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3710A -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3710A
KR20070013710A KR1020050068250A KR20050068250A KR20070013710A KR 20070013710 A KR20070013710 A KR 20070013710A KR 1020050068250 A KR1020050068250 A KR 1020050068250A KR 20050068250 A KR20050068250 A KR 20050068250A KR 20070013710 A KR20070013710 A KR 20070013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heater
temperature
sensor
de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3710A/ko
Publication of KR2007001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습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내부 습도와 외부 습도의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습 운전시 습도센서 주변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히터로 인한 제습기 내부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히터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습기가 제습운전이 시작되는 순간의 상대습도와, 습도센서 주변의 온도를 읽어 절대습도 값으로 인식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습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습기/습도

Description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umidity of (a) dehumidifi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 기능이 있는 공기조화기의 습도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 기능이 있는 공기조화기의 습도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키 입력부 200 : 감지부
201 : 습도센서 202 : 온도센서
300 : 제어부 400 : 히터 구동부
500 : 히터 600 : 팬 구동부
700 : 실내팬 80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습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내부 습도와 외부 습도의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하고,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및 응축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로 이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개구된 전면에 장착되고 공기 토출구(4)가 형성된 전면 패널(6)과, 상기 캐비닛(2)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8)와, 상기 송풍기(8)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제습 작용을 하도록 증발기(10) 및 응축기(12)로 이루어진 열교환기(14)와, 상기 송풍기(8)와 열교환기(1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14)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송풍기(8) 측으로 안내하는 오리피스(16)와, 상기 증발기(10)와 응축기(12)에 연결되어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8)와, 상기 열교환기(14)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14)의 제습시 생성되는 응축수 를 수거하는 드레인 팬(20)과, 상기 드레인 팬(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14)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가 담수되고 응축수의 수위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되는 버킷(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2)은 제습기(1)의 상면 및 양측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본체(24)와, 상기 캐비닛 본체(24)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습기(1)의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2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 본체(24)는 후면 상측에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필터(28)가 장착되고, 상기 에어 필터(28)의 하측에는 상기 버킷(22)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습기(1)의 공기 흡입구(미도시)는 캐비닛 본체(24)와 버킷(22)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6)는 상면에 상기 압축기(18)가 설치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버킷(2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올림되고, 상기 압축기(18)가 설치되는 공간과 버킷(22)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압축기(18)와 버킷(22) 사이에 베리어(30)가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버킷(22)은 상기 베이스(26)의 상면에 후방으로 인출 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 팬(20)으로부터 응축수가 유입되어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제습기는 상기 송풍기(8)가 구동됨에 따라 실내측의 습한 공기가 상기 공기 흡입구의 에어 필터(28)를 통과하면서 상기 캐비닛(2)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열교환기(14)를 지나면서 제습이 이루어진 후 상기 전면 패널(6)의 공기 토출구(4)를 통해 건조한 공기가 실내측으로 다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14)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10)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생성되어 상기 드레인 팬(20)에 낙하되고, 상기 드레인 팬(20)에 수거된 응축수는 배수구(20a)를 통해 상기 버킷(22)으로 유입되어 상기 버킷(22)의 내부에 담수된다.
상기 버킷(22)에 일정량 이상의 응축수가 담수되면, 사용자는 버킷(22)을 후방으로 인출하여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버린 후 상기 캐비닛(2)의 후면 하측으로 다시 밀어 넣어 장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습도센서(도시생략) 위치에서의 국부적인 온도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습도를 측정함으로써 실내(외기) 습도와의 차이가 발생됨에 따라 정확하게 습도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습도센서 주위의 국부적인 온도 변화로 인한 외기 습도와의 차이를 최소화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는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실내팬 및 히터 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서, 사용자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 명령에 따라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제습기능이 수행될 경우 상기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습도 및 온도에 따라 절대습도를 산출하여 상기 실내팬 및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제습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습도값이 기 설정된 설정 습도보다 높은지 여부에 따라 상기 히터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히터구동부와, 상기 실내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팬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습도 제어방법은 습도센서, 온도센서 및 히터를 구비한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습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습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습도센서 및 온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습도 및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습운전이 시작되면 현재 습도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습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히터가 구동된 후 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습도센서 주변의 온도를 측정 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습도센서 주변온도가 기 설정된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감지된 습도를 절대습도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절대습도가 기 설정된 절대습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습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습도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일반적으로 절대습도란 공기 1㎥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g으로 나타낸다. 수증기밀도 또는 수증기농도라고도 하며, 기온에 따라 수증기가 공기에 포함될 수 있는 최대값이 정해져 있으며, 그 값은 기온이 높으면 커지고 낮으면 작아진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절대습도가 높고,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낮다.
또한, 상대습도는 단위부피의 공기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증기의 질량과, 그 온도에서 단위부피 속에 함유할 수 있는 극한(極限)의 수증기 밀도와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써, 상대습도 U(%단위)는 다음과 같은 양으로서 정의된다. U=100×(e/eW) 이 식에서 e는 공기의 수증기압, eW는 공기와 같은 압력과 같은 기온일 때의 포화수증기압이다. e는 일정하나, eW는 기온에 따라 변하므로, 같은 수증기를 함유해도 온도가 변하면 상대습도도 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201),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202)로 이루어진 감지부(200)와, 사용자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100)와, 상기 키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 명령에 따라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제습기능이 수행될 경우 상기 습도센서(201) 및 온도센서(202)를 통해 감지되는 습도 및 온도에 따라 절대습도를 산출하여 실내팬(700) 및 히터(5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800)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500)를 구동시키는 히터 구동부(400)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팬(700)을 구동시키는 팬 구동부(6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0)를 통해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고, 원하는 코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키 입력부(10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에 따라 해당 행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제습기능이 온 되는 순간의 상대습도와 습도센서 주변의 온도를 읽어들여 절대값으로 기억한다.
이어서 상기 읽어온 절대습도가 기 설정된 설정 절대습도보다 높으면 상기 히터(500)를 구동시키며, 상기 히터(500)가 구동된 후 기 설정시간이 경과된 시점부터 온도와 상대습도를 읽어 절대 습도로 변환하여 상기 히터(500)가 온 되기 이 전과 절대습도를 비교한다.
상기 습도센서(201) 주변의 온도가 상기 히터(500)가 온 된 후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히터(500)를 오프시키고, 상기 히터(500)가 온 된 후 상대습도에서의 절대습도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설정범위 이내에 존재하면 상기 히터(500)를 오프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습 운전이 시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1), 제습운전이 시작되면 습도 및 온도를 감지한다(S102).
그리고 상기 감지된 감지습도(X)가 기 설정된 설정습도(Y)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이때, 상기 감지습도(X) 및 설정습도(Y)는 절대습도이다.
상기 판단 결과(S103), 상기 감지습도(X)가 기 설정된 설정습도(Y) 이하이면 히터를 구동시킨다(S104).
이어서 상기 히터가 구동된 후 감지된 시간(T)이 기 설정시간(T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5).
상기 판단 결과(S105), 상기 히터가 구동된 후 감지된 시간(T)이 기 설정시간(T1) 이상이면 상기 습도센서(201) 주위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온도(Th1)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6).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S106), 기 설정된 설정온도(Th1) 이하이면 절대 습도로 변환한다(S107).
이어서 상기 감지된 감지습도가 기 설정된 설정습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고, 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종료한다(S108∼S109).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및 방법은 습도센서를 통해 실내 습도를 측정하고, 습도센서 주변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절대 습도를 산출하여 실내팬 및 히터의 운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및 방법은 공기조화기가 제습운전이 시작되는 순간의 상대습도와, 습도센서 주변의 온도를 읽어 절대습도 값으로 인식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습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실내팬 및 히터를 구비한 제습기에서,
    사용자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 명령에 따라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제습기능이 수행될 경우 상기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습도 및 온도에 따라 절대습도를 산출하여 상기 실내팬 및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습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습도값이 기 설정된 설정 습도보다 높은지 여부에 따라 상기 히터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히터구동부와, 상기 실내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팬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4. 습도센서, 온도센서 및 히터를 구비한 제습기의 습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습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습도센서 및 온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감지된 습도 및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습도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습운전이 시작되면 현재 습도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습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히터가 구동된 후 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습도센서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습도센서 주변온도가 기 설정된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감지된 습도를 절대습도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절대습도가 기 설정된 절대습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습도 제어방법.
KR1020050068250A 2005-07-27 2005-07-27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70013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250A KR20070013710A (ko) 2005-07-27 2005-07-27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250A KR20070013710A (ko) 2005-07-27 2005-07-27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710A true KR20070013710A (ko) 2007-01-31

