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232A - 캐릭터 육성 방법 - Google Patents

캐릭터 육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232A
KR20070017232A KR1020070008426A KR20070008426A KR20070017232A KR 20070017232 A KR20070017232 A KR 20070017232A KR 1020070008426 A KR1020070008426 A KR 1020070008426A KR 20070008426 A KR20070008426 A KR 20070008426A KR 20070017232 A KR20070017232 A KR 20070017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wireless
wireless terminal
character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7000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7232A/ko
Publication of KR20070017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의 게임 데이터를 유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점수 등)를 통신망을 통해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게임 서버에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의 상기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임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 소유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의 게임 계정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게임 계정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 이용하거나 또는 획득한 게임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에 상기 수신한 상기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적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 이용하거나 또는 획득한 게임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라인 게임, 무선 단말기

Description

캐릭터 육성 방법{Method for Promoting Characters}
도1은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유·무선 연동 온라인 게임 네트워크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2는 유선 상의 온라인 게임 서버가 무선 단말기로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내려주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3은 무선 단말기로 전송된 캐릭터 육선 무선 게임 컨텐츠를 통해 게이머의 캐릭터를 무선 단말기에서 육성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4는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유·무선 연동 온라인 게임 네트워크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5는 유선 상의 온라인 게임 서버가 무선 단말기와 실시간 연동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6은 무선 단말기로 전송된 실시간 연동 무선 게임 컨텐츠를 통해 게이머가 온라인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온라인 게임 서버 105 : 무선 게임 서버
110 : 이동 통신 시스템 115 : 게이트웨이
120 : HLR/VLR 125 : 무선 단말기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의 게임 데이터를 유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점수 등)를 통신망을 통해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게임 서버에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의 상기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게임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 소유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의 게임 계정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게임 계정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 이용하거나 또는 획득한 게임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에 상기 수신한 상기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적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 이용하거나 또는 획득한 게임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임은 기억능력이 있는 실리콘 칩 컴퓨터 회로에 의해 작동되는 모든 놀이의 총칭으로서, 게임의 진행 방법과, 게임 관련 기술의 종류, 그리고 관련 업체의 제작 역량 및 제작 방법에 따라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 그러나, 게임 관련 기술의 발전과 게임의 진행 방법 및 제작 방법 등의 변화에 의해 고전적인 분류법을 통해 게임을 정의하는 것은 더욱더 어려워지고 있다. 반면, 상기와 같은 고전적인 분류법 이외에 게이머(Gamer)와 게임 방법의 특징에 따라, 싱글 유저 게임(Single User Game)과 멀티 유저 게임(Multi User Game) 등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싱글 유저 게임은 게임 제작자가 게임 상에 정한 시나리오와 설정 등을 통해 진행하는 게임으로써, 단일 컴퓨터에서 진행되는 고전적인 게임 분류법 상의 어드벤처 게임(Adventure Game), 아케이드(Arcade Game) 게임, 롤 플래잉 게임(Role Playing Game; RPG), 그리고 시뮬레이션 게임(Simulation Game) 등과 같은 컴퓨터 게임이 싱글 유저 게임에 속한다.
멀티 유저 게임은 컴퓨터와 컴퓨터가 일정 시간 동안 다양한 데이터를 교환하면서 진행하는 게임으로써, 싱글 유저 게임이 통신을 통해 연동되어 복수의 게이머가 동시에 하나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네트워크 게임, 인터넷 게임, 그리고 온라인 게임 등이 멀티 유저 게임에 속한다.
네트워크 게임은 싱글 유저 게임에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기능이 추가된 게임으로써, 소규모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대전형식의 게임과,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배틀넷 형식의 게임이 있다.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 게임이 온라인 게임과 다른 점은 온라인 게임의 가장 큰 특징인 사회성과 역사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네트워크 게임은 게임 상의 커뮤니티를 통한 가상 사회를 제공하지 않으며, 게임이 연속성을 가지고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일회성으로 끝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터넷 게임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와 같은 웹 브라우저 및 상기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되는 플러그인을 통해 진행하는 게임으로써, 게임을 개시하는 시점에 게임 서버로부터 해당 게임을 제공받아 진행하는 플래시 형태의 게임과, 게임을 개시하는 시점에 게임 서버로부터 해당 게임을 제공받은 후 클라이언트와 게임 서버, 또는 게임 서버를 경유하여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교환하면서 진행하는 게임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 게임이 온라인 게임과 다른 점은 온라인 게임의 가장 큰 특징인 사회성과 역사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인터넷 게임은 게임 자체가 제공하는 커뮤니티를 통한 가상 사회를 제공하지 않으며, 게임이 연속성을 가지고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일회성으로 끝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라인 게임은 게임 제작자가 컨텐츠 제공자가 되어 통신상의 서버에 올려놓은 게임을 동시 접속한 게이머가 게임의 규칙에 의해 동시성을 유지하면서 진행 하는 게임으로써, 게임 제작자가 게임 상의 가상 공간에 가상의 상황을 설정하면, 게이머는 게임 상에서 자신을 대신하는 캐릭터를 통해 다른 게이머의 캐릭터와 멀티 플레이함으로써 사회성과 역사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이다.
