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305A - Appointment parking area management method and the system with parking preven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Appointment parking area management method and the system with parking preven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305A
KR20070019305A KR1020050074129A KR20050074129A KR20070019305A KR 20070019305 A KR20070019305 A KR 20070019305A KR 1020050074129 A KR1020050074129 A KR 1020050074129A KR 20050074129 A KR20050074129 A KR 20050074129A KR 20070019305 A KR20070019305 A KR 20070019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vehicle
designated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86550B1 (en
Inventor
전명진
Original Assignee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4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550B1/en
Publication of KR2007001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3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5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individual parking sp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은, 소규모ㆍ대규모 주차장 각각의 지정주차관리가 가능함은 물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들 각 주차장들을 하나의 서버로써 통합적이고도 일률적인 지정주차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of each small and large parking lot is possible, as well as integrated and uniform designation of each of these parking lots as a server using the Internet Its characteristics are that it can provide parking management services.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해당 지정주차구역에 해당하는 차량만이 주차 가능함에 따라, 그 동안 야기되었던 주차분쟁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대규모 주차장에서도 효율적으로 채택 적용시킬 수 있어 주차에 소요되었던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이들 소규모ㆍ대규모 주차장들 각각에 구비된 제어장치가 인터넷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서버와 접속되어 온라인을 통해 차량의 인증/승인허가 등을 구현할 수도 있는 바, 다수의 주차장의 주차관리가 총괄적이고도 일률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only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can park,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olve the parking dispute and inconvenience caused in the meantime, especially in large parking lot can be efficiently applied and applied Not only can the time required for parking be greatly reduced, but also the control device provided in each of these small and large parking lots is connected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Internet, so that the vehicle can be authenticated / approved. Bar may be implemen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arking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parking lot can be carried out collectively and uniformly.

서버(Server), 인터넷, 퍼스널컴퓨터(PC), 주차방지장치 Server, Internet, Personal Computer, Parking Prevention Device

Description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Appointment parking area management method and the system with parking prevention apparatus}Appointment parking area management method and the system with parking prevention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주차방지장치의 외관사진.1 is a photograph of the appearance of a general parking prevention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를 도시한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도시한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의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데이터이베이스의 데이터테이블 예시도.4 is an exemplary data table of a database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어흐름도.5 is a control flow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형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의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typ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서버의 구성예도 및 그 통신예도.7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server of FIG. 6 and a communication example thereof.

도 8은 도 7의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테이블 예시도. 8 is an exemplary data table of the database of FIG.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형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의 제어흐름도.9 is a control flowchart of a network-typ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major parts of the drawings>

1 : 주차방지장치 2 : 가변각부재1: Parking prevention device 2: Variable angle member

3 : 구동/제어부 4 : 고정부3 drive / control unit 4 fixed part

100 : 로컬지정주차관리시스템 110 : 제어장치(PC)100: local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110: control device (PC)

111 : 중앙제어처리부 112, 412 : 메모리111: central control unit 112, 412: memory

113, 114 : 인터페이스부 115, 415 : 데이터베이스부113, 114: interface unit 115, 415: database unit

120 : 입력장치 121 : 카메라(촬상기)120: input device 121: camera (shooter)

123 : 카드리더 130 : 음향출력부(스피커)123: card reader 130: sound output unit (speakers)

140 : 차단기 140: breaker

210 : 제1주차방지장치 211 : 통신모듈210: first parking prevention device 211: communication module

212 : 주차방지구동부212: parking prevention driving part

300 : 기지국 400 : 유무선 인터넷망300: base station 400: wired and wireless Internet network

500 : 주차관리서버 600 : 무선통신단말기500: parking management server 600: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방지장치가 설치되고, 이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하여 해당 지정주차구역에 유효한 차량 또는 차주인가를 인증받는 형태로 운용되는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king control system is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and th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that is operated in the form of authenticating the authorization of the vehicle or vehicle vali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through online or offline It is about.

현행제도 가운데에는 지정주차제도가 시행되고 있음은 잘 알려진 바와 같다. 상기 지정주차제도란, 차주의 거주지 및/또는 사업장 등으로부터 가장 인접하는 노상주차장 또는 공영주차장으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을 배정받고, 그 주차료를 시간별 및/또는 기간별로 납부하는 형태로써 배정받은 지정주차구역에 대하여 독점적인 주차권을 허여 받는 제도이다.It is well known that a designated parking system is implemented among the existing systems. The designated parking system is a designated parking area where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s allocated from the nearest street parking lot or public parking lot from the landlord's residence and / or workplace, and the parking fee is paid in an hourly and / or a period manner. It is a system that grants an exclusive parking ticket.

그러나, 이러한 제도는 해당 지정주차구역 내에 다른 차량이 무단주차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있어, 이로부터 야기되는 사적 다툼이 다수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제도를 시행하는 지방자치단체는 신고에 따른 견인조치만을 행하고 있고, 이러한 단속행위마저도 제 때에 이행되지 않고 있어 지정주차구역을 배정받은 차주들의 불편함은 계속적으로 반복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However, these systems frequently cause unauthorized parking by other vehicles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resulting in a number of private disputes. However, the local governments that implement the above system only carry out towing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report, and even these enforcement actions are not carried out on time, and the inconvenience of the borrowers assigned to the designated parking zones cannot but be repeated.

이를 해소하기 위한 사적인 조치방안으로서는, 도 1에서와 같은 주차방지시설 등을 해당 지정주차구역 내에 설치하여 수동으로 조작설치하는 등의 방법이 실시되고는 있으나, 해당 지정주차지역에 주차를 하거나 출차를 실시할 시에 상기한 주차방지시설을 수동으로 조작하여야만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랐다.As a private measure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method of manually installing a parking prevention facility as shown in FIG. 1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and manually operating it. In carrying out the inconvenience, the above-mentioned parking prevention facilities had to be operated manually.

한편, 대규모 주차장에서는 주차장으로 진입하고자하는 차량정보 즉, 차량번호 등을 촬상하여 기 저장된 데이터(차량번호 등)와 상호 매치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해당 차량에 대한 인증 또는 인식을 실시하는 무인자동화 차량인식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large parking lot, the unmanned vehicle recognition that recognizes or recognizes the vehicle information by imaging the vehicle information, that is, the vehicle number, and the like, and matching the stored data (vehicle number, etc.) with each other. System is disclosed.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03747호의 "자동 차량번호인식 시스템"은, 위와 같은 무인자동화 차량인식시스템의 그 대표적인 예이다.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03747 "Automatic Vehicle Number Recognition System"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above unmanned automated vehicle recognition system.

