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6733A - 창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6733A
KR20070016733A KR1020050071674A KR20050071674A KR20070016733A KR 20070016733 A KR20070016733 A KR 20070016733A KR 1020050071674 A KR1020050071674 A KR 1020050071674A KR 20050071674 A KR20050071674 A KR 20050071674A KR 20070016733 A KR20070016733 A KR 20070016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ock
locking
rod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2519B1 (ko
Inventor
변경혜
Original Assignee
변경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경혜 filed Critical 변경혜
Priority to KR1020050071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51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6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식에 의한 원터치 버튼방식으로 창문을 쉽게 열거나 잠궈지도록 하고 창문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전면부에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증진시키며 외형상 깔끔한 설치구조를 이루도록 한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는 내측 창문의 수직프레임에 소정크기의 하우징을 포함토록 구성하고 잠금봉과 렉기어로 구성하는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에 운동력을 부여하는 모터와 구동기어로 구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잠금부와 구동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동작버튼을 포함한 손잡이로 구성하는 조작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대응하는 외측 창문의 수직프레임에는 돌출한 잠금봉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잠금홈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창문용 잠금장치는, 조작부의 동작버튼을 통해 잠금부의 잠금봉이 대응하는 외측 창문의 잠금홈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창문이 열려지지 않는 잠금장치의 기능을 하며 외부에서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범효과를 높인다. 또한, 원터치 버튼방식으로 용이하게 창문을 잠궈지도록 하고 잠금봉을 이용한 잠금장치와 더불어 래치나 결속부를 이용한 보조 잠금부를 더 포함하여 잠금장치의 효율성을 더욱 증진시키며, 수직프레임의 전면부에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깔끔한 외관구조를 가지도록 해 제품의 미감적 효과를 극대화하여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한다.
창문, 샤시, 잠금, 방범.

Description

창문용 잠금장치{Window Locking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에서 위치감지센서를 활용한 창문용 잠금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에서 보조 잠금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에서 보조 잠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창문용 잠금장치 110 : 전지
111 : 덮개 120 : 잠금부
121 : 잠금봉 122 : 멈침돌기
123 : 잠금봉 가이드 124 : 센서봉
125 : 렉기어 126 : 위치감지센서
130 : 구동부 131 : 구동모터
132 : 구동기어 140 : 조작부
150 : 하우징 151 : 잠금봉끼움공
160, 170, 170' : 보조잠금부 161 : 래치
163 : 탄성부재 171, 171' : 결속부
180, 180' : 고정고리 181, 181' : 걸이부
본 발명은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식에 의한 원터치 버튼방식으로 창문을 쉽게 열거나 잠궈지도록 하고 창문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전면부에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증진시키며 외형상 깔끔한 설치구조를 이루도록 한 창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용 잠금장치라 함은 슬라이드식 개폐작용을 행하는 각종 창문틀(베란다 창 또는 실내 창 등)에 적용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적인 창문의 열고 닫음에 의해 외부의 침입을 예방하는 방범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현재에는 창문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사용하는 것으로 종래의 창문용 잠금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잠금장치(1)는 창문을 형성하는 프레임중 수직프레임(2)에 회전가능하 게 설치되어 시계 반대방향으로 작동하는 잠금레버(10)와 타측 창문을 형성하는 수직프레임(2')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잠금레버(10)를 결속하는 고정고리(20)로 구성한다.
상기 잠금레버(10)는 중앙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로서 회동하는 일편에는 상기 고정고리(20)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반원형의 결속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11)에 대한 고정고리(20)는 일측에 ⊂자 형으로 절곡되게 걸이부(21)가 형성된다.
