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619A - 컴프레서용 필터 - Google Patents

컴프레서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619A
KR20070019619A KR1020060076373A KR20060076373A KR20070019619A KR 20070019619 A KR20070019619 A KR 20070019619A KR 1020060076373 A KR1020060076373 A KR 1020060076373A KR 20060076373 A KR20060076373 A KR 20060076373A KR 20070019619 A KR20070019619 A KR 20070019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compressor
filter
injec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0839B1 (ko
Inventor
어전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볼텍스
주식회사 아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볼텍스, 주식회사 아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볼텍스
Priority to KR102006007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83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03Curved filte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46Combination of in- and outle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20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resso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공기내에 포함된 수분과 이물질을 여과하는 컴프레서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그 압축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그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구비된 챔버; 및 상기 챔버의 유로상에 배치되는 쿨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쿨링부재는 그 중앙부로부터 상기 챔버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분사경로를 구비하고, 그 분사경로를 통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전달받은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인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온의 압축공기를 급속히 냉각하여 컴프레서의 압축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압축공기에 포함된 응축수 및 이물질을 여과하여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산업기기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컴프레서용 필터{filter for compressor}
도 1 은 종래의 컴프레서용 필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서용 필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컴프레서용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컴프레서용 필터의 분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컴프레서용 필터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컴프레서용 필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챔버 110...하우징
120...커버 122...유입구
124...유출구 130...유로
200...쿨링부재 210...와류스프링
220...디퓨져 222...가이드바
224...고정편 230...분사부재
232...안내유로 234...분사홈
300...가이드관 310...배플턱
400...호닝관 420...메쉬망
500...엘리미네이터 600...디플렉터
610...와류전향홈 700...롤필터
본 발명은 컴프레서로부터 공급받은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컴프레서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의 압축공기를 급속히 냉각하여 컴프레서의 압축효율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출함으로써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산업기기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컴프레서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프레서는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공압밸브, 에어 실린더 등의 장치가 산업의 여러분야에 사용된다. 상기 컴프레서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일반적으로 고온이며 수분과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압축공기가 그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장치를 거치면서 냉각되어 밀도가 높아지면서 압력이 감소하고 수분이 응결하게 되어, 그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장치의 수명과 작동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컴프레서용 필터는, 컴프레서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포함된 오일, 미립자 등의 이물질과 수분을 여과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컴프레서용 필터 중,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169181호에 기 재된 “에어컴프레서용 필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컴프레서용 필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의 수분을 여과하는 본체(2)와 그 본체(2)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 그 본체(2)에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출구(3)를 구비한다.
상기 입구(1)에는 그 입구(1)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회전되면서 상기 본체(2)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는 회전유도구(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유도구(6)를 거쳐서 상기 본체(2)의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그 본체의 내부에서 회전하다가, 그 본체의 상측에 설치된 제1격판(10)에 부딪히게 된다. 상기 입구(1)에서 유입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1격판(10)에 부딪히기까지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장거리를 경유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압축공기가 냉각된다. 이와 같이 압축공기가 냉각되면서 그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응결되어 상기 본체(2)의 하측에 설치된 트랩(4)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1격판(10)에 부딪힌 압축공기는, 그 제1격판(10)에 형성된 통공(9)을 거치면서 난류가 되고, 다시 상기 제1격판(10)의 상측에 설치된 제2격판(11)에 부딪히면서 냉각되어 수분이 응결된다. 상기 제2격판(11)에 부딪힌 압축공기는 그 제2격판(11)에 형성된 통공(9')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출구(3)를 통해 그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장치로 배출된다. 압축공기가 냉각되면서 상기 제1격판(10)과 제2격판(11)에 부딪히면, 그 압축공기 내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상기 제1격판(10)과 제2격판(11) 및 본체(2)을 내벽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고, 상기 트랩(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형태의 종래의 컴프레서용 필터는 압축공기를 충분히 냉각시켜서 수분을 여과하지 못하고, 동시에 압축공기의 밀도를 충분히 높이지 못한 상태에서 그 압축공기를 배출하기 때문에 컴프레서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컴프레서에서 공기가 고압으로 압축되어 배출되더라도 그 압축공기의 높은 온도로 인해 밀도가 낮은 압축공기를 배출하면, 그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압축공기가 냉각되면서 밀도가 높아지고 압력은 낮아져서 그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장치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 압축공기가 냉각되면서 응결되는 수분이 그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온의 압축공기를 급속히 냉각하여 컴프레서의 압축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하여, 그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장치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컴프레서용 필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프레서용 필터는,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그 압축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그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구비된 챔버; 및 상기 챔버의 유로상에 배치되는 쿨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쿨링부재는 그 중앙부로부터 상기 챔버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분사경로를 구비하고, 그 분사경로를 통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전달받은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인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서용 필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컴프레서용 필터의 단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컴프레서용 필터의 분사부재의 사시도와 저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컴프레서용 필터는 챔버(100)와 쿨링부재(200)와 가이드관(300)과 호닝관(400)과 디플렉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챔버(100)는 하우징(110)과 그 하우징(110)에 나사결합되는 커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측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상측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압축공기에서 분리된 수분이 고여서 배출되는 드레인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공(112)에는 트랩(미도시)이 연결되어 그 드레인공(112)에서 배출된 수분을 모아 두었다가 적절한 시기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안쪽 공간이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120)의 내주면에는 암사나부(128)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수나사부(114)와 서로 나사결합으로 체결되어, 상기 커버(120)와 하우징(110)은 서로 결합된다.
