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907A - 기립형 휠체어 - Google Patents

기립형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907A
KR20070017907A KR1020060072957A KR20060072957A KR20070017907A KR 20070017907 A KR20070017907 A KR 20070017907A KR 1020060072957 A KR1020060072957 A KR 1020060072957A KR 20060072957 A KR20060072957 A KR 20060072957A KR 20070017907 A KR20070017907 A KR 20070017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tanding
standing wheelchair
seat surfa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인리히 페르크
Original Assignee
오토 복 헬스케어 이페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 복 헬스케어 이페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오토 복 헬스케어 이페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to KR102006007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7907A/ko
Publication of KR20070017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4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depth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03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 B62K5/007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power-dri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구동 휠(30) 및 적어도 하나의 조향 휠(31)이 고정되어 있고, 시트면(3)을 구비한 기립 장치(33), 등받이(7) 및 적어도 하나의 다리 받침대(32)가 선회가능한 형태로 배치된 섀시 프레임(29)을 구비한 기립형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면(3) 아래의 양측에 상단 세로 레일(1) 및 하단 세로 레일(2)이 배치되며, 상단 세로 레일(1)은 시트면(3)과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양측 세로 레일(1, 2)은 네 개의 힌지(10, 11; 12, 13)를 통해 서로 결합하며 그 후면 단부를 통해 등받이(7)와 결합되는 기립형 휠체어에 있어서, 세로 레일(1, 2)의 후면 단부가 슬럿(1a, 2a)을 포함하며, 이 슬럿에 등받이(7)가 그 하단 단부와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 휠, 기립 장치, 등받이, 섀시 프레임, 다리 받침대

Description

기립형 휠체어{STANDING WHEELCHAIR}
도 1은 기립형 휠체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기립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조절 장치의 부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조절 장치의 부분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라인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기립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 세로 레일 1a 슬럿/세로 슬럿
1b 홈 1c 구멍/보어
2 세로 레일 2a 슬럿/세로 슬럿
2b 홈 2c 구멍/보어
3 시트면 4 섀클
5 플레이트 5a 가이드 블록
5b 클램핑 플레이트 5′ 나사 체결부
6 플레이트 6a 가이드 블록
6b 클램핑 플레이트 6′ 나사 체결부
7 등받이 7a 크로스 빔
9 잠금 볼트 9′ 잠금 볼트
10 힌지/힌지점 11 힌지/힌지점
12 힌지/힌지점 13 힌지/힌지점
14 힌지점 15 힌지점
16 그립 유닛 17 클램프
18 A형 아암 28 엑추에이터
29 섀시 프레임 30 구동휠
31 조향 휠 32 다리 받침대
33 기립 장치
본 발명은 두 개의 구동 휠 및 적어도 하나의 조향 휠이 고정되어 있고, 시트면을 구비한 기립 장치, 등받이 및 적어도 하나의 다리 받침대가 선회가능한 형태로 배치된 섀시 프레임을 구비한 기립형 휠체어로서, 시트면 아래의 양측에 상단 세로 레일 및 하단 세로 레일이 배치되며, 상단 세로 레일은 시트면과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양측 세로 레일은 네 개의 힌지를 통해 서로 결합하며 그 후면 단부를 통해 등받이와 결합되는 기립형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이런 유형의 휠체어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 EP 0 815 822 B1에 공개되어 있 다. 휠체어 운전자가 오랜 기간 동안 앉은 자세로 있을 경우 예를 들어 하지의 운동성 저하, 위장관의 활동성 저하 및 혈액순환 장애와 같은 신체 기능의 약화가 나타난다. 또한 장기간 착석으로 인한 욕창궤양(decubitus ulcer)의 위험이 발생한다. 기립형 휠체어는 이러한 결과를 방지하는데, 그 이유는 기립에까지 이르는 신체 자세의 변화를 통해 신체 기능의 저하가 방지되기 때문이다. 선회 가능한 시트면은 등받이 및 다리 받침대와 함께 섀시 프레임에 고정된다. 사용자의 해부학적 요건에 맞는 정확한 적응성은 휠체어가 제공하는 편의성에 대한 매우 중요한 기준에 해당한다. 또한 시트 깊이와 하지 사이의 비율은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따라 결정된다. 제조사의 표준 프로그램을 통해 기립형 휠체어가 측정한 치수에 맞게 선택되고 제조된다.
