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099A - 피에이치씨 파일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피에이치씨 파일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099A
KR20070019099A KR1020050073580A KR20050073580A KR20070019099A KR 20070019099 A KR20070019099 A KR 20070019099A KR 1020050073580 A KR1020050073580 A KR 1020050073580A KR 20050073580 A KR20050073580 A KR 20050073580A KR 20070019099 A KR20070019099 A KR 20070019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joint
locking
shoe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2082B1 (ko
Inventor
문종훈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082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2Pile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HC파일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부에 용접이나 기타 특수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신속하면서도 구조적으로 확실한 이음이 가능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파일의 소요깊이가 깊어 PHC파일을 연결하여 사용할 때 위쪽 PHC파일 하단의 조인트슈와 아래쪽 PHC파일 상단의 조인트캡을 현장에서 용접하여 시공함으로써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기상조건 및 작업자의 숙련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PHC말뚝을 연결함에 있어 용접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매우 단순한 조작으로 신속하고 확실한 연결성능을 가질 수 있는 PHC파일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PHC 파일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PHP 파일 연결장치에 있어서,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걸림돌기(102, 102')가 적어도 두쌍 이상 형성된 연결구(100)와; 하단부에 형성된 링형상의 보강밴드가 상기 연결구(100)의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보강밴드에는 ㄱ자 형상의 걸림홈(113)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돌기(102)가 삽입된 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조인트슈(110); 및 상기 조인트슈(110)와 수평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100)의 타측에 삽입되며, 보강밴드에는 ㄱ자 형상의 걸림홈(113')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돌기(102')가 삽입된 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조인트캡(110') 구성되며, 상기 연결구(100)는 상기 조인트슈과 조인트캡의 사이에 삽입되어 연결구의 상하 제1 및 제2 걸림돌기(102, 102')가 조인트슈와 조인트캡의 걸림홈(103, 103')에 각각 밀어넣어진 후, 상기 연결구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 걸림돌기(102, 102')가 상기 조인트슈과 조인트캡의 걸림턱(114, 114')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두 PHC파일을 연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PHC파일을 현장에서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걸림돌기의 크기와 수를 조절하여 소요의 휨모멘트 강도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걸림돌기나 걸림턱에 작은 경사구간을 두어 두 PHC파일을 압착시켜 타격시에 에너지의 전달을 확보할 수 있어, 구조적 성능 및 시공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PHC 파일, 비용접이음, 말뚝이음, 조인트

Description

피에이치씨 파일 연결장치{Divices for PHC Pile Connetion}
도1은 종래의 재래식 조인트슈의 일부를 절취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3a는 도2의 A-A'선 단면도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슈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결구 101 : 연결링
102, 102' : 제1 및 제2걸림돌기 103 : 연결구돌림구멍
104, 104' : 상대회전방지구멍 105 : 상대회전방지막대
113, 113' : 걸림홈 114, 114' : 걸림턱
116, 116' : 풀림방지구멍 120 : 연결구회전기구
121 : 연결구돌림돌기 122 : 연결구감개
123 : 손잡이
본 발명은 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PHC파일(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의 연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접이나 볼팅작업이 필요없는 초고속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PHC파일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제작된 속이 빈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에 프리텐션방식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해머 등을 이용한 타입 시공이 가능하고 휨저항성이 커서 수직력과 수평력에 대한 저항성능이 모두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PHC파일은 제작 및 운반의 편의상 10m ~ 15m의 길이로 제작되며 그 이상의 깊이로 파일시공이 필요한 경우에는 현장에서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PHC파일 연결방식은 용접을 이용한 방식이다. 하부 파일이 시공된 후에 상부파일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상부파일의 선단부를 덮고 있는 조인트슈와 하부파일의 두부를 덮고 있는 조인트캡의 접촉부 둘레를 용접하는 방식이다.
