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6053A - 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and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motor vehicles - Google Patents

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and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mot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6053A
KR20070016053A KR1020057025163A KR20057025163A KR20070016053A KR 20070016053 A KR20070016053 A KR 20070016053A KR 1020057025163 A KR1020057025163 A KR 1020057025163A KR 20057025163 A KR20057025163 A KR 20057025163A KR 20070016053 A KR20070016053 A KR 20070016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tator
coupling
electronic
infl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19828B1 (en
Inventor
스테판 쓰론베렌스
베르너 트리쉬베르거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베크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베크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베크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to KR1020057025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828B1/en
Publication of KR20070016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0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8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60R25/021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ke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63Ignition switch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를 개시한다. 상기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는 회전자(5)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자(5)는, 상기 로킹부재(3)를 스티어링 샤프트 로킹 위치와 스티어링 샤프트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기 위하여 시작위치에서 시작하여 다시 상기 시작위치로 돌아가도록 고정자(2) 내에서 회전가능하다. 상기 회전자(5)는, 자체의 시작위치에서 스프링 부하(22)의 영향 하에 상기 고정자(2)에 형태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하(22)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회전자(5)에 동축으로 배치된 전자석(7)을 사용하여 상기 고정자(2)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자(5)와 상기 고정자(2)가 반대방향으로 맞물리는 것을 상쇄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7)이 전자 키를 사용하여 여기될 때, 상기 로킹부재(3)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자(5)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노즈(23)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 노즈(23)는 상기 고정자(2)의 결합 홈(24)과 상호작용하며, 상기 결합 홈(24)은, 자체의 시작위치로부터 회전될 수 있는 상기 회전자(5)가 향하는 측면 위에서 관성체(26)를 통하여 제한되며, 상기 회전자(5)가 스프링 부하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고정자(2) 상에 가해진 충격의 결과로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관성체(26)는 스프링 부하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고정자(2) 내에서 상기 회전자(5)와 함께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방지 메커니즘은 상응하는 차량용 전자 점화 스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Figure 112005077094826-PCT00001

전자 키, 스티어링 샤프트, 전자석, 결합 노즈, 결합 홈, 관성체, 스프링 부하, 고정자, 회전자,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for a vehicle. The vehicle electronic handle lock has a rotor 5. The rotor (5) is rotatable in the stator (2) to start from the starting position and back to the starting position for reciprocating the locking member (3) between the steering shaft locking position and the steering shaft release position. Do. The rotor 5 can be morphologically coupled to the stator 2 under the influence of the spring load 22 at its starting position and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spring load 22. It can be moved axially in the stator 2 using an electromagnet 7 coaxially disposed in the rotor 2, thereby offsetting the engagement of the rotor 5 and the stator 2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electromagnet 7 is excited using an electronic key, the locking member 3 can be moved to the steering shaft release position. The rotor 5 has at least one coupling nose 23, the coupling nose 23 interacts with the coupling groove 24 of the stator 2, the coupling groove 24, It is constrained through the inertia 26 on the side facing the rotor 5 which can be rotated from its starting position, the rotor 5 being applied on the stator 2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spring load. When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as a result of the impact, the inertial body 26 can be moved with the rotor 5 in the stator 2 against the influence of a spring load. The antishock mechanism may be provided in a corresponding vehicle electronic ignition switch.

Figure 112005077094826-PCT00001

Electronic key, steering shaft, electromagnet, coupling nose, coupling groove, inertia, spring load, stator, rotor, electronic handle lock for car.

Description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 및 전자 점화 스위치{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AND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MOTOR VEHICLES}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AND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MOTOR VEHICLES

본 발명은 청구범위 1항 내지 6항에 따른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 및 전자 점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lectronic handle lock and an electronic ignition switch according to claims 1 to 6.

이러한 종류의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 및 전자 점화 스위치는 DE-C-199 57 624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 및 전자 점화 스위치는 고정자 상에 가해진 외부 충격에 대해 민감하다. 즉, 이러한 충격은 상기 고정자와의 결합위치로부터 자체의 스프링 부하의 영향에 반하여 회전자의 축방향 이동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상기 핸들 자물쇠를 사용하거나 전자 키에 배치된 점화 스위치를 사용하는 동안 전자석을 여기할 필요없이 상기 회전자는 자체의 시작위치로부터 회전될 수 있다. A vehicle 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and electronic ignition switch of this kind are disclosed in DE-C-199 57 624. These automotive electronic handle locks and electronic ignition switches are sensitive to external impacts on the stator. That is, such an impact can affect the axial movement of the rotor against the influence of its own spring load from its engagement position with the stator, while using the handle lock or the ignition switch disposed on the electronic key. The rotor can be rotated from its starting position without having to excite the electromagnet.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1항 내지 6항에 따른 충격방지 메커니즘을 구비한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 및 전자 점화 스위치를 제공하여 회전자가 고정자 상에 가해진 외부 충격에 의하여 상기 고정자에 맞물리지 않고 그 후 자체의 시작위치로부터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and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a vehicle having an anti-shock mechanism according to claims 1 to 6 so that the rotor is not engaged with the stator by an external impact applied on the stator and then To be able to rotate from the starting position.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1항 내지 6항의 특징부에 개시된 특징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청구범위 2항 내지 5항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점화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청구범위 7항 내지 10항에 개시되어 있다.  This object is solved by the features disclosed in the features of claims 1 to 6.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electronic handle lo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in claims 2 to 5,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disclosed in claims 7 to 10.