통상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잠금레버(10)가 수직으로 위치하고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는 방범목적 하에 잠금레버(1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90°또는 그 이상의 각도로 회전시켜 주면 상기 잠금레버(10)의 결속부(11)는 상기 고정고리(20)의 걸이부(21)에 안내되어 창문은 잠금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잠금레버(10)의 해제는 역으로 잠금레버를 회전시켜 주면 창문을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창문용 잠금장치(1)는 창문을 장기간 사용하면 결속부(11)가 걸이부(21)에 수없이 접촉하면서 절곡된 걸이부(21)가 휘어지거나 펼쳐지면서 변형되어 잠금레버(10)의 결속부(11)가 고정고리(20)의 걸이부(21)에 정확하게 걸려지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걸이부(21)는 얇은 금속을 절곡하여 만든 것으로 내구성이 매우 약하므로 외부에서 창문을 강한 힘으로 흔들거나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경우에는 창문이 열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하여, 상기 종래의 창문용 잠금장치(1)는 외측으로 그대로 노출되는 개방 형 구조로서 외형상 구조를 매우 조잡하게 하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외관 구조에 따라 단순한 기능적 측면의 특성만을 제공할 뿐 그 외 사용자의 시각적 호기심 등을 자극할 수 있는 외형적인 미감효과는 결코 기대할 수 없는 매우 한정된 사용상의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의 외관구조를 깔끔하게 처리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만족감을 높이고 보다 쉽게 창문을 열거나 잠글수 있도록 내측 창문의 수직프레임 내부에 소정크기의 하우징을 구성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구동모터와 구동기어로 구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맞물려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바꿔주는 렉기어와 수직프레임의 외부로 돌출해 실질적으로 창문을 잠그는 역할을 하는 잠금봉으로 구성하는 잠금부와, 창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와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는 전원부의 전원을 조절할 수 있게 회로연결한 동작버튼으로 구성하는 조작부로 이루어지는 창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측 창문의 수직 프레임에는 잠금봉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잠금홈을 구성하고 보조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해 창문의 방범효과를 극대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는, 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내측 창문의 수직프레임 내부에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외부에 일정길이가 돌출되어 외측 창문의 수직프레임에 형성한 잠금홈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창문이 열리지 않게 하는 잠금봉과 렉기어로 구성되는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높이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미관상 수려한 형태로 수직프레임의 외측에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은 내측 창문의 수직프레임 내부에 포함토록 구성하는데 하우징의 후면부는 외측 창문과 마주보는 내측 창문의 한 면이 되거나 내측 창문의 수직프레임에 포함된다. 또한, 내부에 설치된 잠금봉이 프레임의 외측에 돌출될 수 있도록 잠금봉끼움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상기 내측 창문의 수직프레임의 외측에는 창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손잡이와 전원부 및 구동부와 회로연결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를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는 외형이 수려하고 미관상 보기 좋은 형태로 창문을 열고 닫기가 수월한 형태를 가지고 일측에는 소정크기의 동작버튼을 구성한다. 상기 동작버튼은 소정의 접지판을 끝에 구성한 버튼확장부에 의해 하우징 내의 접지부와 버튼을 누르는 행위에 의해 회로연결되어 전원을 구동부의 모터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손잡이의 상부나 하부에 다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덮개형태로 외관성 수려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잠금부와 구동부를 형성하는데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구동기어의 기계적인 연결상태로 구성되어 전원부의 전지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고 잠금부로 그 힘을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는 소정 크기의 잠금봉과 렉기어로 구성되는데 구동부에서 전달된 회전력은 렉기어에 의해 전후 직선운동으로 바뀌고 렉기어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잠금봉은 이를 이용해 하우징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그리고 대응하는 위치의 외측 창문에 형성한 잠금홈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창문은 외부의 힘에도 열리지 않고 방범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와 같은 잠금장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한다.
상기 전원부 덮개의 외측으로 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고 상기 잠금부의 전후 운동위치로 위치감지센서를 구성해 잠금부의 운동에 의해 창문이 잠겨지거나 열리면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점멸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태를 알려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잠금봉을 이용한 잠금장치와 더불어 탄성부재와 래치를 이용한 보조잠금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래치는 창문의 닫힘방향쪽의 측면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항상 외측 창문쪽으로 돌출한 상태이다. 이때 조작부의 손잡이는 회동부와 보조관절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고 이는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창문을 열고자 할 때는 탄성부재에 힘을 가해 래치가 대응하는 위치의 또다른 잠금홈에서 빠져나오게 한다.