도1은 상기 연결방법에 필요한 재래식 조인트슈(10)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조인트슈(10)는 중공 콘크리트 파일의 단부을 막고 있는 도우넛 형상의 지지원판(1)과 단부의 일부 콘크리트를 감싸는 보강밴드(2)와 중공부(5) 둘레에서 지지원판(1)과 붙어있는 링 형태의 유도밴드(4)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원판(1)에는 PC강선결합공(3)이 뚫려 있어 이 부분에 프리스트레스 도입에 사용된 PC강선이 정착된 다. 또판 지지원판(1)의 둘레는 부분홈용입용접이 가능하도록 경사진 부분이 존재한다. 용접방식으로 연결되는 PHC파일의 하부파일 상단의 조인트캡은 상기 조인트슈(10)와 대칭형상이나 중공부 주변에 유도밴드가 없어 상부파일의 유도밴드(4)가 하부파일의 중공부(5)에 들어가 두 개의 파일이 정확히 정열된다.
용접에 의한 연결은 품질관리에 주의한다면 확실한 이음을 할 수 있고 자재비가 많이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파일의 이음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상부파일을 들고 있는 크레인의 비용, 항상 대기해야 하는 용접공의 인건비 등 직접적인 비용 그리고 공사기간이 길어지는데 따른 간접적인 비용까지 감소하는 재료비에는 비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비용이 낭비된다. 또한 용접공의 숙련도에 영향을 받으며 비가 오거나 바람이 강하게 부는 등 날씨가 좋지 않을 때는 작업을 전혀 할 수가 없다.
이러한 용접식 연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비용접식 연결방법이 발명되었다.
국내 출원번호 제10-2002-0057091호(구속력을 증대시킨 말뚝 연결구를 이용한 PHC말뚝의 이음방법)에서는 일본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쐐기이음방식 및 나사이음방식을 개선한 쐐기-나사이음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 따른 말뚝 연결구는 세조각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상부에는 고리모양의 돌기와 함께 양쪽 끝단에 나사구멍을 갖고 있는 브래킷이 부착되고 하부에는 사다리꼴 모양의 돌기와 함께 나사구멍이 설치되어 있어, 상부는 상기 고리형 돌기가 상부파일 조인트슈의 쇄기형 홈에 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돌기에 걸림식으로 파지되고, 하부는 하부파일 조인트캡에 형성된 사다리꼴 홈에 삽지된 후 상기 하부파일 조인트캡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를 체결하여 연결하게 된다. 이후 세 조각의 연결구에 형성된 브래킷 나사구멍에도 나사를 체결하여 각 조각의 연결구를 상호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조인트슈와 조인트캡에 다수의 나사구멍을 형성해야하고 역시 여러번의 볼팅작업 및 볼트구멍을 맞추기 위해 크레인에 매달린 상부파일의 미세한 위치조정이 필요하다.
국내 출원번호 제10-2003-0041196(콘크리트말뚝의 이음을 위한 말뚝 연결장치)에서는 상부파일 조인트슈와 하부파일 조인트캡을 동일하게 제작하고 상기 상부파일 조인트슈와 하부파일 조인트캡에 볼트구멍을 만들지 않아도 되는 방법으로서, 원호형 연결구들을 연결하면서 파일중심방향으로 구속해주는 또 한 종류의 연결구를 제작하고 두 종류의 연결구를 서로 볼트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볼트구멍을 맞추기 위해서 파일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여러번의 볼팅작업이 필요하고 연결구의 수가 증가하여 연결부의 제작비용 및 파괴위험성이 증가된다.
