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359A - Spacer for molding concrete block - Google Patents

Spacer for molding concrete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359A
KR20070022359A KR1020070002593A KR20070002593A KR20070022359A KR 20070022359 A KR20070022359 A KR 20070022359A KR 1020070002593 A KR1020070002593 A KR 1020070002593A KR 20070002593 A KR20070002593 A KR 20070002593A KR 20070022359 A KR20070022359 A KR 20070022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crete block
spacer
seating groov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5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석모
Original Assignee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황석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황석모 filed Critical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359A/en
Publication of KR2007002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3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블록을 성형시 그 내부에 형성되는 망 형태의 보강철근을 지지하는 상태로 일체 성형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본체의 상단 중앙에 요입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이 안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본체의 양측 상단면 폭이 좁아지도록 구부를 넓게 형성한 제1 안착홈; 및 상기 본체의 하단 중앙에 요입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의 끝단이 안착되도록 깊게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의 양측 상단면 폭이 좁아지도록 구부를 넓게 형성한 내협외광 형태의 제2 안착홈;이 구성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이나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에 대하여 간편하고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블록의 성형 후에는 그 외면에 본체의 단부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를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that is integrally molded in a state of supporting a reinforcing steel reinforcing bar formed in the concrete block when forming the concrete block, specifically, so that the reinforcing steel that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is seated A first seating groove formed to have a wider portion so as to narrow the width of both top surfaces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seating groove having an inner narrow external light type in which a wider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width of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is narrowed while being deeply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vertically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main body is seated vertically. As it is made, not only simple and stable support is made for reinforcing bars formed horizontally or reinforcing bars formed vertically, but also after the molding of the concrete block, the concrete block can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ends of the main body to the outer surface. It will provide a reinforcing steel spacer for molding.

Description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Spacer for molding concrete block}Spacer for molding concrete block {Spacer for molding concrete block}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ement spacer for concrete block moldin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reinforcement spacer for concrete block moldin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도 3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5는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einforcement spacer for concrete block molding applied invention.

도 6은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의 적용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pplication of the reinforcement spacer for concrete block molding applied invention.

도 7은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의 다른 적용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mbodiment of the reinforcement spacer for concrete block molding to which the invention is applied.

도 8은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의 또 다른 적용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mbodiment of the reinforcement spacer for concrete block molding to which the invention is applied.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를 이용한 콘크리트블록의 일부 절결 사시도.Figure 9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 block using the reinforcement spacer for concrete block molding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콘크리트 블록 20: 보강철근10: concrete block 20: rebar

30: 성형틀30: forming mold

100: 본체 120: 제1 안착홈100: main body 120: first seating groove

140: 제2 안착홈 160: 제3 안착홈140: second seating groove 160: third seating groove

본 발명은 콘크리트블록을 성형시 타설된 시멘트 콘크리트 내부의 보강철근을 지지하는 상태로 일체 성형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페이서를 형성하되 수평으로 형성하는 보강철근이나 수직으로 형성하는 보강철근에 대하여 간편하고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이고, 콘크리트블록의 성형 후에는 그 외면에 본체의 단부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that is integrally molded in a state of supporting the reinforcing steel in the cement concrete poured during the concrete block molding,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steel to form the spacer, but to form a horizontal reinforcement or vertically Regarding the simple and stable support is made, as well as after the molding of the concrete block relates to the reinforcement spacer for forming a concrete block to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end of the body to the outer surface.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블록의 내부에는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망 형태의 보강철근을 형성한다.In general, the reinforcing bar is formed in the form of mesh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block.

이와 같이 콘크리트블록 내부에 보강철근을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성형틀 내부에 겔 형태의 콘크리트 혼합물을 중간 높이로 채운 후, 그 위에 망 형 태의 보강철근을 올려놓고 다시 콘크리트 혼합물을 채워 보강철근이 타설된 콘크리트 혼합물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reinforcing bar inside the concrete block, first, fill the gel-shaped concrete mixture inside the forming mold to a medium height, and then put the reinforcing steel in the form of a mesh on it and refill the concrete mixture again. To form between concrete mixtures.