상기와 같은 온라인 게임의 동시성과 사회성, 그리고 역사성은 온라인 게임이 다른 종류의 멀티 유저 게임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으로써, 온라인 상에서 게이머를 대신하는 가상의 캐릭터는 게임 서버에 동시 접속한 다른 캐릭터와 상호 작용하고, 상기와 같은 상호 작용과 게임 규칙을 통해 온라인 상에 가상 사회가 형성되며, 온라인 게임 상에 형성된 가상 사회는 게이머의 캐릭터가 존재하는 한 지속되는 역사성을 갖는다.
특히, 온라인 게임의 사회성과 역사성은 게이머가 온라인 게임에 몰입하게 하는 가장 큰 원으로써, 게이머에게 게임 몰입증이라는 게임 중독을 일으킨다.
게임 중독은 게임에 대한 몰입의 정도가 과다해 게임에 대해 강박적으로 의존하게 되고, 내성이 생겨 사용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이에 따라 금단증상이 나타나 일반적 사회생활을 지속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특히, 온라인 게임이 제공하는 가상 사회 속에서 대리만족을 통한 욕구충족을 느끼는 인간의 심리적 특성은 가상 공간과 현실 사이의 경계를 흩뜨림으로써, 게임 중독자에게 폭력성과 공격성을 증가시키고, 신체적인 문제와 더불어 사회적 부적응을 초래하며, 결국 인간관 계단절이라는 극단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는 심각한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게임 몰입에 의해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와 게이머에게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게이머가 다양한 사회활동과 신체적으로 충분한 운동, 그리고 게임 이외의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라인 게임에 휴대성과 이동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무선 게임은 컴퓨터를 이용한 싱글 유저 게임을 무선 단말기를 통해 구현하는 것으로써, 무선 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VM(Virtual Machine)과 같은 미들웨어(Middleware) 플랫폼을 통해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다. 무선 게임이 기존 컴퓨터를 이용한 싱글 유저 게임과 다른 점은, 무선 게임이 제작되는 단계에서 기존 컴퓨터에 비해 열악한 무선 단말기 조건에 맞게 제작된다는 것과, 무선 게임을 배포하는 단계에서 CD(Compact Disk)나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와 같은 보조 저장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무선 데이터 통신이나 무선 인터넷을 통해 ESD(Electronic Software Delivery)의 형태로 배포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무선 게임 역시 SMS(Short Message Service), EMS(Enhanced Message Service), 그리고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과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이나 무선 인터넷, 또는 무선 P2P(Peer To Peer) 등을 통해 무선 게임에 온라인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복수의 무선 단말기가 대전형식의 게임 을 진행할 수 있는 형태의 무선 네트워크 게임이 시도되고 있지만, 그나마도 아직 완전한 형태의 무선 네트워크 게임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점수 등)를 통신망을 통해 게임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게임 서버에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의 상기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수신하고, 상기 게임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 소유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의 게임 계정을 확인하여, 상기 게임 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게임 계정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 이용하거나 또는 획득한 게임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에 상기 수신한 상기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적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 이용하거나 또는 획득한 게임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갱신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에서의 게임 데이터를 유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 방법은,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점수 등)를 통신망을 통해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에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의 상기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 소유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의 게임 계정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게임 계정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 이용하거나 또는 획득한 게임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에 상기 수신한 상기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적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 이용하거나 또는 획득한 게임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점수 등)를 통신망을 통해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게임 종료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게임 진행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에서의 게임 데이터를 유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점수 등)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시, 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무선 단말기 소유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의 게임 계정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게임 계정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 이용하거나 또는 획득 한 게임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에 상기 수신한 상기 무선 게임 진행을 통해 생성된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적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유선 게임 상에서 이용하거나 또는 획득한 게임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를 갱신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신망은, 상기 무선 단말기와 상기 게임 서버 간 캐릭터 특성 및/또는 게임 수치 데이터 중계를 처리하는 게이트웨이(또는 무선 게임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의 게임 데이터를 유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유선 게임을 제공하고, 유선 게임 상에서의 게임 데이터(캐릭터 특성, 게임 수치 등)를 관리하는 유선 게임서버와, 상기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기로 무선 게임을 제공하고, 무선 게임 상에서의 게임 데이터(캐릭터 특성, 게임 수치 등)를 상기 유선 게임서버로 중계 전송하는 무선 게임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 연동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 게임에 휴대성과 이동성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써, 유선 상의 온라인 게임 서버와 무선 상의 무선 단말기를 연동할 수 있는 무선 게임 서버를 통해, 온라인 게임 서버에서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무선 환경에 적합하게 가공하여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 는 단계, 전송된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통해 무선 단말기에서 유·무선 연동 온라인 게임(이하 무선 온라인 게임이라고 한다)을 진행하는 단계, 그리고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온라인 게임을 통해 변경된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온라인 게임 서버로 전송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갱신하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게임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은 무선 게임 서버와 무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상에서 진행하는 동안 온라인 게임 서버와 상호 호환되며, 상기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은 온라인 게임 서버에서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기에서 온라인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등을 통해 상호 동기화 된다.