국내 출원번호 제10-2004-0115621호(피에이치씨 파일의 볼트 체결식 조인트 슈)에서는 조인트슈와 조인트캡의 중공부에 내부로 관통되어 수직으로 돌출된 너트형 결합축 및 그 내경부에 암나사부가 형성하고, 중간 지점에 스톱 피치가 형성된 수나사부를 이용하여 상하부파일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스톱피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두 파일의 이격부는 도우넛 형상의 완충재를 중간에 삽입함으로써 채운다. 이 방법은 연결형태는 단순하나 크레인에 매달린 상부파일을 인력을 이용하여 상당히 여러번 회전시켜야 할 뿐 아니라 중앙부만을 연결하기 때문에 모멘트에 대한 전달이 확실치 않아 수평력을 받는 파일로서 충분한 기능을 못 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수하게 제작되는 대형 암나사부와 대형 수나사부의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PHC파일을 연결함에 있어 구조적 성능을 유지하면서 매우 간단한 작업으로 신속한 연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PHC파일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PHC 파일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PHP 파일 연결장치에 있어서,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걸림돌기(102, 102')가 적어도 두쌍 이상 형성된 연결구(100)와; 하단부에 형성된 링형상의 보강밴드가 상기 연결구(100)의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보강밴드에는 ㄱ자 형상의 걸림홈(113)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돌기(102)가 삽입된 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조인트슈(110); 및 상기 조인트슈(110)와 수평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100)의 타측에 삽입되며, 보강밴드에는 ㄱ자 형상의 걸림홈(113')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돌기(102')가 삽입된 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조인트캡(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a는 도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슈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PHC파일 연결장치는 링 형상의 연결구(100)와 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서로 대칭으로 제작된 상부파일의 조인트슈(110) 및 하부파일의 조인트캡(1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인트슈(110)와 조인트캡(110')은 모두 상기 연결구(100)에 삽입되며, 이후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10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체결이 완료된다.
상기 연결구(100)는 링 형태의 연결링(101)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101)의 내경은 조인트슈(110)와 조인트캡(110')의 연결구(100)에 삽입될 부분의 외경과 같거나 아주 약간 크게 제작된다. 상기 연결링(101)의 깊이는 상기 조인트슈(110)와 조인트캡(110')의 삽입되는 부분(도2의 조인트슈(110) 및 조인트캡(110')의 내측보강밴드(111, 111')의 높이)의 합과 같다.
상기 연결링(101)의 내주면에는 상기 조인트슈(110)와 결합되는 제1 걸림돌기(102)와 상기 조인트캡(110')에 결합되는 제2 걸림돌기(102')가 상하 대칭으로 최소 2쌍 이상 형성된다, 이때 좀더 바람직한 일실시예로는 상기 제1 및 제2 걸림돌기(102, 102')를 3쌍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걸림돌기 (102, 102')가 전단강도로써 파일 이음부에서의 소요 휨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의 접촉면적을 충분히하여 연결링(101)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걸림돌기(102, 102')는 연결링(101)에 용접될 수도 있고, 구멍이 뚤린 연결링(101)에 볼트를 조여 볼트머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막대형의 걸림돌기를 볼트를 이용해 연결링에 부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링(101)에는 외측표면 또는 내외측을 관통하여 연결구돌림구멍(103)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돌림구멍은 연결구(100)를 돌리는 데 사용되며 또한 상기 연결구(100)의 회전완료후 연결구를 고정하는 데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인트슈(110)는 외측보강밴드(112)와 내측보강밴드(111)로 구분되며, 상기 내측보강밴드(111)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102)에 대응되게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홈(11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보강밴드(111)가 연결구(100)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홈(113)에 