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305Y1 - 컴프레서용 필터 - Google Patents

컴프레서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305Y1
KR200399305Y1 KR20-2005-0023458U KR20050023458U KR200399305Y1 KR 200399305 Y1 KR200399305 Y1 KR 200399305Y1 KR 20050023458 U KR20050023458 U KR 20050023458U KR 200399305 Y1 KR200399305 Y1 KR 200399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filter
compressor
flow path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전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볼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볼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볼텍스
Priority to KR20-2005-0023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3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3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F05B2260/63Preventing clogging or obstruction of flow paths by dirt, dust, or foreign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공기를 형성하는 컴프레서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압축공기를 흡입·배출하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도록 유로가 구비된 챔버와; 상기 유로로 흡입된 고온의 압축공기를 와류되게 분사하여 냉각하는 쿨링부재와; 상기 쿨링부재로 냉각된 압축공기 및 이 압축공기가 부딪혀 분리된 응축수를 유로로 안내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으로 안내낸 압축공기의 유속을 촉진시켜 이물질을 분리하는 호닝관과; 상기 호닝관으로 유속이 촉진된 압축공기의 와류방향을 전향시키도록 복수개의 와류전향홈이 구비되어, 잔여 응축수를 분리하는 디플렉터와; 상기 디플렉터로 잔여 응축수가 분리된 압축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롤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온의 압축공기를 급속히 냉각하여 컴프레서의 압축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압축공기에 함유된 응축수 및 이물질을 여과하여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산업기기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컴프레서용 필터{FILTER FOR COMPRESSOR}
본 고안은 압축공기를 형성하는 컴프레서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의 압축공기를 급속히 냉각하여 컴프레서의 압축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압축공기에 함유된 응축수 및 이물질을 여과하면서 배출하여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산업기기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컴프레서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컴프레서용 필터는, 컴프레서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에 함유된 오일, 미립자 따위로 이루어진 이물질 및 증기를 여과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컴프레서용 필터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169181호“에어컴프레서용 필터”의 기술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입구(1)로 인입된 공기가 본체(2)를 거쳐서 출구(3)로 배출되어 여과되며, 또한 본체(2)의 하방에 설치된 트랩(4)에 의하여 수분이 배출되도록 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필터의 내부에 인입공기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유도구(6)와, 회전유도구(6)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류가 장거리에 걸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원주상으로 된 회전유도로와, 회전유도로의 상방에 형성된 통공(9,9')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제1·제2 격판(10)(11)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에어컴프레서용 필터는, 인입되는 공기를 회전유도구(6)로 회전시켜, 제1·제2 격판(10)(11)을 통하여 출구(3)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에어컴프레서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는, 고온이면서 부피가 팽창하여 밀도가 낮게 형성되는데, 상술한 종래의 에어컴프레서용 필터는 단순히 인입된 공기를 회전시켜 제1·제2 격판(10)(11)을 통해 출구(3)로 배출하게 되므로, 압축공기의 온도를 떨어뜨리지 못한 상태, 즉 압축공기의 밀도를 높이지 못한 상태로 배출되며, 이에 따라 고온으로 배출된 압축공기는 에어컴프레서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에어컴프레서로 유입된 공기가 대략 2배 정도로 압축되었더라도, 필터에 흡입되는 압축공기의 높은 온도로 인해 밀도를 높게 형성하지 못하므로, 실제로 필터를 통과해서 배출되는 압축공기량은 대략 1.6배 정도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압축공기에는 오일, 미립자 따위로 이루어진 이물질 및 증기가 함유되어 있는데, 상술한 종래의 에어컴프레서용 필터는, 이러한 이물질 및 증기를 여과하지 못한 상태로 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산업기기의 성능을 저해하면서,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온의 압축공기를 급속히 냉각하여 컴프레서의 압축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압축공기에 함유된 응축수 및 이물질을 여과하면서 배출하여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산업기기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컴프레서용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압축공기를 