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1029A - 잉크젯 프린터와 그것을 이용한 프린트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터와 그것을 이용한 프린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1029A
KR20070021029A KR1020060035757A KR20060035757A KR20070021029A KR 20070021029 A KR20070021029 A KR 20070021029A KR 1020060035757 A KR1020060035757 A KR 1020060035757A KR 20060035757 A KR20060035757 A KR 20060035757A KR 20070021029 A KR20070021029 A KR 2007002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media
image
color layer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 우에하라
히사유키 고바야시
마사루 오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3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1029A/ko
Publication of KR2007002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5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에 프린트한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는 프린터를 제공한다.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와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를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앞부분과 뒷부분에 배치한다. 그리고, 미디어(10) 윗쪽을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로부터 분사한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에 바탕색층(50)을 프린트한다. 이어서, 미디어(10)를 X 방향으로 순차이송 이동시켜, 상기 미디어(10)에 프린트된 바탕색층(50) 윗쪽에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가 도달한 후, 상기 바탕색층(50) 윗쪽을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로부터 분사한 잉크방울에 의해, 상기 바탕색층(50) 표면에 화상(60)을 겹쳐 프린트한다.
프린트, 서브헤드, 잉크젯, 바탕색층, 화상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와 그것을 이용한 프린트 방법{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using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프린터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프린터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프린터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프린터의 일부확대 구조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프린터의 일부확대 구조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프린터의 일부확대 구조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프린터의 일부확대 구조설명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설명**
10: 미디어 20: 플래튼(platen)
30: 잉크젯 헤드 32a: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
32b,32c,32d,32e: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
40: 이송수단 42: 그리드 롤러(grid roller)
44: 핀치 롤러 50: 바탕색층
60: 화상 70: 바탕색층 잉크 분사수단
80: 화상 잉크 분사수단 90: 건조수단
100: 호스트 컴퓨터
본 발명은 투명한 윈도우 글라스나 필름 등의 미디어(기록매체)에, 광고용 등의 문자나 기호 등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화상(이하, 단순히 '화상'이라고 함)을 프린트하기 위한 잉크젯 프린터와, 상기 프린터를 사용한 프린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여 상기 투명한 윈도우 글라스나 투명 필름 등의 미디어에 광고용 등의 컬러 화상을 프린트하는 경우, 잉크젯 헤드에서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상기 미디어에 컬러 화상 등의 화상을 직접 다이렉트로 프린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한 경우에는 통상, 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에 의해 상기 투명한 미디어에 화이트 등의 바탕색층을 먼저 프린트한다. 이어서, 상기 바탕색층 표면에 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화상 프린트용 잉크 방울에 의해 화상을 겹쳐 프린트한다. 즉, 상기 미디어에 바탕색층과 화상을 전후 2차례로 나누어 겹쳐 프린트한다.
이와 같이 투명한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통하여 컬러 화상 등의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는 이유는, 투명한 미디어에는 화상만을 직접 다이렉트로 프린트하면, 상 기 화상의 예를 들어, 빨강, 초록, 노랑, 검정 등의 고농도색 이외의 회색 등의 명도가 높은 중간색은, 투명한 미디어를 통하여 상기 화상에 침입하는 광의 방해를 받아, 정확하게 표현되지 않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투명한 미디어의 이면(裏面)측에 광고용 등의 컬러 화상을 프린트하는 경우에도, 상기 미디어의 이면측에 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에 의해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의 이면측에 화이트 등의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한다. 이와 같이 미디어에 프린트된 컬러 화상 등의 화상의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하는 이유도, 투명한 미디어의 이면측에 화상만을 직접 다이렉트로 프린트하면, 상기 화상의 예를 들어 빨강, 초록, 노랑, 검정 등의 고농도색 이외의 회색 등의 명도가 높은 중간색을, 투명한 미디어를 통하여 미디어의 바깥쪽에서 보았을 경우, 상기 중간색이 투명한 미디어를 통하여 화상에 침입하는 광의 방해를 받아 정확하게 표현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여 컬러 화상 등의 화상을 직접 다이렉트로 안정시켜 프린트하기 어려운 직물재, 금속판, 피혁 등의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하는 경우에도, 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언더코트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에 의해 상기 미디어에 화상정착용 언더코트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언더코트층 표면에 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에 의해 화상을 겹쳐 프린트한다. 즉, 상기 미디어에 언더코트층과 화상을 전후 2차례로 나누어 겹쳐 프린트한다.
더욱이, 컬러 화상 등의 화상을 안정시켜 정착 프린트하기 어려운 금속판, 피혁 등의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하는 경우에도, 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화 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에 의해 상기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표면쪽에 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오버코트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에 의해 오버코트층을 겹쳐 프린트한다. 그리고, 화상 표면측을 상기 오버코트층에 의해, 화상을 비벼도 잘 떨어지지 않도록 혹은 화상이 자외선을 쬐어도 퇴색하지 않도록 덮어 보호한다.
이 때문에,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여 투명한 미디어의 표면측이나 이면측에 컬러 화상 등의 화상을 프린트하는 경우에는, 상기 잉크젯 프린터에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주잉크젯 헤드와 함께, 화이트 등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부잉크젯 헤드를 나란히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부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한 잉크방울에 의해 투명한 미디어의 표면측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바탕색층 표면에 주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한 잉크방울에 의해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였다. 또한, 반대로 상기 주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한 잉크방울에 의해 투명한 미디어의 이면측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의 이면측에 부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하였다.