게이머가 온라인 게임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온라인 게임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은 해당 게이머가 온라인 게임을 통해 획득한 고유한 값을 유지하면서 무선 환경에 적합하도록 변경되어 전송된다. 즉, 게이머가 유선 상의 컴퓨터를 통해 온라인 게임을 하면서 획득한 다양한 게임 아이템과 수치들은 그대로 유지한 채, 게이머의 캐릭터와 각종 게임 설정들이 무선 단말기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된다.
상기와 같이 온라인 게임 상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이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은, 온라인 게임 서버가 무선 게임 서버를 통해 무선 단말기로 내려 주는 경우와, 무선 단말기가 무선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로부터 내려 받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게이머가 무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면서 변경된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은 무선 상에서의 게임이 진행하는 동안, 또는 무선 게임이 완료된 후에 온라인 게임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단계에서 변경된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은 무선 단말기에서 변경된 고유한 값을 유지하면서 온라인 게임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갱신한다. 즉, 게이머가 무선 상의 무선 단말기를 통해 무선 온라인 게임을 하면서 변경된 다양한 게임 아이템과 수치들이 온라인 게임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와 게임 설정에 그대로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에 의해 변경된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온라인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은, 무선 단말기가 무선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로 올려 주는 경우와, 온라인 게임 서버가 무선 게임 서버를 통해 무선 단말기로부터 올려 받는 경우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게임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무선 단말기로 다운로드하여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은 캐 릭터 육성 모드와 실시간 연동 모드 등을 포함한다.
캐릭터 육성 모드로 진행되는 무선 온라인 게임은 온라인 게임 서버로부터 무선 게임 서버를 통해 무선 단말기로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다운로드 한 후, 무선 단말기에서 게임 설정을 통해 캐릭터를 육성하여 레벨 업(Level Up)하는 것으로써,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무선 단말기와 온라인 게임 서버 사이의 정보 교환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에서 무선 게임 서버는 무선 단말기에게 무선 게임 컨텐츠 제공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무선 온라인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무선 단말기와 무선 게임 서버 사이의 정보 교환은 빈번히 발생할 수 있지만,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 게임 서버를 거쳐 온라인 게임 서버로 연동되는 정보 교환 과정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실시간 연동 모드로 진행되는 무선 온라인 게임은 온라인 게임 서버로부터 무선 게임 서버를 통해 무선 단말기로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다운로드 한 후, 무선 단말기에서 게임 설정을 통해 온라인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 유·무선 연동 온라인 게임을 하는 것으로써,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무선 단말기와 온라인 게임 서버 사이에는 온라인 게임의 진행을 위한 정보 교환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에서 무선 게임 서버는 무선 단말기에게 온라인 게임 서버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하며,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된 정보는 무선 게임 서버에 의해 온라인 게임 서버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되어 온라인 게임 서버로 전송되고, 온라인 게임 서버에서 생성된 정보는 무선 게임 서버에 의해 무선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가공되어 무선 단말기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게임 서버는 유선 상의 온라인 게임 서버와 무선 상의 무선 단말기를 중계하는 시스템으로써, 유·무선 인터넷 상에 독립 서버 시스템의 형태로 탑재되거나, 온라인 게임 서버 내부에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 탑재되며, 경우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 내부에 온라인 게임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무선 게임 서버는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무선 게임 컨텐츠 제공자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온라인 게임 서버와 무선 단말기 사이에서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지원하는 무선 게임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다음의 도면과 설명은 본 발명을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대표적인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다음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본 실시예는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에 대한 것으로써, 온라인 게임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온라인 게임 서버가 무선 단말기로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내려주며, 무선 단말기가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무선 게임 서버가 무선 단말기를 통해 변경된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임시 저장하고, 캐릭터 육성이 완료되어 무선 단말기에서 변경된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온라인 게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무선 단말기가 무선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로 변경된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전송하여 갱신한다.