흡입·배출하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도록 유로가 구비된 챔버와; 상기 유로로 흡입된 고온의 압축공기를 와류되게 분사하여 냉각하는 쿨링부재와; 상기 쿨링부재로 냉각된 압축공기 및 이 압축공기가 부딪혀 분리된 응축수를 유로로 안내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으로 안내낸 압축공기의 유속을 촉진시켜 이물질을 분리하는 호닝관과; 상기 호닝관으로 유속이 촉진된 압축공기의 와류방향을 전향시키도록 복수개의 와류전향홈이 구비되어, 잔여 응축수를 분리하는 디플렉터와; 상기 디플렉터로 잔여 응축수가 분리된 압축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롤필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호닝관과 디플렉터 사이에는, 호닝관으로 통과된 압축공기 및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면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엘리미네이터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쿨링부재는; 유로의 흡입구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압축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분리하면서 와류를 유도하는 와류스프링; 상기 와류스프링으로 유도된 압축공기를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디퓨져; 상기 디퓨져로 확산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유입유로가 형성되고, 이 유입유로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와류되게 분사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분사노즐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압축공기의 밀도를 높여 냉각하는 쿨링분사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퓨져의 상부에는 와류스프링이 끼워지는 가이드바가 구비되고, 이 가이드바에는 와류스프링의 상부를 지지하여 고정하도록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쿨링분사구의 분가노즐은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와류를 유도하면서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와류스프링은 와류되는 압축공기를 한 곳으로 유도하도록, 하부로 테이퍼지게 이루어지고, 상기 쿨링분사구의 유입유로는 와류스프링을 수용하되, 와류스프링으로 유도되는 압축공기를 안내하도록 하부로 테이퍼지게 안내유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관에는 배플턱이 형성되어, 쿨링부재에서 분사된 압축공기가 부딪혀 냉각이 이루어지고, 상기 롤필터에는 가이드관의 외주연으로 형성된 결합돌기에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호닝관에는 가이드관으로 안내된 압축공기 및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여과부재가 장착되며, 이 여과부재는 다단으로 중첩된 메쉬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결합단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쿨링분사구의 저면사시도 및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압축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22)와 배출하는 배출구(124)를 연결하도록 유로(130)가 구비된 챔버(100);
상기 챔버(100)의 유로(130)로 흡입된 고온의 압축공기를 와류되게 분사하여 냉각하도록, 유로(130)의 흡입구(122)측에 설치되는 쿨링부재(200);
상기 쿨링부재(200)에 연결되어, 냉각된 압축공기 및 이 압축공기가 부딪혀 분리된 응축수를 유로(130)로 안내하는 가이드관(300);
상기 가이드관(300)으로 안내된 압축공기의 유속을 촉진시켜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그 내주연으로 호닝가공이 이루어져, 가이드관(300)의 하부에 연결되는 호닝관(400);
상기 호닝관(400)으로 유속이 촉진된 압축공기의 와류방향을 전향시키도록 복수개의 와류전향홈(610)이 구비되어, 잔여 응축수를 분리하는 디플렉터(600);
상기 디플렉터(600)로 잔여 응축수가 분리된 압축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유로(130) 배출구(124)측에 설치되는 롤필터(700);
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및 이 하우징(110)에 나사결합되는 커버(120)로 크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그 외주연으로 수나사(11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압축공기에서 분리된 응축수를 트랩(도시생략)으로 드레인하는 드레인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120)의 하부에는 하우징(110)의 수나사(114)에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128)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컴프레서의 공급호스(P)에 연결되는 흡입구(122)가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흡입하고, 타측에는 흡입구(122)로 흡입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24)가 형성된다. 또한, 커버(120)의 내부 중앙에는 탭홀(126)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쿨링부재(200)의 쿨링분사구(230)가 나사결합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챔버(100)에는 커버(120)에 형성된 흡입구(122)와 배출구(124)를 연결하도록 유로(130)가 구비되어 압축공기가 지나가게 된다.
상기 쿨링부재(200)는 챔버(100)의 흡입구(122)로 흡입된 고온의 압축공기를 와류되게 분사하여 냉각하는 것으로, 이러한 쿨링부재(200)는 와류스프링(210)과 디퓨져(220) 및 쿨링분사구(230)로 크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와류스프링(210)은 유로(130)의 흡입구(122)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흡입구(122)로 흡입된 고온상태로 이루어진 압축공기의 와류를 유도하는 것으로, 이러한 와류스프링(210)은 흡입구(122)로 흡입되어 유로(130)로 유입된 고온의 압축공기를 잘게 분리하여 밀도를 높이게 되며, 이에 따라 고온의 압축공기는 서서히 냉각이 시작된다. 또한, 상기 와류스프링(21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와류되는 압축공기를 한 곳으로 유도하게 된다.
