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303A -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303A
KR20070020303A KR1020067027158A KR20067027158A KR20070020303A KR 20070020303 A KR20070020303 A KR 20070020303A KR 1020067027158 A KR1020067027158 A KR 1020067027158A KR 20067027158 A KR20067027158 A KR 20067027158A KR 20070020303 A KR20070020303 A KR 20070020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ed terminal
calling number
registration request
black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9360B1 (ko
Inventor
정웨이 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2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04M1/665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by checking the validity of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05Temporarily overriding a servic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은, 착신측 단말에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 및 착신측 단말이, 발신측에 의해 개시된 호출을 수신하면, 수신한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으면, 착신측 단말이 호출을 연결하고;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착신측 단말이 호출의 처리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중요한 호출을 놓치거나, 특별한 서비스 요금을 내거나, 귀찮은 전화 호출에 대해 부분적으로만 보호되는 것과 같이, 전화 호출에 의해 방해받는 것을 피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 사용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생기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측 사용자가 방해받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 착신측 사용자가 중요한 호출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중요하지 않은 호출이나 귀찮은 호출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A METHOD OF INCOMING CALL ACCESS}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서의 호출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착신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정형 전화와 이동형 전화 등의 단말 장치가 대중화됨에 따라, 사람들이 단말 장치를 이용해서 언제라도 서로 통신을 주고 받음으로써, 그들의 일과 생활이 더욱 편리해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단말 장치를 이용하는데에 불편한 점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밤이나 휴식 시간에 걸려오는 중요하지 않은 전화 호출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 장치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지만, 이럴 경우, 중요한 호출을 놓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만일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밤새 또는 휴식 시간에 계속해서 켜 놓는다면, 이 기간 동안 걸려오는 정말로 불필요하고 귀찮기까지 한 호출이 걸려올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고정형 단말과 이동형 단말을 포함하며, 이동형 단말의 경우가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지만, 고정형 전화기의 경우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서 전화선의 접속을 해제하여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한 일이 된다. 게다가, 이동형이든 고정형이든 단말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은 다른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즉, 단말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동안 사용자 는 어떠한 전화 호출도 받지 못할 것이며, 다른 사람이 매우 중요한 용무가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와 접촉할 수 없게 될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단말 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 다시 그 단말 장치의 전원을 켜야 한다. 이동형 단말의 경우는 전원을 켜고 끄는 것이 편리하지만, 고정형 단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원을 켜는 것을 잊어버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 장치의 전원을 다시 켜지 않으면, 어떤 누구로부터의 전화 호출도 받을 수 없게 될 것이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비서 서비스(secretary service)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비서 서비스는 이동형 단말기에만 적용될 수 있다. 이동형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의 비서 서비스 장치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화 호출에 의해 방해받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비서 서비스 장치에 발신측 사용자를 위해 음성 메시지를 기록하도록 하고, 착신측 사용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발신측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남기도록 요청하고, 착신측 사용자에게 단문 메시지 또는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통보할 수 있다. 착신측 사용자는 비서 서비스 장치를 불러서 발신측 사용자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들을 수 있다. 착신측 사용자는, 음성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콜백(call back) 여부를 판단하여, 걸려오는 호출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비서 서비스는 요금제 서비스이다. 즉, 비서 서비스의 사용자는 사용에 대한 요금을 지불하여야 한다. 비서 서비스 장치는 착신 호출을 착신측 사용자에 대한 통지를 위한 단문 메시지 또는 다른 형태로 변환할 뿐이므로, 착신측 사용자는 호출 대신에 단문 메시지 또는 다른 형태의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여전 히 어느 정도의 방해를 받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해결책은 완전한 것이 될 수 없다. 그 외에도, 비서 서비스 장치로부터 착신측 사용자에 보내는 단문 메시지는 지연될 수도 있고 유실될 수도 있으며, 착신측 사용자는 그 단문 메시지를 제시간에 보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는 실시간 통신이 아니고, 또한 사용자는 보통 조용하며, 약하고 또는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의 단문 메시지 통지용 사운드를 설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제시간에 처리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긴급한 용무를 제시간에 처리하지 못하게 된다.
다른 해결책으로서, 착신 호출 필터를 설정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중요한 호출을 절대 놓치지 않도록 보장하면서도, 중요하지 않은 전화 호출에 의해 사용자가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블랙리스트와 화이트리스트가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화이트리스트를 사용하는 해결책은, 착신측 단말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발신 번호의 화이트리스트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착신측 단말이 화이트리스트 기능을 실행시키면, 화이트리스트 내의 발신 번호만 착신측 단말을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화이트리스트를 사용하는 해결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대부분 해결할 수 있지만, 이 해결책에서는 인증받은 발신 번호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 A가 사용자 C를 긴급하게 호출하고자 할 때, 사용자 A의 휴대 전화(cellular phone)의 전화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있어도, 사용자 A는, 자신의 휴대 전화가 꺼져 있으면, 사용자 B의 휴대 전화를 이용해서 호출하여야 하며, 사용자 B의 휴대 전화의 번호는 화이트리스트에 없다. 이 경우, 사용자 A는, 화이트리스트에 있는 번호로는 호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C와 접촉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블랙리스트를 이용하는 해결책은, 착신측 단말을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발신 번호의 블랙리스트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착신측 단말이 블랙리스트 기능을 실행하면, 블랙리스트에 있는 전화 번호로부터의 착신 호출이 거부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블랙리스트를 이용하는 해결책은 블랙리스트에 없는 전화 번호로부터의 착신 호출을 차단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이러한 블랙리스트를 이용하는 해결책으로는, 공중 전화로부터 걸려오는 귀찮은 전화를 차단할 수 없다. 더욱이, 블랙리스트와 화이트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이 복잡하다.