도면1은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유·무선 연동 온라인 게임 네트워크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위해서는 유선 상에서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서버(100), 상기 온라인 게임 서버(100)와 무선 상의 무선 단말기(125)를 중계하는 무선 게임 서버(105), 그리고 무선 게임 서버(105)가 제공하는 무선 온라인 게임을 다운로드하여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125)가 있어야 한다.
온라인 게임 서버(100)는 인터넷 상의 게이머에게 게임을 위한 가상 공간과 게임 설정 등을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서버 시스템으로써, 게이머에게 게임 계정을 할당한 후, 상기 할당된 계정을 통해 게이머가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해당 게임이 제공하는 가상 공간과 다양한 게임 설정 등을 통해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부터 게임 계정을 할당받은 게이머는 해당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자신을 대신하여 온라인 게임이 제공하는 가상 공간에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캐릭터를 생성한 후, 상기 온라인 게임이 제공하는 게임 설정 등을 통해 자신의 캐릭터를 레벨업하고, 다른 캐릭터들과 커뮤니티를 형성하면서 공동의 임무를 수행하는 등의 온라인 게임을 진행한다.
무선 게임 서버(105)는 무선 단말기(125)에게 온라인 게임 상의 캐릭터를 육성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게임 컨텐츠 제공자로써,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게임 계정을 할당받은 게이머의 캐릭터와 해당 캐릭터에게 적용되어 있는 게임 설정 등을 무선 단말기(125)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한 후, 무선 단말기(125)가 가공된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통해 해당 캐릭터를 육성하여 레벨업할 수 있는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 컨텐츠를 생성하여 무선 단말기(125)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무선 단말기(125)는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무선 인터넷 게이트웨이(115)를 통해 무선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무선 게임 서버(105)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125)로써, 무선 게임 서버(105)가 제공하는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VM(Virtual Machine) 등과 같은 시스템 환경이 탑재되어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110)에는 이동 통신 가입자 및 가입자의 무선 단말기(125)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HLR(Home Location Register)/VLR(Visitor Location Register)(120)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HLR은 이동 통신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D/B로서, 가입자의 등록 및 신상 정보, 가입자의 전화 호와 ESN(Electronic Serial Number)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 정보, 그리고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 종류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VLR은 로밍(Roaming) 서비스를 받는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B로서, 방문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도면2는 유선 상의 온라인 게임 서버(100)가 무선 단말기(125)로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내려주는 단계에서, 무선 게임 서버(105)가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무선 환경에 적합하게 가공한 후,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 컨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무선 단말기(125)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게이머가 컴퓨터를 통해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게임 설정 상의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도록 명령을 내리면(200), 온라인 게임 서버(100)는 게이머의 캐릭터에 대한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이 실행될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 전화 번호와 게이머의 개인 신상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한다(205).
게이머가 무선 단말기 전화 번호와 개인 신상 정보를 입력하면, 온라인 게임 서버(100)는 상기와 같이 게이머가 입력한 정보를 무선 게임 서버(105)로 전달하고(210), 무선 게임 서버(105)는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HLR/VLR(120)을 참조하여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이 실행될 무선 단말기(125)의 유효성을 검사한다(215).
무선 단말기 유효성 검사는 HLR/VLR(120)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와 무선 단말기 시스템 정보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동 통신 가입자와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등록되어 있는 게이머의 동일성 여부와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가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인지 등을 확인한다.
만약,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HLR/VLR(1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게이머의 계정 정보가 일치하고, 무선 단말기(125)가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면(220), 온라인 게임 서버(100)는 게이머에게 무선 단말 기(125)를 통해 진행할 온라인 게임 캐릭터 육성 시나리오를 결정하도록 한다(225).
그러나 상기 과정을 통해 무선 단말기(125)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230), 온라인 게임 서버(100)는 게이머에게 유효한 정보를 재입력하도록 요청한다(235).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캐릭터 육성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무선 단말기(125)의 유효성이 확인되고, 게이머가 해당 무선 단말기(125)에서 진행할 캐릭터 육성 시나리오를 결정하면, 온라인 게임 서버(100)는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및 게이머가 결정한 캐릭터 육성 시나리오 정보 등을 무선 게임 서버(105)로 전달한다(240).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부터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및 캐릭터 육성 시나리오를 전달 받은 무선 게임 서버(105)는, HLR/VLR(120)을 통해 확인된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해당 무선 단말기(125)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한다(245).
예를 들어,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가 256 칼라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16화음 사운드 출력을 지원한다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게이머의 캐 릭터와 게임 설정을 상기 무선 단말기(125)에 최적화 시켜 가공한다.
무선 게임 서버(105)가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해당 무선 단말기(125)에 사용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상기와 같이 가공된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및 캐릭터 육성 시나리오를 통해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에서 실행 가능한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 컨텐츠를 생성한다(250).