그러나 이와 같은 과정으로 성형한 콘크리트블록에 의하면 상기 보강철근이 정위치에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강철근 위에 다시 콘크리트 혼합물을 타설하는 과정에서 보강철근에 휨이 발생하는 등 여러 문제가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crete block formed by such a process, not only the reinforcing bar is not formed in place, but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bending of the reinforcing bar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concrete mixture on the reinforcing bar again.

또한,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성형시 보강철근을 수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철근의 자체 하중에 의해 타설된 콘크리트 혼합물이 미처 굳기 전에 가라앉기 때문에 성형 후 콘크리트블록의 하단에 보강철근이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the reinforcing bars are formed vertically when the concrete block is formed, the concrete mixture poured by the load of the reinforcing bars sinks before hardening, so that the rebar is exposed at the bottom of the concrete block after molding. Occurs.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성형틀의 상·하·좌·우면에 상기 보강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를 결합하여 콘크리트블록을 성형한 후,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탈형과 동시에 상기 고정구가 분리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 상기 고정구가 분리된 홈을 다시 채워서 마감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발생한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fter forming a concrete block by combining a separate fixture for supporting the reinforcing steel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lding frame, the technique of separating the concrete block and the fixture at the same time is performed. Although it has been proposed, in this case, an inconvenience that needs to be closed by refilling the separated grooves occur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콘크리트블록을 성형시 타설된 콘크리트 내부의 보강철근을 지지하는 상태로 일체 성형되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되, 수평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이나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에 대하여 간편하고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shortcomings,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pacer that is integrally molded in a state of supporting the reinforcing reinforcement in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block is molded, the reinforcement is formed horizontally It is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spacer for forming a concrete block to make a simple and stable support for the vertically formed reba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콘크리트블록의 성형 후 그 외면에 스페이서 본체의 단면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ement spacer for forming a concrete block to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pacer body on the outer surface after the molding of the concrete bloc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보강철근을 지지한 상태에서 평활도가 낮은 성형틀 바닥에 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spacer for forming a concrete block to prevent slipping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mold having low smoothness in the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suppor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블록을 성형시 그 내부에 형성되는 망 형태의 보강철근을 지지하는 상태로 일체 성형되는 스페이서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spacer integrally molded in a state that supports the reinforcing steel reinforcing bar is formed therein when forming the concrete block,

본체의 상단 중앙에 요입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이 안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본체의 양측 상단면 폭이 좁아지도록 구부를 넓게 형성한 제1 안착홈; 및A first seating groove having a wider bend to widen the width of both sides of the top of the main body while allowing the reinforcing bars to be horizontally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의 하단 중앙에 요입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의 끝단이 안착되도록 깊게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의 양측 상단면 폭이 좁아지도록 구부를 넓게 형성한 내협외광 형태의 제2 안착홈; 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A second seating groove having an inner narrow external light type formed with a wider bent to narrow the width of both top surfaces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deeply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vertically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main body is seated; Is made up of

또한, 상기 본체의 상단에 대하여 제1 안착홈과 "十" 형태로 교차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안착홈 보다 깊게 형성된 제3 안착홈;이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third seating groove formed deeper than the first seating groove while crossing the first seating groove in the form of a "twelve"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이때, 상기 본체는 제2 안착홈을 통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의 끝단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안착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is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steel vertically formed through the second seating groove is seated at least two or more.