이를 살펴보면, 입력영상 포착을 위해 일반 CCTV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인 바, 각 카메라마다 동시에 여러 개의 입력영상을 포착하여 번호판영상을 추출하고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가장 정확도가 높은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미인식이나 오인식을 저감시켜 입력영상으로부터 번호판영상을 추출하고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인식모듈이 각 입력영상마다 독립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차량번호를 인식할 때 발생되는 인식속도의 문제를 해소하는 한편, 픽셀기반 필터링(pixel- based fil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번호판 영상의 테두리선이 선명하지 못하거나 잡음이 있는 경우에도 정확히 번호판영상 추출 및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사상을 갖는 것이었다.Looking at this,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a general CCTV camera for capturing the input image, it extracts the license plate image by acquiring several input images at the same time for each camera and recognizes the vehicle number the most accurate The problem of the recognition speed generated when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is that the recognition module that extracts the license plate image from the input image and recognizes the vehicle number is independently performed for each input image by reducing the unrecognition or misperception by selecting a high number. On the other hand, using the pixel-based filtering method, even if the edge of the license plate image is not clear or noisy, it has the technical idea of accurately extracting the license plate image and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

이러한 종래기술은 주차장의 무인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마련된 것에 그 의미를 두고 있는 것으로, 차량번호판 정보만을 독출하여 이를 데이터의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다양한 주차장의 환경(예컨대, 노상주차장 등)에 용이하게 채택할 수 없었으며,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바, 지정주차구역 내에서의 차량의 자동인증시스템으로서 용이하게 채택될 수 없었다.This conventional technology is intended to build an unmanned automated system of the parking lot, the meaning is to read only the license plate information is based on this data.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could not be easily adopted in various parking lot environments (eg, street parking lot, etc.), and the cost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is excessively generated, and thus,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vehicle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s required. It could not be easily adopted as an authentication system.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현재까지는, 과중한 주차료를 청구하는 대규모 상가나 호텔 등과 같은 주차장에 한정적으로 설치 적용될 수밖에 없었다.Therefor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been limited to be applied to a parking lot such as a large shopping mall or a hotel that charges a heavy parking fe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방지장치가 설치되고, 이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하여 해당 지정주차구역에 유효한 차량정보인가를 인증 받는 형태로 운용되어, 다양한 주차장의 형태와 용도에 따라, 용이하게 채택 적용할 수 있는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and operated in the form of authenticating the valid vehicle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through the online or offline, the various parking lo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adopted and applied according to its form and us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구체화 될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ertain advantages will be more ful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으로서는,As a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지정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지정주차구역에 주차 가능한 차량인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차량번호 또는 이와 상응하는 차량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장치; 상기 지정주차구역 내에 설치되어 다른 차량의 주차를 방지하고 해당 차량만이 주차 가능할 수 있도록 잠금과 해제기능을 갖는 주차방지장치;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주차방지장치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상기 차량정보가 상기 지정주차구역에 배정된 차량정보이면 상기 주차방지장치를 해제시켜 주차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작동 제어하고, 상기 주차방지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차량정보가 유효한 정보이면 상기 주차방지장치를 잠금 작동시키도록 작동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지정주차구역 각각에 대하여 주차방지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일반주택 등의 노변 지정주차구역, 소규모 상가나 건물 등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An input device installed in a designated parking area and inputting a vehicle number or corresponding vehicle information so as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can be park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A parking prevention device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to prevent parking of another vehicle and having a locking and releasing function so that only the vehicle can be parked; When the vehicle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in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and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nd the vehicle information is assigned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the vehicle is prevented by releasing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nd operated to be parked. A control device which controls to lock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f the vehicl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is valid information while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s released; As a result, the parking prevention system can be constructed for each designated parking area, and it can be easily applied to a roadside designated parking area such as a general house, a small mall or a build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은, 아파트, 대규모 상가나 건물과 같은 불특정 다수인이 다수 이용하는 대규모 주차장에도 이를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이러할 경우에는, 주차장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또는 이와 상응하는 차량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장치; 상기 주차장 내부에 다수 구획되는 지정주차구역 각각에 설치되어 다른 차량의 주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과 해제기능을 갖는 복수의 주차방지장치;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주차방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연결되어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해 당 차량정보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지정주차구역에 배정된 차량정보인가를 판독하여 해당 지정주차구역에 설치된 해당 주차방지장치를 해제시켜 주차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각 아파트 또는 상가나 건물별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적용시킬 수 있다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a large parking lot used by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eople, such as apartments, large malls or buildings, in which case, entering the parking lot or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entering or vehic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 plurality of parking prevention devices installed in each of the designated parking zones which are partitioned inside the parking lot and having a locking and releasing function to prevent parking of another vehicle; When the vehicle information of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and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the vehicle information assigned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s read and designated. A control device for releasing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area to control the parking con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include. Therefore, there is a feature in that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each apartment or mall or building.

여기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지정주차구역에 배정된 해당 차량번호정보, 주차유효기간정보, 주차가능 잔여기간정보, 상기 주차방지장치의 고유코드정보, 차량소유자정보로부터 상기 차량번호를 포함하여 상기한 정보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 중앙제어처리부와,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주차방지장치간의 데이터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데이터의 코드ㆍ형식ㆍ속도를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된 데이터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구동에서 요구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였다가 순차적으로 상기 중앙제어처리부로 전송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vehicle number from the corresponding vehicle number information, parking valid period information, parking available remaining period information, the unique code information of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the vehicle owner information assigned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A database of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from one piece of information; An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between the central control processing unit and the input device and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nd converting code, form, and speed of the data; And a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detected from the database and data required for driving the interface unit and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central control unit.

또한, 상기 주차장의 진입구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별로 이동 운행하는 데에 소요되는 각 지체시간정보들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해당 차량의 인증과 더불어, 상기 지체시간정보로부터 해당 지체시간정보를 검출한 다음, 검출된 해당 지체시간이 경과된 후 해당 주차방지장치의 해제작동명령을 송출할 수 있도록 구현됨에 따라, 지정주차구역으로 해당 차량이 이동하는 사이에 다른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경우를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delay time information required to move to each designated parking area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is further provided in the database; The control device detects the delay time information from the delay time information together with authentication of the vehicle having a designated parking area, and then sends a release operation command of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fter the detected delay time elapses. As it is implemented so that, it is desirable to be made to block the case where another vehicle can park while moving the vehicle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그리고 상기 입력장치와 더불어 상기 주차장의 진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장치의 명령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어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단속하도록 기능하는 차단기가 추가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And a breaker installed at an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lot together with the input devi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to open and close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control device and to control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This is preferred.

또한, 상기 주차방지장치에는, 잠금 또는 해제작동에 따라 그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표시램프 또는 인디케이터가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display lamp or an indicator functioning to display the state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locking or releasing operation.

그리고, 상기 입력장치는, RF카드리더기, 차량번호를 자동인식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촬상기로부터 선택됨이 바람직하다.The input device may be selected from an RF card reader and one or more imagers provided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a vehicle number.

여기에서, 상기 촬상기는 차량번호를 스캐닝하여 상기 제어장치에 그 이미지정보를 송출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이미지정보와 상응하는 해당 문자정보를 독출한 다음,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차량정보들로부터 상기 독출된 해당 문자정보를 매치시켜 해당 차량의 지정주차구역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현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Here, the imager scans the vehicle number and sends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read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n the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having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esignated parking area of the vehicle by matching the read character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소정의 육성정보 또는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됨에 따라, 주차장 진입에 따른 인증승인정보, 인증승인 시에 해당 지정주차구역의 위치정보, 주차 가능 잔여일수, 해당 지정주차구역으로의 이동에 소요되는 지체시간정보, 그 지체시간정보를 토대로 하여 지체시간 후 해당 주차방지장치가 해제된다는 등의 정보를 사람의 육성정보 등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device is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predetermined growth information or sound information, so that the authentication approv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parking area at the time of authentication approval, and the remaining parking available.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days, the delay time information required to move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and the delay time information,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such information that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s released after the delay time by human development information. Do.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의 운용방법으로서는,As a method of operating a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feature,