상기 커버(120)에는 압축공기가 상기 챔버(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22)와 상기 챔버(100) 내부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구(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122)에 연결된 컴프레서의 공급호스(P)를 통하여 상기 유입구(122)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상기 챔버(100) 내부에 형성된 유로(130)를 거쳐서 상기 유출구(1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커버(120)의 안쪽 중앙부에는 탭홀(126)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쿨링부재(200)의 분사부재(230)가 그 탭홀(126)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쿨링부재(200)는 상기 챔버(100) 내부의 상기 유로(130)에 배치되며, 분사부재(230)와 디퓨져(220)와 와류스프링(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사부재(230)는 상기 유입구(122)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그 분사부재(230)의 중앙부로 유도하는 안내유로(232)를 구비하며, 저면에는 수평하게 복수의 분사홈(2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홈(234)들은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각도 간격을 가지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분사부재(230)의 저면과 상기 안내유로(232)가 만나는 곳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분사부재(230)의 안내유로(232)는 상기 유입구(122)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분사홈(234)으로 효과적으로 가이드하도록 그 압축공기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유입유로(232a)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재(230)는 상기 커버(120)의 안쪽 상측에 접촉하여 상기 유입구(122)에서 상기 유입유로(232a)로 연결되는 유로(130)를 형성하고, 상기 분 사부재(230)의 상측에는 실링홈(236)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실링홈(236)에 오링(S; O-ring)이 장착되어 상기 분사부재(230)와 상기 커버(120)가 접촉하는 부분을 기밀한다.
상기 분사부재(23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가이드관(300)이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2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퓨져(220)는 그 상면이 상기 분사부재(230)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분사부재(230)의 분사홈(234)과 함께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으로 분사되는 분사경로를 형성한다.
압축공기가, 상기 분사부재(230)의 분사홈(234)과 상기 디퓨져(220)에 의해 마련되는 상기 분사경로를 통과하면서 와류가 되도록, 상기 각 분사홈(23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그 분사홈들(234)은 서로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퓨져(220)는 상기 분사부재(230)의 안내유로(232)를 관통하는 가이드바(222)를 구비하며, 그 가이드바(222)의 상측 단부에는 수나사부(226)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0)의 탭홀(126)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디퓨져(220)의 가이드바(222)가 상기 커버(120)의 탭홀(126)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디퓨져(220)의 상면은 상기 분사부재(230)를 상기 커버(120)에 대해 압박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와류스프링(210)은 상기 분사부재(230)의 안내유로(232)에 배치되어 그 안내유로(232)로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와류가 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와류스프 링(210)은 상기 유입유로(232a)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의 와류를 상기 분사경로로 효과적으로 유도하도록, 압축공기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퓨져(220)의 가이드바(222)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편(224)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와류스프링(210)을 상측에서 지지하면서 고정함으로써, 상기 압축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와류스프링(2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이드관(300)은 원통형태이며, 그 내경이 상기 분사부재(230)의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부(330)가 상기 분사부재(230)의 수나사부(238)에 결합된다. 상기 쿨링부재(200)의 분사경로를 통하여 와류형태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와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상기 가이드관(300)의 내벽에 부딪혀서 아래쪽의 상기 유로(130)로 유도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관(300)의 외주면에는 결합돌기(320)가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롤필터(700)가 결합된다.