키가 크거나 작은 사람의 경우 이런 방식으로 제조된 기립형 휠체어는 대개 만족할만한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데, 이는 기립형 휠체어의 표준화된 치수가 평균 신체 치수에 맞게 제조되기 때문이다. 대개 이러한 결핍된 적응성은 단지 간접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인지된다. 신체와 시트면 사이의 전단 운동(Shearing Motion) 또는 무릎 쿠션의 과도하게 강한 면압력은 짧은 사용 시간 후에 이미 욕창궤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기립형 휠체어는 사용자에게 동적 활동성의 제공한다. 이로서 장애인이 예를 들어 골프를 즐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휠체어가 기립 위치에서 견고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다리 받침대가 기립 위치에서 바닥에 닫거나 또는 바닥에 지지되는 것이 요구된다. 등받이는 시트면에 대해 평행 해야 하며 타격을 위해 스윙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골퍼에게 충분한 활동성(상체의 회전동작)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골프장에서는 기립형 휠체어가 다수 준비되어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가 사용한다. 평균 신체 치수에 맞게 제작된 기립형 휠체어에서는 특정한 사람들이 전혀 운동할 수 없거나 또는 상당한 불편함을 느낀다.
CA 2 458 092 A1에는 조절식 기립 휠체어가 공개되어 있다. 시트 깊이는 조절식 등받이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등받이가 텔레스코프 형태로 시트의 하단 프레임과 결합된다. 텔레스코프 튜브는 실제 사용에 있어 기능성에 제약이 따른다.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경미한 공차가 요구된다. 빈번한 조절 동작은 마모를 발생시킨다. 시트면 하단에 있는 두 개의 텔레스코프 튜브는 상호 마찰로 인해 마모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등받이는 시트면에 대해 경사지게 되며 휠체어의 안정적인 기립이 불가능하다. 이외에도 텔레스코프 튜브는 쉽게 더러워질 수 있는데, 이는 특히 스포츠 활동에 있어 불가피한 현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서문에 명시한 기립형 휠체어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러한 기립형 휠체어는, 세로 레일의 후면 단부가 세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등받이를 고정하는 슬럿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상을 통해 기립형 휠체어의 시트 깊이 조절이 가능하다. 슬럿 가이 드는 매우 견고하고 쉽게 오염되지 않는다.
등받이가 슬럿에서 가이드 블록을 통해 안내 및 고정이 가능하다면, 경미한 공차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블록은 시트 깊이의 무단 조절 가능성도 제공한다. 등받이의 모서리 마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시트면 및 등받이의 선회가 악조건 하에서도 안정적으로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도 각각의 가이드 블록은 힌지를 통해 등받이와 결합된 플레이트에 배치된다. 이 플레이트는 힌지 그립을 통해 서로 결합되므로, 등받이의 조절을 위해 시트면 측면에서 양측 그립을 잡을 수 있으며 그를 통해 슬럿에서 등받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등받이와 결합된 각각의 잠금 볼트가 맞물릴 수 있으며, 슬럿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홈이 세로 레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볼트는 그립 부재에 배치될 수 있다. 잠금 볼트와 함께 홈은 가이드 블록을 슬럿에 나사로 고정하기 전에 등받이를 일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홈은, 가이드 블록의 나사 체결이 이완된 경우에도 등받이가 고정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도 홈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이로서 등받이를 위한 고정부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홈 대신 보어가 제공될 수도 있다.
후면 단부에서 세로 레일이 섀클을 통해 서로 힌지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된다.
휠체어는 그 위에 고정된 기립 장치(33)를 구비한 섀시 프레임(29) 및 구동 휠(30) 및 조향 가능한 두 개의 앞 바퀴(31)를 포함한다. 기립 장치(33)는 시트면(3), 등받이(7) 및 다리 받침대(32)를 포함한다. 엑추에이터(28)를 통해 기립 장 치(33)가 선회될 수 있다. 이때 시트면(3)은 수직 위치로 이동한다. 등받이(7)는 그 수직 위치를 유지하고 시트면(3)에 대해 평행하게 놓인다. 시트면(3)의 틸팅과 동시에 다리 받침대(32)가 하강하고 기립 장치(31)의 신전된 위치에서 바닥에 지지된다.