Family

ID=3801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250A KR20070013710A (ko) 2005-07-27 2005-07-27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37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129A1 (ko) * 2014-09-05 2016-03-10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5143673A (zh) * 2022-06-13 2022-10-04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及电解除湿器的控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129A1 (ko) * 2014-09-05 2016-03-10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6796039A (zh) * 2014-09-05 2017-05-31 豪威株式会社 除湿装置及其工作方法
CN115143673A (zh) * 2022-06-13 2022-10-04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及电解除湿器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298B1 (ko) 차량의 자동 습기제거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4676520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US7909922B2 (en) Dehumidifier
DK2307838T3 (en) DEVICE FOR DRYING ROOMS IN A BUILDING
JP6193941B2 (ja) 除湿機
JP4003101B2 (ja) 空調機の制御方法及び装置
TW201303231A (zh) 空氣調節機
JP3713009B2 (ja) 空調機の凝縮水除去装置及びその除去方法
KR2008004355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2455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2154526A (ja) 空気清浄機
JP2012076060A (ja) 除湿装置
KR20070013710A (ko) 제습기의 습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660737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0042189A (ja) 衣類乾燥機
JP2001311535A (ja) 空気調和機
KR20160023112A (ko) 에어컨의 제습량 표시 장치
KR0164758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청소시기 감지방법
JP2002333185A (ja) 除湿運転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KR10076516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KR101983379B1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060374B2 (ja) 浴室暖房乾燥機
KR101105961B1 (ko) 가스 센서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및 가스 센서를 이용한오염도 감지 방법
KR20010047343A (ko) 공기조화기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22097A (ko) 제습기의 응축수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