예를 들어,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가 자바(JAVA) 플랫폼과 VM을 사용하고 있다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상기와 같이 가공된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자바 기반의 VM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의 무선 게임 컨텐츠로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에서 실행 가능한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 컨텐츠가 생성되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상기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 컨텐츠를 이동 통신 시스템(110) 및 무선 인터넷을 통해 해당 무선 단말기(125)로 전송한다(255).
무선 게임 서버(105)를 통해 게이머의 캐릭터에 대한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 컨텐츠가 해당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로 전송되면, 온라인 게임 서버(100)는 해당 게이머의 게임 계정을 임시 정지함으로써(260),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존재하는 게이머의 캐릭터를 무선 단말기(125)에서 육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면3은 무선 단말기(125)로 전송된 캐릭터 육선 무선 게임 컨텐츠를 통해 게이머의 캐릭터를 무선 단말기(125)에서 육성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게이머가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도면2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송된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 컨텐츠를 실행하면(300),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은 해당 게이머의 캐릭터를 육성하여 레벨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305).
게이머가 상기와 같은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을 통해 자신의 캐릭터를 육성하여 캐릭터를 레벨업 시키는 동안, 해당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에 포함되어 있는 캐릭터 육성 시나리오는 캐릭터 육성 정보를 무선 게임 서버(105)로 백업할 것인지를 결정한다(310).
일반적으로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이 캐릭터 육성 정보를 무선 게임 서버(105)로 백업하는 경우는, 게이머가 캐릭터 육성을 위해 주어진 임무를 완수했거나 캐릭터 육성 게임이 종료되었을 때이며, 캐릭터 육성을 위해 주어진 임무가 여러 개 존재할 경우, 각각의 임무가 완수될 때마다 캐릭터 육성 정보가 무선 게임 서버(105)로 백업된다.
상기와 같은 조건에 의해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에 포함되어 있는 캐릭터 육성 시나리오가 캐릭터 육성 정보를 무선 게임 서버(105)로 백업할 것을 결정하면(315),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은 게이머에 의해 획득된 캐릭터 육성 정보를 이동 통신 시스템(110) 및 무선 인터넷을 통해 무선 게임 서버(105)로 전송한다(320).
무선 단말기(125)로부터 캐릭터 육성 정보가 무선 게임 서버(105)로 전송되면,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은 캐릭터 육성 시나리오에 의한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325).
만약, 게이머가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캐릭터 육서 시나리오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임무를 완수하였거나, 게이머가 강제로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을 종료하였다면(330), 무선 단말기(125)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은 자동 삭제된다(335). 그러나, 캐릭터 육성 시나리오에 의한 캐릭터 육성이 완료되지 않았거나, 게이머가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을 강제로 종료하지 않았다면,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은 캐릭터 육성 시나리오에 의한 캐릭터 육성 게임을 계속 진행한다.
무선 단말기(125)에서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이 완료되어 해당 무선 게임이 무선 단말기(125)에서 삭제되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캐릭터 육선 무선 게임을 통해 무선 단말로부터 백업되어 있던 캐릭터 육성 정보를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한다(340).
상기와 같이 무선 게임 서버(105)에 백업되어 있던 게이머의 캐릭터 육성 정보가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되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가공된 캐릭터 육성 정보를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 전달한다(345).
무선 게임 서버(105)로부터 게이머의 캐릭터 육성 정보가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 전달되면, 온라인 게임 서버(100)는 전달된 캐릭터 육성 정보를 통해 온라인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갱신함으로써(350), 게이머의 캐릭터를 무선 단말기(125)에서 캐릭터 육선 무선 게임을 통해 육성한 만큼 레벨업한다.
상기와 같이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이 무선 단말기(125)에서 육성한 만큼 레벨업되면, 온라인 게임 서버(100)는 도면2와 같이 게이머의 캐릭터 육성을 위해 임시 정지되었던 게이머의 게임 계정을 원래대로 복구함으로써(355), 게이머가 육성되어 레벨업 된 캐릭터를 통해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본 실시예는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에 대한 것으로써,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무선 단말기(125)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무선 단말기(125)가 무선 게임 서버(105)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부터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 을 내려 받으며, 무선 단말기(125)가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동안 무선 게임 서버(105)를 통해 무선 단말기(125)와 온라인 게임 서버(100)를 실시간 정보 교환을 통해 연동한다.
도면4는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유·무선 연동 온라인 게임 네트워크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위해서는 유선 상의 게이머들에게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서버(100), 상기 온라인 게임 서버(100)와 무선 상의 무선 단말기(125)를 연동할 수 있는 게임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 게임 서버(105), 그리고 무선 게임 서버(105)를 통해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125)가 있어야 한다.
