 경우 반복 주기와 시행될 내용이 함께 관리된다.
도시된 구성 중 달력/시각부(130)는 타이머로부터 현재 시각과 날짜를 계산하여 알리는 공지된 구성이다.
일정 알람부(115)는 달력/시각 모듈(130)에서 출력되는 현재 일자와 시각을 일정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개별 일정들의 일자 및 시각과 비교하여 해당되는 날짜의 해당 시각이 되면 일정 내용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알람부(115)는 지정된 시각이 되면 일정 내용을 알람음과 함께 알린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알람부(115)는 지정된 시각이 되면 지정된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일정 내용을 단문 메시지로 통보하는 구성이다.
일정 주제 데이터베이스(150)는 복수의 일정주제 항목과 관련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일정주제 항목은 일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일련의 관련된 그룹 일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정주제 항목은 결혼식 일정, 장례식 일정, 육아 일정 등 중의 하나일 수 있다. 각각의 일정주제 항목들은 기준일과 다수의 일정항목을 포함한다. 기준일은 일정주제에 따라 정해지며, 일정주제 항목들에 포함된 일정항목들의 일정이 진행되는 기준일이다. 예를 들어 장례 일정의 경우 기준일은 사망일이 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결혼 일정의 경우 결혼식일자가 될 것이다.
일정항목은 해당 일정주제에 관련된 구체적인 개별 일정으로 기준일을 기준 으로 한 시행시각 정보와 시행될 일정내용의 쌍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결혼식의 일정 주제에 대하여 일정항목의 그룹은 신부댁 방문, 예식장 예약, 함 보내기, 신혼여행 예약, 결혼식, 출국 등의 개별 일정이 될 수 있다. 육아의 경우에는 출산일을 기준으로 예방접종 일정과 수유 일정, 소모품 관리, 수면 주기, 성장 과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일정항목은 시행시각 정보와 일정내용의 쌍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행시각 정보는 기준일을 기준으로 한 오프셋으로 관리된다. 예를 들어 신부댁 방문이라는 일정내용에 대한 시행시각 정보는 결혼식이라는 기준일을 기준으로 2개월 이전 등으로 정의된다.
주제별 일정 입력부(113)는 일정 주제 데이타 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는 일정 주제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 주제와 관련된 일정 항목들을 추출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기준일로부터 일정을 산출하여 일정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주제별 일정입력부(113)는 먼저 일정주제들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사용자가 이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일정주제 항목에 관련된 일정항목들을 추출한다. 이후에 사용자가 기준일을 입력하면, 이 입력된 기준일로부터 구체적인 개별 일정이 시행될 시간을 산출한다. 시행시각 정보가 기준일을 기준으로한 상대적인 오프셋으로 정의되므로 이는 달력/시각부(130)로부터 출력되는 달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간단히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관리장치는 상기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정 항목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주제에 관련된 일정 항목들을 편집하여 재저장하는 일정 편집부 (112)를 더 포함한다. 즉, 종래 일정 편집부(112)는 본 발명에서 일정 주제에 관련된 항목들을 편집할 수 있도록 개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주제 항목들은 각각 고유한 식별번호가 부여되며, 주제별 일정 입력부(113)가 특정한 일정주제에 관련된 일정 항목들을 입력할 때 관련 일정 항목들은 이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고 일정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다. 따라서 일정 편집부(112)는 사용자에게 식별번호 인덱스로부터 현재 일정관리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일정주제 항목들의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주제에 관련된 개별 일정항목들의 목록을 제시한다. 이후에 사용자는 일정항목들을 삭제하거나 일정 내용 및 시행 시각 정보를 편집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수유 일정에서 수유량이나 분유의 종류 등과 같은 수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편집한다. 또다른 예로, 소모품 구매에서 기저귀 구매 주기, 기저귀 종류, 등과 같은 소모품 구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편집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관리 장치는 일정 주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정주제 항목들을 편집하여 재저장하는 일정 주제 편집부(114)를 더 포함한다. 