본 발명은 수신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에 걸려오는 착신 호출의 액세스를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착신되는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은,
착신측 단말에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착신측 단말이, 발신측에 의해 개시된 호출을 수신하면, 수신한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으면, 호출을 연결하고;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호출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착신측 단말에 설정되는 액세스용 호출 마크는 발신 번호이며,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와,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발신 번호의 등록을 허용하기 위한 액세스용 코드가 설정되고, 착신측 단말은, 발신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발신측으로부터 개시되는 등록 요청을 인식하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a.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이 등록 요청이면, 등록 요청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등록 요청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면, 호출로부터 등록될 발신 번호를 획득하며, 발신 번호를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저장하고; 등록 요청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등록을 거부하고,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며; 호출이 등록 요청이 아니면,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때,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b. 착신측 단말이,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고,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포함하는 화이트리스트(whitelist)가 설정되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단계 a에서, 착신측 단말이, 등록 요청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착신측 단말이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착신측 단말이, 등록 요청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더 단계를 포함한다.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블랙리스트(blacklist)가 설정되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단계 a에서, 착신측 단말이,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블랙리스트가 설정되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단계 a에서, 착신측 단말이, 등록 요청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등록을 거부하고,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등록 요청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화이트리스트 및 블랙리스트가 설정되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단계 a에서, 착신측 단말이,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c1. 착신측 단말이,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c2로 진행하는 단계;
c2. 착신측 단말이,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단계 c3으로 진행하고;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c3을 수행하지 않고 단계 a로 진행하는 단계;
c3.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이 등록 요청이면,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호출이 등록 요청이 아니면, 호출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화이트리스트 및 블랙리스트가 설정되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단계 a에서, 착신측 단말이,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착신측 단말이,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단계 a에서, 착신측 단말이, 등록 요청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착신측 단말이,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호출의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등록 요청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화이트리스트 및 블랙리스트가 설정되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단계 a에서, 착신측 단말이, 등록 요청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 또는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호출을 직접 종료하고;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와 블랙리스트에 모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등록 요청이 미리 설정된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화이트리스트가 설정된 후에, 착신측 단말이,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 번호가 착신측 단말의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 번호가 착신측 단말의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었다면,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로부터 발신 번호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블랙리스트가 설정된 후에, 착신측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 번호가 착신측 단말의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 번호가 착신측 단말의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었다면,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로부터 발신 번호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등록 요청은 단문 메시지이며,
단계 a에서,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현재 수신한 호출이 단문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수신한 호출이 단문 메시지이면, 호출이 등록 요청인 것으로 확인하며; 수신한 호출이 단문 메시지가 아니면, 호출이 등록 요청이 아닌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착신측 단말이 등록을 거부한 후에 그리고 호출의 처리 과정의 종료 전에, 정상적인 처리 과정에 따라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등록 요청이, 등록 요청의 마크가 설정된 단문 메시지이며,
단계 a에서, 착신측 단말이,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현재 수신한 호출이 단문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수신한 호출이 단문 메시지이면, 등록 요청의 마크가 단문 메시지에 수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등록 요청의 마크가 단문 메시지에 수반되어 있으면, 호출이 등록 요청인 것으로 확인하고; 등록 요청의 마크가 단문 메시지에 수반되어 있지 않으면, 호출이 등록 요청이 아닌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화이트리스트가 설정되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착신측 단말이 호출을 종료하기 전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호출을 연결하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호출을 종료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착신측 단말에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액세스용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착신측 단말이,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호출이 착신측 단말 자체의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호출은,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 또는 사용자간 정보 전송 신호(UUS: User-to-User signal)이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는 발신측에 의해 개시되는 호출은,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는 호출 정보의 콘텐츠를 포함한다.