온라인 게임 서버(100)는 첫 번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상의 게이머에게 온라인 게임을 위한 가상 공간과 게임 설정 등을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서버 시스템으로써, 게이머는 유선 상의 컴퓨터를 통해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할당된 게임 계정으로 접속하여 해당 게임이 제공하는 가상 공간과 다양한 게임 설정 등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진행한다.
온라인 게임은 게임 제작자가 설정한 게임 시나리오에 따라 진행되는 싱글 유저 게임이 아니라 게이머의 컴퓨터가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이 제공하는 가상 공간과 게임 설정을 통해 자시의 캐릭터를 레벨업하고, 게임 상의 커뮤니티를 통해 공동의 임무를 수행하는 멀티 유저 게임이다.
따라서, 온라인 게임은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으며, 특히 다른 게임에 비해 강화된 커뮤니티 기능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무선 게임 서버(105)는 무선 단말기(125)가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임 게이트웨이로써, 무선 게임 서버(105)는 무선 단말기(125) 입장에서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는 프록시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며, 온라인 게임 서버(100) 입장에서 유선 상의 컴퓨터 시스템과 같이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클라이언트 역할을 수행한다.
즉, 무선 단말기(125)는 무선 게임 서버(105)를 통해 유선 상의 컴퓨터와 같이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기(125)에서 생성된 정보는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가공 되어 전송되며,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서 생성된 정보는 무선 게임 서버(105)를 통해 무선 단말기(125)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가공되어 수신된다.
무선 단말기(125)는 SMS(Short Message Service), EMS(Enhanced Message Service), 그리고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과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무선 게임 서버(105)를 경유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거나, 무선 인터넷을 통해 무선 게임 서버(105)를 경유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써, 무선 게임 서버(105)가 제공하는 실시간 연동 무선 게임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VM과 같은 시스템 환경이 탑재되어 있다.
도면5는 유선 상의 온라인 게임 서버(100)가 무선 단말기(125)와 실시간 연동하는 단계에서, 무선 단말기(125)가 무선 게임 서버(105)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실시간 연동 무선 게임 컨텐츠를 내려 받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게이머가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무선 게임 서버(105)에 접속하고(500),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해 온라인 게임 계정과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505), 무선 게임 서버(105)는 암호화 코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무선 단말기(125)가 입력한 온라인 계정과 비밀 번호를 온라인 게임 서버(100)가 처리할 수 있는 코 드로 가공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전달함으로써(510),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입력된 게임 계정과 비밀 번호가 유효한지를 확인한다.
만약, 무선 단말기(125)로부터 유효한 게임 계정과 비밀 번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515), 무선 게임 서버(105)는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유효한 게임 계정과 비밀 번호를 재입력하도록 요청한다(520).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무선 단말기(125)로부터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 유효한 게임 계정과 비밀 번호가 입력되어 유효성이 입증되면(525), 무선 게임 서버(105)는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HLR/VLR(120) 등을 참조하여 이동 통신 가입자의 개인 신상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게이머가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입력한 정보를 통해 게이머의 개인 신상 정보를 추출함으로써(530), 무선 단말기(125)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 서버(100)를 통해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정상적인 게이머인지 확인한다(535).
만약 정상적인 게이머가 아니라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상기 무선 단말기(125)에 대한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정지한다.
그러나, 무선 단말기(125) 사용자가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정상적인 게이머라면(540), 무선 게임 서버(105)는 이동 통신 시스템(110) 의 HLR/VLR(120) 등을 참조하여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에 대한 시스템 정보를 추출한다(545).
무선 게임 서버(105)가 이동 통신 시스템(110)의 HLR/VLR(120) 등을 참조하여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 시스템 정보를 추출하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상기 무선 단말기(125)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한다(550).
예를 들어,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가 65536 칼라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48화음 사운드 출력을 지원한다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상기 무선 단말기(125)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최적화 시켜 가공한다.
무선 게임 서버(105)가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해당 무선 단말기(125)에 사용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상기와 같이 가공된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통해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실시간 연동 무선 게임 컨텐츠를 생성한다(555).
예를 들어,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가 팜 OS(Palm Operating System)나 Windows CE와 같은 운영 체제가 탑재되어 있다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상기와 같이 가공된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을 팜 OS나 Windows CE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의 무선 게임 컨텐츠로 생성한다.
단, 상기와 같이 생성된 실시간 연동 무선 게임 컨텐츠는 무선 단말기(125) 출력을 위한 것이며,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한 기존 유선 상의 게이머의 컴퓨터에는 온라인 게임 서버(100)가 제공하는 원래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이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에서 실행 가능한 실시간 연동 무선 게임 컨텐츠가 생성되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상기 실시간 연동 무선 게임 컨텐츠를 이동 통신 시스템(110) 및 무선 인터넷을 통해 해당 무선 단말기(125)로 전송한다(560).