또한, 상기 본체는 시멘트 콘크리트 재질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body is made of a cement concrete materi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의 적용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의 다른 적용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의 또 다른 적용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를 이용한 콘크리트블록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bar spacer for concrete block moldin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reinforcing bar spacer for concrete block moldin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einforcing steel spacer for forming a concrete block, the invention is applie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pplication of the reinforcing steel spacer for forming a concrete block applied the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bar spacer for concrete block molding to which the invention is applie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bar spacer for concrete block molding to which the invention is applied.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block using a reinforcement spacer for forming a concrete bloc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하단에 각각 제1,2,3 안착홈(120, 140, 160)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9, first, second, and third seating recesses 120, 140, and 160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S. 1 to 9.

이에, 상기 본체(100)는 그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2,3 안착홈(120, 140, 160)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육면체로 형성하되, 좌우로 길게 형성하면서 상하 높이를 전후 폭보다 크게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보강철근(20)을 지지한 상태에서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기 본체(100)의 좌우 길이는 상기 제2 안착홈(140)을 통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보강철근(20) 끝단을 지지하도록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Thus, the main body 100 is formed of a cube so as to form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ting grooves 120, 140 and 160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heights are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s. While largely formed, it does not fall easily while supporting the reinforcing bar 20. In particular, the left and right length of the main body 100 is preferably formed long to support the end of at least two or more reinforcing bar 20 through the second seating groove 140.

상기 제1 안착홈(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20)이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100) 상단의 중앙에 좌우로 길게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seating groove 120 is formed to be long left and right in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reinforcing bar 20 formed horizontally is seated.

이때, 상기 제1 안착홈(120)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면이 좁아지도록 그 구부를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20)의 끝단을 제2 안착홈(140)에 안착시켜 지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안착홈(120) 양측의 본체(100) 상단면이 성형틀(30) 바닥에 밀착되기 때문에 성형된 콘크리트블록(10) 외면에 노출되는바, 이와 같이 콘크리트블록(10) 외면으로 노출되는 본체(100)의 상단면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제1 안착홈(120)의 구부를 넓게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first seating groove 120 is preferably to form a wider portion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narrower. That is, when the end of the reinforcing steel reinforcement 20 is formed to be ver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seating groove 140,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20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old 30. Becaus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olded concrete block 10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20 so as to reduce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10 to a minimum Form wide.

상기 제2 안착홈(140)은 본체(100)의 하단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20)의 끝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깊게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00)의 중간 위치에 좌우로 길게 형성한다. 즉, 상기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20)의 끝단이 제2 안착홈(140)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깊게 형성하면서 좌우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끝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한다.The second seating groove 140 is deeply formed to support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20 which is vertic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is long left and right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Form. That is,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 20 vertically formed are deeply formed to prevent them from being separated back and forth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second seating groove 140 so as to support at least two ends from side to side. Form long.

한편, 상기 제2 안착홈(140)은 상기 본체(100) 양측의 하단면이 좁아지도록 하면서 부러짐을 방지하도록 내협외광의 형태로 형성한다. 즉, 수평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20)을 제1 안착홈(120)에 안착시켜 지지하는 경우 상기 제2 안착홈(120) 양측의 본체(100) 하단면이 성형틀(30) 바닥에 밀착되기 때문에 성형된 콘크리트블 록(10) 외측으로 노출되는바, 이와 같이 콘크리트블록(10) 외측으로 노출되는 본체(100)의 하단면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제2 안착홈(140)의 구부를 넓게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40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inner narrow light so as to prevent the break while narrowing the bottom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when the reinforcing bar 20 formed horizontally is seated and suppor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20,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molding frame 30. Since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lded concrete block 10,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40 so as to reduce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block 10 to a minimum Form wide.

아울러, 상기 제1,2 안착홈(120, 140)의 형성을 통해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성형틀(30) 바닥의 평활도가 낮은 경우에도 상기 제1,2 안착홈(120, 140) 양측의 본체(100) 상·하단면에 의해 지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끄러짐 없이 더욱 안정감이 향상되는 구조다.In addition, stable support may be achieved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20 and 140. That is, even when the smoothness of the bottom of the molding frame 30 is low, because the support is made by the upper and lower end surfaces of the main body 100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20 and 140, the stability is further improved without slipping. It's a rescue.