도 1은 회전자가 자체의 시작위치에서 고정자 내에 연동되며 로킹 부재는 자체의 스티어링 샤프트 로킹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회전자의 종축 및 로킹부재의 종축에 따른 종단면도이며,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rotor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locking member, showing that the rotor is interlocked in the stator at its starting position and the locking member is in its steering shaft locking position;

도 2는 상기 회전자가 전자석을 사용하여 언로킹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rotor is unlocked using an electromagnet;

도 3은 상기 회전자가 시계방향으로 90°회전되며 상기 로킹부재가 자체의 스티어링 샤프트 해제위치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 2의 종단면도이며,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2 showing a case in which the rotor is rotated 90 ° clockwise and the locking member is present at its steering shaft release position;

도 4는 상기 회전자가 상기 고정자 상에 가해진 외부 충격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축 위치로 상기 고정자 내에서 이동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showing the case where the rotor is moved within the stator to the axial position shown in FIG. 2 by an external impact applied on the stato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electronic handle lock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회전에 반하여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1)를 로킹하기 위한 도시된 전자 핸들 자물쇠는, 고정자(2), 로킹부재(3), 제어부재(4), 회전자(5), 가동부재(6), 및 전자석(7)을 구비한다. 상기 전자 핸들 자물쇠는 도시되지 않은 전자 원격 조정 키를 사용하여 잠겨질 수 있다.The illustrated electronic handle lock for locking the steering shaft 1 of the vehicle against rotation includes a stator 2, a locking member 3, a control member 4, a rotor 5, a movable member 6, And an electromagnet 7. The electronic handle lock can be locked using an electronic remote control key, not shown.

상기 고정자(2)는 상기 로킹부재(3), 상기 제어부재(4), 상기 회전자(5), 상기 가동부재(6), 및 상기 전자석(7)을 위한 하우징들로서 형성된다. 상기 고정자(2)는, 슬리브 형태의 단면부(8)를 사용하여 상기 로킹부재(3)의 통과개구부(9)를 구비한 재킷(10)에 고정된다. 상기 재킷(10)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 및,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 상에 고정된 로킹 슬리브(11)를 홈 형태의 로킹 제거부(12)와 함께 에워싸며, 상기 홈 형태의 로킹 제거부(12)와 함께 상기 로킹부재(3)는 상호작용한다. 상기 고정자(2)의 슬리브 형태의 단면부(8)는 상기 재킷(10)의 외부표면 상에 인접한다. The stator 2 is formed as housings for the locking member 3, the control member 4, the rotor 5, the movable member 6, and the electromagnet 7. The stator 2 is secured to a jacket 10 having a passage opening 9 of the locking member 3 using a sleeve shaped cross section 8. The jacket 10 surrounds the steering shaft 1 and the locking sleeve 11 fixed on the steering shaft 1 together with the groove-shaped locking remover 12 and the locking agent in the groove shape. The locking member 3 interacts with the reject 12. The sleeve-shaped cross section 8 of the stator 2 is adjace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jacket 10.

상기 로킹부재(3)는 로킹 볼트(1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로킹 볼트(13)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에 수직으로 신장되며 상기 고정자(2)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한다. 상기 로킹 볼트(13)는, 한편으로는 상기 고정자(2)에서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로킹 볼트(13)에서 지지되는 나사 압력 스프링(14)에 의하여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 방향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로킹위치로 부하받는다. 상기 나사 압력 스프링(14) 내에서, 상기 로킹 볼트(13)는 자체의 자유말단(15)을 사용하여 상기 로킹 슬리브(11)의 로킹 제거부(12)로 삽입된다. 이로써,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는 회전될 수 없으며, 상기 제어부재(4)를 사용하여 상기 나사 압력 스프링(14)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에서 제거되어 도 3에 도시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해제위치로 이 동가능하다. 상기 나사 압력 스프링(14) 내에서, 상기 로킹 볼트(13)는 자체의 자유말단(15)을 사용하여 상기 로킹 슬리브(11)의 로킹 제거부(12)로 삽입되지 않으므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가 회전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3 is formed by a locking bolt 13. The locking bolt 13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steering shaft 1 and is axially movable within the stator 2. The locking bolt 13 is in the direction of the steering shaft 1 by means of a screw pressure spring 14 which is supported on the stator 2 on the one hand and supported on the locking bolt 13 on the other hand. And the steering shaft 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2. Within the screw pressure spring 14, the locking bolt 13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removal portion 12 of the locking sleeve 11 using its free end 15. Thus, the steering shaft 1 cannot be rotated, and the steering shaft 1 is removed from the steering shaft 1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screw pressure spring 14 by using the control member 4 and the steering shown in FIG. 3. It can be moved to the shaft release position. In the screw pressure spring 14, the locking bolt 13 is not inserted into the locking removal portion 12 of the locking sleeve 11 using its free end 15, so that the steering shaft 1 ) Can be rotated.