더욱이, 컬러 화상 등의 화상을 안정시켜 정착 프린트하기 어려운 금속판, 피혁 등의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하는 경우에도, 잉크젯 프린터에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주잉크젯 헤드와 함께, 오버코트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부잉크젯 헤드를 나란히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주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한 잉크방울에 의해 화상을 정착시키기 어려운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부 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한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표면측에 오버코트층을 겹쳐 프린트하였다. 그리고 상기 오버코트층에 의해 화상 표면측이 화상을 비벼도 잘 떨어지지 않도록 덮어 보호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주잉크젯 헤드와 함께 부잉크젯 헤드가 나란히 구비된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투명한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통하여 화상을 프린트하거나, 화상을 직접 다이렉트로 프린트하기 어려운 미디어에 언더코트층을 통하여 화상을 프린트하거나,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의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표면측에 오버코트층을 프린트하는 경우에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또는 언더코트층 프린트용의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부잉크젯 헤드를 좌우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거나, 미디어를 이송수단을 사용하여 플래튼 위에서 앞쪽인 X 방향으로 순차이송 이동시킨다. 또는,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주잉크젯 헤드를 좌우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거나, 미디어를 이송수단을 사용하여 플래튼 위에서 뒷쪽인 X 방향으로 순차이송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의 원하는 위치에 바탕색층이나 언더코트층, 또는 화상을 프린트한다. 이어서, 상기 미디어에 바탕색층이나 언더코트층을 프린트한 후나, 상기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에, 이송수단의 그리드 롤러와 핀치 롤러의 사이에 플래튼 위에 탑재된 미디어의 일부를 끼워넣고, 그리드 롤러를 역회전시킨다. 그리고, 미디어를 이송수단에 의해 플래튼 위에서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 복귀시킨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이나 언더코트층의 윗쪽에 화상 프린트용 잉크를 분사하는 주잉크젯 헤드 를 위치시키거나,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화상 윗쪽에 바탕색층 프린트용이나 오버코트층 프린트용 잉크젯을 분사하는 부잉크젯 헤드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주잉크젯 헤드로부터 화상 프린트용 잉크를 분사시키거나, 상기 부잉크젯 헤드로부터 바탕색층 프린트용, 언더코트층 프린트용 또는 오버코트층 프린트용의 잉크방울을 분사시킨다.
이 때에는, 미디어에 먼저 프린트된 바탕색층이나 언더코트층, 또는 화상의 표면에, 이송수단의 핀치 롤러를 압착 접촉시키면서 상기 핀치 롤러를 바탕색층 위나 언더코트층 위, 또는 화상 위에서 미디어의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려 복귀시킨다. 이 때문에 상기 바탕색층이나 언더코트층, 또는 상기 화상에 핀치 롤러의 바퀴자국이 남아, 상기 바탕색층이나 언더코트층 표면에 겹쳐 프린트되는 화상이나,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의 품질이 대폭 저하되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2-205381호 공보).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프린터의 주잉크젯 헤드나 부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바탕색층이나 언더코트층, 또는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를 프린터로부터 빼내어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바탕색층이나 언더코트층, 또는 화상을 건조시키고, 그 후 상기 미디어를 다시 프린터에 재세팅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미디어를 이송수단에 의해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 복귀시키지 않더라도, 미디어를 프린터의 플래튼 위에 다시 재세팅할 때,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이나 언더코트층 윗쪽에 화 상 프린트용 잉크를 분사하는 주잉크젯 헤드를 위치시키거나,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화상 윗쪽에 바탕색층 프린트용이나 오버코트층 프린트용 잉크를 분사하는 부잉크젯 헤드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한 경우, 프린터에 처음에 세팅된 미디어의 위치와, 그 후에 프린터에 다시 재세팅된 미디어의 위치 사이에 이상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상기 프린터에 다시 재세팅된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표면이나 언더코트층 표면, 또는 화상 이면측의 원하는 위치에, 주잉크젯 헤드나 부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화상이나 바탕색층, 또는 오버코트층을 문제없이 정확하게 겹쳐 프린트할 수 없었다.
더욱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린터로서,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주잉크젯 헤드와 함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부잉크젯 헤드나, 언더코트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부잉크젯 헤드, 또는 오버코트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부잉크젯 헤드가 미디어의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거리(T)만큼 빗겨나가, 별도로 구비되는 프린터도 제안되고 있다.
이 프린터에 따르면, 상기 부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한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 표면에 바탕색층이나 언더코트층을 프린트한 후, 미디어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거리(T)만큼 플래튼 위에서 이송수단에 의해 순차이송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를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윗쪽이나 언더코트층 윗쪽에 주잉크젯 헤드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플래튼 위에서 거리(T)만큼 순차이송된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표면이나 언더코트층 표면에, 주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화상을 겹쳐 프린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위나 언더코트층 위를, 상기와 같이 이송수단의 핀치 롤러를 바탕색층이나 언더코트층 표면에 압착 접촉시키면서 미디어의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려 복귀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탕색층이나 언더코트층에 핀치 롤러의 바퀴자국이 남아, 상기 바탕색층 표면이나 언더코트층 표면에 프린트되는 화상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 표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미디어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거리(T)만큼 플래튼 위에서 이송수단에 의해 순차이송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화상 윗쪽에, 부잉크젯 헤드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플래튼 위에서 거리(T)만큼 순차이송 이동된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화상의 이면측에, 부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상기 플래튼 위에서 거리(T)만큼 순차이송 이동된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표면측에, 부잉크젯 헤드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오버코트층을 겹쳐 프린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미디어에 앞서 프린트된 화상 위에서 상기와 같이 이송수단의 핀치 롤러를 화상 표면에 압착 접촉하면서 미디어의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려 복귀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상기 화상에 핀치 롤러의 바퀴자국 이 남아 상기 화상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그와 같은 프린터는 주잉크젯 헤드와 함께, 부잉크젯 헤드와, 상기 부잉크젯 헤드 구동용 제어기구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여 구조가 복잡해지고, 프린터의 비용이 올라가는 동시에, 프린터의 사용이나 유지도 곤란하여 골칫덩이가 되어버렸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잉크젯 헤드에 주헤드, 부헤드의 2가지 헤드를 구비하지 않고도, 하나의 잉크젯 헤드를 사용하여 투명한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투명한 미디어의 이면측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미디어에 언더코트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언더코트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또는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표면측에 오버코트층을 겹쳐 프린트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나 유지가 쉬운 잉크젯 프린터(이하, 단지 '프린터'라고 함)와, 상기 프린터를 사용한 프린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프린터는 플래튼 위에 탑재된 미디어 윗쪽을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Y 방향으로,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와,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나란히 배치된 잉크젯 프린터로서,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뒷부분에,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에 대하여 Y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X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프린트 방법은, 본 발명의 제 1 프린터를 사용하여 미디어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는 프린트 방법으로서,
상기 미디어 윗쪽을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된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하고, 이어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X 방향으로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켜,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상기 바탕색층 윗쪽에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도달한 후, 상기 바탕색층이 프린트된 미디어 윗쪽을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에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 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 1 프린터를 사용한 제 1 프린트 방법에서는, 잉크젯 헤드를 상기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미디어 윗쪽에서 왕복이동시켜, 상기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할 수 있다.