무선 게임 서버(105)를 통해 온라인 게임 서버(100)의 게임 계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시간 연동 무선 게임 컨텐츠가 해당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로 전송되면, 온라인 게임 서버(100)는 해당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의 진행이 가능한 형태로 설정한다(565).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125)는 유선 상의 컴퓨터에 비해 온라인 게임을 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열악하다. 즉, 마우스와 같은 휴먼 인터페이스(Human Interface)도 결여되고, 열악한 무선 단말기(125) 키보드를 통해 기존 유선 상의 컴퓨터들과 대등한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에 무선 단말기(125)를 위한 특징적인 설정의 할당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접속한 게이머의 캐릭터가 온라인 게임 상에서 몬스터와 같은 게임 상의 아이템과 조우하거나, 기존 유선 상의 컴퓨터를 통해 접속한 적대적인 다른 게이머의 캐릭터와 조우하여 전투가 발생한 경우,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접속한 게이머의 캐릭터는 무선 단말기(125)의 열악한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특징적인 설정의 할당이 필요하다.
도면6은 무선 단말기(125)로 전송된 실시간 연동 무선 게임 컨텐츠를 통해 게이머가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게이머가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면,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은 무선 게임 서버(105)에 접속하고(600), 게이머가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해 온라인 게임 계정과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605), 무선 게임 서버(105)는 암호화 코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무선 단말기(125)가 입력한 온라인 계정과 비밀 번호를 온라인 게임 서버(100)가 처리할 수 있는 코드로 가공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전달함으로써(610),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입력된 게임 계정과 비밀 번호가 유효한지를 확인한다.
만약, 무선 단말기(125)로부터 유효한 게임 계정과 비밀 번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615), 무선 게임 서버(105)는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유효한 게임 계정과 비밀 번호를 재입력하도록 요청한다(62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과정은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에서 실행된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에 의해 진행되며, 도면5와 같이 실시간 연동 무선 게임을 무선 단말기(125)로 다운로드 하는 과정에서 해당 무선 단말기(125)에 대한 시스템 정보 확인과 인증 과정을 거쳤으므로,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무선 단말기(125)의 시스템 인증 과정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무선 단말기(125)로부터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 유효한 게임 계정과 비밀 번호가 입력되어 유효성이 입증되면(625), 온라인 게임 서버(100)는 도면5의 과정을 통해 무선 단말기(125)를 사용하는 게이머의 온라인 캐릭터와 게임 설정에 할당되어 있는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 설정을 적용한다(630).
예를 들어, 게이머의 캐릭터의 방어력의 수치가 100일 경우, 해당 게이머가 유선 상의 컴퓨터를 통해 접속하면 해당 캐릭터의 방어력은 100이지만, 상기 게이머가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면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게임 설정에 의해 방어력의 수치가 50% 자동 증가하게 된다.
게이머가 무선 단말기(125)를 통해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게임 설정이 적용되면, 무선 게임 서버(105), 즉 게임 게이트웨이는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와 온라인 게임 서버(100)를 실시간 연동할 수 있는 가상 회선을 구성한다(635).
즉, 무선 단말기(125)에서 변경된 캐릭터와 게임 설정은 게임 게이트웨이를 통해 가공되어 즉시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 전송되고,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부터 변경된 캐릭터와 게임 설정은 즉시 무선 단말기(125)로 전송되어 동기화 시킬 수 있는 가상 통신 회선이 확보되는 것이다.
무선 게임 서버(105), 즉 게임 게이트웨이를 통해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와 온라인 게임 서버(100) 사이의 가상 회선이 구성되면, 게이머는 무선 단말기(125)와 상기 가상 회선을 통해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진행한다(640).
상기와 같이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이 진행되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게이머의 무선 단말기(125)에 탑재되어 있는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을 통해, 무선 단말기(125)에서 게임 진행을 위한 게임 정보가 생성되는지 확인한다(645).
게임 정보는 게이머가 게임 진행을 위해 입력하는 명령과 그에 수반하는 다양한 게임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온라인 게임은 게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교환함으로써 진행된다.
만약 무선 단말기(125)에서 게임 정보가 생성되었다면(650), 무선 게임 서버(105)는 실시간 연동 무선 게임 컨텐츠로부터 해당 게임 정보를 무선 게임 서버(105)로 전송하도록 하고(655), 무선 단말기(125)에서 수신된 게임 정보를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 전송한다(660).
그러나, 무선 단말기(125)에서 게임 정보가 생성되지 않았다면(665), 무선 게임 서버(105)는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부터 무선 단말기(125)로 전송할 게임 정보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670).
만약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서 게임 진행을 위한 게임 정보가 생성되었다면(675), 무선 게임 서버(105)는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부터 해당 게임 정보를 무선 게임 서버(105)로 전송하도록 하고(680),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서 수신된 게임 정보를 무선 단말기(125)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무선 단말기(125)로 전송한다(685).