상기 디퓨져(220)는 와류스프링(210)으로 유도된 압축공기가 부딪혀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디퓨져(220)의 상부에는 와류스프링(210)이 안착되면서 끼워지도록 가이드바(2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가이드바(222)에는 끼워진 와류스프링(210)의 상부를 지지하여 고정하도록 고정편(224)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바(222)의 상부에는 고정볼트(226)가 구비되어 커버(120)의 탭홀(126)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쿨링분사구(230)는 디퓨져(220)로 확산된 압축공기를 와류되게 분사하여 냉각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쿨링분사구(23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부에는 유로(130)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실링(S)이 장작되는 실링홈(236)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그 외주연으로 수나사(238)가 형성된다. 또한, 쿨링분사구(230)는 그 중앙에 와류스프링(210)을 수용하면서 디퓨져(220)로 확산된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유입유로(232)가 형성되어 디퓨져(220)의 상면에 안착되며, 유입유로(232)에는 와류스프링(210)으로 유도된 압축공기를 안내하도록 하부로 테이퍼진 안내유로(232a)가 형성된다. 더하여, 쿨링분사구(230)에는 디퓨져(220)로 확산된 압축공기를 와류되게 분사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분사노즐(234)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234)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져(220)의 상면에 접하는 쿨링분사구(230)의 저면에 사각의 홈형태를 이루어 수평으로 형성되며, 이 분사노즐(234)의 지름은 1mm로 이루어져, 분당 120리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쿨링분사구(23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대략 24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필요에 따라 분사노즐(234)의 지름과 그 개수를 달리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234)은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와류를 유도하면서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와류되는 압축공기가 유선형의 분사노즐(234)을 통해 강하게 분사되어 압축공기가 잘게 분리되므로, 그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압축공기의 냉각이 급속히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관(300)은 분사노즐(234)로 분사된 압축공기 및 이 압축공기가 부딪혀 발생된 응축수를 유로(130)로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관(300)은 그 내경이 쿨링분사구(230)의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330)가 쿨링분사구(230)의 수나사(238)에 나사결합되면서, 쿨링분사구(230)의 분사노즐(234)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내주연으로 부딪히도록 분사노즐(234)과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고, 가이드관(300)의 하부에는 그 내주연으로 배플턱(310)이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관(300)으로 안내된 압축공기가 다시 한번 더 부딪혀 밀도가 높아지면서 냉각되는 동시에, 압축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이 분리된다. 또한, 가이드관(300)의 외주연에는 결합돌기(320)가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롤필터(700)가 결합된다.
상기 호닝관(400)은 가이드관(30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가이드관(300)으로 안내된 압축공기의 와류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호닝관(400)의 내주연에는 가이드관(300)으로 안내된 압축공의 와류를 촉진시키도록 도 2의 좌측 중앙에 도시된 확대도에서와 같이, 홈형태를 이루면서 적절한 각도를 갖는 호닝가공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호닝관(400)의 내주연 중앙에는 압축공기 및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재가 장착되도록 장작홈(4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부재는 메쉬망(420)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메쉬망(420)은 다단으로 중첩되어 호닝관(400)의 장착홈(410)에 장착된다.
상기 디플렉터(600)는 호닝관(40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와류되는 압축공기의 방향을 전향시켜 압축공기에 함유된 잔여 응축수를 분리하는 것으로, 이러한 디플렉터(600)의 하부 외주연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닝관(400)으로 통과된 압축공기의 와류방향에 반대되도록 복수개의 와류전향홈(610)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 와류전향홈(610)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급속히 와류방향이 전환되어, 압축공기에 함유된 잔여 응축수가 분리된다. 또한, 디플렉터(600)의 중앙 외주연에는 고정홈(62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엘리미네이터(500)가 장착된다.