이어서,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윗쪽에,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에 대하여 미디어의 순차이송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앞부분으로 이동되어 배치된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도달한 후, 상기 바탕색층이 프린트된 미디어 윗쪽에서 잉크젯 헤드를 상기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 상기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할 때, 바탕색층이 프린트된 미디어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 복귀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위에서, 이송수단의 핀치 롤러를 바탕색층 표면에 압착 접촉시키면서 미디어의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려 복귀시키는 동작이 필요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탕색층에 핀치 롤러의 바퀴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바탕색층 표면에 겹쳐 프린트되는 화상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프린터에서는 상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뒷부분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프린터에서는 상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X 방향의 앞부분에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와,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X 방향의 뒷부분에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Y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잉크젯 헤드의 Y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X 방향 앞부분 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화상 잉크 분사수단과,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X 방향 뒷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바탕색층 잉크 분사수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프린터는, 플래튼 위에 탑재된 미디어 윗쪽을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Y 방향으로,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와,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나란하게 배치된 잉크젯 프린터로서,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뒷부분에,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에 대하여 Y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X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프린트 방법은 본 발명의 제 2 프린터를 사용하여,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하는 프린트 방법으로서,
상기 미디어 윗쪽을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에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한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하고, 이어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X 방향으로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켜,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상기 화상 윗쪽에,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젯 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도달한 후, 상기 화상이 프린트된 미디어 윗쪽을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상기 미디어의 종전에 프린트된 화상의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2 프린터를 사용한 제 2 프린트 방법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를 상기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미디어 윗쪽에서 왕복이동시켜, 상기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된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할 수 있다.
이어서,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윗쪽에,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에 대하여 미디어의 순차이송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치된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도달한 후, 상기 화상이 프린트된 미디어 윗쪽에서 잉크젯 헤드를 상기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 상기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화상의 이면측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화상의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할 때, 화상이 프린트된 미디어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 복귀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위에서, 이송수단의 핀치 롤러를 화상 표면에 압착 접촉시키면서 미디어의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려 복귀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에 핀치 롤러의 바퀴자국이 남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프린터로서는,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뒷부분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프린터로서는, 상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X 방향의 뒷부분에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와,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X 방향의 앞부분에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Y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잉크젯 헤드의 Y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X 방향 뒷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화상 잉크 분사수단과,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X 방향 앞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바탕색층 잉크 분사수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프린터에서는, 상기 이송수단을, 플래튼 위에서 미디어를 정방향과 역방향 중 선택한 어느 한 X 방향으로도 순차이송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프린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을 상술한 제 1 프린트 방법에서와 반대 방향으로 선택하여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화상의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하여도 좋다.
또는, 본 발명의 제 2 프린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을 상술한 제 2 프린트 방법에서와 반 대 방향으로 선택하여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여도 좋다.
그렇게 한 경우, 본 발명의 제 1 프린터를 본 발명의 제 2 프린트 방법을 실시하는 프린터에 이용하거나, 본 발명의 제 2 프린터를 본 발명의 제 1 프린트 방법을 실시하는 프린터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프린터는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에서 분사된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프린트된 바탕색층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이 구비된 것으로 하면 좋다.
본 발명의 제 2 프린터는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에서 분사된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이 구비된 것으로 하면 좋다.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동안의 미디어의 이동대기시간의 길이를 설정하는 이동대기시간 설정기구로 하면 좋다.
상기 건조수단은,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할 때까지의 동안, 또는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할 때까지의 동안에, 잉크젯 헤드에 나란한 서브헤드로부터 잉크방울을 분사시키지 않고, 잉크젯 헤드를 상기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공(空)왕복이동시키는 헤드 공(空) 운전기구로 하여도 좋다.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과, 상기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의 X 방향으로의 어긋남 길이를 조정하는 어긋남 조정기구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할 때까지의 동안 또는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화상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할 때까지의 동안에, 길고 짧은 대기 시간을 마련하여, 상기 대기 시간 동안,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또는 화상을 충분히 건조시키는 상태로 하면 좋다.
상기 건조수단은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또는 화상을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가열건조수단, 또는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또는 화상에 열풍을 가하여 바탕색층 또는 화상을 건조시키는 열풍건조수단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할 때까지의 동안, 또는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화상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가열건조수단 또는 열풍건조수단에 의해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또는 열풍을 충분히 건조시킨 상태로 하여도 좋다.