상기 호닝관(400)은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관(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130)의 일부분을 이루고, 상기 압축공기와 수분을 아래쪽으로 유도한다. 상기 호닝관(400)의 내주면에는, 도 2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홈(40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의 와류를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나선홈(401)은 폭과 경사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관(3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쿨링부재(200)에서 분사된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부딪혀 흘러내리도 록 배플턱(3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호닝관(400)의 내측면 중앙에는 압축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재(420)가 장착되도록 장착홈(410)이 형성된다. 상기 여과부재(420)는 메쉬망(420)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메쉬망(420)은 다단으로 중첩되어 호닝관(400)의 장착홈(410)에 장착된다.
상기 디플렉터(600)는 상기 호닝관(400)의 하부에 나사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호닝관(400)으로부터 유출되는 압축공기가 부딪혀서 확산되는 확산판(610)을 구비한다. 상기 확산판(610)에는 그 외주를 따라, 복수의 와류전향홈(611)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확산판(610)에 부딪혀서 확산되는 압축공기의 와류의 방향이 급격하게 전환된다. 상기 와류전향홈(611)들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닝관(400)을 통과한 압축공기의 와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그 압축공기의 방향을 급격하게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플렉터(600)의 상기 확산판(610) 상측에는 고정홈(62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엘리미네이터(500)가 설치된다.
상기 엘리미네이터(500)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호닝관(400)의 저면과 상기 디플렉터(600)의 고정홈(62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엘리미네이터(500)는 다공성의 재질로 되어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가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한다. 또한, 상기 엘리미네이터(500)는 상기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상기 디플렉터(600)의 확산판(610)에 부딪히기 전에 그 엘리미네이터(500)의 내벽에 부딪혀 흘러내리거나 그 엘리미네이터(500)에 흡수되도록 하여, 상기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다시 비산되어 상기 압축공기에 섞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디플렉터(600)를 거쳐서 상기 유출구(124)쪽으로 이동하는 압축공기의 상기 유로(130)상에는 다공성 재질의 롤필터(700)가 배치되어, 압축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다시 한번 여과하게 된다. 상기 롤필터(700)는 상기 가이드관(300)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고, 그 롤필터(700)의 내주면에는 결합홈(7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320)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컴프레서용 필터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는, 상기 챔버(100)의 유입구(122)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상기 유로(130)를 지나 상기 유출구(124)로 배출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압축공기가 상기 챔버(100)의 유입구(122)를 통해 그 챔버(100)의 내부로 유입되면, 그 압축공기는 상기 유로(130)를 따라 상기 분사부재(230)의 유입유로(232a)로 인도된다. 상기 유입유로(232a)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축공기는 그 유입유로(232a)를 거치면서 더욱 압축된다. 한편, 그 압축공기는 상기 안내유로(232)에 배치된 와류스프링(210)에 의해 와류형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분사경로들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안내유로(232)의 유동단면적의 크기에 비해 상기 분사홈(234)들과 디퓨져(220)에 의해 형성되는 분사경로들의 유동단면적의 크기는 매우 작으므로, 상기 압축공기의 압력은 더욱 높아지면서, 상기 분사경로들을 경유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경로들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압축공기는 상기 분사경로들을 거치면서 그 와류의 회전이 더욱 강화된다.
상기 각 분사경로들을 거치는 압축공기는 그 분사경로의 출구에서 갑작스럽게 넓은 공간으로 배출되므로,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순간적으로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 압축공기는 이와 같은 압력의 감소로 인해 단열팽창하게 되고, 그 압축공기가 가지는 열에너지를 그 압축공기가 팽창하면서 일의 형태로 소모하기 때문에 온도가 떨어지면서 냉각된다. 이와 같이 압축공기가 냉각되어 압축공기의 온도가 그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증기의 이슬점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그 수증기의 일부는 수분으로 응결된다.