시트면(3) 아래에는 두 개의 세로 레일(1, 2)이 배치된다. 상단 세로 레일(1)은 시트면(3)과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앞 힌지점(hinge point)(10) 및 뒤 힌지점(11)을 포함한다. 하단 세로 레일(2)은 앞 힌지점(12) 및 뒤 힌지점(13)을 포함한다. 힌지점(10, 12; 11, 13)에서 상단 세로 레일(1) 및 하단 세로 레일(2)이 힌지식으로 서로 결합하며, 힌지 평행사변형(parallelogram)이 형성된다. 즉 앞 힌지점(10, 12)의 간격(C)이 뒤 힌지점(11, 13)의 간격(D)과 동일하며, 상단 세로 레일의 힌지점(10, 11)의 간격(A)이 하단 세로 레일(2)의 힌지점(12, 13)의 간격(B)과 동일하다.
세로 레일(1, 2)은 후단 구역에서 둘레측으로 닫힌 세로 슬럿(1a, 2a)을 포함한다. 각각 플레이트(5, 6)에 고정된 가이드 블록(guide block)(5a, 6a)(도 5 참조)이 슬럿(1a, 2a)에서 동작한다. 가이드 블록(5a, 6a)은 클램핑 플레이트(5b, 6b)를 통해 슬럿(1a, 2a)에 고정되거나 또는 세로 레일(1, 2)에 대해 플레이트(5, 6)가 조여질 수 있다. 플레이트(5, 6)에는 크로스 빔(cross beam)(7a)을 포함하는 등받이(7)가 힌지(14, 15)를 통해 힌지식으로 고정된다. 플레이트(5, 6)의 대향측 단부에는 세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그립 유닛(16)이 고정된다. 플레이트(5, 6)에 힌지식으로 고정된 그립 유닛(16)에는 상단 볼트(9) 및 하단 볼트(9′)가 배치된 다. 볼트(9, 9′)는 세로 레일(1)의 상단면 또는 세로 레일(2)의 하단면에 제공되는 홈(1b, 2b)과 연동하며 세로 방향에서 등받이(7)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호 연동하는 홈(1b, 2b)(도 4 비교)의 각도는 힌지점(10, 12; 11, 13) 사이의 각도에 해당한다.
등받이(7) 조절 및 시트 깊이(X)의 조정을 위하여, 나사 체결부(5′, 6′)를 통해 플레이트(5, 6)와 조여져 있는 클램핑 플레이트(5b, 6b)가 풀리며, 양측 그립 유닛(16)이 외측으로 당겨져 잠금 볼트(9, 9′)가 더 이상 홈(1b, 2b)에 맞물리지 않게 되며 이로서 등받이(7)가 원하는 치수만큼 앞 또는 뒤로 이동된다. 잠금 볼트는 해당 홈(1b, 2b)으로 삽입되며 나사 체결부(5′, 6′)가 다시 조여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홈(1b, 2b)대신 슬럿 아래에서 진행하는 보어(1c, 2c)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잠금 볼트(9, 9′)가 이 보어에 고정될 수 있다. 등받이(7)는 투피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클램프(17)를 통해 기립 장치(33)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기립형 휠체어를 예를 들어 차량으로 운반하는 경우에 등받이(7)가 경량이며 좁게 접을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시트 깊이(X)를 등받이와 함께 연속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레이트(5, 6)와 힌지식으로 결합된 등받이(7) 하단 부분이 등받이(7)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A형 아암(18)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힌지점(11, 13)의 간격(D) 및 힌지점(12, 13)의 간격(B)를 조절함으로써 시트면(3)에 대해 상대적인 등받이(7) 각도(α)를 조절할 수 있다. 그 후면 단부에서 세로 레일(1, 2)이 섀 클(4)을 통해 서로 힌지식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구동 휠 및 적어도 하나의 조향 휠이 고정되어 있고, 시트면을 구비한 기립 장치, 등받이 및 적어도 하나의 다리 받침대가 선회가능한 형태로 배치된 섀시 프레임을 구비하고, 시트면 아래의 양측에 상단 세로 레일 및 하단 세로 레일이 배치되며, 상단 세로 레일은 시트면과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양측 세로 레일은 네 개의 힌지를 통해 서로 결합하며 그 후면 단부를 통해 등받이와 결합됨으로써, 기립에까지 이르는 신체 자세의 변화를 통해 신체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동적 활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두 개의 구동 휠(30) 및 적어도 하나의 조향 휠(31)이 고정되어 있고, 시트면(3)을 구비한 기립 장치(33), 등받이(7) 및 적어도 하나의 다리 받침대(32)가 선회가능한 형태로 배치된 섀시 프레임(29)을 구비한 기립형 휠체어로서,
    시트면(3) 아래의 양측에 상단 세로 레일(1) 및 하단 세로 레일(2)이 배치되며, 상단 세로 레일(1)은 시트면(3)과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양측 세로 레일(1, 2)은 네 개의 힌지(10, 11, 12, 13)를 통해 서로 결합하며 그 후면 단부를 통해 등받이(7)와 결합되는 기립형 휠체어에 있어서,
    세로 레일(1, 2)의 후면 단부가 슬럿(1a, 2a)을 포함하며, 이 슬럿에 등받이(7)가 그 하단 단부와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등받이(7)가 슬럿(1a, 2a)에서 가이드 블록(5a, 6a)을 통해 안내되며 세로 레일(1, 2)에 대해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 블록(5a, 6a)이 힌지(14, 15)를 통해 등받이(7)와 결합된 플레이트(5, 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휠체어.