그리고, 종래의 결속부와 고정고리를 이용한 보조잠금부를 포함하기도 하는데 반달의 돌출한 형태이거나 소정의 각도를 가진 판형상의 결속부가 외측 창문의 수직프레임에 고정된 고정고리의 걸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외측 창문을 내측 창문 쪽으로 당겨 상기의 잠금장치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에서 위치감지센서를 활용한 창문용 잠금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에서 보조 잠금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에서 보조 잠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100)는 크게 내측 창문의 수직프레임(2) 내부로 일측에 잠금봉끼움공(151)을 형성한 하우징(150)을 구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2)의 외측에 전지(110)를 포함하는 전원덮개(111)로 구성하는 전원부와, 상기 하우징(150)의 내부로 상기 전원부와 회로연결되어 움직이는 구동모터(131)와 구동기어(132)로 구성하는 구동부(130)와, 상기 구동부(130)와 맞물려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바꿔주는 렉기어(125)와 상기 렉기어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잠금봉끼움공(151)을 통과하여 하우징(150)이 포함된 수직프레임(2)의 외부로 돌출할 수 있게 전후 직선운동을 하는 소정크기의 잠금봉(121)으로 구성하는 잠금부(120)와, 상기 수직 프레임(2)의 외측에 창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손잡이(141)와 상기 구동부(130)로 전달되는 전원부의 전원을 조절할 수 있게 회로연결한 동작버튼(142)으로 구성하는 조작부(1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외측 창문의 수직프레임(2')에는 상기 잠금봉끼움공(151)을 통과하여 소정길이가 내측 수직프레임(2)의 외부로 돌출한 잠금봉(121)이 끼워져 창문이 잠궈지도록 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잠금봉(121)을 꽉차게 포함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잠금홈(3)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50)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100)가 들어가는 몸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내측 창문의 수직프레임(2) 내부에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150)의 후면부는 상기 수직프레임(2)의 외측면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잠금봉(121)이 통과하는 소정 크기의 잠금봉끼움공(151)을 일측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는 잠금장치(100)의 전체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110)와 이를 포함하는 덮개(111)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전원부는 전지(110)의 개수와 비례하여 상기 조작부(140)의 하부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111)의 일측에는 하우징(150)내의 위치감지센서(127)와 회로연결되어 상기 잠금봉(121)의 잠금 상태에 따라 점멸 하여 창문이 열려 있는지 잠겨져 있는 지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112)를 전면부에 구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원부가 수직프레임(2)의 외측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바라보는 잠금장치(100)의 외관상 모습을 결정하게 된다면 상기 하우징(150)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100)를 작동하게 하는 잠금부(120)와 구동부(130)를 구성한다.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전원부와 회로연결되어 전지(110)에서 나오는 전력 을 이용해 구동모터(131)를 회전케하고 상기 구동모터(131)와 맞물린 하나 또는 다수개의 구동기어(132)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구동모터(131)는 회전하게 되고 이는 다시 구동기어(132)를 통해 잠금부(120)의 렉기어(125)에게 전해져 직선운동으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렉기어(125)는 소정크기의 잠금봉(121)과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렉기어(125)의 전후 직선운동은 그대로 잠금봉(121)에 전해지고 상기 잠금봉(121)은 하우징(150)의 잠금봉끼움공(151)을 통과하여 대응하는 외측 창문의 수직프레임(2')에 형성한 잠금홈(3)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힘이 가해져도 창문이 열리지 않고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렉기어(125)의 측면에 소정길이의 센서봉(124)을 일체로 형성하고 대응하는 하우징(150) 내측면에는 소정의 회로판(126)으로 형성하는 위치감지센서(127)를 하나 또는 두개 형성한다.
