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640A -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와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와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640A
KR20070017640A KR1020050072142A KR20050072142A KR20070017640A KR 20070017640 A KR20070017640 A KR 20070017640A KR 1020050072142 A KR1020050072142 A KR 1020050072142A KR 20050072142 A KR20050072142 A KR 20050072142A KR 20070017640 A KR20070017640 A KR 20070017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dant
kit
mobile phone
frequenc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2790B1 (ko
Inventor
최경근
김영준
서광호
Original Assignee
최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근 filed Critical 최경근
Priority to KR1020050072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7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PTT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는 휴대폰(100)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 인터페이스부(160)에 결합되어, 배터리 전원부(130)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키패드부(120)의 입력을 통하여 구동되어 주파수 설정 및 볼륨조절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로부터 분리되어 작동이 종료한다.
본 발명의 팬던트 키트(200)는 휴대폰(100)의 인터페이스부(160)에 결합되는 24핀 커넥터(260)와,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마이콤(210)과, 소정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여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처리하는 RF 송수신기(220)와, 출력하기에 적합한 음성신호로서 변환처리하는 믹서(230)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및 마이크 안테나 연결부(250)와, 무선 주파수 설정에 관한 정보와 볼륨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40)를 포함하며, 제어모듈(400)이 부착된 이어폰(300)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에 결합되어 27-930 MHz의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1-25 Km의 통신거리(리피터 사용시)를 유지할 수 있고, 타 제품간에도 같은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통신이 가능하고 이동 통신기기에 탑재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없어 기존의 무전기에 비해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와 그 작동 방법{PENDENT KITT EQUIPPTED WITH A PUSH-TO-TALK SER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PTT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가 휴대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폰과 팬던트 키트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팬던트 키트의 작동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폰 110 : 제어부
120 : 키패드부 130 : 배터리 전원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메모리
160 : 인터페이스부 200 : 팬던트 키트
210 : 마이콤 220 : RF 송수신기
230 : 믹서 240 : 메모리
250 : 이어폰 및 마이크, 안테나 연결부 260 : 24핀 커넥터
300 : 이어폰 400 : 제어모듈
본 발명은 PTT(Push-To-Talk)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 Pendent Kit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기기에 결합되어 27-930 MHz의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팬던트 키트와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 즉 가장 대표적인 예로서의 이동전화는 디지털 컨버전스 이전에는 "통신(Communication)"이라는 기본적인 가치에 중심을 두고 "중요한 요건으로 타인과 통화하기 위한 도구"라는 일반화된 가치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디지털 컨버전스의 등장에 따라 이러한 가치는 점차 복잡해질 뿐 아니라 다양화되는 것이 추세이다. 즉, 기술간 융합을 통해 하나의 단말에서 카메라, MP3,, 주문형 비디오등 다양한 콘텐츠를 종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소위 All-In-One 기능이 크 흐름이다. 이에 통신기능을 축으로 전개되고 있는 이동전화에서의 컨버전스의 미래는 컴퓨팅 융합 단말, 멀티미디어 융합 단말, 기능성 융합 단말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전화의 컨버전스에서 최근에 이슈되는 것은 PTT(Push-To-Talk)이다. PTT란 휴대폰에서 무전기처럼 간편하게 음성 인스턴트 메세징 서비스로서, 일반 이동 단말에서는 일정한 대기시간을 필요로 하는 반면, PTT는 버튼만 누르면 곧바로 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한 의사 소통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PTT는 1 대 1 통화 뿐 아니라 다자간 그룹 통화가 가능하므로, 건설, 영업, 운송, 레저스포츠, 놀이공원 같은 이동성이 요구되는 단체 가입용으로 매우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일반 이동 단말기 통화가 곤란한 장애상황이나 비상시 통화 수단으로 유용하게 활 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투자 비용이 소요되는 네트워크의 진화 없이도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이동통신업계에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PTT 기능을 내부에 탑재하여 현재 시판중이거나 개발중인 팬던트 키트, 즉 일종의 휴대용 워키토키 제품은 상호 동종간의 제품끼리만 통화가 가능하다. 즉, PTT 기능을 사용하려면 같은 제품을 구매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현재 시판중이거나 개발중인 제품의 PTT 기능은 예를 들어 통신거리가 10-100m 정도로 매우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 통신 기기에 결합되어 27-930 MHz 의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팬턴트 키트와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기기의 키패드 조작을 통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통신 기기에 결합되는 팬턴트 키트의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는 팬던트 키트와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PTT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는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휴대폰의 키패드부의 입력을 통하여 구동되어 주파수 설정 및 볼륨조절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분리되어 작동이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팬던트 키트는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는 24핀 커넥터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주파수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여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처리하는 RF 송수신기와, 상기 RF 송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기에 적합한 음성신호로서 변환처리하는 음성 처리부로서의 믹서와,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및 마이크, 안테나 연결부와, 무선 주파수 설정에 관한 정보와 볼륨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에 결합되어 27-930 MHz의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1-25 Km의 통신거리(리피터 사용시)를 유지할 수 있고, 타 제품간에도 같은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통신이 가능하고 이동 통신기기에 탑재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없어 기존의 무전기에 비해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TT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 트가 이동 통신 기기의 예로서의 휴대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과, 이 휴대폰(100)에 결합된 팬던트 키트(200)와, 이 키트(200)에 연결된 이어폰(3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의 휴대폰(100)의 구성과 팬던트 키트(20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폰(300)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푸쉬버튼과 마이크 및 볼륨 조절단자등을 포함하는 팬던트 키트(200) 제어모듈(400)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0)은 제어부(110)와, 키패드부(120)와, 배터리 전원부(130)와, 디스플레이부(140)와, 메모리(150)와,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하고, 이러한 휴대폰(100)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간편하게 인터페이스부(160)에 결합되어 작동할 수 있는 팬던트 키트(200)를 포함한다.