호출은 음성 통화이며,
착신측 단말이,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착신측 단말이, 호출을 연결하고, 발신측으로 하여금 액세스용 코드의 입력을 촉구하며; 발신측에 의해 전송된 액세스용 코드가 설정된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호출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것으로 확인하고; 발신측에 의해 전송된 액세스용 코드가 설정된 기간 내에 수신되면, 착신측 단말이 액세스용 코드를 획득하고, 액세스용 코드가 착신측 단말에 의해 설정된 액세스용 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신측은, 이중 톤 다중 주파수(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 주파수 편이 방식(FSK: Frequency Shift Keying) 제어용 신호, 시그널, 또는 음성을 이용하여 액세스용 코드를 전송하며,
착신측 단말은, 이중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 주파수 편이 방식(FSK) 제어용 신호, 시그널, 또는 음성을 이용하여 액세스용 코드를 수신한다.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화이트리스트가 설정되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착신측 단말이, 호출이 착신측 단말 자체의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호출을 연결하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호출이 착신측 단말 자체의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블랙리스트가 설정되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착신측 단말이, 호출이 착신측 단말 자체의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호출을 종료하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화이트리스트 및 블랙리스트가 설정되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착신측 단말이, 호출이 착신측 단말 자체의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 또는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호출을 연결하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호출을 직접 종료하고;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와 블랙리스트에 모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발신측에 의해 개시되는 호출이,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 또는 사용자간 정보 전송 신호(UUS)인 경우, 착신측 단말이 현재의 호출을 종료하는 단계는, 현재 수신하는 호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신측에 의해 개시되는 호출이 음성 통화인 경우, 착신측 단말이 현재의 호출을 종료하는 단계는, 호출의 연결을 거부하는 단계 또는 호출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착신측 단말은, 이동형 단말, 고정형 단말, 개인 휴대형 정보 단말기(PDA), 또는 휴대형 기기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에 의하면, 착신측 단말에 액세스용 호출 마크가 설정된다. 발신측 사용자가 발신 번호로 착신측 단말에 대한 호출을 개시하면, 착신측 단말은, 현재의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코드 마크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호출을 정상적인 처리 과정에 따라 처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착신측 단말에 블랙리스트와 화이트리스트가 설정되고, 착신측 단말로 하여금, 화이트리스트 및 블랙리스트를 통해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된 발신 번호로 제한하도록 하여, 착신측 단말이 수신되는 호출을 더욱 유연하며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사상은, 착신측 단말에 액세스용 호출 마크(accessing call mark)를 설정하는 단계와; 착신측 단말이 발신측에서 개시한 호출을 수신하면, 이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으면, 착신측 단말이 정상적인 처리 과정에 따라 호출을 처리하며; 호출이 착신측 단말의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착신측 단말이 호출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정상적인 처리 과정에 따른 호출의 처리는, 호출을 종래의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호출을 수신하기 위해 착신측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예컨대 링잉(ringing)을 이용하여,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설정하기 위한 2가지 방식이 있다. 이에 따라, 착신측 단말은 2가지 처리 방식을 갖는다. 한가지 방식은 발신 번호를 액세스용 호출 마크로서 규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방식은 액세스용 코드를 설정하고, 이 액세스용 코드를 액세스용 호출 마크로서 규정하는 단계를 포 함한다. 제1 처리 방식에 의하면, 등록 요청을 인식하는 기능, 액세스용 코드, 및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가 착신측 단말에 설정되며, 발신측 사용자는 등록 요청을 액세스용 코드와 함께 착신측 단말에 전달함으로써 호출용 등록 리스트에 그 발신 번호를 기록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하여 발신 번호가 액세스용 호출 마크로서 간주되며; 발신 번호에 의해 착신측 단말이 호출되면, 착신측 단말은, 현재의 호출을 정상적인 처리 과정에 따라 처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발신 번호, 즉 액세스용 호출 마크가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처리 방식에 의하면, 액세스용 코드가, 착신측 단말에 설정되어, 액세스용 호출 마크로서 간주되며; 발신측 사용자가 착신측 단말을 호출하면,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정상적인 처리 과정에 따라 처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호출이 액세스용 코드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하, 이 두 가지 방식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방식에 의하면,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설정하는 처리는 다음과 같다. 등록 요청을 인식하는 기능을 설정하며; 착신측 사용자가 착신측 단말에 액세스용 코드와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를 설정하고; 착신측 단말이 발신측에 의해 개시된 호출을 수신하는 경우, 이 호출이 등록 요청이면, 착신측 단말이 호출로부터 등록될 발신 번호를 획득하며; 이에 의하여, 착신측 사용자에 대한 액세스가 허용되는 발신 번호가 착신측 단말에 저장된다. 즉, 액세스용 호출 마크가 착신측 단말에 저장된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호출이 등록 요청이 아니면, 착신측 단말은, 착신측 단말이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가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즉 대응하는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는 경우, 정상적인 과정에 따라 호출을 처리한다.
제1 방식의 상세한 처리 과정을 도 1에 나타내며,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단계 101: 발신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요청을 요청하는 기능이 착신측 단말에 미리 설정된다.
등록 요청은,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 UUS(User-to-User signal: 사용자간 정보 전송 신호), 또는 음성 통화(voice call)(음성 통화 서비스)로서 설정될 수 있다.
등록 요청을 인식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착신측 단말에 의해 수신된 호출이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인 경우, 호출은 등록 요청으로서 인식되며; 또는 착신측 단말에 의해 수신된 호출이 등록 요청 마크를 수반하고 있다면, 호출은 등록 요청으로서 인식된다.
단계 102: 액세스용 코드와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가 착신측 단말에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액세스용 코드는 착신측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착신측 사용자는, 액세스용 코드를 설정한 후, 액세스용 코드를 자신의 친척과 친구들에게 말해서, 이들이 언제라도 액세스용 코드를 이용하여 착신측 사용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정된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는 발신 번호를 기록하는데 이용된다.
단계 103: 발신측 사용자는 착신측 단말에 대해 호출을 개시한다.
단계 104: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수신하면,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먼저 판정하여; 호출이 등록 요청이면, 단계 105로 진행하고; 호출이 등록 요청이 아니면, 단계 108로 진행한다.
등록 요청을 인식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계 101에서 설정되기 때문에,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는 수신한 호출의 타입에 따라 판정될 수 있다.
단계 105: 착신측 단말은 등록 요청이 착신측 단말에 설정된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등록 요청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면, 단계 106으로 진행하고, 등록 요청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단계 107로 진행한다.
등록 요청이 단문 메시지인 경우, 이 단문 메시지에는 액세스용 코드 및 발신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등록될 발신 번호가 현재 호출의 발신 번호인 경우, 발신 번호는 발신 번호 인식을 통해 착신측 단말에 전달될 수 있으며, 등록 요청으로서의 단문 메시지는 액세스용 코드만을 포함하면 된다.