상기 제3 안착홈(16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안착홈(120)과 "十" 형태로 교차하면서 상기 제1 안착홈(120) 보다 깊게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third seating groove 160 intersects the first seating groove 120 in a “twelve” shape and is deeper than the first seating groove 120.

즉, 수평으로 놓이는 보강철근(20)에 대하여 "十" 형태로 교차되는 각 교차지점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안착홈(120)과 제3 안착홈(160)을 "十" 형태로 교차 형성하는데, 상기 제3 안착홈(160)은 교차되는 하측 보강철근이 안착된 상태에서 그 위의 상측 보강철근이 상기 제1 안착홈(12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안착홈(120) 보다 더 깊게 형성한다.That is, the first seating groove 120 and the third seating groove 160 intersect in the form of "十" so as to simultaneously support each intersection point intersected in the form of "十"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ly placed rebar 20. The third seating groove 160 may be form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20 such that the upper reinforcing bar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groove 120 in a state where the lower reinforcing bars are crossed. To form deeper.

한편, 이상 설명한 본체(100)는 시멘트 콘크리트 재질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2 안착홈(120, 140) 양측의 본체(100) 상·하단이 성형된 콘크리트블록(10)의 외면에 노출되더라고 유사한 재질에 의해 미려감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 재질과 같은 재질로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100 described above is molded from a cement concrete material. That is, even i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100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20 and 140 ar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ed concrete block 10, the concrete material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similar material. It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30)의 바닥에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적정 위치에 등 간 격으로 올려놓은 상태에서 그 위에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철근(20)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보강철근(20)을 수평으로 놓는 경우 제1,3 안착홈(120, 160)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보강철근(20)을 수직으로 놓는 경우 제2 안착홈(140)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한다.Therefore,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5, the spac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mold 30 for molding the concrete block at appropriate intervals at equal intervals therefrom. As shown in 8, the rebar 20 is seated. In this case, when the reinforcing bar 20 is placed horizontally, the first and third seating grooves 120 and 160 face upward, and when the rebar 20 is placed vertically, the second seating groove 140 is upper side. To the side.

이어, 상기 성형틀(3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 양측의 상단면이나 하단면이 콘크리트블록(10)의 외면에 대하여 매우 작게 노출되면서 상기 보강철근(20)이 정위치되기 때문에 미려감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정된 콘크리트블록(10)의 성형이 이루어진다.Subsequently, 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mold 30 and cured, as shown in FIG. 9, the upper or low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re exposed to a very small size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10. Since the reinforcing bar 20 is in place, it prevents the damage of the beauty and is made of a stable concrete block (10).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에 의하면 콘크리트블록을 성형시 제1,2,3 안착홈을 통해 수평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이나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에 대하여 간편하고 안정된 지지가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 능률과 제품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According to the reinforcement spacer for form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simple and stable support for reinforcing bars form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formed reinforcing bars through first, second, and third seating grooves when forming concrete blocks As a result, a very useful effect is exerted to further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and product reliability.

또한, 상기 본체의 상·하단면의 면적이 최소화되어 콘크리트블록의 성형 후 그 외면에 본체의 단면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시멘트 재질로 성형함에 따 라, 외부로 표출되는 미려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area of the upper and lower cross-section of the main body to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to the outer surface after the molding of the concrete block, by molding with a cement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beautiful appearance expressed outside A very useful effect can be exerted.

또한, 상기 본체의 상·하단면에 형성된 제1,2 안착홈에 의해 상기 본체의 양측 상·하단면이 평활도가 낮은 성형틀 바닥에 대해서도 미끄러짐 없이 안정되게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 surfaces of the main body exhibit a very useful effect that the upper and lower end surfaces of the main body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slipping even on the bottom of the mold having low smoothness. do.