일정 편집부(112)가 일정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확정된 일정을 편집하는데 반해, 일정 주제 편집부(114)는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는 미확정된 데이터로서만 존재하는 일정주제 항목들을 편집한다. 예를 들어 일정주제 편집부(114)는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는 일정주제 항목들의 목록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주제에 관련된 일정항목들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일정항목을 삭제하거나 일정항목에 포함된 기준일로부터의 오프셋이나 시행내용 등을 편집할 수 있다. 이후에 해당 일정주제를 사용하기 위해 주제별 일정 입력부(113)가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150)에서 호출하면 항상 바뀐 내용이 추출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주제 편집부(115)은 기준일을 변경,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수유 주기, 소모품 구매 주기, 예방 접종 주기 등과 같은 일정 항목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나 주기로 변경한다. 또한 일정주제 항목에 포함된 이 같은 일정항목 자체를 신설하거나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관리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관리 방법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관리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일정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개인용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정보기기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방법은 다수의 일정주제 항목이 저장되되, 상기 일정주제 항목 각각이 기준일을 기준으로 한 시행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항목을 복수 개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와(단계 S201), 주제별 일정 입력이 선택되면(단계 S202,S203), 주제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와(단계 S204), 주제 목록 중 하나가 선택되면(단계 S205), 선택된 일정 항목을 상기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 입력된 기준일로부터 구체적인 날짜를 계산하여 일정 항목을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하는 단계와(단계 S206),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읽어 지정된 시각에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단계 S206, S2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육아와 관련된 몇 가지의 일정 주제 항목들이 제공된다. 이들 항목들은 동일하게 육아와 관련된 것이지만 실제 구체적인 일정항목의 내용들이 다르다. 사용자는 육아와 관련된 일정 주제 항목들을 여러 개 열람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하나의 육아관련 일정 주제 항목을 선택하여 일정 주제 데이터베이스(150)를 준비한다(단계 S201). 사용자는 주제별 일정을 입력하기 위하여 일정 메뉴 중 일정 주제 입력 부분을 선택한다(단계 S202, S203).
이후에 단말기는 일정 주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이용할 수 있는 일정 주제 들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제공한다(단계 S204). 이후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이 중 입력을 원하는 일정 주제 항목을 선택받는다(단계 S205). 이후에 주제별 일정 입력부(113)는 일정 주제 데이터베이스(150)에서 선택된 일정 주제 항목과 관련된 일정항목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이후에 사용자가 기준일을 입력하면, 주제별 일정 입력부(113)는 기준일로부터 각각의 일정항목에 관련된 시행 시각을 계산하며, 해당 일정 내용과 함께 일정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단계 S206).
만약 사용자가 주제별로 입력된 일정 항목을 수정하기 원한다면(단계 S207), 일정 편집부(112)는 먼저 일정 데이터베이스(140)에서 주제항목들의 인덱스 정보를 추출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사용자가 목록 중 편집을 원하는 주제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주제 항목에 관련된 개별 일정 항목들을 주제 항목 식별번호 정보를 이용 하여 일정 데이터베이스(140)에서 수집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개별일정 항목들을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단계 S208). 편집이 종료되면(단계 S210) 수정된 일정 항목들을 일정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단계 211).