단계 106: 착신측 단말은 호출로부터 발신 번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발신 번호를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저장한다.
단계 107: 착신측 단말은 등록을 거부하고 처리 과정을 종료한다.
단계 108: 착신측 단말은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착신측 단말의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 호가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단계 109로 진행하고;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110으로 진행한다.
단계 109: 착신측 단말은 정상적인 처리 과정에 따라 호출을 처리한다.
단계 110: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종료하고, 처리 과정을 종료한다.
발신측 사용자에 의해 개시된 호출은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 UUS 또는 음성 통화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호출이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 또는 UUS인 경우,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종료하기 위해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 또는 UUS를 삭제하며; 호출이 음성 통화인 경우,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종료하기 위해 음성 통화의 연결을 거부한다.
또한, 등록 요청이 단문 메시지인 경우, 단문 메시지에 특별한 마크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 마크가 등록 요청 마크가 된다. 따라서,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수신하면, 먼저 호출이 단문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호출이 단문 메시지인 경우, 착신측 단말은 등록 요청 마크가 단문 메시지에 수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등록 요청 마크가 단문 메시지에 수반되어 있다면, 단문 메시지가 등록 요청인 것으로 판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단문 메시지를 등록 요청으로 판정하지 않는다. 등록 요청이 단문 메시지인 경우, 착신측 단말은 다음과 같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현재의 호출이 단문 메시지인 것으로 판정된 이후, 호출은 등록 요청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단계 105에서의 판정이 이루어질 때, 착신측 단말에 의해 설정된 액세스용 코드가 등록 요청에 수반되지 않은 경우, 착신측 단말은, 등록 을 거부한 후, 단계 108~단계 110에 따라 호출을 처리한다.
등록 요청이 음성 통화인 경우, 등록 메시지의 전송은 이중 톤 다중 주파수(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어떠한 방식의 등록 요청을 채택하든 간에, 등록될 발신 번호가 현재의 호출의 발신 번호인 경우, 등록될 발신 번호는 발신 번호 인식을 착신측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등록될 발신 번호는 현재의 호출의 발신 번호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가 등록 요청으로서 사용되면, 고정형 단말은 단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발신측 사용자는, 고정형 단말에 의해 개시되는 호출이 착신측 단말에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형 단말의 번호를 착신측 단말 내의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등록하기 위하여, 단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이동형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단계들을 채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착신측 단말에 대해 호출을 개시할 수 있는 발신 번호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화이트리스트는 착신측 단말에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발신 번호로서 화이트리스트 내의 번호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개시되는 호출은 착신측 단말을 액세스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단계 104에서, 착신측 단말은,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었다면,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직접 연 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호출 번호를 저장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호출이 등록 요청이라는 것을 착신측 단말이 확인한 경우라도, 착신측 단말은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 내의 발신 번호의 저장을 거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직접 종료시킬 수 있다. 명백하게, 착신측 단말은, 현재의 호출이 등록 요청인 것을 확인한 후 그리고 등록 요청이 착신측 단말에 의해 설정된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즉 단계 104와 단계 105 사이에서, 화이트리스트가 현재의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화이트리스트가 현재의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를 포함한다면, 착신측 단말은 등록을 직접 거부하고, 현재의 처리 과정을 종료한다.
따라서, 화이트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화이트리스트 내의 발신 번호는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단계 108에서,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를 문의한 후,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종료할 것이다. 그 결과, 화이트리스트를 설정한 후, 착신측 단말은, 현재의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야 한다.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와 화이트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발신 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한, 발신 번호의 대응하는 호출은 연결되어야 한다. 실제적으로, 화이트리스트와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는 하나의 단일 리스트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착신측 단말에 대한 호출을 개시할 수 없는 발 신 번호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블랙리스트도 마찬가지로 착신측 단말에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블랙리스트의 번호를 발신 번호로서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가 착신측 단말에 대한 호출을 개시하면, 착신측 단말을 호출의 연결을 거부할 것이다. 이러한 설정에 의하여,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수신하면,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정할 수 있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후속하는 처리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처리 과정은 직접 종료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계 104에서, 착신측 단말은,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정하여야 한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착신측 단말은 현재의 호출을 직접 종료할 것이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착신측 단말은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등의 후속의 단계를 수행할 것이다.
블랙리스트가 설정된 경우에, 다른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착신측 단말은, 등록 요청이 미리 설정된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즉 단계 105를 수행하기 전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정한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발신 번호는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것이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착신측 단말은 후속하는 처리 단계를 수행한다.
사실상, 화이트리스트와 블랙리스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착신측 단말에 동시에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착신측 단말은 발신 번호의 대응하는 호출을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소정의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착신측 단말은 자신의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단계들이 수행될 때, 블랙리스트와 화이트리스트에 따라 대응하는 판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먼저 블랙리스트 또는 화이트리스트에 기초하여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먼저 블랙리스트에 기초하여 판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하여 그 처리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블랙리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호출을 수신한 후, 즉 단계 104를 수행하기 전에, 착신측 단말은,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착신측 단말은, 현재의 과정을 직접 종료한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착신측 단말은,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화이트리스트에 따른 판정이 이루어질 때, 착신측 단말은,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호출이 등록 요청인 것으로 확인된 때, 착신측 단말은 발신 번호를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저장하는 것을 거부한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착신측 단말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과정에 따른 후속의 단계를 수행한다. 화이트리스트에 따른 판정이 이루어질 때, 착신측 단말은, 호출이 등록 요청인 것을 확인한 후에 그리고 등록 요청이 설정된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즉 단계 104와 단계 105의 사이에서,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저장되어 있으면, 착신측 단말은 그 등록을 직접 거부할 것이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도 1에 도시된 과정에 따른 후속의 단계가 수행될 것이다.