이는 상기 센서봉(124)이 렉기어(125)의 직선운동에 의해 전진했을때 위치감지센서(127)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잠금봉(121)이 외부로 돌출하여 창문이 잠겨져 있는 것으로 판단해 덮개(111)에 형성한 발광다이오드(112)를 점멸을 통해 사용자에게 창문의 상태를 알려주는 것이다. 하나의 위치감지센서(127)를 사용하였을 때는 반복적으로 지나가는 경우의 수를 두개의 위치감지센서(127)를 사용하였을 때는 각각의 위치를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112)의 점멸을 조정한다. 이때 상기 위치감지센서(127)와 다이오드(112)는 회로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40)는 전체적인 잠금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 로 동작버튼(142)과 손잡이(141)로 구성한다. 상기 손잡이(141)는 수직프레임(2)의 전면에 위치하며 창문을 쉽게 여닫을 수 있고 한손으로 감쌀 수 있으며 미적인 감각을 최대한 활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동작버튼(142)은 손잡이(141)의 일측에 형성되는 바 끝부에 소정의 금속 접지판(143a)를 형성한 버튼확장부(143)와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도 5(a)(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창문을 닫고 잠그려고 하는 경우 조작부(140)의 동작버튼(142)을 누른다. 이때 버튼확장부(143)의 접지판(143a)이 소정위치에 있는 접지부(144)와 접촉하게 되고 전원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모터(131)와 구동기어(132)가 회전력을 가지고 작동하게 된다. 이는 렉기어(125)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바뀌게 되고 일체형으로 구성된 잠금봉(121)은 앞으로 전진하여 잠금봉끼움공(151)을 통과해 외측 창문의 수직프레임(2')에 형성한 잠금홈(3)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봉(121)의 끝부에는 소정크기로 돌출한 멈침돌기(122)가 있어 상기 멈침돌기(122)가 잠금봉끼움공(151)의 측부에 접촉케 되면서 직선운동은 멈추게 된다.
이에 의해, 창문의 잠금상태를 해지하고자 할 때에는 재차 동작버튼(142)을 눌러 잠그려고 하는 동작의 반대방향으로 잠금장치(100)가 작동하게 한다.
이때, 상기 잠금봉(121)은 하우징(150)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형성한 잠금봉가이드(123)를 따라 전후로 이탈되지 않고 직선운동을 한다.
또한, 도 6과 도 7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용 잠금장치(100)에 있어서, 잠금장치(100)의 효율을 높이고 방범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보조잠금부(160, 170, 170')를 구성한 것이다.
도 6(a)(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우징(150)내부의 잠금봉(121)을 이용한 잠금장치의 하부로 상기 하우징(150) 내부에서 항상 외측창문 쪽을 향하여 탄성작용하는 탄성부재(163)와 래치(161)를 이용한 보조잠금부(160)를 구성한다. 상기 탄성부재(163)는 하우징(15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전면에 래치(161)를 고정한다.
상기 래치(161)는 선단부가 창문의 닫힘방향쪽의 측면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163)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외측창문쪽으로 돌출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측창문이 닫혀지면 곡면을 타고 창문이 이동하게 되면서 외측창문의 수직 프레임(2')에 형성한 또하나의 잠금홈(3')에 자동적으로 끼워져 걸리게 된다.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면의 반대측은 직각의 형태를 가져 상기 래치(161)를 뒤로 빼기 전에는 창문을 열 수 없게 된다.
