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841A -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841A
KR20070019841A KR1020050073780A KR20050073780A KR20070019841A KR 20070019841 A KR20070019841 A KR 20070019841A KR 1020050073780 A KR1020050073780 A KR 1020050073780A KR 20050073780 A KR20050073780 A KR 20050073780A KR 20070019841 A KR20070019841 A KR 20070019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wired communication
switch
control unit
pow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평서
Original Assignee
박평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평서 filed Critical 박평서
Priority to KR102005007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9841A/ko
Publication of KR20070019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현장반/ MCC반/ 중앙감시실의 제어가 가능하며 순시정전보상 및 수동, 자동, 재 기동 기능과 전력 기기 보호 기능이 내장되어 사용의 편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전력 기기 유선통신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현장반에서 전력 기기 제어를 위한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고, 전력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주는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와 전력 기기의 제어반(MCC)도어에서 전력 기기 제어를 위한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여 전력 기기를 동작 시키며 상태를 표시해주는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와,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 및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를 통신라인으로 연결하여,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 및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마그네트/릴레이로 전달하고, 과부하 계전기 및 자동운전 장치로부터 검출된 부하 상태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유선 통신 컨트롤러와, 상기 유선 통신 컨트롤러와 통신 접속되어 중앙 감시실에서 전력 기기의 운전 상태를 감시 제어하는 퍼스널컴퓨터(PC)를 포함하여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를 구현한다.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 현장 유선 통신스위치, 도어 유선 통신스위치, 유선 통신 컨트롤러, 중앙감시실, 데이터 통신, PC , MCC, PLC, 현장반

Description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of power communication through wi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LTS)
200 ..... 도어 유선 통신스위치(DTS)
300 .....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TCU)
400 ..... 중앙 감시실 PC
510 ..... 마그네트
520 ..... 릴레이
530 ..... 과부하 계전기
540 ..... 자동 운전 장치
600 ..... 전력기기 제어함(MCC)
본 발명은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현장반/ MCC반/ 중앙감시실의 제어가 가능하며 순시정전보상과 수동, 자동, 재 기동 기능과 전력 기기 보호기능이 내장되어 사용의 편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력기기 제어장치(MCC : Motor Control Center)는 3상 교류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와, 그 전원입력부의 전원을 수동으로 온/오프하거나 단락 사고 시 회로차단을 위한 배선용 차단기와, 그 배선용 차단기를 통한 전원의 공급/차단을 제어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전자접촉기부와, 검출된 전류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 릴레이부에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과전류 개폐기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과전류 개폐기와 마그네틱 릴레이부를 제어하여 모터의 운전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와, 그 조작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를 파일럿램프를 통해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의 전류를 표시하는 전류표시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력 기기 제어장치는 일반적인 3상 모터제어장치로서 아날로그 식으로 구성되어 현장에서 조작부를 조작하여 모터의 운전을 제어하게 되며, 과전류 검출에 의해 자동으로 모터 구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의 전력기기 제어장치는, 마그네틱, 릴 레이 부의 릴레이와 표시부의 파일럿램프, 전류표시부의 표시용 모듈, 전류검출부의 변류기, 과전류 개폐기 등의 구성 부품들과 현장반/ MCC반/ PLC제어반/중앙감시실과 연결시 전력 배선에 의존해야하고, 이로 인해 하드웨어의 부피도 커지고 구성 및 시공이 난해하며, 기능 추가 및 변경 시 기존의 시퀀스를 재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아날로그 방식의 전력 기기 제어방식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현장반/ MCC반/ 중앙감시실에서 감시제어가 가능하며 순시정전보상 및 수동, 자동, 재 기동 기능과 전력 기기 보호기능이 내장되어 사용의 편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력 기기 유선 통신제어장치"는,
현장반에서 전력 기기 제어를 위한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여 전력 기기를 동작 시키며 상태를 표시해주는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와,
전력 기기의 제어반(MCC) 도어에서 제어를 위한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여 전 력 기기를 동작 시키며 상태를 표시해주는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와,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 및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를 통신라인으로 연결하여,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 및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마그네트/릴레이로 전달하고, 과부하 계전기 및 자동운전 장치로부터 검출된 부하 상태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와,
상기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와 디지털 접속되어 중앙감시실에서 전력 기기의 운전 상태를 감시 제어하기 위한 중앙 감시실 퍼스널컴퓨터(P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는,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MCC선택 스위치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MCC의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MCC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와 자동/수동 선택 상태를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자동/수동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자동/수동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전력 기기 정/역선택 스위치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전력 기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선 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전력 기기 정/역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A-ON 선택 스위치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A-ON 선택 여부와 B-ON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A-ON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오프 스위치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오프 상태를 표시해주는 오프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B-ON 선택 스위치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B-ON 선택 여부와 A-ON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B-ON 선택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는,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MCC선택 스위치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MCC의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MCC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와 