착신측 단말은, 현재의 호출이 등록 요청이라는 것을 확인한 후에 그리고 그 등록 요청이 설정된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즉 단계 104와 단계 105의 사이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 또는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 또는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착신측 단말이 현재의 과정을 직접 종료시킬 것이다. 액세스용 코드가 화이트리스트와 블랙리스트 중 어느 것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착신측 단말이 확인하면, 착신측 단말은 후속하는 단계를 수행할 것이다.
화이트리스트와 블랙리스트가 동시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현재의 호출이 등록 요청이 아닌 경우, 단계 110에서, 착신측 단말은, 현재의 호출을 종료하기 전에,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야 한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착신 측 단말은 정상적인 과정에 따라 호출을 처리할 것이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착신측 단말은 현재의 호출을 종료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발신 번호 정보는 착신측 단말의 화이트리스트, 블랙리스트, 및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이트리스트 및/또는 블랙리스트가 착신측 단말에 설정되어 있다면, 소정의 발신 번호가 착신측 단말의 화이트리스트 또는 블랙리스트에 설정된 이후, 착신측 단말은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가 동일한 발신 번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야 한다.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가 그 발신 번호를 포함하고 있다면, 그 발신 번호는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로부터 삭제될 것이다.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설정되어 있다면, 착신측 단말은 동일한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야 하며,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그 발신 번호는 화이트리스트에서 삭제될 것이다.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설정되어 있다면, 착신측 단말은 동일한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야 하며, 그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그 발신 번호는 블랙리스트에서 삭제될 것이다.
상기 설명은 제1 방식, 즉 발신 번호가 액세스용 호출 마크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제2 방식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방식의 상세한 처리 과정을 도 2에 도시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단계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201: 액세스용 코드가 착신측 단말에 미리 설정된다.
실제로, 액세스용 코드는 착신측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착신측 사용자는, 액세스용 코드를 설정한 후, 그 액세스용 코드를 자신의 친척과 친구들에게 말하여, 이들이 언제라도 그 액세스용 코드를 이용하여 착신측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계 202: 발신측 사용자는 착신측 단말에 대한 호출을 개시한다.
발신측 사용자에 의해 개시되는 호출은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 UUS 또는 음성 통화가 될 수 있다. 발신측 사용자에 의해 개시되는 호출이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 또는 UUS라면, 이러한 메시지에 액세스용 코드가 수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액세스용 코드의 개시 식별자를 *#로 하고 이에 후속하는 정보를 액세스용 코드로서 취할 수 있다.
단계 203-205: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수신하면, 수신한 호출이 자체적으로 설정된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호출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면, 착신측 단말은 정상적인 과정에 따라 호출을 처리할 것이다. 호출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종료하고 처리 과정을 종료한다.
발신측 사용자에 의해 개시되는 호출은,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 UUS 또는 음성 통화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착신측 단말이 현재의 호출을 종료하는 경우, 그 종료 단계는 제1 방식에서의 대응하는 단계와 동일하다. 다시 말해서,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종료하기 위해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 또 는 UUS를 삭제하거나, 착신측 단말이 호출을 종료하기 위해 현재의 음성 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거부하거나 현재의 음성 통화를 종료한다.
호출이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 또는 UUS인 경우, 착신측 단말은, 현재의 호출이 개시 식별자 *#에 따라 액세스용 코드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호출이 음성 통화인 경우,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수신하면, 먼저 호출을 접속 또는 연결할 수 있으며, 발신측으로 하여금 액세스용 코드를 입력할 것을 촉구하기 위해 프롬프트 사운드를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신측 단말에서 실행시킬 프롬프트 사운드를 미리 설정할 필요가 있다. 만일에 착신측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발신측에서 보내온 액세스용 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면, 착신측은 호출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착신측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발신측에서 보내온 액세스용 코드를 수신하면, 착신측은 호출이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정상적인 처리 과정에 따라 호출을 처리한다는 것은, 착신측 단말이 착신측 사용자에게 수신되는 호출을 통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착신측 단말은 링잉(ringing)으로 착신측 사용자에게 통보를 행하고, 호출을 종료한다는 것은 호출 또는 세션(session)을 직접 종료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액세스용 코드가 다른 발신 정보에 의해 전송된다면, 착신측 단말은, 호출이 자신에 수반되는 정보에 따라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직접 판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판정에 따라 호출을 연결할지 아니면 호출을 거부할지를 판 정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처리 과정에 따라 호출을 처리한다는 것은, 착신측 단말이 호출을 연결하고 수신되는 호출을 착신측 사용자에게 통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착신측 단말은, 착신측 사용자에게 링잉을 이용하여 통보를 행하고; 호출을 종료한다는 것은 호출의 연결을 직접 거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호출이 음성 통화인 경우에, 착신측 단말은, 발신측으로 하여금 액세스용 코드를 입력할 것을 촉구할 때, 발신측은, 이중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 주파수 편이 방식(FSK: Frequency Shift Keying) 신호, 시그널 또는 음성을 이용하여 액세스용 코드를 통신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착신측 단말은, 4가지의 방식에서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액세스용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착신측 단말이 발신측에서 보내온 음성 통화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면, 착신측 단말은 호출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착신측 단말이 발신측에서 보내온 음성 통화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면, 통신 네트워크는, 발신측에서 보내온 음성 통화를, 착신측 단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으며, 변환된 호출 정보를 착신측 단말에 전송한다.