상기 제1 걸림돌기(102)가 삽지되며, 이후 상기 연결구(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 걸림돌기(102)가 상기 걸림홈(113)의 걸림턱(114)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외측보강밴드(112)의 외경은 상기 연결구(100)의 외경과 같도록 제작하여 연결된 파일에 돌출부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홈(113)의 갯수와 위치는 상기 연결구(100)에 형성된 제1 걸림돌기(102)의 갯수와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부파일의 조인트캡(110')은 상기 조인트슈(110)와 수평 대칭으로 제작된 것으로, 상기 연결구(100)의 하부에 삽입되며, 자세하게는 상기 조인트캡 (110')이 상기 연결구의 하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구(100)의 제2 걸림돌기(102')가 상기 조인트캡(110')의 걸림홈(113')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조인트슈(110)와 조인트캡(110')이 접촉되는 지지원판(1, 1')에는 상대회전방지구멍(104)이 형성된다. 이는, 하부파일 조인트캡(110')에 연결구(100)를 끼우고 그 위에 상부파일을 삽입한 후 상기 연결구(100)를 회전시킬 때 상기 상부파일 및 하부파일간이 상호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하부파일 조인트캡(110')에 있는 상대회전방지구멍(104')에 상대회전방지막대(105)의 일측을 끼우고 상기 상대회전방지막대(105)의 타측은 상부파일 조인트슈(110)에 있는 상대회전방지구멍(도3b의 104)에 끼워지도록 삽입할 경우, 상기 연결구(10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부파일 및 하부파일간의 상대회전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타입식 시공의 경우 하부파일은 지반에 근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구(10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부파일 역시 돌아가지 않게 되어 작업자 한 사람이 손쉽게 연결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슈(110)와 조인트캡(110')의 내측보강밴드(111, 111')에는 상기 연결구(100)가 회전 결합된 후, 타입 진동 등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위치에 풀림방지구멍(116)이 형성된다. 상기 풀림방지구멍(116)의 형성위치로는 상기 연결구(100)가 회전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100)에 형성된 연결구돌림구멍(103)과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하게 되며, 일치된 상기 풀림방지구멍(116)과 연결구돌림구멍(103)에 리벳이나 기타 철 막대를 삽입하면 상기 연결구(100)가 타입시의 진동 등에 의해 풀리지 않게 된다. 이때, 리벳을 사용하는 경우 풀림방지구멍(116)의 크기를 연결구돌림구멍(103)보가 약간 크게 함으로써 망치 등으로 리벳을 타격하면 리벳이 들어가면서 변형되어 다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3a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걸림턱(114)과 걸림돌기(102)를 포함한 수직단면으로 자른 모습이며, 도3b는 조인트슈(110)를 위쪽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슈(110)와 조인트캡(110')은 주물로 제작될 수도 있고, 판재의 재단 및 용접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판재로 제작되는 경우 링 형상의 외측보강밴드(112, 112')와 내측보강밴드(111, 111'), 도우넛 형태의 지지원판(1, 1') 외에 상기 내측보강밴드(111, 111')의 걸림턱 주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걸림턱 보강부(115, 115')를 구비하는 바람직하다.
도4는 연결구(100)를 쉽게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구회전기구(120)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연결구회전기구(120)는 몸체인 연결구감개(122)와 상기 연결구돌림구멍(103)에 삽입되는 연결구돌림돌기(121) 및 손잡이(123)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구감개(122)는 연결구(100)의 외경과 같은 곡률로 되어 있어 회전시에 연결구와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HC파일 연결장치를 이용한 말뚝연결방법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파일 조인트캡(110')에 연결구(100)의 하부를 삽입하되, 상기 연결구(100)의 제2 걸림돌기(102')가 상기 하부파일 조인트캡(110')의 걸림홈(113')에 삽지되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파일 조인트캡(110')에 있는 상대회전방지구멍(104')에 상대회전방지막대(105)의 일측을 끼운 후, 상기 상대회전방지막대(105)의 타측은 상부파일 조인트슈(110)에 있는 상대회전방지구멍(도3b의 104)에 끼워지도록 위치 조정하고, 상기 연결구(100)의 제1 걸림돌기(102)는 상기 조인트슈(110)의 걸림홈(113)에 삽지되도록 하여 상부파일 조인트슈(110)를 연결구(100) 상부에 삽입한다.