상기 제어부재(4)는 로드 형태로 형성되고, 도시되지 않은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로킹 볼트(13)에 비스듬히 신장된다. 상기 제어부재(4)는 상기 로킹 볼트(13)를 이동하기 위하여 편심륜(16)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자(5)에 대향한 말단(17)에서 도시되지않은 점화 스위치와 함께 상호작용한다. 상기 제어부재(4)는 시계방향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회전방향으로부터 도 3에 도시된 회전방향으로 그리고 다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회전방향으로 상기 고정자(2) 내에서 회전가능하다. The control member 4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extends obliquely to the locking bolt 13 through an opening not shown. The control member 4 has an eccentric wheel 16 for moving the locking bolt 13 and interacts with an ignition switch, not shown, at the distal end 17 opposite the rotor 5. . The control member 4 rotates in the stator 2 clockwise from the rotational direction shown in FIGS. 1 and 2 to the rotational direction shown in FIG. 3 and agai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shown in FIGS. 1 and 2. It is possible.

상기 회전자(5)는 상기 제어부재(4)를 회전하기 위해서 이와 함께 상호작용한다. 상기 회전자(5)는 상기 제어부재(4)와 동축으로 상기 고정자(2) 내에 배치되며 회전가능할 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자유말단(18)을 사용하여 로드 형태의 축방향 신장부(19)의 정사각형 횡단면이 상기 횡단면 형태에 상응하는 상기 제어부재(4)의 백 홀(bag hole)(20)에 삽입된다. 상기 백 홀(20)에는 상기 편심륜(16)에 인접한 상기 제어부재(4)의 말단(21)이 구비된다.The rotor 5 interacts with it to rotate the control member 4. The rotor 5 is disposed in the stator 2 coaxially with the control member 4 and is not only rotatable, but also axially movable, and has a rod-shaped shaft using the free end 18. A square cross section of the directional extension 19 is inserted into a bag hole 20 of the control member 4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al shape. The back hole 20 is provided with an end 21 of the control member 4 adjacent to the eccentric wheel 16.

상기 회전자(5)는 시계방향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시작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도 3에 도시된 회전방향으로 그리고 다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시작위치로 상기 고정자(2) 내에서 회전가능하며, 도 1에 도시된 축 위치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축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자체의 시작위치에서, 상기 회 전자(2)는 상기 제어부재(4)의 백 홀(20)에 배치된 나사 압력 스프링(22)의 영향 하에 상기 고정자(2)에 형태안정적으로(in a positive manner)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자(2)는 회전될 수 없다. 또한, 상기 회전자(5)는 직경으로 서로 대향하며 축방향으로 탈착되는 두 개의 결합 노즈(23)를 구비함으로써 직경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고정자(2)의 두 개의 결합 노즈(24)에 맞물리게 한다. 상기 결합 노즈(24)는 상기 회전자(5)의 종축(25)에 평행하게 진행한다.The rotor 5 is clockwise in the stator 2 starting from the starting position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rotational direction shown in FIG. 3 and again in the starting position shown in FIGS. 1 and 2. And rotatable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axial position shown in FIG. 1 and the axial position shown in FIGS. 2 and 3. At its starting position, the rotor 2 is in a positive on the stator 2 under the influence of a screw pressure spring 22 disposed in the back hole 20 of the control member 4. manner), the rotor 2 cannot be rotated. The rotor 5 also has two coupling noses 23 facing each other in diameter and detachable in the axial direction to engage two coupling noses 24 of the stator 2 facing each other in diameter. . The coupling nose 24 run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25 of the rotor 5.