그렇게 한 경우,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건조수단에 의해 충분히 건조시킨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건조수단에 의해 충분히 건조시킨 화상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겹쳐 프린트되는 화상과 바탕색층의 미건조 상태의 잉크가 서로 섞여, 화상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프린터에서는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를,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정착용 언더코트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것으로 변경하여도 좋다.
그 경우, 본 발명의 제 1 프린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프린트 방법과 마찬가지의 프린트 방법에 의해 미디어에 화상정착용 언더코트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언더코트층 표면에 화상을 안정시켜 확실하게 정착 프린트하거나, 상기 언더코트층 표면에 프린트되는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프린터에서는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를,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보호용 오버코트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것으로 변경하여도 좋다.
그 경우, 본 발명의 제 2 프린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프린트 방법과 마찬가지의 프린트 방법에 의해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표면측을 오버코트층으로 덮어 보호하여, 상기 화상의 내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프린터에서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를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를 사이에 두고,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앞부분과 뒷부분의 양쪽에 어긋나게 배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린터를 사용하여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미디어에 화상정착용 언더코트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언더코트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또는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표면측에 화상보호용 오버코트층을 겹쳐 프린트할 수 있는 취급 및 유지가 용이한 프린터를 제공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 프린터에 있어서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를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를 사이에 두고,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X 방향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양쪽에 어긋나게 배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 2 프린터를 사용하여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표면측에 화상보호용 오버코트층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또는 미디어에 화상정착용 언더코트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언더코트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할 수 있는 취급 및 유지가 용이한 프린터를 제공하여도 좋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프린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은 그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그 측면단면도, 도 3은 그 구조설명도이다. 이하, 상기 제 1 프린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프린터는 플래튼(20) 위에 탑재된 미디어(10) 윗쪽을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30)의 Y 방향으로, 바탕색층 프린트용의 화이트 등의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와, 화상 프린트용의 검정, 자홍, 청록, 노랑 등의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그와 함께,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뒷부분에,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에 대하여 Y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X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30)의 Y 방향으로 늘어 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가,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함께, 잉크젯 헤드(30)의 Y 방향으로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가,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뒷부분에,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에 대하여 Y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X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제 1 프린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이 제 1 프린터의 사용예로서, 본 발명의 제 1 프린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 1 프린터를 사용한 제 1 프린트 방법에서는, 그 스텝 a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30)를 미디어(10)의 윗쪽에서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 상기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화이트 등의 잉크방울에 의해, 플래튼(20) 위에 탑재된 미디어(10)의 Y 방향으로 바탕색층(50)을 띠모양으로 프린트한다. 그 후, 이송수단(40)의 그리드 롤러(42)를 X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그리드 롤러(42)와 핀치 롤러(44) 사이에 일부를 끼워넣 은 미디어(10)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킨다.
이하,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바탕색층(5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한다.
이어서, 그 스텝 b에 있어서,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바탕색층(5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스텝 a가 계속 이루어지고,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가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2) 위에서 소정 횟수 이상 순차이송 이동되며,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종전에 연속 프린트된 바탕색층(50) 윗쪽에,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에 대하여 미디어(10)의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된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도달한 후,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바탕색층(5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스텝 a를 계속하면서, 상기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30)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종전에 연속 프린트된 바탕색층(50) 표면에 화상(60)을 Y 방향으로 겹쳐 프린트한다. 그 후,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킨다.
이하,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바탕색 층(5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동시에, 상기 미디어(10)에 종전에 연속 프린트된 바탕색층(50) 표면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한다.
이에 의해, 상기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50) 표면에 화상(60)을 겹쳐 프린트할 때, 바탕색층(50)이 프린트된 미디어(10)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플래튼(20) 위에서 이동 복귀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에 프린트된 바탕색층(50) 위에서 이송수단의 핀치 롤러(44)를 바탕색층(50) 표면에 압착 접촉하면서 미디어(10)의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려 복귀시키는 동작이 없어져, 상기 바탕색층(50)에 핀치 롤러(44)의 바퀴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바탕색층(50) 표면에 겹쳐 프린트된 화상(60)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 그 스텝 c에 있어서, 스텝 b에서의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화이트 등의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바탕색층(5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동작을 정지한다. 그와 함께,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 32d,32e)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블랙, 자홍, 청록, 노랑 등의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50) 표면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겹쳐 프린트하는 동작을,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종전에 연속 프린트된 바탕색층(50)의 단부 또는 상기 바탕색층(50) 단부의 안쪽에 화상(60)의 단부가 도달할 때까지 계속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연속 프린트된 바탕색층(50) 표면에, 상기 단부가 바탕색층(50)의 단부 또는 상기 바탕색층(50) 단부의 안쪽에 도달하는 화상(60)을 X 방향으로 연속하여 겹쳐 프린트한다.
도 1과 도 3에 나타낸 제 1 프린터를 사용한 제 1 프린트 방법은 이상의 스텝 a~c로 이루어져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프린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4는 그 구조설명도, 도 4는 그 일부확대 구조설명도이다. 이하, 이 제 1 프린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1 프린터는 플래튼(20) 위에 탑재된 미디어(10) 윗쪽을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30)의 Y 방향으로, 바탕색층 프린트용의 화이트 등의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서브헤드(32a)와, 화상 프린트용의 블랙, 자홍, 청록, 노랑 등의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서브헤드(32b,32c,32d,32e)가 일렬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자세히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X 방향의 앞부분(도 5에서는 두 화살표로 나타낸 앞부분의 1/2부분)에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와,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X 방 향의 뒷부분(도 5에서는 두 화살표로 나타낸 뒷부분의 1/2 부분)에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가, Y 방향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X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지 않고 Y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배치한다. 이와 함께,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X 방향 앞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화상 잉크 분사수단(80)과,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X 방향 뒷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바탕색층 잉크 분사수단(70)이 구비되어 있다. 화상 잉크 분사수단(80)과 바탕색층 잉크 분사수단(70)은 프린터 구동용 호스트 컴퓨터(100)의 전자제어회로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낸 제 1 프린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이 제 1 프린터의 사용예로서, 본 발명의 제 1 프린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 1 프린터를 사용한 제 1 프린트 방법에서는, 그 스텝 a에서 잉크젯 헤드(30)를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 상기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X 방향 뒷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바탕색층 잉크 분사수단(70)을 사용하여 분사시킨 화이트 등의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의 Y 방향으로 바탕색층(50)을 띠형상으로 프린트한 후,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바탕색층(5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한다.