또한, 이때 잠금장치의 손잡이(141)는 회동부(145)와 보조관절(162)을 포함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레버형식으로 상기 탄성부재(163)와 래치(161) 사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창문을 닫으면서 자동적으로 걸리는 래치(161)는 상기 손잡이(141)를 이동함으로써 탄성부재(163)가 뒤로 밀리고 그에 따라 래치(161)도 후진하게 되고 창문을 열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잠금봉(121)을 이용한 잠금장치와 더불어 하부로 보조잠금부(160)를 구성함으로써 방범효과는 더욱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장치는 기본적으로 잠금봉(121)과 래치(161)의 길이에 의존하기 때문에 외측 창문과의 거리가 멀 경우 잠금장치로서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내측 창문의 하우징(150)의 후면부에 창문의 닫힘방향쪽으로 구부러지고 외측면이 완만한 곡면의 반달형상을 가지는 결속부(171)와 대응하는 외측 창문의 수직프레임(2')에 고리형상의 걸이부(181)를 형성한 고정고리(180)로 이루어지는 보조잠금부(170)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는, 상기 창문을 닫을 때 상기 결속부(171)가 상기 걸이부(181)에 삽입되는 형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곡면을 이루는 결속부(171)의 두께에 의해 외측 창문이 내측 창문 측으로 당겨져 잠금봉(121)에 의한 잠금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결속부(171)는 상기 걸이부(181)와 a의 길이를 가지도록 각도를 가지고 b라는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어 외측 창문을 내측 창문 측으로 끌어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창문의 수직프레임(2) 후면부 즉 하우징(150)의 후면부에 소정 크기로 각도를 가지며 꺽어진 판형상의 결속부(171')를 구성하고 대응하는 외측 창문의 수직프레임(2')의 위치로 상기 판형상의 결속부(171')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걸이부(181')를 형성한 고정고리(180')로 이루어지는 보조잠금부(170')를 포함하기도 한다.
상기 판형상의 결속부(171')는 프레임(2)과 프레임(2') 사이 공간내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이며 창문의 닫힘방향쪽으로 입을 크게 벌린 소정의 각도를 가진 형상이다. 따라서, 창문을 닫을 때 상기 꺽어진 판형상의 결속부(171')가 고정고리(180')의 걸이부(181')에 삽입되면서 프레임(2)과 프레임(2')의 간격을 좁히게 되어 잠금봉(121)을 이용한 잠금장치(100)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의 동작버튼을 통해 잠금부의 잠금봉이 대응하는 외측 창문의 잠금홈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창문이 열려지지 않게 잠금장치의 기능을 한다.
원터치 버튼방식으로 용이하게 창문을 잠궈지도록 하고 잠금장치와 더불어 보조잠금부를 더 포함하여 잠금장치의 효율성을 더욱 증진시키고 전면부에 잠금장치를 구성하여 깔끔한 외관구조로서 제품의 미감적 효과를 극대화하여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한다.

Claims (9)

  1. 내측 창문의 수직프레임 내부에 포함되어 일측에 소정크기의 잠금봉끼움공을 형성한 하우징을 구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에 돌출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를 포함하는 소정크기의 전원덮개로 구성하는 전원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전원부와 회로연결되어 움직이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기어로 구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맞물려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바꿔주는 렉기어와 상기 렉기어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잠금봉끼움공을 통과하여 하우징이 포함된 수직프레임의 외부로 돌출할 수 있게 전후 직선운동을 하는 소정크기의 잠금봉으로 구성하는 잠금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에 창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손잡이와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는 전원부의 전원을 조절할 수 있게 회로연결한 동작버튼으로 구성하는 조작부로 이루어지고;
    외측 창문의 수직프레임에 상기 잠금봉끼움공에 대응하는 위치로 외부로 돌출한 잠금봉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잠금홈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봉은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어 형성한 잠금봉가이드를 따라 전후로 직선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봉의 외측면상에 소정크기로 돌출한 멈침돌기를 형성해 상기 멈침돌기가 잠금봉끼움공의 내벽과 접촉함으로서 잠금봉의 운동을 정지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일측에 전원부와 회로연결하는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렉기어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소정길이의 센서봉과 상기 센서봉과 대응하는 하우징 내의 위치로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감지센서를 형성하여;