상기 고정자(2)의 각각의 결합 홈(24)은, 상기 회전자(5)가 자체의 시작위치로부터 회전가능하게 향하는 측면 위에서 관성체(26)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관성체(26)는 상기 회전자 종축(25)에 평행하게 이동가능하게 상기 정전자(2) 내에 위치하며 나사 압력 스프링(27)에 의하여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정지위치로 부하받는다. 상기 나사 압력 스프링(27)에서, 상기 관성체(26)는 상기 회전자(5)에 대향한 전면부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자(2)의 반대면(29)에 인접하며, 상기 회전자(5)에 인접한 말단(30)을 사용하여 상기 고정자(2)에 구비된 상기 결합 홈(24)의 측면 에지(31)에 대향한다. 상기 결합 홈(24)의 측면 에지(31), 및 도 1에 도시된 상기 회전자(5)의 축 위치에서 상기 회전자(5)의 결합 홈(24)에 배치된 결합 홈(23)의 상기 측면 에지(31)에 대향한 상기 고정자(2) 내의 측면(32)은 상기 회전자 종축(25)에 평행하게 신장되는 동안, 상기 결합 노즈(23) 내지 상기 관성체(26)의 서로 대향하며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측면들(33, 34)은 상기 회전자(5)에 인접한 말단(30)에서 상기 회전자 종축(25)에 경사져 진행하므로, 상기 측면들(33, 34)이 반대방향으로 서로 압박될 때, 상기 회전자(5) 및 상기 관성체(26)는 축 방향으로 서로 겹쳐져 부하될 수 있다. 상기 관성체(26)를 자체의 정지위치로 부하하는 나사 압력 스프링(27)은 상기 관성체(26)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한편으로는 상기 관성체(26)에서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고정자(2)에서 지지된다. 즉, 상기 나사 압력 스프링(27)은, 한편으로는, 전면(28)을 구비한 상기 회전자(5)로부터 떨어진 말단에 구비된 상기 관성체(26)의 측면 돌출부(35)에서 지지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결합 홈(24)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자(2)의 내부 돌출부(36)에서 지지된다. Each engaging groove 24 of the stator 2 is limited by an inertial body 26 on the side on which the rotor 5 is rotatably facing from its starting position. The inertia 26 is located in the static electricity 2 so as to be movable parallel to the rotor longitudinal axis 25 and is loaded by the screw pressure spring 27 to the stop position shown in FIGS. 1 and 3. . In the screw pressure spring 27, the inertial body 26 is adjacent to the opposite side 29 of the stator 2 using the front part opposite the rotor 5, and the rotor 5. The end 30, adjacent to, is used to face the side edge 31 of the engagement groove 24 provided in the stator 2. Of the engaging groove 23 disposed in the side edge 31 of the engaging groove 24 and in the engaging groove 24 of the rotor 5 in the axial position of the rotor 5 shown in FIG. 1. The side 32 in the stator 2 opposite the side edge 31 faces each other of the coupling noses 23 to the inertia 26 while extending parallel to the rotor longitudinal axis 25. And the two side surfaces 33 and 34 parallel to each other are inclined to the rotor longitudinal axis 25 at the end 30 adjacent to the rotor 5, so that the side surfaces 33 and 34 are opposite directions. When pressed against each other, the rotor 5 and the inertial body 26 may be loaded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A screw pressure spring 27 which loads the inertial body 26 to its stop position is arranged parallel to the inertial body 26, on one hand supported by the inertial body 26 and on the other hand the It is supported at the stator 2. That is, the screw pressure spring 27 is supported, on the one hand, at the side projection 35 of the inertial body 26 provided at the distal end from the rotor 5 with the front face 28, On the other hand, it is supported in the inner projection 36 of the stator 2 which forms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24.

상기 가동부재(6)는 상기 회전자(5)를 수동으로 회전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가동부재(6)는 상기 고정자(2)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자체의 내부 말단(37)을 사용하여 정사각형 횡단면을 상기 회전자(5)의 백 홀(38)에 삽입되며, 외부 손잡이(39)를 구비한다.The movable member 6 is used to manually rotate the rotor 5. The movable member 6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stator 2, a square cross section is inserted into the back hole 38 of the rotor 5 using its inner end 37, and an outer handle. 39 is provided.

상기 전자석(7)이 여기될 때 상기 회전자(5)를 상기 나사 압력 스프링(22)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고정자(2)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석(7)은 상기 회전자(5)와 함께 상호작용한다. 상기 전자석(2)은 상기 제어부재(4)와 상기 회전자(5)에 동축으로 상기 고정자(2) 내에 배치되며, 실제로 상기 제어부재(4)와 상기 회전자(5)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전자석(7)은 통과하면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앵커(40)를 구비한다. 상기 앵커(40)는 상기 회전자(5)의 축 방향 신장부에 의해 형성된다.The electromagnet 7 causes the rotor 5 to move axially in the stator 2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screw pressure spring 22 when the electromagnet 7 is excited. ) To interact with. The electromagnet 2 is disposed in the stator 2 coaxially with the control member 4 and the rotor 5, and is actually arranged between the control member 4 and the rotor 5. The electromagnet 7 has an anchor 40 which moves axially while passing. The anchor 40 is formed by the axial extension of the rotor 5.

상기 도시된 차량의 전자 핸들 자물쇠는 하기와 같이 동작한다.The electronic handle lock of the illustrated vehicle operates as follows.