Claims (4)

콘크리트블록을 성형시 그 내부에 형성되는 망 형태의 보강철근을 지지하는 상태로 일체 성형되는 스페이서에 있어서,In the spacer integrally molded in a state that supports the reinforcing steel reinforcing bars formed therein when the concrete block is formed, 본체의 상단 중앙에 요입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이 안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본체의 양측 상단면 폭이 좁아지도록 구부를 넓게 형성한 제1 안착홈; 및A first seating groove having a wider bend to widen the width of both sides of the top of the main body while allowing the reinforcing bars to be horizontally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의 하단 중앙에 요입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의 끝단이 안착되도록 깊게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의 양측 상단면 폭이 좁아지도록 구부를 넓게 형성한 내협외광 형태의 제2 안착홈; 을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A second seating groove having an inner narrow external light type formed with a wider bent to narrow the width of both top surfaces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deeply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vertically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main body is seated; Reinforcement spacer for concrete block mo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 대하여 제1 안착홈과 "十" 형태로 교차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안착홈 보다 깊게 형성된 제3 안착홈;을 더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The concrete block molding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seating groove formed to be deeper than the first seating groove while intersecting the first seating groove in a "twelve" shape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Rebar spacer f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2 안착홈을 통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철근의 끝단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안착되도록 길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The reinforcement spacer of claim 1 or 2, wherein the main body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at least two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vertically formed through the second seating groov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시멘트 콘크리트 재질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 성형용 보강철근 스페이서.The reinforcing steel spacer for forming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ain body is formed of a cement concrete material.
KR1020070002593A 2007-01-09 2007-01-09 Spacer for molding concrete block KR200700223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93A KR20070022359A (en) 2007-01-09 2007-01-09 Spacer for molding concrete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93A KR20070022359A (en) 2007-01-09 2007-01-09 Spacer for molding concrete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359A true KR20070022359A (en) 2007-02-26

Family

ID=4365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593A KR20070022359A (en) 2007-01-09 2007-01-09 Spacer for molding concrete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35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3994A (en) * 2011-11-11 2012-02-29 宿迁华夏建设(集团)工程有限公司 Annular cushion block
KR101128038B1 (en) * 2011-10-07 2012-03-27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Combined upper and lower rebar spac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038B1 (en) * 2011-10-07 2012-03-27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Combined upper and lower rebar spacer
CN102363994A (en) * 2011-11-11 2012-02-29 宿迁华夏建设(集团)工程有限公司 Annular cushion b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321B1 (en) Wall block mold
CA2600666A1 (en) Support device for reinforcing members in concrete structures
KR20070022359A (en) Spacer for molding concrete block
KR20100111647A (en) Reinforced earth block
KR101023179B1 (en) Tee type ribbed slab, manufacturing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5395990B2 (en) Masonry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050257466A1 (en) Building material
KR200394626Y1 (en) Pedestal member for water proof concrete mold having fixing groove lower steel reinforcing
CN205399788U (en) Two public button head building blocks and brickwork thereof
JP5371876B2 (en) Reinforcing bar spac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einforcing bar spacer
JP3930016B2 (en) Concrete block for building
AU2009202502B2 (en) Reinforcement Placement Stand
JP3207748U (en) Concrete block
JP6297774B2 (en) Spacer with protrusion
CN211899103U (en) Pouring type external wall body
RU3283U1 (en) BUILDING ELEMENT
CN109235749B (en) EPS module and use method
JP4158048B2 (en) Rebar holding method during block manufacturing process
KR200394572Y1 (en) A Half-circle form Spacer for steel reinforcing
KR0132926Y1 (en) Blocks
KR200324773Y1 (en) The block for construction
KR200262343Y1 (en) Spacer for concrete wall
KR200286054Y1 (en) Spacer for reinforcement bar arrangement of building
KR200210569Y1 (en) Steel bar spacer
JP3036125U (en) Concrete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