이어서, 그 스텝 b에 있어서,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바탕색층(5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스텝 a가 계속 이루어지고,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가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20) 위에서 소정 횟수 이상 순차이송 이동되며,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종전에 연속 프린트된 바탕색층(50) 윗쪽에,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X 방향 앞부분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도달한 후,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바탕색층(5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스텝 a를 계속하면서, 상기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X 방향 앞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 잉크 분사수단(80)을 사용하여 분사시킨 검정, 자홍, 청록, 노랑 등의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50) 표면에 화상(60)을 Y 방향으로 겹쳐 프린트한 후,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바탕색층(5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동시에,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에 종전에 연속 프린트된 바탕색층(50) 표면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한다.
따라서, 상기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50) 표면에 화상(60)을 겹쳐 프린트할 때, 바탕색층(50)이 프린트된 미디어(10)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복귀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에 프린트된 바탕색층(50) 위에서 이송수단의 핀치 롤러(44)를 바탕색층(50) 표면에 압착 접촉시키면서 미디어(10)의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려 복귀시키는 동작이 없어져, 상기 바탕색층(50)에 핀치 롤러(44)의 바퀴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바탕색층(50) 표면에 겹쳐 프린트되는 화상(60)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에는, 그 스텝 c에 있어서, 스텝 b에서의 상기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X 방향 뒷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바탕색층 잉크 분사수단(70)을 사용하여 분사시킨 화이트 등의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바탕색층(5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동작을 정지한다. 그와 함께, 상기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X 방향 앞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 잉크 분사수단(80)을 사용하여 분사시킨 검정, 자홍, 청록, 노랑 등의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종전에 연속 프린트된 바탕색층(50) 표면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겹쳐 프린트하는 동작을,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에 연속 프린트된 바탕색층(50)의 단부 또는 상기 바탕색층(50) 단부의 안쪽에 화상(60)의 단부가 도달할 때까지 계속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연속 프린트된 바탕색층(50) 표면에, 상기 단부가 바탕색층(50) 단부 또는 상기 바탕색층(50) 단부의 안쪽에 도달하는 화상(60)을 X 방향으로 연속하여 겹쳐 프린트한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낸 제 1 프린터를 사용한 제 1 프린트 방법은, 이상의 스텝 a~c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프린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6은 그 구조설명도이다. 이하, 이 제 2 프린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프린터에서는, 상기 잉크젯 헤드(30)의 Y 방향으로 나란한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화이트 등의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잉크젯 헤드(30)의 Y 방향으로 나란한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화상 프린트용의 검정, 자홍, 청록, 노랑 등의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뒷부분에,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에 대하여 Y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X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30)의 Y 방향으로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가,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그와 함께, 잉크젯 헤드(30)의 Y 방향으로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가,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을 플래튼(20) 위에서 순 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뒷부분에,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에 대하여 Y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X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 밖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제 1 프린터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이 제 2 프린터의 사용예로서, 본 발명의 제 2 프린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 2 프린터를 사용한 제 2 프린트 방법에서는, 그 스텝 a에서 잉크젯 헤드(30)를 미디어(10) 윗쪽에서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고, 상기 잉크젯 헤드(30)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검정, 자홍, 청록, 노랑 등의 잉크방울에 의해, 플래튼(20) 위에 탑재된 미디어(10)의 Y 방향으로 화상(60)을 프린트한다. 그 후, 이송수단(40)의 그리드 롤러(42)를 X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그리드 롤러(42)와 핀치 롤러(44) 사이에 일부를 끼워넣은 미디어(10)를, 상기 이송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킨다.
이하,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한다.
이어서, 그 스텝 b에 있어서,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스텝 a가 계속 이루어지고,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가 상 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20) 위에서 소정 횟수 이상 순차이송 이동되며,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종전에 연속 프린트된 화상(60) 윗쪽에,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에 대하여 미디어(10)를 순차이송 방향인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앞부분으로 이동하여 배치된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도달한 후,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스텝 a를 계속하면서, 상기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화이트 등의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종전에 연속 프린트된 화상(60) 이면측에 바탕색층(50)을 Y 방향으로 겹쳐 프린트한 후,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동시에,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종전에 연속 프린트된 화상(60) 이면측의 X 방향으로 바탕색층(5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한다.
따라서,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화상(60) 이면측에 바탕색층(50)을 겹쳐 프린트할 때, 화상(60)이 프린트된 미디어(10)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플래튼(20) 위에서 이동 복귀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에 프린트된 화상(60) 위에서 이송수단의 핀치 롤러(44)를 화상(60) 표면에 압착 접촉시키면서, 미디어(10)의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려 복귀시키는 동작이 없어져, 상기 화상(60)에 핀치 롤러(44)의 바퀴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화상(60)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에는 그 스텝 c에 있어서, 스텝 b에서의 상기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검정, 자홍, 청록, 노랑 등의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동작을 정지한다. 그와 함께 상기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화이트 등의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화상(60) 이면측에 바탕색층(50)을 X 방향으로 연속하여 계속 겹쳐 프린트하는 동작을,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종전에 연속 프린트된 화상(60)의 단부 또는 상기 화상(60) 단부의 바깥쪽에 바탕색층(50)의 단부가 도달할 때까지 계속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연속 프린트된 화상(60) 이면측에, 상기 단부가 화상(60)의 단부 또는 상기 화상(60) 단부의 바깥쪽에 도달하는 바탕색층(50)을 X 방향으로 연속하여 겹쳐 프린트한다.