이하, 예를 들어 DTMF 신호에 의해 발신측이 액세스용 코드를 전송하는 경우의 전송 처리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발신측은 DTMF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용 코드를 전송할 수 있으며, 통신 네트워크의 종료 스위치(termination switch)는, DTMF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측 단말이 DTM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착신측 단말이 DTM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면, DTMF 신호 는 착신측 단말로 직접 전달되며, 착신측 단말은 DTMF 신호를 액세스용 코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착신측 단말이 DTM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종료 스위치는 DTMF 신호를 착신측 단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이러한 변환이 수행된 후에, 변환된 정보는 착신측 단말로 전송될 것이며, 착신측 단말은 그 형태에 따라 디지털 신호 변환을 수행할 것이다.
실제로, 종료 스위치에 의해 수행되는, DTMF 신호를 착신측 단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처리 과정은 개시 스위치(originator switch)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형 단말에 의해 DTMF 신호를 통해 이동형 단말로 전송되는 액세스용 코드는 개시 스위치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직접 변환될 수 있다. 이후, 통신 네트워크는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에 액세스용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용 코드를 음성 모드로 전송하는 경우에, 착신측 단말이 음성 인식 기능을 지원한다면, 착신측 단말은 발신측으로 하여금 음성을 이용하여 액세스용 코드를 전송할 것을 촉구할 수 있다. 착신측 단말은, 음성 정보를 수신한 후, 음성 인식을 통해 발신측에 의해 전송된 액세스용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모드에서의 처리 과정도 이와 유사하므로, 더 구체적으로는 설명하지 않는다.
착신측 단말은, 액세스용 코드를 획득한 후, 획득한 액세스용 코드가 자신의 액세스용 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설명한 제1 방식과 마찬가지로, 착신측 단말에 화이트리스트 또는 블랙 리스트가 설정될 수 있으며, 화이트리스트 및 블랙리스트는 마찬가지로 착신측 단말에 동시에 설정될 수 있다.
화이트리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착신측 단말은, 발신측에 의해 개시된 호출을 수신하면, 수신한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정한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착신측 단말은, 정상적인 처리 과정에 따라 호출을 직접 처리하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착신측 단말은, 단계 203에서의 판정 처리를 수행할 것이다.
블랙리스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착신측 단말은, 발신측에 의해 개시된 호출을 수신하면, 수신한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정한다.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직접 종료할 것이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착신측 단말은 단계 203의 판정 처리를 수행할 것이다.
화이트리스트와 블랙리스트가 동시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착신측 단말은,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정한다.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호출은 정상적인 처리 과정에 따라 처리될 것이다. 발신 번호가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착신측 단말은,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면, 착신측 단말은 호출을 직접 종료할 것이다. 만일 발신 번호가 블랙리스트나 화이트리스트의 어느 것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단계 203의 판정 처리가 수행될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 언급한 발신측과 착신측 단말은, 이동형 단말, 고정형 단말, 개인 휴대형 정보 단말기(PDA), 휴대형 기기, 또는 통신 기능을 갖는 다른 단말이 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Claims (23)

  1. 착신되는 호출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착신측 단말에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측 단말이, 발신측에 의해 개시된 호출을 수신하면, 수신한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호출을 연결하고;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호출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에 설정된 상기 액세스용 호출 마크가 발신 번호이며, 상기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와, 상기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상기 발신 번호의 등록을 허용하기 위한 액세스용 코드가 설정되고, 상기 착신측 단말은, 상기 발신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발신측으로부터 개시되는 등록 요청을 인식하며,
    상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a.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이 면, 상기 등록 요청이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등록 요청이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호출로부터 등록될 발신 번호를 획득하며, 상기 발신 번호를 상기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저장하고; 상기 등록 요청이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등록을 거부하고,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며;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이 아니면,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이 때,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b.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포함하는 화이트리스트(whitelist)가 설정 되며,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등록 요청이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착신측 단말이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등록 요청이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블랙리스트(blacklist)가 설정되며,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블랙리스트가 설정되며,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등록 요청이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등록을 거부하고,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며;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등록 요청이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화이트리스트 및 블랙리스트가 설정되며,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c1.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c2로 진행하는 단계;
    c2.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단계 c3으로 진행하고; 상기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c3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단계 a로 진행하는 단계;
    c3.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이면,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이 아니면, 상기 호출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화이트리스트 및 블랙리스트가 설정되며,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등록 요청이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의 대 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의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등록 요청이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화이트리스트 및 블랙리스트가 설정되며,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등록 요청이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 또는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이 처리 과정을 종료하며;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을 직접 종료하고;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와 상기 블랙리스트에 모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등록 요청이 미리 설정된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9. 제3항, 제6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리스트가 설정된 후에,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 번호가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 번호가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었다면, 상기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로부터 상기 발신 번호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10.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리스트가 설정된 후에,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 번호가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 번호가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었다면, 상기 발신 번호 등록 리스트로부터 상기 발신 번호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은 단문 메시지이며,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현재 수신한 호출이 단문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수신한 호출이 단문 메시지이면,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인 것으로 확인하며; 상기 수신한 호출이 단문 메시지가 아니면,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이 아닌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등록을 거부한 후에 그리고 상기 호출의 처리 과정의 종료 전에, 정상적인 처리 과정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이, 상기 등록 요청의 마크가 설정된 단문 메시지이며,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현재 수신한 호출이 단문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수신한 호출이 단문 메시지이면, 상기 등록 요청의 마크가 상기 단문 메시지에 수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등록 요청의 마크가 상기 단문 메시지에 수반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등록 요청의 마크가 상기 단문 메시지에 수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호출이 등록 요청이 아닌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화이트리스트가 설정되며,