a) RF카드와 카드리더기를 통해 주차장 진입차량의 정보가 제어장치에 입력되고, 입력된 차량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차량정보를 매치시키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결과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차량정보이면 해당 지정주차구역 내에 설치된 해당 주차방지장치로 해제작동을 명령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a) inputting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through the RF card and the card reader to the control device, and matching the input vehicle information with the vehicle information having the designated park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b) if the vehicle information has a designated parking area as a result of step a), instructing the release operation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prevention device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여기에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해당 주차방지장치로 해제작동을 명령함에 앞서, 주차장측 진입구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까지의 이동에 소요되는 지체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지체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해제명령이 송출되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Here, in step b), before commanding the release operation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prevention device, the delay tim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movement from the parking lot entrance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s detected and after the delay time has elapsed. Preferably, the release command is implemented to be sent.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대규모 또는 소규모의 주차장들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동일 서버에 의해 총괄적이고도 일률적인 주차관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를 네트워크형 다중주차관리시스템이라 명명하기로 하며, 그 구체적인 구현예는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large or small parking lots can be collectively and uniformly managed by the same server using the Internet. This form will be referred to as a network type multi-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its specific implementa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형 다중주차관리시스템은, 각 주차장의 진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또는 이와 상응하는 차량정보가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장치 및, 차량의 진입을 단속하는 다수의 차단기; 상기 각 주차장 내부에 다수 구획된 지정주차구역 각각에 설치되어 지정주차차량 이외의 차량의 주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과 해제기능을 갖는 복수의 주 차방지장치;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주차방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연결되어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그 수신정보를 주차관리서버에 송출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로부터 진입차량에 대한 승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단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함과 동시에, 해당 주차방지장치의 잠금 또는 해제작동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장치; 상기 복수의 제어장치와 통신 접속되어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차량정보가 해당 주차장의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차량인가를 판독한 다음, 그 승인여부를 해당 제어장치에 송출하는 상기 주차관리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The network type multi-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which are installed at the entrance side of each parking lot and receive the vehicle number or the corresponding vehic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entering or exiting the parking lot, respectively, and the entry of the vehicle. A plurality of breakers to control; A plurality of parking prevention devices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designated parking zones in the parking lot and having a locking and releasing function to prevent parking of vehicles other than the designated parking lot;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put device and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receives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put device,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and receives the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entry vehicle from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A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breaker and controlling the locking or releasing operation of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which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and reads whether the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has a designated parking area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and sends the approval to the control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include.

여기에서, 상기 주차관리서버는, 상기 복수의 제어장치 각각의 IP어드레스정보,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정보, 주차유효기간정보, 주차가능 잔여기간정보, 상기 복수의 주차방지장치에 각각 부여된 고유코드정보, 차량소유자정보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접속장치;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정보를 검출하여 차량의 승인여부의 판단함과 더불어, 차량 승인정보를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로 송출할 것을 명령하는 중앙제어처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the IP address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the vehicle numb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having a designated parking area, the parking validity information, the parking available period information, the plurality of parking prevention devices A database comprising unique code information and vehicle owner information respectively assigned; A connection device in charg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central control processor for detec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to determine whether to approve the vehicle, and for sending the vehicle approval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control device; It is preferably made to include.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주차장의 진입구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별로 이동 운행하는 데에 소요되는 각 지체시간정보들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는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해당 차량의 인증과 더불어, 상기 지체시간정보로부터 해당 지체시간을 검출하여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로 그 정보를 송출하며; 상기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는, 수신된 상기 해당 지체시간이 경과 된 이후에 해당 주차방지장치로 해제작동명령을 송출하도록 구현됨이 좋다.Preferably, each of the delay time information required for moving to each designated parking area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is further provided in the database;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detects the delay time from the delay tim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parking lot control device in addition to the authentication of the vehicle having the designated parking area. The parking lot control device may be implemented to send a release operation command to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fter the received delay time.

그리고 상기 주차방지장치에는 각각, 잠금 또는 해제작동에 따라 그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표시램프 또는 인디케이터가 추가로 구비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anti-park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play lamp or indicator which functions to display the state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locking or releasing opera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입력장치는, RF카드리더기, 차량번호를 자동인식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촬상기로부터 선택됨이 좋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is preferably selected from an RF card reader, one or more imagers provided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이 때, 상기 촬상기는 차량번호를 스캐닝하여 상기 제어장치에 그 이미지정보를 송출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수신된 상기 이미지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서버로 송출하며, 상기 주차관리서버는 수신된 상기 이미지정보와 상응하는 해당 정보를 독출한 다음,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차량정보들로부터 상기 독출된 해당 정보를 매치시켜 해당 차량의 지정주차구역의 유무를 판단하여 그 정보를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로 송출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imager scans the vehicle number and sends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control device, the control device sends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and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Read ou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then match the read-out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having the designated parking area,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esignated parking area of the vehicle,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parking-side control device. Has its features.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소정의 육성정보 또는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됨에 따라, 주차장 진입에 따른 인증승인정보, 인증승인 시에 해당 지정주차구역의 위치정보, 주차 가능 잔여일수, 해당 지정주차구역으로의 이동에 소요되는 지체시간정보, 그 지체시간정보를 토대로 하여 지체시간 후 해당 주차방지장치가 해제된다는 등의 정보를 사람의 육성정보 등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device is fur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predetermined growth information or sound information, so that the authentication approv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parking area at the time of authentication approval, and the remaining parking available.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days, the delay time information required to move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and the delay time information,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such information that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s released after the delay time by human development information. Do.

이와 같은 시스템적ㆍ네트워크적인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형 다중주차관리시스템의 운용방법으로서는, a) RF카드와 카드리더기를 통해 주차장 진입차량의 정보가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와 인터넷으로 접속된 주차관리서버로 입력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는 입력된 차량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차량정보를 매치시키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결과, 입력된 차량정보가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차량정보이면 그 승인정보를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로 송출하는 단계; c) 상기 승인정보를 수신한 상기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는, 해당 지정주차구역 내에 설치된 해당 주차방지장치의 해제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주차장 진입구측에 설치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As a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type multi-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ystemic and network feature, a) information of a vehicle entering a parking lot through an RF card and a card reader is transferred to the control device and the Internet through a control device. A parking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connected parking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matches the input vehicle information with vehicle information having a designated parking area stored in a database; b) if the inputted vehicle information is vehicle information having a designated parking area as a result of step a), transmitting the approval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control device; c) the parking lot control device having received the approval information, controlling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and controlling the breake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be opened;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이 때, 상기 a)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차량의 승인이 완료되면 해당 주차장측 진입구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까지의 이동에 소요되는 지체시간정보를 검출하는 단계가 더불어 진행되고;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지체시간정보를 상기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에 추가로 송출하는 단계가 부가적으로 진행되며;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는 해당 주차방지장치로 해제작동을 명령함에 앞서, 해당 주차장측 진입구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까지의 이동에 소요되는 지체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지체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해제명령을 송출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step a), if the approval of the vehicle from the database is completed, the step of detecting the delay tim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movement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side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n the step b), the step of additionally sending the delay time information to the control device on the parking lot side further proceeds; In the step c), the parking lot control unit detects the delay time information required to move from the parking lot entrance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before instructing the release operation to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issuing a release command after the elap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들 실시예로부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물에 대하여는 동 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주차방지장치란, 어느 한 특정한 구성과 작동원리에 따른 장치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주차방지를 달성할 수 있는 모든 장치 및 수단에 외부의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여 자동잠금 및/또는 자동해제작동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통신모듈이 더불어 부가된 형태의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 후술할 카메라(121)에 의한 차량번호 자동인식시스템은 종래에 제시된 기술사상과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앞서 언급된 바 있는 네트워크형 다중주차관리시스템이란, 대규모 또는 소규모의 주차장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서버와 통신 접속되어 각 주차장의 해당 지정주차구역에 주차하고자하는 차량에 대한 인증작업 등을 총괄적ㆍ일률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의 개념으로 서술되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xamples presented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working effect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o be limited to th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and to transmit and / or receive an external signal to all devices and means capable of achieving the parking prevention This means that the normal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automatic locking and / or automatic release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form. In addition, since the vehicle number automatic recognition system by the camera 121 to be described later is the same as the technical idea presented in the prio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network-type multi-parking management system is a vehicle for a large or small parking lot connected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Internet to park in a designated parking area of each parking lot. The concept is described as a system that can provide a comprehensive and uniform process of certification.