    상기 렉기어의 직선운동에 의한 센서봉의 위치를 상기 위치감지센서가 파악해 회로연결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점멸을 조절함으로써 창문의 개폐여부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끝부에 접지판을 형성한 버튼확장부를 구성하여 상기 전원부와 회로연결한 접지부와 상기 접지판의 접촉에 의해 구동부의 운동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회동부와 보조관절을 포함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레버형식이고;
    상기 레버형 손잡이와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항상 외측창문 쪽을 향하여 탄성작용하는 탄성부재와;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외측창문쪽으로 돌출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측창문이 닫혀지면 외측창문의 수직 프레임에 형성한 또하나의 잠금홈에 자동적으로 끼워져 걸리고, 상기 손잡이에 의한 탄성부재의 조절로 상기 잠금홈에서 빠져나오는 래치로 이루어지는 보조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선단부가 창문의 닫힘방향쪽의 측면이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내측 창문의 하우징의 후면부에 닫힘방향쪽으로 구부러지고 외측면이 완만한 곡면의 반달형상을 가지는 결속부를 구성하고;
    대응하는 외측 창문의 수직프레임에 고리형상의 걸이부를 형성한 고정고리를 구성하여;
    상기 창문을 닫을 때 상기 결속부가 상기 걸이부에 삽입되는 형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곡면을 이루는 결속부에 의해 외측 창문이 내측 창문 측으로 당겨져 잠금봉에 의한 잠금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게 하는 보조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창문의 닫힘방향쪽으로 벌려져 소정의 각도를 가진 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잠금장치.
KR1020050071674A 2005-08-05 2005-08-05 창문용 잠금장치 KR100722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674A KR100722519B1 (ko) 2005-08-05 2005-08-05 창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674A KR100722519B1 (ko) 2005-08-05 2005-08-05 창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733A true KR20070016733A (ko) 2007-02-08
KR100722519B1 KR100722519B1 (ko) 2007-05-28

Family

ID=4163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674A KR100722519B1 (ko) 2005-08-05 2005-08-05 창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843A2 (ko) * 2008-03-21 2009-09-24 (주) 엘지화학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843A2 (ko) * 2008-03-21 2009-09-24 (주) 엘지화학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WO2009116843A3 (ko) * 2008-03-21 2009-12-23 (주) 엘지화학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DE112009000459B4 (de) * 2008-03-21 2012-10-04 Lg Hausys, Ltd. Digitale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Fenster und Tü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2519B1 (ko) 200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107489A (ja) テールゲート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アセンブリ
JP2008540880A (ja) 磁気ラッチ機構
CN209637428U (zh) 一种智能防盗锁
KR20070016733A (ko) 창문용 잠금장치
KR100609027B1 (ko) 로울러식 방충망의 망체손잡이용 잠금기구
US7798665B2 (en) Structure of optoelectronic handhold
EP1686225A2 (en) A handle for turn opening or tilt and turn opening doors or windows.
CN212562851U (zh) 一种储物柜锁具
KR101249150B1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
KR101088939B1 (ko) 전기정 스트라이크
KR20180137099A (ko) 방범기능을 갖는 창문 및 이를 구비한 창호시스템
KR101661462B1 (ko) 미닫이 문 잠금장치
CN208396488U (zh) 拉高一字锁
KR200391810Y1 (ko) 디지털 도어록장치
CN211818720U (zh) 一种可对向锁合的自动落锁装置
KR101765329B1 (ko)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JP4126181B2 (ja) 電気錠の切換えレバーと支持枠との構造
AU2015101583A4 (en) Locking device implementing multiple locked states for a door
JP4173016B2 (ja) プッシュ・プル錠
KR100367928B1 (ko) 도어록 장치
JP2006288487A (ja) キー変換式錠
CN216476758U (zh) 一种能自动锁定的锁体
JP3725881B2 (ja) 防災用引戸自動閉鎖装置
JPH065481Y2 (ja) 電気錠
JP2008150780A (ja) 窓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