  4. 제1항에 있어서, 등받이(7)와 결합된 각각의 잠금 볼트(9, 9′)가 맞물릴 수 있고, 슬럿(1a, 2a)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홈(1b, 2b)이 세로 레일(1, 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휠체어.
  5. 제4항에 있어서, 잠금 볼트(9)가 멀티 피스형 그립 유닛(1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휠체어.
  6. 제5항에 있어서, 그립 유닛(16)의 부분들이 서로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휠체어.
  7. 제4항에 있어서, 홈(1b, 2b)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휠체어.
  8. 제1항에 있어서, 세로 레일(1, 2)이 그 후면 단부에서 섀클(4)을 통해 서로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휠체어.
  9. 제1항에 있어서, 등받이(7)와 결합된 각각의 잠금 볼트(9, 9′)가 맞물릴 수 있고, 슬럿(1a, 2a)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보어(1c, 2c)가 세로 레일(1, 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휠체어.
  10. 제9항에 있어서, 보어(1c, 2c)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기립형 휠체어.
  11. 제1항에 있어서, 등받이(7)가 무단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휠체어.
KR1020060072957A 2005-08-08 2006-08-02 기립형 휠체어 KR20070017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957A KR20070017907A (ko) 2005-08-08 2006-08-02 기립형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8029.8 2005-08-08
KR1020060072957A KR20070017907A (ko) 2005-08-08 2006-08-02 기립형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907A true KR20070017907A (ko) 2007-02-13

Family

ID=4365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957A KR20070017907A (ko) 2005-08-08 2006-08-02 기립형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79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677A (ko) 2020-08-03 2022-02-10 (주)대봉기연 소재 절감형 연속 프레스 가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677A (ko) 2020-08-03 2022-02-10 (주)대봉기연 소재 절감형 연속 프레스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5144C1 (ru) Спрямляемое вертикально инвалидное кресло-коляска
US5785384A (en) Arrangement in an adjustable chair
US7887133B2 (en) Stand-up wheelchair
US7891695B2 (en) Upright wheelchair
US5228747A (en) Seating system
US4852899A (en) Lightweight wheelchair adjustable for a specific balance
US9010787B2 (en) Tilt-in-space wheelchair using multiple controlling paths
EP2637623B1 (en) Reclining seat
BR112017024139B1 (pt) Banco para veículo
NL1024201C2 (nl) Rolstoel voorzien van beensteun met kuitsteun.
US7055840B1 (en) Lift wheelchair
US5143421A (en) Vehicle seat having a seat surface which is adjustable both as to height and inclination
KR20070017907A (ko) 기립형 휠체어
US7234776B2 (en) Body support chair with automatic modification of the back inclination
US20040080190A1 (en) Adjustable seat frame
JP6529325B2 (ja) 移動補助器
CA3088473A1 (en) Folding wheelchair
KR101316246B1 (ko) 스포츠 휠체어용 발판 각도 조절장치
US7134678B2 (en) Wheelchair
CN213310991U (zh) 改进轮椅
KR200145904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의 시트 쿠션깊이조절장치
TWI769620B (zh) 可調式軀體支撐裝置
EP0908167A2 (en) Reversible seat for front wheel drive and rear wheel drive power wheelchair having stepless angular adjustment
KR101473876B1 (ko) 일반인,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분리 가능한 휠체어
KR101167704B1 (ko)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