상기에 의해 상하부파일이 연결구(100)에 의해 연결완료되면 상기 연결구(100)에 형성된 연결구돌림구멍(103)을 상기 연결구 회전기구(120)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1 및 제2걸림돌기(102, 102')가 상기 걸림홈(113, 113')의 걸림턱(104, 104')에 끼워맞춤식으로 결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림턱(114, 114') 및 상기 제1 및 제2 걸림돌기(102, 102')에 약간의 경사구간을 두게 되면 상기 연결구(100)의 회전시에 상하부 파일이 더욱 밀착됨으로써 타격시 에너지의 전달을 확보하여 구조적 성능 및 시공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연결구돌림구멍(103)과 상기 조인트슈(110) 및 조인트캡(110')에 형성된 풀림방지구멍(116, 116')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한 후, 상기 연결구돌림구멍(103) 및 풀림방지구멍(116, 116')에 리벳이나 기타 철 막대 등을 삽입하여 연결구(100)가 타입시의 진동 등에도 풀리지 않게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HC파일의 연결을 매우 단순한 조작으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 인건비와 장비비를 줄이고 공사기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돌기의 크기와 수를 조절하여 소요의 휨모멘트 강도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걸림돌기나 걸림턱에 작은 경사구간을 두어 두 PHC파일을 압착시켜 타격시에 에너지의 전달을 확보할 수 있어, 구조적 성능 및 시공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PHC 파일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PHP 파일 연결장치에 있어서,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걸림돌기(102, 102')가 적어도 두쌍 이상 형성된 연결구(100)와;
    하단부에 형성된 링형상의 보강밴드가 상기 연결구(100)의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보강밴드에는 ㄱ자 형상의 걸림홈(113)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돌기(102)가 삽입된 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조인트슈(110); 및
    상기 조인트슈(110)와 수평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100)의 타측에 삽입되며, 보강밴드에는 ㄱ자 형상의 걸림홈(113')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돌기(102')가 삽입된 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조인트캡(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0)의 연결링(101)에는 연결구돌림구멍(103)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연결구(1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HC 파일 연결장치는 상기 연결구 돌림구멍(103)에 끼워져 상기 연결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구회전기구(12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연결구회전기구(120)는 상기 연결구(100)의 외경과 같은 곡률로 형성된 연결구감개(122)와;
    상기 연결구감개(122)의 일측 외부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123); 및
    상기 연결구 돌림구멍(103)에 끼워지도록 상기 연결구감개(122)의 타측 내부로 돌출 형성된 연결구 돌림돌기(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 연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슈(110) 및/또는 조인트캡(110')의 보강밴드에는 상기 연결구(100)가 회전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돌림구멍(103)에 대응되는 위치에 풀림방지구멍(106, 106')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슈(110)와 조인트캡(110')의 지지원판(1)에는 상대회전방지구멍(104, 104')이 형성되며, 상기 상대회전방지구멍(104, 104')에는 상대회전방지막대(105)가 삽입되어, 연결구(100)를 회전시킬 때 상부파일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슈(110) 및 상기 조인트캡(110')의 보강밴드는 내측보강밴드(111, 111')와 외측보강밴드(112, 112')로 구분되며,
    상기 내측보강밴드(111, 111')의 외경은 연결구(100)의 내경과 같거나 작고, 상기 외측보강밴드(112, 111')의 외경은 상기 연결구(100)의 외경과 일치하여 연결된 파일 둘레에 돌출부가 없도록 하며,
    상기 연결구(100)의 높이는 조인트슈(110)와 조인트캡(110')의 내측보강밴드(111, 111')의 높이의 합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 파일 연결장치
KR1020050073580A 2005-08-11 2005-08-11 피에이치씨 파일 연결장치 KR100692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580A KR100692082B1 (ko) 2005-08-11 2005-08-11 피에이치씨 파일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580A KR100692082B1 (ko) 2005-08-11 2005-08-11 피에이치씨 파일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099A true KR20070019099A (ko) 2007-02-15
KR100692082B1 KR100692082B1 (ko) 2007-03-12

Family