도 1은 일반적인 주차방지장치(1)의 외관사진으로서,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주차방지장치(1) 중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n external photograph of a general parking prevention device 1 and shows an example of a parking prevention device 1 currently on the market.

도 1에 도시된 주차방지장치(1)는 베이스패널(도면부호 미도시) 상에 가변각부재(2)가 안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양단 각각에는 구동/제어부(3)와 고정부(4)가 위치된다. 상기 구동/제어부(3)에는 감속모터와 상기 감속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인가되어 상기 가변각부재(2)를 상하방으로 가변각시키기 위한 구동축 그리고, 상기 구동축의 일단이 상기 고정부(4)에 의해 고정 체결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가변각부재(2)의 중앙부위로부터 편심 축설됨에 따라, 상기 가변각부재(2)가 상하방 으로 변위되는 작동원리를 갖는다. 따라서 차량을 주차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1의 상태와 같이 가변각부재(2)가 베이스패널 상에 안착된 것과 같은 상태로 존재하였다가, 다른 차량의 주차를 방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제어부(3)에 그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가변각부재(2)를 상방으로 편심 회동시켜 다른 차량이 해당 주차구역 내에 주차할 수 없도록 설정된다. In the anti-parking device 1 shown in FIG. 1, a variable angle member 2 is placed on a base panel (not shown), and a driving / control unit 3 and a fixing unit 4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ase panel. ) Is located. The drive / control unit 3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reduction motor and the reduction motor,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reduction motor is applied to the variable angle member (2) to change up and down A drive shaft and one end of the drive shaft are fixedly fastened by the fixing part 4. The drive shaft has an operating principle in which the variable angle member 2 is displaced upward and downward as eccentrically arrang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variable angle member 2. Accordingly, when the vehicle is to be parked, the variable angle member 2 exists as if it is seated on the base panel as shown in FIG. 1, but when the vehicle is to be prevented from parking by another vehicle, the driving / control unit The variable angle member 2 is eccentrically rotated upward by inputting the signal into (3) so that no other vehicle can park in the parking area.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주차방지장치(1)가 주차방지모드의 상태를 '잠금'상태라 정의하고, 주차 가능한 상태의 주차모드를 '해제'상태라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1 defines the state of the parking prevention mode as a 'locked' state, and the parking mode in the parkable st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release' state.

이와 같은 주차방지장치(1)를 이용하면, 현 지정주차제도에 따른 문제점과 소규모ㆍ대규모의 아파트, 건물, 상가, 쇼핑몰 등의 주차장의 지정주차가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주차가능지역 등을 찾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저감시키고, 그 주차상태 등을 데이터의 형태로 보관 관리할 수 있어, 요일별ㆍ계절별ㆍ지역별 주차장의 특성에 따라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할 것이다.By using such a parking prevention device (1),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current designated parking system and to designate parking lots of small and large apartments, buildings, malls, shopping malls, and the like. As a result, the time required to find a parkable area where the vehicle is not parked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parking state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form of data, and efficient operation is perform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king lot by day, season, and region. It will be possible.

<<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를 도시한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소규모 주차장, 일반용(빌라, 일반가옥 등) 주차장, 노상지정주차구역 등에 단일의 장치로서 채택 적용될 수 있는 형태의 지정주차관리시스템(1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정주차관리시스템(100)은, 도 1과 같은 주차방지기능을 갖는 주차방지구동부(212)와 통신모듈(211)로 이루어지는 주차방지장치(200), 입력장치(120) 및, 상기 통신모듈(211)과 입력장치(12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장치(110)로 이루어진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ll parking lot, general (villa, general house, etc.) parking lot, roadside designated parking area, etc. can be adopted as a single devic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is shown. Referring to Figure 2, th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212 having a parking prevention function as shown in FIG. And a control device 1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11 and the input device 120, respectively.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장치(110)는 사용자의 패스워드가 저장되어 통상의 입력키로 구현되는 상기 입력장치(120)를 통해 입력된 정보와 상기 패스워드 정보가 상호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현되어 상기 입력장치(120)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상기 제어장치(110) 내에 저장된 패스워드 정보와 일치하면 그 승인정보가 상기 통신모듈(211)을 통해 상기 주차방지구동부(212)에 전송되고, 상기 주차방지구동부(212)는 잠금모드이면 해제모드로, 해제모드이면 잠금모드로의 전환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구현된다.In more detail, the control device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assword of the user is stored and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120 implemented as a normal input key coincides with each other. If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120 matches the password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rol device 110, the approval information is the parking prevention driving unit 212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1. Is transmitted to, the parking prevention driving unit 212 is implemented by the switching operation to the unlock mode, the lock mode if the lock mode.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시스템이 저비용으로 일반주택, 노상지정주차구역 등에 용이하게 설치 적용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a relatively simple system can be easily installed and applied to general houses, roadside designated parking areas, etc. at low cost.

<<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도시한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데이터이베이스의 데이터테이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어흐름도로서, 하나 이상의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소규모 또는 대규모 주차장에 채택 적용될 수 있는 형태의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a data table of the database of Figure 3, Figure 5 is a control flow diagram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e or more It shows a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adopted to a small or large parking lot having a designated parking area.