상기 롤필터(700)는 디플렉터(600)로 잔여 응축수가 분리되어, 챔버(100)의 배출구(124)로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 이러한 롤필터(700)는 다공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유로(130)의 배출구(124)측에 설치되도록 가이드관(300)의 외주연으로 결합되며, 가이드관(300)의 결합돌기(320)에 결합되도록 롤필터(700)의 내주연에는 결합홈(710)이 일체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호닝관(400)과 디플렉터(600) 사이에는, 호닝관(400)으로 통과된 압축공기 및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면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엘리미네이터(500)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엘리미네이터(500)는 다공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압축공기 및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동시에, 호닝관(400)으로 통과되면서 와류되는 압축공기의 비산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호닝관(400)으로 통과된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여 디플렉터(600)를 지나 유로(130)의 배출구(124)측으로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흡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는, 챔버(100)의 흡입구(122)로 흡입된 압축공기가 유로(130)를 지나 배출구(124)로 배출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압축공기가 챔버(100)의 흡입구(122)를 통해 흡입되어 유로(130)로 유입되면, 유로(130)의 흡입구(122)측에 설치된 와류스프링(210)에 의해 압축공기가 와류되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와류스프링(210)으로 와류되는 압축공기는, 와류작용에 의해 잘게 분리되어 함유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동시에 밀도를 높이게 되므로, 서서히 냉각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와류스프링(210)으로 와류된 압축공기는 디퓨져(220)의 표면에 부딪혀 사방으로 확산되며, 이같이 확산된 압축공기는 쿨링분사구(230)의 분사노즐(234)을 통해 강하게 분사되는데, 이때 와류스프링(210)은 하부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와류되는 압축공기를 한 곳으로 모으고, 쿨링분사구(230)의 유입유로(232)에 형성된 안내유로(232a)에 의해, 와류스프링(210)으로 와류되는 압축공기를 안내하게 되어, 압축공기가 한층 더 디퓨져(220)에 강하게 부딪히게 되므로, 압축공기의 밀도를 높여 급속냉각을 시작할 수 있는 동시에, 압축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의 분리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쿨링분사구(230)의 분사노즐(234)로 분사된 압축공기는, 와류되면서 강하게 분사되어 가이드관(300)의 내주연에 부딪혀, 압축공기에 함유된 응축수가 분리되어 하부로 떨어지며, 응축수가 분리된 압축공기는 와류되면서 다시 가이드관(300)의 배플턱(310)에 부딪혀 밀도를 높이면서 냉각되는 동시에, 압축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한번 더 분리하게 된다.
즉, 쿨링분사구(230)의 분사노즐(234)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급속냉각 하면서 급속팽창을 이루어 작은 물방울 형태의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가이드관(300)으로 통과된 압축공기는, 호닝관(400)을 통해 와류되는 유속이 증가하면서 하부로 이동하므로, 압축공기를 더욱 잘게 분리하여 밀도를 높이면서 냉각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압축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분리하게 된다. 이때, 호닝관(400)에는 메쉬망(420)으로 이루어진 여과부재가 설치되어, 압축공기 및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여과되어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호닝관(400)으로 통과된 압축공기는, 디플렉터(600)에 부딪히는 동시에 와류전향홈(610)을 지나면서, 와류되는 방향이 반대로 전향되므로, 압축공기에 함유된 잔여 응축수를 분리하게 된다. 즉, 압축공기가 와류되는 방향이 급속으로 전환되면서, 가벼운 기체는 상승하고 상대적으로 질량이 무거운 응축수는 하부로 떨어져 분리되는 것이다.
여기서, 호닝관(400)과 디플렉터(600) 사이에는 엘리미네이터(500)가 개재되어, 압축공기가 사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분리된 응축수가 유로(130)의 배출구(124)측으로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플렉터(600)에 의해 방향전환이 이루어진 압축공기는 마지막으로 롤필터(70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출구(124)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여과되고 냉각되어 밀도가 높은 압축공기를 배출하므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산업기기 등에 연결되는 컴프레서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동시에, 산업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성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챔버의 흡입구로 흡입되는 고온의 압축공기를 급속히 냉각시키면서 밀도를 낮게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컴프레서의 압축비를 높게 이루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특히,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쿨링분사구의 분사노즐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압축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면서 와류시켜 냉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압축공기에 함유된 응축수 및 이물질을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산업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수명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디플렉터에 의해 압축공기의 잔여 응축수가 분리되어, 한층 더 순수한 압축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엘리미네이터에 의해 배출되는 압축공기로 응축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응축수가 함유되지 않는 압축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컴프레서용 필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결합단면도.