도 1에 도시된 상기 전자 핸들 자물쇠 상태에서, 상기 로킹 볼트(13)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로킹 위치에 존재하므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는 회전될 수 없다. 상기 회전자(5)의 두 개의 결합 노즈(23)가 상기 고정자(2)의 두 개의 결합 홈(24)에 맞물리기 때문에 상기 회전자(5)도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자(5)는 자체의 시작위치에서 상기 고정자(2) 내에 로킹된다. In the electronic handle lock state shown in FIG. 1, since the locking bolt 13 is in the steering shaft locking position, the steering shaft 1 cannot be rotated. Since the two coupling noses 23 of the rotor 5 are engaged with the two coupling grooves 24 of the stator 2, the rotor 5 itself so that the rotor 5 also rotates. It is locked in the stator 2 at the starting position of.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가 회전될 수 있는 자체의 스티어링 샤프트 해제위치로 상기 로킹 볼트(13)를 움직이기 위하여, 상기 전술한 전자 원격 조정 키가 가동되며, 이는 상기 전자석(7)의 여기에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앵커(40)를 에워싸는 링 형태의 권선은 전자전류로부터 통전되고 상기 전자석(7)은 자체의 나사 압력 스프링(22)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회전자(5)를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상기 회전자(5)의 결합 홈(23)은 상기 고정자(2)의 결합 홈(24)을 떠나므로, 상기 회전자(5)는 상기 고정자(2)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전자 핸들 자물쇠 상태가 형성된다. In order to move the locking bolt 13 to its own steering shaft release position in which the steering shaft 1 can be rotated, the aforementioned electronic remote control key is activated, which acts on the excitation of the electromagnet 7. do. Thus, the ring-shaped winding surrounding the anchor 40 is energized from the electric current and the electromagnet 7 moves the rotor 5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f FIG. 1 against the influence of its screw pressure spring 22. To move. In this case, since the coupling groove 23 of the rotor 5 leaves the coupling groove 24 of the stator 2, the rotor 5 may be rotated in the stator 2. The electronic handle lock state shown in FIG. 2 is formed.

이어서, 상기 로킹 볼트(13)를 자체의 나사 압력 스프링(14)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제어부재(4)의 편심륜(16)을 사용하여 자체의 스티어링 샤프트 해제위치로 움직이기 위하여, 상기 언로킹된 회전자(5)는 자체의 시작위치로부터 상기 제어부재(4)와 공통으로 상기 가동부재(6)를 사용하여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상기 고정자(2) 내에 회전된다. 도 3에 도시된 전자 핸들 자물쇠 상태가 형성된다. Subsequently, in order to move the locking bolt 13 to its steering shaft release position using the eccentric wheel 16 of the control member 4 against the influence of its own screw pressure spring 14, the unlocking The rotor 5 is rotated in the stator 2 in the direction of arrow B shown in FIG. 2 using the movable member 6 in common with the control member 4 from its starting position. The electronic handle lock state shown in FIG. 3 is formed.

상기 로킹 볼트(13)를 다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로킹 위치에 도달케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자(5) 및 상기 제어부재(4)는 도 3에 도시된 공통의 회전위치로 부터 화살표 B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재(6)를 사용하여 도 2에 도시된 공통의 시작위치로 다시 회전된다. 상기 공통의 시작위치에서, 상기 회전자(5)는 자체의 나사 압력 스프링(22)을 사용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도 1에 도시된 결합위치로 상기 고정자(2)와 함께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자(5)는 자체의 결합 홈(23)을 상기 고정자(2)의 결합 홈(24)으로 맞물린 결과로서 회전될 수 없고 상기 고정자(2) 내에 다시 언로킹된다. In order to bring the locking bolt 13 back to the steering shaft locking position, the rotor 5 and the control member 4 move in the direction of arrow B from the common rotational position shown in FIG. The member 6 is rotated back to the common starting position shown in FIG. 2. At the common starting position, the rotor 5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stator 2 to the engagement position shown in FIG. 1 in the direction of arrow A using its own screw pressure spring 22, The rotor 5 cannot be rotated as a result of engaging its engaging groove 23 into the engaging groove 24 of the stator 2 and is unlocked again in the stator 2.