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장치(100)란, 연산기능과 저장매체를 갖는 통상의 퍼스널컴퓨터(PC)를 지칭하는 것으로 서술되었으나, 본 발명에서 요구되고 있는 특정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별도의 장치로서도 구현 가 능함은 물론이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100 in this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referring to a general personal computer (PC) having an arithmetic function and a storage medium, but only a specific function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can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to perform.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정주차관리시스템(1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장치(110), 상기 제어장치(110)와 전기적 또는 무선통신 등의 형태로 연결되는 입력장치(120)ㆍ음향출력부(130)ㆍ차단기(140)ㆍ다수의 주차방지장치들(210, …, n)로 이루어지는 개략적 구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장치(110)는, 상기 입력장치(120) 중의 하나인 카메라(121), 카드리더(123)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13), 상기 다수의 주차방지장치들(210, …, n)로 송출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14)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113, 114)와 메모리(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앙제어처리부(111) 및 차단기(140) 그리고, 상기 메모리(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부(115)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Referring to th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3, the control device 110, the input device 1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110 in the form of electrical or wireless communication, etc. ㆍ Schematic structure which consists of the sound output part 130, the circuit breaker 140, and many parking prevention devices 210, ..., n. Here, the control device 110, the camera 121 which is one of the input device 120, the interface unit 113 is connected to the card reader 123, the plurality of parking prevention devices (210, ...). and n) an interface unit 114 for transmitting the outgoing signal, a central control unit 111 and a circuit breaker 1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s 113 and 114 and the memory 112, and the memory.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atabase unit 115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112).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차장 진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하는 상기 차단기(140)와, 상기 입력장치(120) 중 상기 카드리더(123)는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소지하고 있는 RF카드를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120)는 상기 차단기(140)와 인접된 부위에서 차량번호를 촬상하기에 가장 적합한 위치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된다.(상기 촬상기에 의한 차량번호 자동인식시스템은 종래기술을 채택하면 족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Looking at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breaker 140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control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the card reader 123 of the input device 120 is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the vehicle It is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can easily contact the RF card carried in the state of boarding, the camera 120 is one or more in the position most suitable for imaging the vehicle number in the area adjacent to the breaker 140 (The vehicle number automatic recognition system by the imaging device is sufficient if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adopted, so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음향출력부(130) 또한, 상기 카드리더(123)와 근접된 부위에 별도의 구성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카드리더(123) 내에 탑재된 일체형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The sound output unit 130 may also be installed as a separate component in the vicinity of the card reader 123, but is preferably provided as an integral type mounted in the card reader 123.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115)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은 데이터테이블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상술하면, 주차장 내에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차량소유자정보로서의 사용자ID계정(A)ㆍ상기 차량소유자정보로서 차주 등이 보유하고 있는 카드의 고유번호정보가 저장되는 카드번호계정(B), 해당 차량번호계정(C), 해당 차량의 해당 지정주차구역에 설치된 해당 주차방지장치의 고유코드계정(D), 지정주차가 가능한 유효기간계정(E) 및, 그 잔여일수계정(F) 등의 세부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각 계정에는 지정주차지역을 갖는 사용자정보, 차량정보, 기간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Here, the database 115 may be embodied as a data table as shown in FIG. 4. In detail, the user ID account A and the vehicle owner information as vehicle owner information having a designated parking area in the parking lot. The card number account (B), the vehicle number account (C), and the unique code account of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of the vehicle, where the unique number information of the card possessed by the borrower is stored. It is composed of detailed items such as the valid period account (E) and the remaining days account (F), etc., where each user's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period information, etc. having a designated parking area are stored. have.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위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작동원리 및 제어흐름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주차장 진입구에 차량이 진입하여 차단기(140)에 이르러 그 진입이 통제된다. 이에, 차주 또는 운전자는 자시이 보유하고 있는 RF카드를 상기 주차장 진입구측에 마련된 카드리더(123)에 접촉시켜 진입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S11)가 진행된다. 이후, 상기 카드리더(123)로부터 입력된 정보는 상기 제어장치(110)의 인터페이스부(113)를 거쳐 상기 중앙제어처리부(111)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의 형태와 코드로써 변환되어 상기 중앙제어처리부(111)로 전송된다. 이 때, 상기 중앙제어처리부(111)는 신호 변환된 입력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15) 내의 카드번호계정(B) 내에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가를 검출하는 단계(S12)를 진행한다. 검출결과, 일치하는 정보가 없거나, 검출된 카드정보계정(B)과 연계된 유효기간계정(E)이 승인요청 당일을 기준으로 하여 유효한가를 판단하는 단계(S13)를 진행한다. 판단 결과, 이에 유효한 정보(유효기간 내의 카드정보)이면 상기 중앙제어처리부(111)는 상기 차단기(140)와 해당 지정주차구역에 설치된 해당 주차방지장치(D)로 그 진입승인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4)를 진행하는 반면에, 유효한 정보(유효기간 경과 등의 사유)이면 상기한 단계(S11)의 전단계로 피드백 시킨다. 이에, 상기한 단계(S14)가 완료되면, 차단기(140)가 개방되는 단계(S15)와 더불어, 도 4에 도시 생략되어 있으나, 주차장 진입구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까지의 차량이동에 소요되는 지체시간을 상기 데이터베이스(115)의 지체시간계정(미도시)로부터 검출하는 단계(S16)가 진행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and control flow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entrance and reaches the breaker 140 to control its entry. Therefore, the owner or the driver contacts the card reader 123 provided at the parking lot entrance side with the RF card held by the owner, and requests entry approval (S11). Thereafter,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card reader 123 is converted into a form and a code of a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111 via the interface unit 113 of the control device 110, thereby converting the central control. It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ing unit 111. At this time, the central control unit 111 detects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in which the signal-converted input information matches the card number account B in the database 115 (S12).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there is no matching information, or the step S13 of determining whether the valid period account E associated with the detected card information account B is valid on the basis of the approval request day is performe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valid information (card information within the validity period), the central control unit 111 outputs the entrance approval information to the circuit breaker 140 and the corresponding parking prevention device D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While proceeding to S14, if it is valid information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validity period, etc.), it is fed back to the previous step of the step (S11). Thus, when the above step (S14) is completed, the breaker 140 is opened, and in addition to the step (S15),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4, the delay time required for moving the vehicle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s detected from the delay time account (not shown) of the database 115 (S16).

상기한 단계(S16)의 결과, 해당 지체시간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장치(110)의 중앙제어처리부(111)는 상기 지체시간이 경과되지 않는 한, 해당 지정주차구역의 주차방지장치(210)로 해제명령을 송출하지 않는 바, 상기 해당 지정주차구역에 다른 차량이 주차할 수 없도록 기능한다. 상기한 지체시간이란 주차장의 진입구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의 거리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한 지체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중앙제어처리부(111)는 해당 주차방지장치로 그 해제신호를 송출하여 해당 주차방지장치가 해제되어 주차가 가능한 상태인 해제모드로 전환 작동되는 단계(S18)가 진행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스템은, 별도의 주차장이 별도로 구비된 대규모의 건물, 쇼핑몰, 아파트, 상가주택 등에 용이하게 채택 적용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above step (S16), when the corresponding delay time is detected, the central control processing unit 111 of the control device 110, unless the delay time has elapsed,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210 of the designated parking area Since it does not issue a release command, it functions to prevent other vehicles from parking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The delay ti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a different value depending on the distance of the designated parking area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When the delay time has elapsed,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111 transmits the release signal to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so that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s released to switch to the release mode in which parking is possible (S18). Proceed. Therefore, such a system can be easily adopted and applied to a large-scale building, a shopping mall, an apartment, a residential house, and the like, which are equipped with a separate parking lot.

<<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

도시 생략되어 있으나, 전술한 제2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할인마트 등의 대 규모 쇼핑몰 등의 주차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based on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arking system such as a large shopping mall such as a discount mart.

즉, 주차장에 진입하고 있는 각 차량에 대하여 잠금모드의 주차방지장치를 검색하여 그 해당층과 위치 및 주차지역번호 등의 음성정보와 더불어, 디스플레이어를 통해 약도 등의 영상정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지정주차구역에 해당하는 층과 번호가 인자된 주차쿠폰을 출사하여 진입차량의 운전자에게 자동 제공하는 형태로 시스템을 구현설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vehicle is entering the parking lot is searched for a parking prevention device in the lock mode, and voice information such as the floor and the location and the parking area number is displayed, and image information such as directions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In addition, the system can b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the form of automatically providing the driver of the entering vehicle by exiting the parking coupon with the floor and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이후, 주차쿠폰이 출사된 시간으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으로의 차량이동에 따른 지체시간을 검출한 다음, 해당 지체시간이 경과된 후에 해당 지정주차구역에 설치된 주차방지장치의 해제명령신호를 송출하여 해당 차량만이 지정된 주차구역에 주차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n, after detecting the delay time due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from the time when the parking coupon is emitted, after the delay time has elapsed, the release command signal of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s transmitted and It may be implemented so that only the vehicle can park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따라서 신속한 주차가 가능하여 주차장 내에서의 교통 혼잡현상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such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parking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traffic congestion in the parking lot.