물론, 상기 과정을 통해서도 무선 게임 서버(105)가 무선 단말기(125)와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서 게임 정보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없다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무선 단말기(125)와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서 게임 정보가 생성되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무선 게임 서버(105)를 통해 무선 단말기(125)에서 생성된 게임 정보가 가공되어 온라인 게임 서버(100)로 전송되고, 온라인 게임 서버(100)에서 생성된 게임 정보가 가공되어 무선 단말기(125)로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이 진행하는 동안, 해당 무선 게임 서버(105)는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이 종료되는지 확인한다(690).
만약 실시간 연동 무선 게임이 종료되지 않고 진행된다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상기와 같은 게임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무선 단말기(125)나 온라인 게임 서버(100), 또는 실시간 연동 가상 회선 상의 문제에 의해 실시간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이 종료되면, 무선 게임 서버(105)는 온라인 서버에 동기화되어 변경된 게이머의 캐릭터와 게임 설정 등을 저장함으로써(695), 실시간 연동 모드 무선 온라인 게임을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 상의 온라인 게임 서버와 무선 상의 무선 단말기를 연동할 수 있는 무선 게임 서버를 통해 유·무선 연동 무선 온라인 게임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게임에 무선 단말기의 특징인 휴대성(Portability)과 이동성(Mobility)을 통해 게이머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유선 상의 게임을 무선 상에서도 즐길 수 있으므로, 게임중독증과 같은 유해요소를 방지하고, 또한 다양한 사회활동과 신체적으로 충분한 운동, 그리고 게임 이외의 인간관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게임서버에 접속한 게이머가 유선 게임 상에서의 캐릭터를 무선 환경에서 육성하기 위한 소정의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 컨텐츠를 요청하면, 상기 게임서버에서 상기 게이머에게 상기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 컨텐츠를 수신할 무선 단말기 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무선 단말기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 번호에 대응하는 통신사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게이머 소유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결과,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게이머 소유 무선 단말기인 경우, 상기 게임서버에서 상기 게이머가 요청한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 컨텐츠를 상기 게이머 소유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이머 소유 무선 단말기에서 상기 캐릭터 육성 무선 게임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캐릭터를 육성한 후, 캐릭터 육성 정보를 상기 게임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게임서버에서 상기 게이머 소유 무선 단말기에서 전송한 캐릭터 육성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된 캐릭터 육성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게이머가 유선 게임 상에서 이용하는 상기 캐릭터의 정보를 갱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육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서버는,
    유선 게임서버와 무선 게임서버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육성 방법.
KR1020070008426A 2007-01-26 2007-01-26 캐릭터 육성 방법 KR20070017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426A KR20070017232A (ko) 2007-01-26 2007-01-26 캐릭터 육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426A KR20070017232A (ko) 2007-01-26 2007-01-26 캐릭터 육성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233A Division KR20060020729A (ko) 2006-02-20 2006-02-20 무선 단말기에서의 게임 데이터를 유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232A true KR20070017232A (ko) 2007-02-08

Family

ID=4365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426A KR20070017232A (ko) 2007-01-26 2007-01-26 캐릭터 육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72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6350B2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71633A1 (en) Providing social network content in games
JP6808898B2 (ja) 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サーバ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620626B1 (ko) 유무선 연동하여 게임 데이터를 갱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5535272B2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KR100808629B1 (ko) 게임캐릭터 거래방법
CN113262494A (zh) 游戏中的任务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0704044B1 (ko) 무선 단말기에서의 게임 데이터를 유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방법 및 시스템
JP4759017B2 (ja) カードゲーム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70020106A (ko) 캐릭터 육성 시스템
KR20070020107A (ko) 무선 단말기에서의 게임 데이터를 유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방법
KR20060020729A (ko) 무선 단말기에서의 게임 데이터를 유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060031823A (ko) 무선 단말기에서의 게임 데이터를 유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0736A (ko) 유무선 연동 게임서버와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60031824A (ko) 유무선 연동 게임서버와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60020737A (ko) 유무선 연동 게임서버와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5624589B2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17232A (ko) 캐릭터 육성 방법
KR20070017437A (ko) 무선 게임 데이터를 유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 방법
KR20060031822A (ko) 무선 단말기에서의 게임 데이터를 유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0731A (ko) 유선 게임 데이터를 무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60020735A (ko) 유선 게임 데이터를 무선 게임 상에 적용하는 방법 및시스템
KR101608000B1 (ko) 도전 과제 제공 방법,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 시스템
KR20050091438A (ko) 온라인 상에 제공되는 게임 내의 캐릭터 및 게임정보 운영시스템 및 방법
KR20050051985A (ko) 아바타 시스템 및 아바타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022

Effective date: 2008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