자동/수동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자동/수동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자동/수동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전력 기기 정/역선택 스위치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상기 디지털 전력 기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전력 기기 정/역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A-ON 선택 스위치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A-ON 선택 여부와 B-ON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A-ON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오프 스위치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오프 상태를 표시해주는 오프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B-ON 선택 스위치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B-ON 선택 여부와 A-ON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B-ON 선택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는,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 및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와 중앙 감시실의 PC에서 송출하는 디지털 신호를 연산하여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력 기기 제어반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해주는 에러 검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력 기기 구동을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전력 기기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반에서 전력 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며, 전력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주는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와; MCC 반 도어에서 전력 기기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며, 전력 기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주는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200)와;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 및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200)를 통신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 또는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200)에서 송출되는 제어신호를 마그네트(510)/릴레이(520)로 전달하고, 과부하 계전기(530)로부터 검출된 과부하 상태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300)와; 상기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300)와 접속되어 중앙감시실에서 전력 기기의 과부하 여부와 전력 기기의 운전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원격 감시 제어용 퍼스널컴퓨터(PC)(4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는,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부(180)와;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170)와; 상기 제어부(170)와 연결되어 상기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300)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통신부(190)와; 상기 제어부(170)와 연결되며 MCC선택 스위치(SW1)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D1 ~ D3)로 이루어져 MCC의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MCC선택부(110)와; 상기 제어부(170)와 연결되며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SW2)와 자동/수동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D4, D5)로 이루어져 자동/수동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자동/수동 선택부(120)와; 상기 제어부(170)와 연결되며 전력 기기 정/역선택 스위치(SW3)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D6, D7)로 이루어져 상기 디지털 전력 기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전력 기기 정/역 선택부(130)와; 상기 제어부(170)와 연결되며 A-ON 선택 스위치(SW4)와 발광다이오드(D8)로 이루어져 A-ON 선택 여부와 B-ON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A-ON 선택부(140)와; 상기 제어부(170)와 연결되며 오프 스위치(150)와 발광다이오드(D9)로 이루어져 오프 상태를 표시해주는 오프 선택부(150)와; 상기 제어부(170)와 연결되며 B-ON 선택 스위치(SW6)와 발광다이오드(D10)로 이루어져 B-ON 선택 여부와 A-ON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B-ON 선택부(16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200)는, 상기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10)와; 상기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200)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310)에 전달해주는 에러 검출부(330)와; 상기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전력 기기 구동을 위한 릴레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전력 기기 구동부(340)와; 상기 제어부(31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 컨트롤러(300)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통신부(350)와; 상기 제어부(310)와 연결되며 MCC선택 스위치(SW1)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D1 ~ D3)로 이루어져 MCC의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MCC선택부(261)와; 상기 제어부(310)와 연결되며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SW2)와 자동/수동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D4, D5)로 이루어져 자동/수동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자동/수동 선택부(262)와; 상기 제어부(310)와 연결되며 전력 기기 정/역 선택 스위치(SW3)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D6, D7)로 이루어져 상기 전력 기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선택 여부 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전력 기기 정/역 선택부(263)와; 상기 제어부(310)와 연결되며 A-ON 선택 스위치(SW4)와 발광다이오드(D8)로 이루어져 A-ON 선택 여부와 B-ON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A-ON 선택부(264)와; 상기 제어부(310)와 연결되며 오프 스위치(SW5)와 발광다이오드(D9)로 이루어져 오프 상태를 표시해주는 오프 선택부(265)와; 상기 제어부(310)와 연결되며 B-ON 선택 스위치(SW6)와 발광다이오드
(D10)로 이루어져 B-ON 선택 여부와 A-ON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B-ON 선택부(26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전력 기기 제어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장반에 설치된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에서 전력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 현장에서 사용자가 MCC 또는 LOP를 선택하기 위해서 MCC선택 스위치(SW1)를 조작하면 제어부(170)에서 이를 인지하고 해당 발광다이오드(D1 또는 D3)를 발광시켜 현장에서 현재 선택된 상황을 인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SW2)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을 선택하면 제어부(170)에서 이를 인식하고 자동/수동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발광다이오드(D4 또는 D5)를 발광시켜 현재 선택된 상황을 인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전력 기기 정/역 선택 스위치(SW3)를 통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선택하면 제어부(170)는 이를 인지하고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발광다이오드(D6 또는 D7)를 발광시켜 현재 전력 기기의 회전 방향을 표시해주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A-ON 선택부(140)내의 A-ON 선택 스위치(SW4)를 조작하거나 B-ON 선택부(160)내의 B-ON 선택 스위치(SW6)를 조작하면 제어부(170)에서는 이를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D8 또는 D10)를 발광시켜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게 된다.