한편, 상기 분사경로들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가이드관(300)과 호닝관(400)에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와류형태로 상기 가이드관(300)과 호닝관(400)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응결되는 수분과 그 압축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압축공기보다 밀도가 크므로, 상기 압축공기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더 크게 받아 바깥쪽, 즉 상기 가이드관(300)과 호닝관(400)의 내주면 쪽으로 밀려나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작은 공기는 안쪽, 즉 상기 가이드관(300)과 호닝관(400)의 중심축 쪽으로 몰리게 된다. 상기 가이드관(300)과 호닝관(400)의 내주면으로 밀려서, 그 내벽에 부딪힌 수분은 그 내벽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응결되는 수분과 함께 공기가 상기 가이드관(300)의 배플턱(310)에 부딪히면, 그 수분과 공기의 밀도차로 인해 각각의 진행방향이 서로 달라지면서 수분이 압축공기로부터의 분리되는 현상이 더욱 가속된다.
또한, 상기 호닝관(400)의 내주면에는 나선홈(40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축공기의 와류가 그 나선홈(401)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지속되고, 수분 및 이물질이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되는 효과가 향상된다.
상기 호닝관(400)에 설치된 상기 메쉬망(420)을 거치면서, 압축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호닝관(400)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다공성 재질의 엘리미네이터(500)를 거치면서 다시 한번 이물질이 여과된다. 또한, 상기 엘리미네이터(500)는 압축공기에서 분리된 매우 작은 입자의 수분이 상기 디플렉터(600)에 부딪혀서 비산되기 전에 그 엘리미네이터(500)에 묻어서 다른 작은 수분입자들과 합쳐져 아래쪽으로 흘러내리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엘리미네이터(500)를 경유한 압축공기는 상기 디플렉터(600)의 확산판(610)에 부딪히게 된다. 상기 확산판(610)에 부딪힌 압축공기는 진행방향이 급격하게 전환되고, 이때, 밀도가 높은 수분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밀도가 높은 공기는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확산판(610)에 형성된 와류전향홈(611)은 이러한 디플렉터(600)의 작용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아래쪽으로 흘러내 려 상기 드레인공(112)으로 배출되고, 그 드레인공(112)에 설치되는 상기 트랩(미도시)에 모여서 버려진다.
상기 디플렉터(600)를 경유한 압축공기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면에 부딪혀서 상기 유로(130)를 따라 방향이 전환되어 위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다공성 재질의 롤필터(700)에서 다시 한번 이물질이 여과된 후 상기 유출구(124)를 통하여, 그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장치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쿨링부재(200)에서 배출되면서 단열팽창으로 인해 냉각되고 수분이 제거된 압축공기는, 상기 유입구(122)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비해 온도가 낮아졌기 때문에 밀도가 높아져서 상기 유로(130)를 거치면서 다시 점진적으로 부피가 수축하고 압력은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유입구(122)로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고온이며 밀도가 낮고 습도가 높은 반면에, 상기 유출구(124)로 유출되는 압축공기는 저온이며 밀도가 높고 습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컴프레서용 필터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밀도가 높으므로 공압장치 등에 사용되는 과정에서 압력이 떨어져서 공압장치의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작동 성능을 악화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이물질이, 본 실시예의 컴프레서용 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되기 때문에, 그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공압장치를 부식시키는 등 수명을 단축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컴 프레서용 필터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상기 안내유로(232)는 압축공기의 진행방향을 따라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상기 유입유로(232a)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유입유로(232a)가 없는 컴프레서용 필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매쉬망(400), 엘리미네이터(500), 롤필터(700) 등이 없는 컴프레서용 필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디플렉터(600)가 없는 컴프레서용 필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앞에서 상기 분사홈(234)들은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곡선형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다른 형태로 연장되는 분사홈을 가지는 컴프레서용 필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와류스프링(210)을 구비하지 않는 컴프레서용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컴프레서로부터 배출된 압축공기를 급속히 냉각시켜 밀도를 낮춤으로써, 컴프레서의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컴프레서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은 상태로 배출하므로, 그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이물질의 여과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그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장치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그 압축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그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구비된 챔버; 및
    상기 챔버의 유로상에 배치되는 쿨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쿨링부재는 그 중앙부로부터 상기 챔버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분사경로를 구비하고, 그 분사경로를 통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전달받은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부재의 분사경로는 복수개이며, 상기 각 분사경로는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압축공기가 상기 분사경로를 통과하면서 와류가 되도록 상기 분사경로는 곡선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부재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상기 분사경로의 입구쪽으로 유도하는 안내유로를 구비하며, 저면에는 상기 분사경로의 일부분을 이루는 분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분사부재; 및