상기 고정자(2)의 회전자 종축(25)에 대해서 직경으로 대향하는 두 개의 결합 홈(24)에 배치되는 두 개의 관성체(26)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핸들 자물쇠 상태에서 충격방지 메커니즘으로서 작용한다. 이때, 상기 자체의 시작위치로부터 상기 고정자(2) 내에서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관성체(26)는 상기 회전자(5)가 상기 고정자(2) 상에 가해진 외부 충격에 의하여 상기 고정자(2)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관성체(26)로 인하여, 상기 전자석(7)을 여기하지 않고 상기 회전자(5)를 상기 고정자(2) 내에서 언로킹할 수도 없다.Two inertial bodies 26 disposed in two engagement grooves 24 opposite in diameter to the rotor longitudinal axis 25 of the stator 2 serve as anti-shock mechanisms in the electronic handle lock state shown in FIG. 1. Works. At this time, in order to rotate in the stator 2 from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self, the inertial body 26 is the stator (2) by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stator (2) the rotor (5) To prevent detachment. Due to the inertial body 26, the rotor 5 cannot be unlocked in the stator 2 without exciting the electromagnet 7.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자 종축(25)에 평행한 외부 충격 또는 충격(J)은 상기 고정자(2)의 말단에 가해진다. 상기 고정자(2)는 상기 회전자(5)에 인접하며 상기 가동부재(6)의 손잡이(39)로부터 탈착된다. 상기 나사 압력 스프링(22)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회전자(5)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각각의 나사 압력 스프링(27)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두 개의 관성체(26)는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회전자(5) 및 상기 관성체(26)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상기 고정자(2) 내에서 이동되므로, 상기 관성체(26)의 두 개의 회전자측 말단(30)은 상기 회전자 (5)의 상기 회전자 종축(25)에 대해서 직경으로 대향하는 두 개의 결합 홈(23) 앞에서 항상 신장되며, 상기 회전자(5)가 시계방향으로 자체의 시작위치로부터 상기 고정자(2) 내에서 매번 회전하는 것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고정자(5)의 결합 홈(23)의 두 개의 경사진 측면(33) 및 상기 관성체(26)의 말단(30)의 두 개의 경사진 측면(34)의 웨지 경사는 상기 고정자(5)와 상기 관성체(26)를 상호지지한다. As shown in FIG. 4, an external impact or impact J parallel to the rotor longitudinal axis 25 is applied to the end of the stator 2. The stator 2 is adjacent to the rotor 5 and detached from the handle 39 of the movable member 6. The rotor 5 moves axially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screw pressure spring 22 and the two inertial bodies 26 move axially against the influence of each of the screw pressure springs 27. . Since the rotor 5 and the inertial body 26 are moved in the stator 2 in the direction of arrow A, the two rotor side ends 30 of the inertial body 26 are the rotor ( 5 is always elongated in front of the two engaging grooves 23 opposite in diameter to the rotor longitudinal axis 25, the rotor 5 being clockwise in its stator 2 from its starting position. The rotation is blocked every time. At this time, the wedge inclination of the two inclined sides 33 of the coupling groove 23 of the stator 5 and the two inclined sides 34 of the distal end 30 of the inertial body 26 is the stator ( 5) and the inertial body 26 are mutually supported.

이에 상응하게, 차량용 전자 점화 스위치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자(5)는, 특히 상기 차량의 점화부 및 시동부를 접속 및 단절하기 위해서 자체의 시작위치로부터 다양한 접속위치로 그리고 다시 상기 시작위치로 상기 고정자(2) 내에서 회전가능하다. Correspondingly, a vehicle electronic ignition switch may be formed. The stator 5 is rotatable in the stator 2 from its starting position to various connecting positions and again to the starting position, in particular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ignition and starting sections of the vehicle.