팬던트 키트(200)는 휴대폰(100)의 인터페이스부(160)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휴대폰(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는 24핀 커넥터(260)와, 휴대폰(10)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팬던트 키트(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마이콤(210)과, 마이콤(210)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주파수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여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처리하는 RF 송수신기(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팬던트 키트(200)의 마이콤(210)은 휴대폰(100)의 키패드부(120)의 조작을 통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팬던트 키트(200)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팬던트 키트(200)는 RF 송수신기(2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 여 이어폰(300)으로 출력하기에 적합한 음성신호로서 변환처리하는 음성 처리부로서의 믹서(230)와, 이 믹서(23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이어폰(300)으로 출력하는 이어폰 및 마이크, 안테나 연결부(250)와, 무선 주파수 설정에 관한 정보와 볼륨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40)를 더 포함한다. 마이콤(210)은 휴대폰(100)의 키패드부(120)의 조작을 통하여 입력되는 조정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음성 처리부로서의 믹서(230)를 제어하여 볼륨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팬던트 키트(200)는 휴대폰(100)의 배터리 전원부(130)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기 때문에,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없으므로 부피를 최소로 할 수 있고, 더구나 팬던트 키트(100)의 동작에 대한 명령을 휴대폰(100)의 키패드부(120)의 입력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팬던트 키트(200)의 주파수 설정 및 볼륨 조절이 보다 효율적으로 손쉽게 이루어진다. 더구나 팬던트 키트(200)의 24핀 커넥터(260)를 휴대폰(100)의 인터페이스부(160)에 결합하는 것으로 구동이 실행되고, 그것을 인터페이스부(160)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종료하므로, 제품의 구동 및 종료가 단지 팬던트 키트의 휴대폰에의 결합과 분리만으로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신호를 청취하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안테나, 이어폰 및 마이크에 대해서는 통상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휴대폰에 결합된 팬던트 키트의 작동을 나타내는 순서도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 팬던트 키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팬던트 키트(200)를 휴대폰(100)과 결합하면, 휴대폰(100)의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여, 메모리(150)에 저장된 팬던트 키트(200) 구동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팬던트 키트(200)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게 되어, 팬던트 키트(200)는 기본적으로 그 마이콤(210)에 설정되어 있는 기본 주파수와 채널 및 볼륨으로 자동 셋팅된다(S10).
이어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주파수와 채널 및 볼률을 설정하고자, 휴대폰(100)의 키패드부(120)를 사용하여 주파수 입력 모드를 선택한다(S20).
소망의 무선 주파수를 입력하고(S30), 해당 주파수에서 사용가능한 채널을 선택하고(S40), 키패드부(120)를 통해 입력된 주파수와 채널 정보가 팬던트 키트(200)로 전송되면(S50), 해당 주파수의 채널을 통한 신호가 이어폰(3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된다(S60).
볼륨 조절의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S70), 볼륨 조절명령이 입력되었다면, 이어폰(300)에 부착된 제어모듈(400)의 볼륨 조절버튼으로 볼륨을 조절한다(S80). 이와 달리, 볼륨 조절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로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면, 이어폰(300)에 부착된 제어모듈(400)의 푸쉬버튼이 ON되어있는 지를 판단하여(S90), ON되어 있으면. 상대방에게 말하기 시작하고, 팬던트 키트(200)는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주파수로 신호를 출력한다(S100).