이와 더불어, 상기 주차장 내에 잠금모드의 주차방지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주차장 진입구에 마련된 차단기(140)의 개방이 실시되지 않도록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어와 음향출력부(130)를 통해 '만차'임을 안내하여 주차장으로의 진입을 원천적이고도 근원적으로 통제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도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f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of the lock mode does not exist in the parking lot, the breaker 140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is implemented so as not to be carried out, or through the display and the sound output unit 130 to guide that the vehicle is fu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ntry into the parking lot can be fundamentally and fundamentally controll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형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서버의 구성예도 및 그 통신예도, 도 8은 도 7의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테이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형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의 제어흐름도로서, 전국 또는 일정한 지역 내의 모든 주차장들을 일률적이고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형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도시하고 있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twork-typ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rver of FIG. 6 and a communication example thereof, FIG. 8 is an example of a data table of the database of FIG. 7, and FIG. 9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trol flowchart of a network-typ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network-type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o manage all parking lots within a country or a certain area uniformly and integrally.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형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은 유무선 인터넷망(400)을 통하여 전술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과 작동원리를 갖는 시스템(100) 또는, 후술할 도 7 내지 도 9에 따른 제어흐름을 갖는 각 주차장에 구비되는 제어장치(110, …, n)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서버(500)와 통신 접속됨은 물론, 기지국(300)을 통해 핸드폰, PDA, 노트북컴퓨터 등과 같은 무선통신단말기(600)들과의 무선통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network-typ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100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as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hrough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400 or FIGS. 7 to hereinafter. Control devices (110, ..., n) provided in each parking lot having a control flow according to Figure 9 is connected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rough a base station 300, a mobile phone, PDA, notebook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600 such as a computer is made possible.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그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형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은, 주차관리서버(500)와 다수의 주차장에 각각 구비되는 제어장치(110, …, n)가 유무선 인터넷망(400)을 통해 상호 통신 접속된다. 여기에서, 도 7에 도시된 제1주차장(110) 내지 제n주차장(n)은 실질적으로 전술한 제어장치(110, …, n)를 의미하는 것인 바,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어장치라 약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network typ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500 and the control devices 110,..., N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parking lots, respectively, are interconnect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400. Communication is connected. Here, the first to n-th parking lot (n) shown in FIG. 7 means substantially the above-described control device (110, ..., n), hereinafter abbreviated as control device for convenience Let's explain.

상기 주차관리서버(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부(515), 메모리(512), 접속장치(514) 및, 이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512, 514, 512)을 총괄 제어하는 중앙제어처리부(511)로 이루어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15)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115)를 구성하는 각 계정(A~F)에 각 주차장에 구비되는 제어장치들(110, …, n)의 IP 어드레스가 저장되는 주차장 IP 어드레스계정(G)과, 앞서 언급되었던 주차장 진입구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까지 차량이동에 소요되는 각 지체시간정보가 저장되는 지체시간계정(H)만이 추가적으로 부가된 특징이 있다. 물론, 상기 주차장 IP 어드레스계정(G)은 각 주차장을 식별 및 해당 수신신호를 판독 및 그 결과신호를 해당 주차장의 제어장치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장치의 식별기능으로서의 역할을 한다.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500, as shown, the database unit 515, the memory 512, the connection device 514,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m, and collectively control these (512, 514, 512) It consists of the central control processing unit 511. As shown in FIG. 8, the database unit 515 includes control devices 110,..., N provided in each parking lot in each of the accounts A to F constituting the database 115 of the second embodiment. Only the parking lot IP address account (G), which stores the IP address, and the delay time account (H), in which each delay time information for moving the vehicle from the aforementioned parking lot entrance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s stored, is additionally added. There is this. Of course, the parking lot IP address account (G) serves as an identification func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for identifying each parking lot, reading the corresponding received signal, and sending the resulting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형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의 운용방법과 더불어 그 시스템의 작동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각 주차장에 구비된 입력장치(120)를 통해 차량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장치(120)와 연결된 제어장치(110)는 이를 수신하여 유무선 인터넷망(400)을 통해 주차관리서버(500)에 그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S110)가 진행된다. 상기한 단계(S110)를 통해 상기 주차관리서버(500)에 입력신호가 인식되는 바, 상기 중앙제어처리부(511)는 데이터베이스(515)의 주차장 IP 어드레스계정(G)으로부터 송출된 해당 주차장의 IP 어드레스를 검출함으로써 해당 제어장치를 인식한다. 다음으로, 상기 주차관리서버(500)는, 수신된 차량정보가 RF카드를 통한 카드정보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515)의 카드번호계정(B)에서 입력된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독하고, 수신된 정보가 차량번호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515)의 차량번호계정(C)에서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를 판독한다. 판독 결과, 상기한 계정(C)에 일치하는 정보가 존재하면 유효기간계정(E)으로부터 이와 연계된 유효기간을 입력 당일자를 기준으로 하여 유효한가를 판단한 다음, 유효하면 그 승인결과와, 지체시간계정(H)에 저장된 해당 지체시간을 검출하여 해당 주차장의 제어장치로 송출하는 단계(S120)가 진행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9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typ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system. When vehicle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120 provided in each parking lot, the control device 110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120 receive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50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400. In step S110, the information is sent. When the input signal is recognized by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500 through the step S110,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511 is the IP of the parking lot sent from the parking lot IP address account G of the database 515. The controller is recognized by detecting the address. Next, if the received vehicle information is card information through the RF card,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500 reads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matched in the card number account (B) of the database 515 and receives the received information. If the information is a vehicle number, the vehicle number account C of the database 515 is read for matching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reading, if there is information matching the above-mentioned account (C), it is determined from the expiration date account (E) on the basis of the input date on the basis of the input date, and if it is valid, the approval result and the delayed time account. Detecting the corresponding delay time stored in (H) and sending it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parking lot (S120).

상기 주차관리서버(500)로부터 인증 및 지체시간정보를 수신한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110)는 차단기(140)로 개방신호를 송출하여 차단기가 개방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S130)와 더불어, 수신된 상기 지체시간에 대하여 역카운트를 하는 방식으로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이후, 상기한 지체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 설정은 해제됨과 동시에, 해당 주차방지장치로 해제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140)를 진행함으로써 해당 주차방지장치의 해제동작이 개시되는 단계(S150)가 진행 및 완료되어 해당 지정주차지역이 주차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The parking lot control device 110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and delay time information from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500 transmits an open signal to the breaker 140 and controls the breaker to be opened (S130). The timer is operated in a reverse count against the received delay time. Subsequently, when the delay time has elapsed, the timer setting is canceled and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s started by transmitting the release signal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prevention device (S140). And it is completed,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s switched to the parking available state.