    상기 분사부재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분사부재의 분사홈과 함 께 상기 분사경로를 이루며, 그 분사경로로부터 배출된 압축공기가 상기 챔버의 내벽쪽으로 확산되도록 하는 디퓨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부재는, 상기 분사부재의 안내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공기의 와류를 유도하는 와류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퓨져는 상기 와류스프링 및 안내유로를 관통하여 상기 챔버에 고정되는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재의 안내유로는, 상기 압축공기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유입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스프링은 상기 압축공기의 와류를 유도하도록 상기 압축공기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와류스프링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디퓨져의 가이드바에는 상기 와류스프링의 상부를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고정편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유출된 압축공기를 상기 유로로 안내하며, 상기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그 내주면에 부딪혀 흘러내리도록 하는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쿨링부재에서 분사된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부딪혀 흘러내리도록 배플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컴프레서용 필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로 유출되는 압축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상기 가이드관의 외주와 상기 챔버의 내벽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다공성 재질의 롤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압축공기의 와류를 가이드하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는 호닝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호닝관에는, 상기 압축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호닝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호닝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압축공기에 부딪혀서 그 압축공기를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가지는 디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에 부딪혀서 확산되는 압축공기의 와류의 방향이 급격하게 전환되도록 상기 디플렉터의 외주에는 복수의 와류전향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호닝관으로부터 유출된 압축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압축공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다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형태의 엘리미네이터가, 상기 호닝관과 디플렉터의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며, 그 엘리미네이터는 다공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KR1020060076373A 2005-08-12 2006-08-11 컴프레서용 필터 KR10078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373A KR100780839B1 (ko) 2005-08-12 2006-08-11 컴프레서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139 2005-08-12
KR1020060076373A KR100780839B1 (ko) 2005-08-12 2006-08-11 컴프레서용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619A true KR20070019619A (ko) 2007-02-15
KR100780839B1 KR100780839B1 (ko) 2007-11-30

Family

ID=4163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373A KR100780839B1 (ko) 2005-08-12 2006-08-11 컴프레서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8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75B1 (ko) * 2007-06-25 2008-09-01 박수진 압축공기용 제습기
KR20190061907A (ko) * 2017-11-28 2019-06-05 박관식 뉴메틱 이송용 클린 에어 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688B1 (ko) * 2020-05-19 2021-02-01 유효섭 에어 컴프레서의 수분 분리기
KR102217418B1 (ko) * 2020-07-20 2021-02-19 어준혁 볼텍스 에어배관장치가 구비된 자전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5022U (ja) 1984-04-09 1985-11-01 片山 勝義 圧縮空気の除湿装置
JPS62118513U (ko) 1986-01-16 1987-07-28
KR200356377Y1 (ko) 2004-04-21 2004-07-15 이숙희 에어콤프레셔용필터
KR200426357Y1 (ko) 2006-04-21 2006-09-18 김경렬 컴프레서용 에어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75B1 (ko) * 2007-06-25 2008-09-01 박수진 압축공기용 제습기
KR20190061907A (ko) * 2017-11-28 2019-06-05 박관식 뉴메틱 이송용 클린 에어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839B1 (ko) 200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054B1 (en) Condenser for dehumidifying gas
US8500836B2 (en) Centrifugal separator for separating liquid particles from a gas flow
CA2432821A1 (en) Oil separator for a welder
JP2015182075A (ja) 気液分離器
RU2342182C2 (ru) Сепараторная ванна
KR100780839B1 (ko) 컴프레서용 필터
WO2013094161A1 (ja) 気液分離装置
RU23577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транспортируемого газа (варианты)
RU2330713C1 (ru) Скруббер кочетова
KR100786098B1 (ko)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 배출장치
KR100777757B1 (ko) 컴프레서용 에어필터
KR200399305Y1 (ko) 컴프레서용 필터
JP5547009B2 (ja) 気液分離器
RU23801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крой очистки газов
JP5649919B2 (ja) 気液分離器
JP4722273B2 (ja) 気液分離器
JPH06346855A (ja) 圧縮空気の除湿装置
KR102667436B1 (ko) 휴대용 와류 에어필터장치
WO2007021102A1 (en) Filter for compressor
RU2632695C2 (ru) Конический мокрый циклон
RU278748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а
KR200426357Y1 (ko) 컴프레서용 에어필터
RU275674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а
WO2002020137A2 (en) Water trap
RU2792571C1 (ru) Система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