그리고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의 조작을 하면 제어부(170)는 해당 신호를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300)에 전달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300)는 발생된 신호를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200)와 중앙 감시 제어용 PC(400)로 전달해준다.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의 신호를 수신한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 (200)내의 제어부(310)는 원격에서 조작한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는 전력 기기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300)에 전달한다. 여기서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200)도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와 동일하게 현재 상태를 표시해주게 된다.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300)는 전달되는 전력 기기 제어신호를 전선으로 연결된 마그네트(510), 릴레이(520), 자동운전기(540)에 전달하여 전력 기기가 유효 절적하게 동작하도록 한다. 여기서 전력 기기의 동작은 종래의 전력 기기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과부하 계전기(530)는 전력 기기의 동작시 과전류가 검출되면 상기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300)에 해당 과부하 검출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300)는 이를 중앙 감시 제어용 PC(400) 및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와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200)에 전달해준다.
한편,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200)에서 직접 전력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가 MCC 또는 REM을 선택하기 위해서 MCC선택 스위치(SW1)를 조작하면 제어부(310)에서 이를 인지하고 해당 발광다이오드(D1 또는 D3)를 발광시켜 현장에서 현재 선택된 상황을 인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SW2)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을 선택하면 제어부(310)에서 이를 인식하고 자동/수동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발광다이오드(D4 또는 D5)를 발광시켜 현재 선택된 상황을 인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전력 기기 정/역 선택 스위치(SW3)를 통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선택하면 제어부(310)는 이를 인지하고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발광다이오드(D6 또는 D7)를 발광시켜 현재 전력 기기의 회전 방향을 표시해주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A-ON 선택부(264)내의 A-ON 선택 스위치(SW4)를 조작하거나 B-ON 선택부(266)내의 B-ON 선택 스위치(SW6)를 조작하면 제어부(310)에서는 이를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D8 또는 D10)를 발광시켜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게 된다.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300)는 전달되는 신호를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에 전송하여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에서도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200)와 동일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동시에 전달되는 전력 기기 제어신호를 전선으로 연결된 마그네트(510), 릴레이(520), 자동운전장치(540)에 전달하여 전력 기기가 유효 절적하게 동작하도록 한다. 여기서 전력 기기의 동작은 종래의 전력 기기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200)와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의 제어 우선순위는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가 우선시되어 제어가 이루어진다.
한편, 중앙감시 제어용 PC(400)는, 상기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300)와 연결되어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100)나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200)의 동작과 전력 기기의 운전 상태를 모니터를 통해 모니터링하면서 운전이 가능하다.
즉,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력 기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현장반 - MCC반 - PLC제어반 - 중앙감실로 연결하는 4단계 제어 시스템이지만 본 발명품은 현장제어반 - MCC반 - 중앙감실로 연결하는 3단계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전력 기기를 원거리에서도 컴퓨터 화면을 통해 전력 기기의 운전 상태 감시 및 운전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 기기를 현장반 /MCC반 / 중앙 감시실에서 3단계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게 하여 제작 및 시공비의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순시정전보상 및 수동, 자동, 재 기동 기능과 전력 기기보호기능이 내장되어 사용의 편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전력 기기 제어장치를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력용 케이블 선을 통신용 케이블로 대체 사용하여 공사비용 절감효과를 준다.
또한 전력 기기 제어장치 제작 시 배선 작업이 간단하고 구조변경 시 재활용하기에 용이하여 유지 관리가 쉬운 편리성이 있다.