이와 같은 네트워크형 지정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서버를 통해 대한민국 전역 및/또는 지역별 주차장관리가 일률적이고도 통합적으로 관리 구현될 수 있어, 현행의 교통카드와 같은 RF카드 등을 활용하여 간단하게 결제할 수도 있음은 물론, 지정된 주차구역에 해당 차량만이 주차 가능한 바, 종래에 문제시 되었던 불법주정차에 따른 다툼을 원천적이고도 근원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network-typ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parking management in all areas of Korea and / or region can be managed uniformly and integrated through a single server, so that RF cards such as current traffic cards can be managed. In addition, the payment can be made simply, as well as only the vehicle can be parked in a designated parking area, and the dispute caused by illegal parking, which has been a problem in the past, can be fundamentally and fundamentally eliminated.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주차관리서버(500)에서는 차량에 대한 인증절차만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한 데이터만이 구비되고, 전술한 지체시간 등과 같은 개별데이터는 해당 주차장측에 구비되는 제어장치(PC)에 분산 저장되어 효율적인 데이터의 송수신, 서버의 과부하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서버의 증설 등에 따른 설치자금 및 보수유지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이 출고된 상태임에도 해당 지정주차구역에 설치된 해당 주차방지장치가 해제모드로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상기 주차관리서버(500)에 접속하여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해제모드인 경우에는 전술한 무선통신단말기(600)를 이용하여 해당 주차방지장치의 잠금모드로의 전환을 온라인으로 간단히 구현할 수 있는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parking management server 500 is provided with at least data that can perform only the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vehicle, the individual data such as the delay time is distributed to the control device (PC) provided on the parking lot side Not only can it be stored and prevent the effici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data, overload of the server, etc. Thi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installation funds and maintenance, such as expansion of the server.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in the released state, whether the corresponding parking prevention device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s present in the release mode to access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500 so that the state can be checked so as to confirm the state. By using on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6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such as to easily implement the online switching to the lock mode of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특정 구성물 및 운용방법은 상호 선택적으로 채택 적용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범주 내에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The specific components and operating methods of the above-described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re mutually selective and applicable, and it will be obvious that this is also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것 같으면, 종래에 야기되었던 주차분쟁 등의 문제점을 원천적이고도 합리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problems such as parking disputes caused in the related art can be fundamentally and reasonably improved.

또한, 단독형ㆍ소규모형ㆍ대규모형ㆍ이들을 통합적인 지정주차관리가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주차장에 모두 적용시킬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arking lot, such as single type, small size, large size,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is possible.

Claims (18)

지정주차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지정주차구역에 주차 가능한 차량인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차량번호 또는 이와 상응하는 차량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장치;An input device installed in a designated parking area and inputting a vehicle number or corresponding vehicle information so as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can be park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상기 지정주차구역 내에 설치되어 다른 차량의 주차를 방지하고 해당 차량만이 주차 가능할 수 있도록 잠금과 해제기능을 갖는 주차방지장치;A parking prevention device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to prevent parking of another vehicle and having a locking and releasing function so that only the vehicle can be parked;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주차방지장치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상기 차량정보가 상기 지정주차구역에 배정된 차량정보이면 상기 주차방지장치를 해제시켜 주차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작동 제어하고, 상기 주차방지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차량정보가 유효한 정보이면 상기 주차방지장치를 잠금 작동시키도록 작동 제어하는 제어장치;When the vehicle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in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and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nd the vehicle information is assigned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the vehicle is prevented by releasing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nd operated to be parked. A control device which controls to lock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f the vehicl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is valid information while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s release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주차장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또는 이와 상응하는 차량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장치;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vehicle number or corresponding vehicle information of a vehicle entering or leaving a parking lot; 상기 주차장 내부에 다수 구획되는 지정주차구역 각각에 설치되어 다른 차량의 주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과 해제기능을 갖는 복수의 주차방지장치;A plurality of parking prevention devices installed in each of the designated parking zones which are partitioned inside the parking lot and having a locking and releasing function to prevent parking of another vehicle;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주차방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연결되어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해당 차량정보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면, 상 기 지정주차구역에 배정된 차량정보인가를 판독하여 해당 지정주차구역에 설치된 해당 주차방지장치를 해제시켜 주차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When the vehicle information of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and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vehicle information assigned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s read and designated accordingly. A control device for releasing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area to control the parking condition;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device, 지정주차구역에 배정된 해당 차량번호정보, 주차유효기간정보, 주차가능 잔여기간정보, 상기 주차방지장치의 고유코드정보, 차량소유자정보로부터 상기 차량번호를 포함하여 상기한 정보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including the vehicle number from the relevant vehicle number information, parking validity information, parking available remaining period information, unique code information of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nd vehicle owner information assigned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A database consisting of; 중앙제어처리부와,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주차방지장치간의 데이터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데이터의 코드ㆍ형식ㆍ속도를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부;An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between the central control processing unit and the input device and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nd converting code, form, and speed of the data;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된 데이터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구동에서 요구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였다가 순차적으로 상기 중앙제어처리부로 전송하는 메모리;A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detected from the database and data required for driving the interface unit and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central control unit;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주차장의 진입구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별로 이동 운행하는 데에 소 요되는 각 지체시간정보들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구비되고;Each of the delay time information required to move by the designated parking area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is further provided in the database; 상기 제어장치는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해당 차량의 인증과 더불어, 상기 지체시간정보로부터 해당 지체시간정보를 검출한 다음, 검출된 해당 지체시간이 경과된 후 해당 주차방지장치의 해제작동명령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 In addition to the authentication of the vehicle having a designated parking area, the control device detects the delay time information from the delay time information, and then executes a release operation command of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fter the detected delay time has elapsed.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입력장치와 더불어 상기 주차장의 진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장치의 명령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어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단속하도록 기능하는 차단기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In addition to the input device is installed on the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lo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breaker for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control device to control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is further included.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방지장치에는,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잠금 또는 해제작동에 따라 그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표시램프 또는 인디케이터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display lamp or indicator to function to display the status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lock or release opera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input device, RF카드리더기, 차량번호를 자동인식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촬상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 템.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n anti-par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from the RF card reader, one or more imagers provide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the vehicle num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device, 소정의 육성정보 또는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predetermined training information or sound information. a) RF카드와 카드리더기를 통해 주차장 진입차량의 정보가 제어장치에 입력되고, 입력된 차량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차량정보를 매치시키는 단계;a) inputting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through the RF card and the card reader to the control device, and matching the input vehicle information with the vehicle information having the designated parking area stored in the database; b) 상기 a)단계의 결과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차량정보이면 해당 지정주차구역 내에 설치된 해당 주차방지장치로 해제작동을 명령하는 단계;b) if the vehicle information has a designated parking area as a result of step a), instructing the release operation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prevention device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의 운용방법.Operation method of the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b), 상기 해당 주차방지장치로 해제작동을 명령함에 앞서, 주차장측 진입구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까지의 이동에 소요되는 지체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지체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해제명령이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의 운용방법.Before the release operation is commanded by the corresponding parking prevention device, the delay tim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movement from the entrance to the parking lot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is detected and the release command is sent after the delay time has elapsed. Method of operating a design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parking prevention device. 각 주차장의 진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또는 이와 상응하는 차량정보가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장치 및, 차량의 진입을 단속하는 다수의 차단기;A plurality of input devices installed at an entrance side of each parking lot and receiving a vehicle number or a corresponding vehicle information of a vehicle entering or exiting the parking lot, and a plurality of circuit breakers for controlling entry of the vehicle; 상기 각 주차장 내부에 다수 구획된 지정주차구역 각각에 설치되어 지정주차차량 이외의 차량의 주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과 해제기능을 갖는 복수의 주차방지장치;A plurality of parking prevention devices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designated parking areas inside each parking lot and having a locking and releasing function to prevent parking of vehicles other than the designated parking vehicles; 상기 입력장치 및 상기 주차방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 연결되어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그 수신정보를 주차관리서버에 송출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로부터 진입차량에 대한 승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단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함과 동시에, 해당 주차방지장치의 잠금 또는 해제작동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장치;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put device and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receives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put device,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and receives the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entry vehicle from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A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breaker and controlling the locking or releasing operation of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상기 복수의 제어장치와 통신 접속되어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차량정보가 해당 주차장의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차량인가를 판독한 다음, 그 승인여부를 해당 제어장치에 송출하는 상기 주차관리서버;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which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and reads whether the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has a designated parking area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and sends the approval to the control devic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다중주차관리시스템.Network-type multiple park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서버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상기 복수의 제어장치 각각의 IP어드레스정보,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정보, 주차유효기간정보, 주차가능 잔여기간정보, 상기 복수의 주차방지장 치에 각각 부여된 고유코드정보, 차량소유자정보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IP address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vehicle number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vehicle having a designated parking area, parking valid period information, parking available remaining period information, unique code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rking prevention devices, vehicle A database comprising owner information;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접속장치;A connection device in charg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정보를 검출하여 차량의 승인여부의 판단함과 더불어, 차량 승인정보를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로 송출할 것을 명령하는 중앙제어처리부;A central control processor for detec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to determine whether to approve the vehicle, and for sending the vehicle approval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control devic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다중주차관리시스템.Network-type multiple park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주차장의 진입구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별로 이동 운행하는 데에 소요되는 각 지체시간정보들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구비되고;Each of the delay time information required for moving to each designated parking area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is further provided in the database; 상기 주차관리서버는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해당 차량의 인증과 더불어, 상기 지체시간정보로부터 해당 지체시간을 검출하여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로 그 정보를 송출하며;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detects the delay time from the delay tim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parking lot control device in addition to the authentication of the vehicle having the designated parking area. 상기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는, 수신된 상기 해당 지체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해당 주차방지장치로 해제작동명령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다중주차관리시스템.The parking lot-side control device is a network type multiple park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release operation command to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fter the received delay ti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방지장치에는 각각,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respectively, 잠금 또는 해제작동에 따라 그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표 시램프 또는 인디케이터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다중주차관리시스템.Network-type multi-park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lamp or indicator further functions to display the status according to the lock or release oper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put device, RF카드리더기, 차량번호를 자동인식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촬상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다중주차관리시스템.An RF card reader, the network type multiple park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one or more cameras provide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the vehicle numb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device, 소정의 육성정보 또는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다중주차관리시스템.Network-type multi-park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predetermined training information or sound information. a) RF카드와 카드리더기를 통해 주차장 진입차량의 정보가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와 인터넷으로 접속된 주차관리서버로 입력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는 입력된 차량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차량정보를 매치시키는 단계;a) Information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through the RF card and the card reader is input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and the Internet through the control device,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is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designated parking area Matching the vehicle information with; b) 상기 a)단계의 결과, 입력된 차량정보가 지정주차구역을 갖는 차량정보이면 그 승인정보를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로 송출하는 단계;b) if the inputted vehicle information is vehicle information having a designated parking area as a result of step a), transmitting the approval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control device; c) 상기 승인정보를 수신한 상기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는, 해당 지정주차구역 내에 설치된 해당 주차방지장치의 해제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주차장 진입구측에 설치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c) the parking lot control device having received the approval information, controlling the release operation of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installed in the designated parking area and controlling the breake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be opened;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다중주차관리시스템의 운용방법.Method of operation of a network-type multiple park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step a)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차량의 승인이 완료되면 해당 주차장측 진입구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까지의 이동에 소요되는 지체시간정보를 검출하는 단계가 더불어 진행되고;When the approval of the vehicle is completed from the database, detecting the delay tim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movement from the entrance to the parking lot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지체시간정보를 상기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에 추가로 송출하는 단계가 부가적으로 진행되며;In the step b), the step of additionally sending the delay time information to the control device on the parking lot side further proceeds;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해당 주차장측 제어장치는 해당 주차방지장치로 해제작동을 명령함에 앞서, 해당 주차장측 진입구로부터 해당 지정주차구역까지의 이동에 소요되는 지체시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지체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해제명령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다중주차관리시스템의 운용방법.In the step c), the parking lot control unit detects the delay time information required to move from the parking lot entrance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before instructing the release operation to the parking prevention device. A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type multi-parking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by sending a release command after elapsed.
KR1020050074129A 2005-08-12 2005-08-12 Appointment parking area management method and the system with parking prevention apparatus KR1006865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129A KR100686550B1 (en) 2005-08-12 2005-08-12 Appointment parking area management method and the system with parking preven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129A KR100686550B1 (en) 2005-08-12 2005-08-12 Appointment parking area management method and the system with parking preven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305A true KR20070019305A (en) 2007-02-15
KR100686550B1 KR100686550B1 (en) 2007-02-26