ID=4162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580A KR100692082B1 (ko) 2005-08-11 2005-08-11 피에이치씨 파일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08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78B1 (ko) * 2006-08-18 2007-06-15 이창남 Phc 기둥의 보 접합용 패널존
KR100835778B1 (ko) * 2007-03-16 2008-06-05 정인배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가능 이음장치
KR100835777B1 (ko) * 2007-03-14 2008-06-05 정인배 콘크리트파일과 강관 파일의 이음장치
KR101011173B1 (ko) * 2008-05-19 2011-01-26 김원근 피에이치씨 말뚝의 연결장치, 그 연결장치를 이용해 연결된피에이치씨 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78494B1 (ko) * 2011-09-29 2014-03-28 반석기초이앤씨(주) 회전 관입이 가능한 피에이치씨 파일
WO2015099433A1 (ko) * 2013-12-23 2015-07-02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콘크리트 파일연결구
KR101894464B1 (ko) * 2017-05-11 2018-09-04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비볼트 체결방식의 전주 연결장치
KR20180127830A (ko) * 2017-05-22 2018-11-30 (주)성심씨앤엠 콘크리트 파일용 분리 조립식 이음장치
KR20200002476U (ko) * 2019-05-03 2020-11-11 안량준 웨이브 머리카락을 만들기 위한 헤어드라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898B1 (ko) * 2015-11-13 2016-12-02 주식회사 울산기초 로터리 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1693478B1 (ko) 2016-02-11 2017-01-06 이진영 착탈가능한 파일 정렬 가이드 밴드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연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762Y1 (ko) * 2001-11-05 2002-04-27 백규호 콘크리트말뚝의 조립식 이음을 위한 말뚝 연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78B1 (ko) * 2006-08-18 2007-06-15 이창남 Phc 기둥의 보 접합용 패널존
KR100835777B1 (ko) * 2007-03-14 2008-06-05 정인배 콘크리트파일과 강관 파일의 이음장치
KR100835778B1 (ko) * 2007-03-16 2008-06-05 정인배 콘크리트파일의 탈부착가능 이음장치
KR101011173B1 (ko) * 2008-05-19 2011-01-26 김원근 피에이치씨 말뚝의 연결장치, 그 연결장치를 이용해 연결된피에이치씨 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78494B1 (ko) * 2011-09-29 2014-03-28 반석기초이앤씨(주) 회전 관입이 가능한 피에이치씨 파일
WO2015099433A1 (ko) * 2013-12-23 2015-07-02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콘크리트 파일연결구
KR101894464B1 (ko) * 2017-05-11 2018-09-04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비볼트 체결방식의 전주 연결장치
KR20180127830A (ko) * 2017-05-22 2018-11-30 (주)성심씨앤엠 콘크리트 파일용 분리 조립식 이음장치
KR20200002476U (ko) * 2019-05-03 2020-11-11 안량준 웨이브 머리카락을 만들기 위한 헤어드라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2082B1 (ko) 200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082B1 (ko) 피에이치씨 파일 연결장치
KR101803358B1 (ko)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
KR100635216B1 (ko) 콘크리트구조물 이송용 체결장치
US7850399B2 (en) Method of splicing pile cages, set of components therefor, and assembled pile cages
CN113089657B (zh) 一种内置式管桩连接装置的使用方法
KR101726278B1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결합구조
KR100899309B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
KR102051471B1 (ko)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를 이용한 파일 연결 방법
CN113638404B (zh) 可拆筋钢筋笼及其制作方法
KR102128820B1 (ko) 파일의 무용접 이음장치
KR101759879B1 (ko) 회전 관입 말뚝 유니트, 회전 관입 말뚝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051649B1 (ko) 파일의 이음장치
KR102292663B1 (ko) 정착날개의 선택적 확장방향이 가능한 지압식 락볼트
KR101998835B1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결합구조
CN210177820U (zh) 一种偏差钢筋锥形夹片快速连接器
JP3585134B2 (ja) プレストレ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杭
CN211421880U (zh) 一种预应力钢绞线张拉的施工工具
KR200313709Y1 (ko) 그라운드 앵커
KR102031188B1 (ko)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CN217678661U (zh) 一种转体桥梁施工中转体结构牵引力补强结构
CN217150220U (zh) 一种建筑施工用地面锚固装置
CN209907385U (zh) 一种新型防弯式地锚
KR101420668B1 (ko) Phc 파일
KR102487969B1 (ko) Phc 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CN209873785U (zh) 管桩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