    상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을 종료하기 전에,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을 연결하며;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호출을 종료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에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설정하는 단계는, 액세스용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액세스용 호출 마크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 자체의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은,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 또는 사용자간 정보 전송 신호(UUS: User-to-User signal)이며,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측에 의해 개시되는 호출은,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는 호출 정보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은 음성 통화이며,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을 연결하고, 상기 발신측으로 하여금 상기 액세스용 코드의 입력을 촉구하며; 상기 발신측에 의해 전송된 상기 액세스용 코드가 설정된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호출이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발신측에 의해 전송된 상기 액세스용 코드가 설정된 기간 내에 수신되면,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액세스용 코드가 상기 착신측 단말에 의해 설정된 액세스용 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은, 이중 톤 다중 주파수(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 주파수 편이 방식(FSK: Frequency Shift Keying) 제어용 신호, 시그널, 또는 음성을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전송하며,
    상기 착신측 단말은, 상기 이중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 주파수 편이 방 식(FSK) 제어용 신호, 시그널, 또는 음성을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수신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화이트리스트가 설정되며,
    상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 자체의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을 연결하며;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 자체의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블랙리스트가 설정되며,
    상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 자체의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을 종료하며;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에, 발신 번호를 저장하는 화이트리스트 및 블랙리스트가 설정되며,
    상기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은,
    상기 착신측 단말이,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 자체의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 또는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을 연결하며;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을 직접 종료하고; 상기 호출의 대응하는 발신 번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와 상기 블랙리스트에 모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호출이 상기 착신측 단말의 상기 액세스용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에 의해 개시되는 호출이,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단문 메시지, 또는 사용자간 정보 전송 신호(UUS)인 경우, 상기 착신측 단말이 현재의 호출을 종료하는 단계는, 현재 수신하는 호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에 의해 개시되는 호출이 음성 통화인 경우, 상기 착신측 단말이 현재의 호출을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의 연결을 거부하는 단계 또는 상기 호출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은, 이동형 단말, 고정형 단말, 개인 휴대형 정보 단말기(PDA), 또는 휴대형 기기인, 착신 호출의 처리 방법.
KR1020067027158A 2004-06-07 2005-06-06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 KR100859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410037182.6 2004-06-07
CNB2004100371826A CN1319359C (zh) 2004-06-07 2004-06-07 一种来话接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303A true KR20070020303A (ko) 2007-02-20
KR100859360B1 KR100859360B1 (ko) 2008-09-22

Family

ID=3550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158A KR100859360B1 (ko) 2004-06-07 2005-06-06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45853B2 (ko)
EP (1) EP1768362B1 (ko)
JP (1) JP4322299B2 (ko)
KR (1) KR100859360B1 (ko)
CN (1) CN1319359C (ko)
AT (1) ATE460041T1 (ko)
DE (1) DE602005019738D1 (ko)
WO (1) WO20051225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7104A (zh) * 2012-10-24 2013-02-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根据归属地拦截电话的方法及装置
KR20170116104A (ko) * 2015-02-09 2017-10-1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호 전달 방법, 단말기 및 휴대형 전자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09737B (zh) * 2006-01-26 2010-09-15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阻止垃圾语音呼叫的方法和装置
CN100397854C (zh) * 2006-05-24 2008-06-25 周华伟 一种受控电话通信方法
ES1064121Y (es) * 2006-11-13 2007-05-01 Step Two S A Telefono movil educativo
US8199887B2 (en) * 2008-09-22 2012-06-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hone call management
CN101827147A (zh) * 2009-01-20 2010-09-08 北京网秦天下科技有限公司 响一声就挂电话防火墙
US20140057619A1 (en) * 2012-08-24 2014-02-2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operation modes of a mobile device
US9014359B1 (en) * 2013-01-11 2015-04-2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Generation of phone number lists and call filtering
CN104283851A (zh) * 2013-07-08 2015-01-14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非法自动呼叫的屏蔽方法和系统以及语音鉴权设备
CN104735228A (zh) * 2013-12-23 2015-06-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第一电子设备和第二电子设备
CN104113626B (zh) * 2014-06-26 2017-10-31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处理方法和系统
CN105704337B (zh) * 2016-01-19 2019-02-12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号码标记方法和系统
CN106027739A (zh) * 2016-07-22 2016-10-1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来电处理方法、装置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03614A (en) * 1987-04-09 1988-10-19 British Broadcasting Corp Control of access to a telephone
JPH01143529A (ja) * 1987-11-30 1989-06-06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JPH01155395A (ja) 1987-12-14 1989-06-19 Hitachi Ltd グラフイックデイスプレイ装置
KR950016163A (ko) * 1993-11-30 1995-06-17 김광호 종합정보통신망 전화기의 착신 처리 방법
US7426264B1 (en) * 1994-01-05 2008-09-16 Henderson Daniel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s and systems
EP0825751A3 (en) * 1996-08-19 2004-07-14 Casio Computer Co., Ltd. Control of a telecommunication receiving terminal by a transmitting terminal before the receiver terminal goes off the hook
JP3306347B2 (ja) * 1997-08-04 2002-07-24 三洋電機株式会社 留守番電話機
US6173316B1 (en) * 1998-04-08 2001-01-09 Geowork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markup language based man-machine interface
US6631182B1 (en) * 1998-07-29 2003-10-07 Ameritech Corporation Call scree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20128033A1 (en) * 1998-11-30 2002-09-12 Burgess Shelia Jean Communication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DE19847286B4 (de) * 1998-10-14 2004-07-22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m Unterbinden von Belästigungen innerhalb eines Telefonnetzes durch Störanrufe an eine Rufnummer eines Kommunikationsteilnehmers
US6430289B1 (en) * 1999-04-13 2002-08-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ized status monitor and use in a telephone network
US7039165B1 (en) * 1999-09-13 2006-05-02 Microstrategy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ing an interactive voice broadcast of a voice service based on automatic number identification
US6404884B1 (en) * 1999-10-08 2002-06-11 Grape Technology Group, Inc. Personalized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ES2364280T3 (es) * 2000-01-31 2011-08-30 Grape Technology Group, Inc. Sistema y método de asistencia de comunicación.