도 6에 나타낸 제 2 프린터를 사용한 제 2 프린트 방법은 이상의 스텝 a~c로 이루어져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프린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7은 그 일부확대 구조설명도이다. 이하, 이 제 2 프린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프린터에서는, 상기 화상 프린트용 검정, 자홍, 청록, 노랑 등의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X 방향의 뒷부분(도 7에서 두 화살표로 나타낸 뒷부분)에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와,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화이트 등의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X 방향의 앞부분(도 7에서 두 화살표로 나타낸 앞부분)에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가, Y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잉크젯 헤드(30)의 Y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와 함께,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X 방향 뒷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화상 잉크 분사수단(80)과,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X 방향 앞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바탕색층 잉크 분사수단(70)이 구비되어 있다. 바탕색층 잉크 분사수단(70)과 화상잉크 분사수단(80)은 프린터 구동용 호스트 컴퓨터(100)의 전자제어회로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밖에는 도 4와 도 5에 나타낸 제 1 프린터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제 2 프린터의 사용예로서, 본 발명의 제 2 프린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 2 프린터를 사용한 제 2 프린트 방법에서는, 그 스텝 a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30)를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고, 상기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X 방향 뒷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잉크 분사수단(80)을 사용하여 분사시킨 검정, 자홍, 청록, 노랑 등의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프린트한 후,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한다.
이어서, 그 스텝 b에 있어서, 미디어(10)의 X 방향에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스텝 a가 계속 이루어지고,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가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20) 위에서 소정 횟수 이상 순차이송 이동되어, 상기 미디어(10)에 프린트된 화상(60) 윗쪽에,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X 방향 앞부분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도달한 후,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스텝 a를 계속하면서, 상기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30)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X 방향 앞부분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의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바탕색층 잉크 분사수단(70)을 사용하여 분사시킨 화이트 등의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화상(60) 이면측에 바탕색층(50)을 Y 방향으로 겹쳐 프린트한 후,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상기 이송수단 방향인 X 방향으로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동시에, 상기 미디 어(10)의 X 방향으로 종전에 연속 프린트된 화상(60) 이면측의 X 방향으로 바탕색층(5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한다.
그리하여, 상기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화상(60)의 이면측에 바탕색층(50)을 겹쳐 프린트할 때, 화상(60)이 프린트된 미디어(10)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 복귀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에 프리트된 화상(60) 위에서 이송수단의 핀치 롤러(44)를 화상(60) 표면에 압착 접촉시키면서 미디어(10)의 순차이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려 복귀시킬 필요가 없어져, 상기 화상(60)에 핀치 롤러(44)의 바퀴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60)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에는 그 스텝 c에 있어서, 스텝 b에서의 상기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X 방향 뒷부분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 잉크 분사수단(80)을 사용하여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화상(60)을 연속하여 계속 프린트하는 동작을 정지한다. 이와 함께, 상기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X 방향 앞부분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바탕색층 잉크 분사수단(70)을 사용하여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종전에 연속 프린트된 화상(60)의 이면측에 바탕색층(50)을 X 방향으로 연속하여 계속 겹쳐 프린트하는 동작을,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연속 프린트된 화상(60)의 단부 또는 상기 화상(60) 단부의 바깥쪽에 바탕색층(50)의 단부가 도달할 때까지 계속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의 X 방향으로 연속 프린트된 화상(60)의 이면측에, 상기 단부가 화상(60)의 단부 또는 상기 화상(60) 단부의 바깥쪽에 도달하는 바탕색층(50)을 X 방향으로 연속하여 겹쳐 프린트한다.
도 7에 나타낸 제 2 프린터를 사용한 제 2 프린트 방법은 이상의 스텝 a~c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프린터에서는 이송수단(40)의 그리드 롤러(4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선택한 정방향과 역방향의 어느 X 방향으로도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 1 프린트 방법에 있어서,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을 상술한 제 1 프린트 방법에서와 반대방향으로 선택하여 미디어(10)에 화상(60)을 프린트한 후, 상기 화상(60)의 이면측에 바탕색층(50)을 겹쳐 프린트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제 1 프린터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뒷부분에 배치된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와,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된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를, 반대로 X 방향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바꾸어 배치하지 않더라도, 화상(60) 이면측에 바탕색층(50)을 겹쳐 프린트 할 수 있는 제 2 프린터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가지는 프린터를 제공하거나 제 2 프린트 방법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가지는 프린트 방법을 제공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나타낸 제 1 프린터에서도,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X 방향 뒷부분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와,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X 방향 앞부분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반대로 X 방향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바꾸어 배치하지 않더라도, 화상(60) 이면측에 바탕색층(50)을 겹쳐 프린트할 수 있는 제 2 프린트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가지는 프린터를 제공하거나, 제 2 프린트 방법과 마찬가지 작용을 가지는 프린트 방법을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제 2 프린터에서도 이송수단(40)을, 플래튼(20) 위의 미디어(10)를 정방향과 역방향 중 선택한 어느 X 방향으로도 플래튼(20)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 2 프린트 방법에 있어서, 이송수단(40)에 의해 미디어(10)를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을 상술한 제 2 프린트 방법에서와 반대방향으로 선택하여 미디어(10)에 바탕색층(50)을 프린트한 후, 상기 바탕색층(50) 표면에 화상(60)을 겹쳐 프린트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제 2 프린터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뒷부분에 배치된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와, 잉크젯 헤드(30)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된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를, 반대로 X 방향의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바꾸어 배치하지 않더라도, 바탕색층(50) 표면에 화상(60)을 겹쳐 프린트할 수 있는 제 1 프린터와 마찬가지 작용을 가지는 프린터를 제공하거나, 제 1 프린트 방법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가지는 프린트 방법을 제공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나타낸 제 2 프린터에 있어서도,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X 방향 앞부분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와,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X 방향 뒷부분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반대로 X 방향의 뒷부분과 앞부분으로 바꾸어 배치하지 않더라도, 바탕색층(50) 표면에 화상(60)을 겹쳐 프린트 할 수 있는 제 1 프린터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가지는 프린터를 제공하거나, 제 1 프린트 방법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가지는 프린트 방법을 제공하여도 좋다.