이후에 일정 알람부(117)는 달력/시각부(130)에서 출력되는 현재 시각 정보를 참조하여(단계 S212) 일정 데이터베이스(140)를 검색하여 현재 알려야 하는 일정 내용이 있는지 검색한다. 만약 알려야 하는 일정 항목이 있다면(단계 S213), 해당 일정 내용을 지정된 방법, 예를 들면 화면 출력이나 휴대폰 문자 메시지, 전자 메일 등의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단계 S21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정 관리 장치는 주제별로 일정 항목을 제공하기 때문에 입력 사항들을 개별적으로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서 보다 효과적이고 유용하게 일정 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다수의 일정주제 항목이 저장되되, 상기 일정주제 항목 각각이 기준일을 기준으로 한 시행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항목을 복수 개 포함하도록 구성된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와;
    시간별 일정이 저장되는 일정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일정주제 항목을 추출하고, 이 일정주제 항목에 포함된 일정항목을 입력된 기준일 및 저장된 시행 정보를 참조하여 산출되는 시간의 일정으로 상기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제별 일정 입력부와;
    상기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읽어 지정된 시각에 사용자에게 알리는 일정 알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주제 항목 각각에 포함된 시행 정보가 기준일을 기준으로 한 시행시각 정보와 시행될 일정내용의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장치가 :
    상기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정 항목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주제에 관련된 일정 항목들을 편집하여 재저장하는 일정 편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장치가 :
    상기 일정 주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정 주제 항목들을 편집하여 재저장하는 일정 주제 편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장치가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장치.
  6. 다수의 일정주제 항목이 저장되되, 상기 일정주제 항목 각각이 기준일을 기준으로 한 시행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항목을 복수 개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와;
    주제별 일정 입력이 선택되면 주제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주제 목록 중 선택된 일정 항목을 상기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 입력된 기준일로부터 구체적인 날짜를 계산하여 일정 항목을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읽어 지정된 시각에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방법이 :
    상기 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일정 항목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주제에 관련된 일정 항목들을 편집하여 재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방법이 :
    상기 일정주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주제 일정 항목들을 편집하여 재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장치.
KR1020050077701A 2005-08-24 2005-08-24 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70023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701A KR20070023286A (ko) 2005-08-24 2005-08-24 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701A KR20070023286A (ko) 2005-08-24 2005-08-24 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286A true KR20070023286A (ko) 2007-02-28

Family

ID=4365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701A KR20070023286A (ko) 2005-08-24 2005-08-24 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32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028B1 (ko) * 2008-07-30 2011-03-09 이주호 일정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WO2013165099A1 (ko) * 2012-05-02 2013-11-07 Youn Young Sik 일정관리방법 및 그 장치
WO2022092487A1 (ko) * 2020-10-27 2022-05-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028B1 (ko) * 2008-07-30 2011-03-09 이주호 일정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WO2013165099A1 (ko) * 2012-05-02 2013-11-07 Youn Young Sik 일정관리방법 및 그 장치
WO2022092487A1 (ko) * 2020-10-27 2022-05-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7151B2 (en) Graphical planner
US9195972B2 (en) Smart calendar
CN101068418B (zh) 信息处理设备、方法、程序和移动终端装置
JP4493603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携帯端末機及びその方法
JP200732508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KR20070106929A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 방법, 정보처리 프로그램, 및 휴대단말장치
JP200800547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108803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indexing, categorizing, and triggering digital content and gifts for future delivery
WO2017064548A1 (en) Organization, analysis, and management of digital interactions on networked computers
KR20070023286A (ko) 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00275140A1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image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JP2010218079A (ja) 慶弔行事支援システム
JP2007164558A (ja) 会議支援装置、会議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183099A (ja) 写真撮影促進カメラ、写真撮影促進システム及び写真撮影促進方法
JP2009032159A (ja)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方法、情報提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125998B1 (ko) 휴대폰의 육아정보 관리 방법
JP200804080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装置及びポップアップ表示システム
JP2007148768A (ja) 看護支援システム
Alexiadis et al. Defining a task's temporal domain for intelligent calendar applications
WO2021235558A1 (ja) 服薬支援プログラム、服薬支援装置および服薬支援方法
KR102306685B1 (ko) 통합 시간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ahman et al. QR code for health notification mobile application
KR101700284B1 (ko) 원아수첩을 기반으로 하는 라이프 로그 서비스 제공 장치, 사용자 장치, 시스템, 라이프 로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0330309B1 (ko) 멀티알람 요일 관리시계
JP2016197338A (ja) 利用者端末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