Family

ID=4162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129A KR100686550B1 (en) 2005-08-12 2005-08-12 Appointment parking area management method and the system with parking preven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55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58B1 (en) * 2006-10-13 2008-04-21 주식회사 케이티네트웍스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IP PBX
KR101506790B1 (en) * 2013-06-20 2015-03-27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Apparatus for parking control and method for parking control thereby
CN107829381A (en) * 2017-11-10 2018-03-23 西藏世峰高科能源技术有限公司 Possesses the charging pile device of shared parking stall lock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95A (en) * 1998-07-28 2000-02-15 이해규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lot entrance using non-contact card reader
KR100380988B1 (en) * 2000-02-22 2003-04-1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Automated Automobil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316904B1 (en) * 2000-02-23 2001-12-22 최천우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329433B1 (en) * 2000-03-09 2002-03-20 배종렬 Parking management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58B1 (en) * 2006-10-13 2008-04-21 주식회사 케이티네트웍스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IP PBX
KR101506790B1 (en) * 2013-06-20 2015-03-27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Apparatus for parking control and method for parking control thereby
CN107829381A (en) * 2017-11-10 2018-03-23 西藏世峰高科能源技术有限公司 Possesses the charging pile device of shared parking stall lock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550B1 (en) 2007-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0277A1 (en) Public service system
CN105913132B (en) Hotel quick-check-in system and method
KR101876239B1 (en) Parking system
US11810403B2 (en) Parking methods and systems
CN107430793B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n access control system
US9786106B2 (en) Security control system for granting access and security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5743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public transportation fare using qr ticket
KR101556934B1 (en) Smart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phone
KR100757012B1 (en) A parking system and a method for resident designated lots
KR100685723B1 (en) Management method and the system for parking lot with missing vehicle preventive function
KR100686550B1 (en) Appointment parking area management method and the system with parking prevention apparatus
JP2000011297A (en) Parking lot gate management system
KR20100012686A (en)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2006802B1 (en) Vehicle access control system of apartment house
KR100911772B1 (en) Paking management system
KR100394278B1 (en)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030087313A (en)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method thereof
KR20180010396A (en) System for renting a parking space by controlling of car parking
JP2021184128A (en) Check-in system of accommodation facility
TW202121083A (en) Intelligent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achieve purpose of sharing office space, meeting rooms, and rental of the parking spaces
US20220366743A1 (en) Tokenized access to services
KR200230059Y1 (en) Access Vehicle Management System
KR1025942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of a vehicle
RU2705880C1 (en) Method of making payments when a vehicle enters a toll zone
WO2016054660A1 (en) Parking assignment system with laser rangefinder and parking 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