제 1 프린터에서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에 프린트된 바탕색층(50)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90)을 구비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 2 프린터에 있어서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10)에 프린트된 화상(60)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90)을 구비하여도 좋다.
그리하여, 미디어(10)에 겹쳐 프린트되는 바탕색층(50)과 화상(60) 중,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50) 및 화상(60)을 건조수단(90)에 의해 강제건조시키면 좋다.
건조수단(90)은 플래튼(20) 위에서 미디어(10)를 상기 순차이송 방향인 X 방향으로 이송수단(40)에 의해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동안의 미디어(10)의 이동대기시간의 길이를 설정하는 이동대기시간 설정기구로 하면 좋다. 이동대기시간 설정기구로 이루어지는 건조수단(90)은 프린트 구동용 호스트 컴퓨터(100)의 전자제어회로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면 좋다.
건조수단(90)은 미디어(10)에 바탕색층(50)을 프린트한 후, 상기 바탕색층(50) 표면에 화상(60)을 겹쳐 프린트할 때까지의 동안, 또는 미디어(10)에 화상(60)을 프린트한 후, 상기 화상(60) 이면측에 바탕색층(50)을 겹쳐 프린트할 때까지의 동안에, 잉크젯 헤드(30)에 나란한 서브헤드(32b,32c,32d,32e)로부터 잉크방울을 분사시키지 않고, 잉크젯 헤드(30)를 상기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공왕복이동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헤드 공운전기구로 하여도 좋다. 헤드 공운전기구로 이루어지는 건조수단(90)은 프린터 구동용 호스트 컴퓨터(100)의 전자제어회로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건조수단(90)은 잉크젯 헤드(30)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와,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X 방향 어긋남 길이를 조정하는 거리설정기구로 하여도 좋다. 또는,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리트용 서브헤드(32b,32c,32d,32e)의 X 방향 앞부분 또는 뒷부분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과,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의 X 방 향 뒷부분과 앞부분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의 X 방향 어긋남을, 예를 들어 도 8에서 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헤드(32b,32c,32d,32e)의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의 X 방향 길이의 거의 1/3과 같은 거리 등으로 길이를 조정하는 거리설정기구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미디어(10)에 바탕색층(50)을 프린트한 후, 상기 바탕색층(50) 표면에 화상(60)을 겹쳐 프린트할 때까지의 동안, 또는 미디어(10)의 화상(60)을 프린트한 후, 상기 화상(60) 이면측에 바탕색층(50)을 겹쳐 프리트할 때까지의 동안에 길고 짧은 대기시간을 마련하여, 상기 대기시간 동안에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50) 또는 화상(60)을 충분히 건조시키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건조수단(90)은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50) 또는 화상(60)을 전열히터 등의 히터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가열건조수단, 또는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50) 또는 화상(60)에 열풍을 가하여 바탕색층(50) 또는 화상(60)을 건조시키는 열풍가열수단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가열건조수단 또는 열풍건조수단에 의해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50) 또는 화상(60)을 충분히 건조시키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충분히 건조시킨 바탕색층(50) 표면에 화상(60)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상기 미디어(10)에 종전에 프린트된 충분히 건조시킨 화상(60) 이면측에 바탕색층(50)을 겹쳐 프린트하면 좋다. 그리하여, 상기 겹쳐 프린트된 화상(60)과 바탕색층(50)의 미건조 상태에 있는 잉크가 서로 섞 여 화상(60)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면 좋다.
제 1 프린터에서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를, 상기 바탕색층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정착용 언더코트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서브헤드로 변경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린터를 사용하여 제 1 프린트 방법과 마찬가지의 프린트 방법에 의해, 화상(60)을 직접 다이렉트로 안정시켜 정착 프린트하기 어려운 미디어(10)에 화상(60) 정착용 언더코트층(도시하지 않음)을 프린트한 후, 상기 언더코트층 표면에 화상(60)을 안정시켜 확실하게 정착 프린트하거나, 상기 언더코트층 표면에 프린트하는 화상(60)의 품질을 향상시켜도 좋다.