Claims (10)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에 있어서,In the electronic handle lock for a vehicle, 전자 키를 사용하여 잠길 수 있으며,Can be locked using an electronic key, 회전에 반하여 차량 스티어링 샤프트(1)를 언로킹하기 위하여 로킹부재(3) 및 회전자(5)를 구비하며, And a locking member 3 and a rotor 5 for unlocking the vehicle steering shaft 1 against rotation, 상기 회전자(5)는, 상기 로킹부재(3)를 스티어링 샤프트 로킹 위치와 스티어링 샤프트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기 위하여 시작위치에서 시작하여 다시 상기 시작위치로 돌아가도록 고정자(2) 내에서 회전가능하며,The rotor (5) is rotatable in the stator (2) to start from the starting position and back to the starting position for reciprocating the locking member (3) between the steering shaft locking position and the steering shaft release position. , 상기 회전자(5)를 언로킹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자(5)와 동축으로 상기 고정자(2) 내에 배치된 전자석(7)이 상기 전자 키를 사용하여 여기될 때, 상기 로킹부재(3)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 해제위치로 움직이도록 상기 회전자(5)는 우선 상기 시작위치로부터 회전될 수 있으며, When the electromagnet 7 disposed in the stator 2 is coaxial with the rotor 5 to unlock the rotor 5, the locking member 3 is excited using the electronic key. The rotor 5 may first be rotated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move to the steering shaft release position, 상기 회전자(5)는, 자체의 시작위치에서 스프링 부하(22)의 영향 하에 상기 고정자(2)에 형태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하(22)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전자석(7)을 사용하여 상기 고정자(2)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자(5)와 상기 고정자(2)가 반대방향으로 맞물리는 것을 상쇄할 수 있으며,The rotor 5 can be morphologically coupled to the stator 2 under the influence of the spring load 22 at its starting position and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spring load 22 to hold the electromagnet 7. Can be moved axially within the stator 2, thereby offsetting the engagement of the rotor 5 and the stator 2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회전자(5)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노즈(23)를 구비하며, The rotor 5 has at least one coupling nose 23, 상기 결합 노즈(23)는 상기 고정자(2)의 결합 홈(24)과 상호작용하며,The coupling nose 23 interacts with the coupling groove 24 of the stator 2, 상기 결합 홈(24)은, 자체의 시작위치로부터 회전될 수 있는 상기 회전자(5)가 향하는 측면 위에서 관성체(26)를 통하여 제한되며,The coupling groove 24 is restricted through the inertia 26 on the side facing the rotor 5 which can be rotated from its starting position, 상기 회전자(5)가 스프링 부하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고정자(2) 상에 가해진 충격의 결과로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관성체(26)는 스프링 부하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고정자(2) 내에서 상기 회전자(5)와 함께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When the rotor 5 is moved axially as a result of the impact exerted on the stator 2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spring load, the inertial body 26 is moved to the stator 2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spring load. Electronic handle lock for a vehicle, which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rotor (5) with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5)의 결합 노즈(23) 및 상기 고정자(2)의 관성체(26)의 서로 대향하며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측면들(33, 34)은, 회전자 종축(25)에 경사져 진행되므로, 상기 측면들(33, 34)을 반대방향으로 서로 압박할 때 상기 회전자(5) 및 상기 관성체(26)는 축 방향으로 서로 겹쳐져 부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 2. The rotor of claim 1, wherein the two facing sides 33 and 34 of the coupling nose 23 of the rotor 5 and the inertia 26 of the stator 2 are opposite to and parallel to each other. Since the longitudinal axis 25 is inclined, the rotor 5 and the inertial body 26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side surfaces 33 and 34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in the opposite direction. Car steering wheel loc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5)의 상기 결합 노즈(23)는 축방향으로 상기 회전자(5)로부터 탈착되며, 3. The coupling nose (23) of the rotor (5) is detached from the rotor (5) in an axial direction. 상기 고정자(2)의 결합 홈(24)은 상기 회전자 종축(25)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 Engagement groove 24 of the stator (2) 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runn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rotor (2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2)의 관성체(26)는, 나사 압력 스프링(27)에 의하여 자체의 정지위치로 부하되며,The inertial body (26) of the stator (2) is loaded to its stop position by the screw pressure spring (27)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나사 압력 스프링(27)은, 한편으로는 상기 관성체(26)에서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고정자(2)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The screw pressure spring (27) is on the one hand supported by the inertial body (26) and on the other h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nic handle lock for the vehicl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5)는, 직경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결합 노즈(23)를 구비하며, 5. The rotor (5)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rotor (5) is provided with two coupling noses (23) facing each other in diameter, 상기 결합 노즈(23) 각각은, 측면으로 관성체(26)에 의해 제한된 상기 고정자(2)의 결합 홈(24)과 함께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핸들 자물쇠.Each of the coupling noses 23 interacts with a coupling groove 24 of the stator 2 which is laterally restricted by an inertial body 26. 차량용 전자 점화 스위치에 있어서,In the vehicle electronic ignition switch, 전자 키를 사용하여 잠길 수 있으며,Can be locked using an electronic key, 회전자를 구비하며, With a rotor, 상기 회전자는, 특히, 점화부 및 상기 차량의 시동부를 접속하거나 단절하기 위하여 시작위치에서 시작하여 이동된 접속위치 및 다시 상기 시작위치로 돌아가도록 고정자 내에서 회전가능하며,The rotor is rotatable in the stator, in particular starting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move or disconnect the ignition section and the starting section of the vehicle, and then back to the starting position. 상기 회전자를 언로킹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자와 동축으로 상기 고정자 내에 배치된 전자석이 상기 전자 키를 사용하여 여기될 때, 상기 회전자는 우선 상기 접속위치로 회전될 수 있으며, When the electromagnet disposed in the stator coaxially with the rotor to unlock the rotor is excited using the electronic key, the rotor may first be rotated to the connecting position, 상기 회전자는, 자체의 시작위치에서 스프링 부하의 영향 하에 상기 고정자 에 형태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하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전자석을 사용하여 상기 고정자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자와 상기 고정자가 반대방향으로 맞물리는 것을 상쇄할 수 있으며,The rotor can be morphologically coupled to the stator under the influence of a spring load at its starting position and can be axially moved within the stator using the electromagnet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spring load, so that the rotor And the stator can offset the engagem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회전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노즈(23)를 구비하며, The rotor has at least one coupling nose 23, 상기 결합 노즈(23)는 상기 고정자(2)의 결합 홈(24)과 상호작용하며,The coupling nose 23 interacts with the coupling groove 24 of the stator 2, 상기 결합 홈(24)은, 자체의 시작위치로부터 회전될 수 있는 상기 회전자(5)가 향하는 측면 위에서 관성체(26)를 통하여 제한되며,The coupling groove 24 is restricted through the inertia 26 on the side facing the rotor 5 which can be rotated from its starting position, 상기 회전자(5)가 스프링 부하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고정자(2) 상에 가해진 충격의 결과로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관성체(26)는 스프링 부하의 영향에 반하여 상기 고정자(2) 내에서 상기 회전자(5)와 함께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점화 스위치.When the rotor 5 is moved axially as a result of the impact exerted on the stator 2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spring load, the inertial body 26 is moved to the stator 2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spring load. An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a vehicle, which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rotor 5 with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5)의 결합 노즈(23) 및 상기 고정자(2)의 관성체(26)의 서로 대향하며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측면들(33, 34)은, 회전자 종축(25)에 경사져 진행되므로, 상기 측면들(33, 34)을 반대방향으로 서로 압박할 때 상기 회전자(5) 및 상기 관성체(26)는 축 방향으로 서로 겹쳐져 부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점화 스위치. 7. The ro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wo opposite sides (33, 34) of the coupling nose (23) of the rotor (5) and the inertial body (26) of the stator (2) are opposite each other and parallel to each other. Since the longitudinal axis 25 is inclined, the rotor 5 and the inertial body 26 may overlap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side surfaces 33 and 34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in the opposite direction. Car ignition switch.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5)의 상기 결합 노즈(23)는 축방향으로 상기 회전자(5)로부터 탈착되며, 8. The coupling nose (23) of the rotor (5) is detached from the rotor (5) in an axial direction. 상기 고정자(2)의 결합 홈(24)은 상기 회전자 종축(25)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점화 스위치. The engaging groove (24) of the stator (2) is an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runn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rotor (25).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2)의 관성체(26)는, 나사 압력 스프링(27)에 의하여 자체의 정지위치로 부하되며,The inertial body (26) of the stator (2) is loaded to its stop position by the screw pressure spring (27)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상기 나사 압력 스프링(27)은, 한편으로는 상기 관성체(26)에서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고정자(2)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점화 스위치.The screw pressure spring (27) is on the one hand supported by the inertial body (26) and on the other hand by the stator (2).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5)는, 직경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결합 노즈(23)를 구비하며, 10. The rotor (5)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otor (5) has two coupling noses (23) facing each other in diameter, 상기 결합 노즈(23) 각각은, 측면으로 관성체(26)에 의해 제한된 상기 고정자(2)의 결합 홈(24)과 함께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점화 스위치.Each of said coupling noses (23) interacts with the coupling groove (24) of said stator (2) limited laterally by an inertial body (26).
KR1020057025163A 2003-07-28 2004-07-02 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and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motor vehicles KR1008198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5163A KR100819828B1 (en) 2003-07-28 2004-07-02 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and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mot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4335.0 2003-07-28
KR1020057025163A KR100819828B1 (en) 2003-07-28 2004-07-02 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and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mot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053A true KR20070016053A (en) 2007-02-07
KR100819828B1 KR100819828B1 (en) 2008-04-07