US6477150B1 (en) * 2000-03-03 2002-11-05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roup communication services in an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JP2001298530A (ja) 2000-04-12 2001-10-26 Sony Corp 通信システム、その通信方法及び受信装置
US6701160B1 (en) * 2000-05-22 2004-03-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locally block incoming selected calls
CN1209900C (zh) * 2000-10-19 2005-07-06 国伟 电话防骚扰方法
US7317787B2 (en) * 2000-11-21 2008-01-08 At&T Knowledge Ventures, L.P. Voice enhancing for advance intelligent network services
US7283808B2 (en) * 2001-01-18 2007-10-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mote control of a voice mail system
US20030023440A1 (en) * 2001-03-09 2003-01-30 Chu Wesley A.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large lists over a voice user interface utilizing dynamic segmentation and drill down selection
US6618473B1 (en) * 2001-07-06 2003-09-09 Dasym Technologies, Inc. Telephone caller screening device
US7617328B2 (en) * 2001-11-16 2009-11-10 At&T Mobility Ii Llc System for translation and communication of messaging protocols into a common protocol
US7027569B2 (en) * 2002-02-11 2006-04-11 Prologue Communications, Inc. Telephone call screening system and method and caller regis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US6996217B2 (en) * 2002-02-21 2006-02-07 Unblockable, Inc. Converting automatic num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aller ID information
JP3851185B2 (ja) * 2002-02-26 2006-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話機及び電話番号登録方法
CN1391422A (zh) * 2002-07-03 2003-01-15 中电东方通信研究中心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中免打扰业务的实现方法
US7333798B2 (en) * 2002-08-08 2008-02-19 Value Added 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 call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US7184527B1 (en) * 2002-09-30 2007-02-2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handling telecommunication activity via a computer network
US20040114747A1 (en) * 2002-12-12 2004-06-17 Trandal David S. Systems and methods for call processing
US7644166B2 (en) * 2003-03-03 2010-01-05 Aol Llc Source audio identifiers for digital communications
WO2005050934A1 (en) * 2003-11-17 2005-06-02 Fotta Keith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unsolicited electronic mai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7104A (zh) * 2012-10-24 2013-02-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根据归属地拦截电话的方法及装置
KR20170116104A (ko) * 2015-02-09 2017-10-1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호 전달 방법, 단말기 및 휴대형 전자 기기
US10419608B2 (en) 2015-02-09 2019-09-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Call forwarding method, termina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02236A (ja) 2008-01-24
CN1708073A (zh) 2005-12-14
JP4322299B2 (ja) 2009-08-26
CN1319359C (zh) 2007-05-30
DE602005019738D1 (de) 2010-04-15
KR100859360B1 (ko) 2008-09-22
EP1768362A1 (en) 2007-03-28
EP1768362A4 (en) 2007-10-03
EP1768362B1 (en) 2010-03-03
ATE460041T1 (de) 2010-03-15
US20070160186A1 (en) 2007-07-12
WO2005122539A1 (fr) 2005-12-22
US8345853B2 (en) 201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360B1 (ko) 착신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
US6377795B1 (en) Cellular phone with special standby feature
US844219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 of establishing call
RU2000110519A (ru) Способ персонального вызова абонента телефонной сети (варианты)
EP1885104A1 (en) A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over a packet based network
KR20040005333A (ko) 이동 통신의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336637A (ja) 携帯電話着信制限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744951B1 (ko) Sms를 이용한 착신 과금 통화 허용 서비스 시스템 및서비스 방법
US20040120503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to capture a redialing sequence and to redial
KR20040093308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중 효과음 서비스 방법
JPH1032245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KR20070040524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호 셋업 도중 음성 메시지 녹음 방법
KR100459763B1 (ko) 무선 통신망에서 가입자의 부재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JP2005197915A (ja) 通話機器および通話機器の呼出方法
KR100705365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및 발신 정보 송출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1204078A (ja) 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留守番電話サービス方式および留守番電話サービス方法
KR100506277B1 (ko) 사설교환기에서착신호전환상태통보방법
KR100305072B1 (ko) 무료 통화 서비스 방법
KR10062329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연결 중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KR100455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KR1005882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호 처리 시스템및 방법
KR100880978B1 (ko) 단문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1028121B1 (ko) 통화응답 알림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02365B1 (ko) 불완료 호 역접속 방법
KR20050006615A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호 차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