도 4a, 4b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쿨링분사구의 저면사시도 및 저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챔버 110 : 하우징
120 : 커버 122 : 흡입구
124 : 배출구 130 : 유로
200 : 쿨링부재 210 : 와류스프링
220 : 디퓨져 222 : 가이드바
224 : 고정편 230 : 쿨링분사구
232 : 유입유로 234 : 분사노즐
300 : 가이드관 310 : 배플턱
400 : 호닝관 420 : 메쉬망
500 : 엘리미네이터 600 : 디플렉터
610 : 와류전향홈 700 : 롤필터

Claims (11)

  1.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압축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22)와 배출하는 배출구(124)를 연결하도록 유로(130)가 구비된 챔버(100);
    상기 챔버(100)의 유로(130)로 흡입된 고온의 압축공기를 와류되게 분사하여 냉각하도록, 유로(130)의 흡입구(122)측에 설치되는 쿨링부재(200);
    상기 쿨링부재(200)에 연결되어, 냉각된 압축공기 및 이 압축공기가 부딪혀 분리된 응축수를 유로(130)로 안내하는 가이드관(300);
    상기 가이드관(300)으로 안내된 압축공기의 유속을 촉진시켜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그 내주연으로 호닝가공이 이루어져, 가이드관(300)의 하부에 연결되는 호닝관(400);
    상기 호닝관(400)으로 유속이 촉진된 압축공기의 와류방향을 전향시키도록 복수개의 와류전향홈(610)이 구비되어, 잔여 응축수를 분리하는 디플렉터(600);
    상기 디플렉터(600)로 잔여 응축수가 분리된 압축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유로(130) 배출구(124)측에 설치되는 롤필터(700);
    를 포함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닝관(400)과 디플렉터(600) 사이에는, 호닝관(400)으로 통과된 압축공기 및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면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엘리미네이터(500)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부재(200)는,
    상기 유로(130)의 흡입구(122)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압축공기의 와류를 유도하는 와류스프링(210);
    상기 와류스프링(210)으로 유도된 압축공기를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디퓨져(220);
    상기 디퓨져(220)로 확산된 압축공기가 유입되게 유입유로(232)가 형성되고, 이 유입유로(232)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와류되게 분사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분사노즐(234)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압축공기의 밀도를 높여 냉각하는 쿨링분사구(23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220)의 상부에는, 와류스프링(210)이 끼워지는 가이드바(222)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222)에는 와류스프링(210)의 상부를 지지하면서 고정하도록 고정편(224)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분사구(230)의 분사노즐(234)은,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와류를 유도하면서,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분사구(230)는, 와류스프링(210)이 수용되도록 유입유로(232)를 형성하되, 저면에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분사노즐(234)을 형성되어 디퓨져(220)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스프링(210)은, 와류되는 압축공기를 한 곳으로 유도하도록, 하부로 테이퍼지게 이루어지고,
    상기 쿨링분사구(230)의 유입유로(232)는, 와류스프링(210)으로 유도되는 압축공기를 안내하도록 하부로 테이퍼지게 안내유로(23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300)에는, 쿨링부재(200)에서 분사된 압축공기가 부딪혀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배플턱(3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컴프레서용 필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필터(700)는, 가이드관(300)의 외주연으로 결합되어, 잔여 응축수가 분리된 압축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닝관(400)에는, 가이드관(300)으로 안내된 압축공기 및 응축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여과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메쉬망(420)으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용 필터.
KR20-2005-0023458U 2005-08-12 2005-08-12 컴프레서용 필터 KR200399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58U KR200399305Y1 (ko) 2005-08-12 2005-08-12 컴프레서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58U KR200399305Y1 (ko) 2005-08-12 2005-08-12 컴프레서용 필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139 Division 2005-08-12 2005-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305Y1 true KR200399305Y1 (ko) 2005-10-20

Family

ID=4370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458U KR200399305Y1 (ko) 2005-08-12 2005-08-12 컴프레서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3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738B1 (ko) * 2023-07-20 2023-12-05 에스씨이엔이 주식회사 2중 흡착구조의 액상집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738B1 (ko) * 2023-07-20 2023-12-05 에스씨이엔이 주식회사 2중 흡착구조의 액상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52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flow of fluid
US10888881B2 (en) Variable inertial particle separator
JPS6340938B2 (ko)
KR101681761B1 (ko) 집진기의 백필터용 하이브리드 인젝터
KR100780839B1 (ko) 컴프레서용 필터
KR100777757B1 (ko) 컴프레서용 에어필터
WO2009037496A2 (en) A separator
KR200399305Y1 (ko) 컴프레서용 필터
KR100908883B1 (ko) 압축공기용 수분분리기
KR101584320B1 (ko) 콤프렛서용 에어필터
JP5774327B2 (ja) 気液分離器
JP2013128894A (ja) 気液分離器
KR101673525B1 (ko) 백필터용 하이브리드 인젝터
CN113521888B (zh) 油分离器及压缩机组件
JP5791384B2 (ja) 気液分離器
JP2003013816A (ja) 吸気プリクリーナ構造
JP5547009B2 (ja) 気液分離器
JP2007283197A (ja) 気水分離器
KR200426357Y1 (ko) 컴프레서용 에어필터
JP4722273B2 (ja) 気液分離器
TWI682805B (zh) 油霧回收機構造
EP0577315A2 (en) An air filter having a low internal pressure drop
WO2007021102A1 (en) Filter for compressor
KR100990492B1 (ko) 백필터용 인젝터
JP4722279B2 (ja) 気液分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