한편, 다른 채널로 변경하고 싶으면(S110), 상기 S40을 다시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S60을 다시 실행하여 계속 해당 주파수의 채널을 통해 신호를 청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팬던트 키트는 이동 통신 기기, 예를 들어 휴대폰에 결합되어 27-930 MHz의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무전기의 성능, 즉 트랜시버 칩에 따른 주파수 선택의 다양성에 중점을 둠으로서 1-25 Km의 통신거리(리피터 사용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팬던트 키트는 타 제품간에도 같은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통신이 가능하고 이동 통신기기에 탑재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없어 기존의 무전기에 비해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팬던트 키트의 고유의 장점, 즉 1 대 1 통화 뿐만 아니라 다자간 그룹 통화도 가능하므로, 건설, 영업등의 여러 분야에서 이동성이 요구되는 단체 가입자용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일반 이동 단말기 통화가 곤란한 장애상황이나 비상시 통화수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점을 더욱 폭넓게 활용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대규모의 투자 비용이 소요되는 네트워크의 진화 없이도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이점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팬던트 키트는 디지털 컨버젼스 환경에서 폭발적인 증가가 예상되는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산업 계층에서 이동성을 보장한 무선통신을 제공하고 저비용과 중복 투자의 해소라는 기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PTT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통신 보안과 같은 추가적인 성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조기에 상품화함으로서 국내에 새로운 무선 통신 서비스 시장을 새롭 게 창출함과 동시에 국제 시장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PTT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에 있어서,
    상기 팬던트 키트가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휴대폰의 키패드부의 입력을 통하여 구동되어 주파수 설정 및 볼륨조절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분리되어 작동이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던트 키트는
    상기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는 24핀 커넥터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주파수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여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처리하는 RF 송수신기와,
    상기 RF 송수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기에 적합한 음성신호로서 변환처리하는 믹서와,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및 마이크, 안테나 연결부와,
    무선 주파수 설정에 관한 정보와 볼륨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휴대폰의 키패드부의 조작을 통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팬던트 키트의 주파수를 설정하고, 상기 믹서를 제어하여 볼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던트 키트에는 푸쉬버튼과 마이크 및 볼륨 조절단자를 포함하는 팬던트 키트 제어모듈이 부착된 이어폰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
  5. PTT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팬던트 키트의 휴대폰에의 결합에 따라, 상기 팬던트 키트의 마이콤에 설정되어 있는 기본 주파수와 채널 및 볼륨으로 자동 셋팅되는 단계와,
    사용자가 소망하는 주파수와 채널 및 볼륨을 설정하고자, 상기 휴대폰의 키패드부를 사용하여 주파수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소망의 무선 주파수를 입력하고, 해당 주파수에서 사용가능한 채널을 선택하 여, 입력된 주파수와 채널 정보가 상기 팬던트 키트로 전송되는 단계와,
    해당 주파수의 채널을 통한 신호가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단계와,
    볼륨 조절의 명령이 입력되었는지의 판단에 따라, 볼륨을 조절하거나,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로 상대방에게 메시지가 전달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다면, 상기 팬던트 키트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주파수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다른 채널로 변경하고 싶은지의 판단에 따라, 상기 S40을 다시 실행하거나, 상기 S60을 다시 실행하여 계속 해당 주파수의 채널을 통해 신호를 청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의 작동방법.
KR1020050072142A 2005-08-08 2005-08-08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와 그 작동 방법 KR100722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142A KR100722790B1 (ko) 2005-08-08 2005-08-08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와 그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142A KR100722790B1 (ko) 2005-08-08 2005-08-08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와 그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640A true KR20070017640A (ko) 2007-02-13
KR100722790B1 KR100722790B1 (ko) 2007-05-30

Family

ID=4163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142A KR100722790B1 (ko) 2005-08-08 2005-08-08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와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7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4338A (zh) * 2014-03-31 2015-09-3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手机对讲业务适配器、手机对讲业务终端和手机对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333A (ko) * 2000-02-25 2001-09-06 박국표 휴대폰을 이용한 무전기
KR100379836B1 (ko) * 2001-04-13 2003-04-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4338A (zh) * 2014-03-31 2015-09-3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手机对讲业务适配器、手机对讲业务终端和手机对讲方法
CN104954338B (zh) * 2014-03-31 2018-03-2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手机对讲业务适配器、手机对讲业务终端和手机对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790B1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341B1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US8073137B2 (en) Audio headset
US101042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US7035588B2 (en) Headset having a short-range mobile system
US6339706B1 (en) Wireless voice-activated remote control device
US20080020708A1 (en) Blue tooth wireless earphone and wireless network phone supported as extension thereof
CN1866844B (zh) 使dmb观看和电话呼叫能同时进行的dmb终端及方法
KR101080617B1 (ko) 무전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및 그 동작 방법
KR100722790B1 (ko) 피.티.티. 서비스를 탑재한 팬던트 키트와 그 작동 방법
KR101076500B1 (ko)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KR20070080011A (ko)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스테레오 이어폰의 이어 마이크 폰구현 방법 및 회로
JPH0613965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4501Y1 (ko) 다기능 복합형 휴대폰
KR200179159Y1 (ko)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KR200179158Y1 (ko)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JP2001102950A (ja) 無線装置
KR200261793Y1 (ko) 핸즈프리 겸용 무전기
KR200257697Y1 (ko) 다기능 복합형 휴대폰
JP2004120126A (ja) Bluetooth音声通信装置
KR19990005402A (ko) 라디오 청취기능을 갖는 무선헤드폰전화기
KR20020091644A (ko) 무선 통신기기
JPH039641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50117755A (ko) 헤드셋 키값 변환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20010100162A (ko) 핸즈프리 겸용 무전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