제 2 프린터에서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32a)를, 상기 바탕색층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60) 보호용 오버코트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서브헤드로 변경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 2 프린터를 사용하여 제 2 프린트 방법과 마찬가지의 프린트 방법에 의해 미디어(10)에 화상(60)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10)에 프린트된 화상(60) 표면측을 오버코트층(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덮어 보호하여, 상기 화상(60)의 내후성을 높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프린터, 및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프린트 방법은, 투명한 필름이나 글라스 등의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하는 경우나, 화상을 직접 다이렉트로 프린트하기 어려운 수지 시트나 천이나 피혁류 등의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하는 경우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프린터에 따르면, 투명한 필름이나 글라스 등의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투명한 필름이나 글라스 등의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의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미디어에 화상정착용 언더코트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언더코트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거나, 또는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 표면측에 화상보호용 오버코트층을 겹쳐 프린트할 수 있는, 하나의 잉크젯 헤드만을 구비한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 및 보유가 쉬운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프린터를 사용한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프린트 방법에 따르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X 방향으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의 핀치 롤러의 바퀴자국이 바탕색층이나 언더코트층, 또는 화상에 남아, 상기 바탕색층 표면이나 언더코트층 표면에 프린트되는 화상의 품질을 떨어뜨리거나,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의 품질을 떨어뜨릴 우려가 없는 프린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플래튼 위에 탑재된 미디어 윗쪽을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Y 방향으로,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와,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나란히 배치된 잉크젯 프린터로서,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에서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에서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뒷부분에,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에 대하여 Y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X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 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뒷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X 방향의 앞부분에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와,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X 방향의 뒷부분에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Y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잉크젯 헤드의 Y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X 방향 앞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화상 잉크 분사수단과,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X 방향 뒷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바탕색층 잉크 분사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4. 미디어 윗쪽을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하는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하고, 이어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X 방향으로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켜,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상기 바탕색층 윗쪽에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도달한 후, 상기 바탕색층이 프린트된 미디어 윗쪽을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하는 잉크방울에 의해,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한 프린트 방법.
  5. 플래튼 위에 탑재된 미디어 윗쪽을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Y 방향으로,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와,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나란히 배치된 잉크젯 프린터로서,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 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뒷부분에,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에 대하여 Y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X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앞부분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잉크젯 헤드의 X 방향 뒷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X 방향의 뒷부분에 나란히 가지는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와,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를,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순차 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인 X 방향의 앞부분에 나란히 가지는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Y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도록 잉크젯 헤드의 Y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X 방향 뒷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화상 잉크 분사수단과,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X 방향 앞부분에 늘어선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바탕색층 잉크 분사수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8. 미디어 윗쪽을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하고, 이어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X 방향으로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켜, 상기 미디어에 프린트된 상기 화상 윗쪽에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이 도달한 후, 상기 화상이 프린트된 미디어 윗쪽을 Y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화상의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5 항에 기재된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한 프린트 방법.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5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이, 미디어를 플래튼 위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 중 선택한 어느 X 방향으로도 순차이송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0. 제 4 항에 있어서,
    제 9 항에 기재된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한 프린트 방법으로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을, 제 4 항에 기재된 프린트 방법에서와 반대방향으로 선택하여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화상의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쳐 프린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 9 항에 기재된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한 프린트 방법으로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방향을, 제 8 항에 기재된 프린트 방법에서와 반대방향으로 선택하여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프린트된 바탕색층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에 늘어선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로부터 분사시킨 잉크방울에 의해 미디어에 프린트된 화상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이,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미디어를 X 방향으로 플래튼 위에서 순차이송 이동시키는 동안의 미디어의 이동대기 시간의 길이를 설정하는 이동대기시간 설정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이 미디어에 바탕색층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한 바탕색층 표면에 화상을 겹쳐 프린트할 때까지의 동안, 또는 미디어에 화상을 프린트한 후, 상기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한 화상의 이면측에 바탕색층을 겹 쳐 프린트할 때까지의 동안에, 잉크젯 헤드에 나란한 서브헤드로부터 잉크방울을 분사시키지 않고, 잉크젯 헤드를 상기 스캔방향인 Y 방향으로 공왕복이동시키는 헤드 공운전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6.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이, 상기 잉크젯 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화상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과, 상기 잉크젯 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의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복수개의 잉크 토출구가 늘어선 부분의, X 방향의 어긋남 길이를 조정하는 어긋남 조정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7.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이,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또는 화상을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가열건조수단, 또는 미디어에 종전에 프린트된 바탕색층 또는 화상에 열풍을 가하여 바탕색층 또는 화상을 건조시키는 열풍건조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정착용 언더코트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 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서브헤드가 상기 바탕색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잉크 토출구로부터 화상보호용 오버코트층 프린트용 잉크방울을 분사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KR1020060035757A 2005-08-16 2006-04-20 잉크젯 프린터와 그것을 이용한 프린트 방법 KR20070021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757A KR20070021029A (ko) 2005-08-16 2006-04-20 잉크젯 프린터와 그것을 이용한 프린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35615 2005-08-16
KR1020060035757A KR20070021029A (ko) 2005-08-16 2006-04-20 잉크젯 프린터와 그것을 이용한 프린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029A true KR20070021029A (ko) 2007-02-22

Family

ID=4365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757A KR20070021029A (ko) 2005-08-16 2006-04-20 잉크젯 프린터와 그것을 이용한 프린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10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5357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と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方法
KR100612026B1 (ko) 잉크젯 헤드와 이를 구비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노즐 보상 방법
KR100833232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결함 노즐보상 방법
KR101309791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방법
JPH02231149A (ja) 複数ノズル型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によるピクセル位置印刷方法
JP5661610B2 (ja) インクの噴射
JP2001246767A (ja) 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装置
KR20060122180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KR100727986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결함 노즐보상 방법
CN109203696A (zh) 一种喷墨打印装置及打印方法
US20080068432A1 (en)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US10265953B2 (en)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CA2260382C (en) Drum platen type printing machine for printing on regular and card-stock substrates
KR100694120B1 (ko) 라인 프린팅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화질 향상방법
CN209305136U (zh) 一种喷墨打印装置
US20090219370A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20070146410A1 (en) Image-forming apparatus and image-forming method
KR20070021029A (ko) 잉크젯 프린터와 그것을 이용한 프린트 방법
KR20060115125A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TWI772609B (zh) 噴墨印表機及噴墨印刷方法
JP5629360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と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方法
KR20190078219A (ko) 잉크젯프린터
CN105818538A (zh) 喷墨打印装置及打印方法
KR100846808B1 (ko) 스캐닝 방식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0636242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불량 노즐 보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90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02

Effective date: 200903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218

Effective date: 2011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