Family

ID=4164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163A KR100819828B1 (en) 2003-07-28 2004-07-02 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and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mot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8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071B1 (en) 2008-05-02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key lock prevent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lock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4277C2 (en) * 1984-04-14 1986-08-14 Neiman GmbH, 5657 Haan Steering lock for a motor vehicle
DE19733249A1 (en) * 1997-08-01 1999-02-04 Marquardt Gmbh Steering wheel lock on a motor vehicle
DE10055361C2 (en) * 2000-11-08 2003-02-27 Huf Huelsbeck & Fuerst Gmbh Device with a steering lock and an ignition starter switch, which can be controlled by a handle in the presence of an identification trans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828B1 (en) 2008-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858B2 (en) Safe gear box for electrical steering column lock
JP5669225B2 (en) Anti-theft device for the steering column of an automobile, in which deadlock is reliably performed by the swing bar of the intermediate body
JP5072860B2 (en) Auto release lock for automotive locking mechanism
CN101646585B (en) Steering lock device
JP3706934B2 (en) Vehicle locking device with enhanced anti-theft function
JP2002283962A (en) Locking device
KR20100015334A (en) Lock device
JP4659147B2 (en) Steering column anti-theft device with latch and bolt restraining means
CN101631701B (en) Anti-theft device with locking bolt for steering columns
US20060213238A1 (en) 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and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motor vehicles
KR20070016053A (en) Electronic steering wheel lock, and electronic ignition switch for motor vehicles
JP2008238949A (en) Steering lock device
CN107458344B (en) Steering lock device
KR100655715B1 (en) A locking device in a vehicle
EP2060451B1 (en) Steering lock device
JPH02289774A (en) Locking device
JP2006508857A (en) Anti-theft device for automobile
JP5252899B2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KR100890130B1 (en) Steering column locking device
KR100818223B1 (en)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WO2013161465A1 (en) Steering lock device
JP2005014755A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JP6006310B2 (en) Anti-theft device for automobile steering column and automobile steering column
KR100410761B1 (en) ignition lock switch of vehicle
JP2016101821A (en) Steering lo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