Claims (4)

  1.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에 있어서,
    현장반에서 전력 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며, 전력 기기의 동작 상황을 표시해주는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와;
    전력 기기의 제어반(MCC)도어에서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여 전력 기기를 동작 시키며 상태를 표시해주는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와;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 및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를 통신라인으로 연결하여,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 및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마그네트/릴레이로 전달하고, 과부하 계전기 및 자동운전 장치로부터 검출된 부하 상태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와;
    상기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와 통신 접속되어 중앙 감시실에서 전력 기기의 운전 상태를 감시 제어하기 위한 중앙 감시실 퍼스널컴퓨터(PC)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는,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MCC선택 스위치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 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MCC의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MCC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와 자동/수동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자동/수동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자동/수동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전력 기기 정/역선택 스위치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전력 기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전력 기기 정/역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A-ON 선택 스위치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A-ON 선택 여부와 B-ON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A-ON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오프 스위치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오프 상태를 표시해주는 오프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B-ON 선택 스위치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B-ON 선택 여부와 A-ON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B-ON 선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는,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도어유선 통신 스위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MCC선택 스위치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MCC의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MCC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와 자동/수동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자동/수동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자동/수동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전력 기기 정/역선택 스위치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기 위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상기 전력 기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선택 여부와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전력 기기 정/역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A-ON 선택 스위치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A-ON 선택 여부와 B-ON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A-ON 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오프 스위치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오프 상태를 표시해주는 오프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B-ON 선택 스위치와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져 B-ON 선택 여부와 A-ON 선택 상황을 표시해주는 B-ON 선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유선 통신 컨트롤 유니트는,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 및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를 통신라인으로 연결하여, 상기 현장 유선 통신 스위치 및 도어 유선 통신 스위치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마그네트릴레이로 전달하고, 과부하 계전기 및 자동운전 장치로부터 검출된 부하 상태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
KR1020050073780A 2005-08-11 2005-08-11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 KR20070019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780A KR20070019841A (ko) 2005-08-11 2005-08-11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780A KR20070019841A (ko) 2005-08-11 2005-08-11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841A true KR20070019841A (ko) 2007-02-15

Family

ID=4365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780A KR20070019841A (ko) 2005-08-11 2005-08-11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98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367B1 (ko) * 2015-05-20 2016-06-02 (주)서전기전 Smcd를 적용한 스마트 모터컨트롤센터
CN107575729A (zh) * 2017-10-20 2018-01-12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稀油密封型煤气柜用集成油泵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367B1 (ko) * 2015-05-20 2016-06-02 (주)서전기전 Smcd를 적용한 스마트 모터컨트롤센터
CN107575729A (zh) * 2017-10-20 2018-01-12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稀油密封型煤气柜用集成油泵站
CN107575729B (zh) * 2017-10-20 2024-03-12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稀油密封型煤气柜用集成油泵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696B1 (ko) 다목적 무대기계장치의 제어 시스템
WO2008072023A1 (en) Portable emergency and inspection interface for elevators
US20110121247A1 (en) Fault monitoring system for electric single or poly-phase chain hoist motors
KR100980829B1 (ko) 무대장치의 구동모터 원격제어 시스템
JP5762355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20070019841A (ko) 전력 기기 유선 통신 제어장치
KR100434440B1 (ko) 디지털 분전반 및 제어방법
JP3395032B2 (ja) 配電盤開閉装置と操作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60134238A (ko) 다수의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
JP2009167004A (ja) エレベーターの操作表示装置及びメンテナンス装置
KR200178021Y1 (ko) 디지털 모터 제어장치 및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모터원격제어시스템
KR101343447B1 (ko) 모터 스타터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090086877A (ko) 수배전반용 디지털 보호계전장치
JPH10304467A (ja) 負荷制御用端末装置及び負荷制御システム
KR10227022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안전 신호시스템
KR101103622B1 (ko) 전력제어 표준화를 위해 하네스 연결방식을 사용한 전동기 제어반
KR100880036B1 (ko) 구동부의 원격 및 현장제어 일체형 무대장치
KR20070119222A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용 차단기 테스트장치
KR101612401B1 (ko) 할로겐램프 제어모듈
CN111747249A (zh) 一种220v转380v提拉克平台的电控系统
KR200426099Y1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용 차단기 테스트장치
CN216351862U (zh) 智能iot手自动控制盘
CN201285510Y (zh) 基于无线网络的安全保护装置
KR20070047748A (ko) 다종 구동소자 제어장치
JP2004257668A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