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773A - 업링크 전송 출력 제어를 포함하는 기지국 운용 방법 및관련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업링크 전송 출력 제어를 포함하는 기지국 운용 방법 및관련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773A
KR20070012773A KR1020067003529A KR20067003529A KR20070012773A KR 20070012773 A KR20070012773 A KR 20070012773A KR 1020067003529 A KR1020067003529 A KR 1020067003529A KR 20067003529 A KR20067003529 A KR 20067003529A KR 20070012773 A KR20070012773 A KR 20070012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ubscriber
station
subscriber station
ms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데릭 카르펜티어
노르베르트 크로트
잉고 피어링
폴커 브로이어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70012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quality of service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무선 시스템의 서비스 범위(C) 내에 있는 가입자국(MSn)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S)을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각각의 가입자국(MSn)이 2개 이상의 그룹(1, 2) 중 하나에 할당된다. 상기 기지국(BS)은 상기 기지국으로의 전송에 사용되는 최대 허용 전송 출력에 대한 제 1 값(U1)을 나타내는 신호를 공통 제어 채널(CCH)을 통해 상기 그룹들 중 하나(1)의 모든 가입자국(MS1, MS5)에 전송한다.

Description

업링크 전송 출력 제어를 포함하는 기지국 운용 방법 및 관련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FOR THE OPERATION OF A BASE STATION, INCLUD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이동 무선 시스템의 서비스 범위 내에 있는 가입자국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 관련 기지국 및 관련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많은 다양한 셀룰러 이동 무선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제 2 세대 이동 무선 시스템으로는 예컨대 GSM(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및 Is-95가 있다. 제 3 세대 이동 무선 시스템 중에서는 특히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tandard) 표준이 매우 중요하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요 문제 중 하나는 업링크(가입자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전송 방향) 자원에 대한 액세스 제어이다. 예컨대 UMTS와 같은 CDMA 시스템에서는 업링크 용량 또는 셀 부하(cell load)가 보통 관련 기지국에서의 간섭으로 인해 제한된다. 간섭도는 보통 dB로 표현되는, 열잡음(thermal noise)에 대한 총 수신 출력의 비로서 정의되는 "잡음 발생량(noise rise)"으로서 측정된다. 전송하는 가입자국의 수 및 다른 잡음원도 잡음 발생량에 영향을 미친다.
CDMA 기반 무선 전송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잡음 발생이 강해지면 불안정한 상태(소위 "cell breathing")가 될 수 있다. 그 결과,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고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가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에서 발생하는 간섭과 그에 따른 잡음 발생이 바람직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항에 따른 방법, 청구항 10항에 따른 기지국 및 청구항 11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에 기술된다.
이동 무선 시스템의 서비스 범위 내에 있는 가입자국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운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각각의 가입자국이 2개 이상의 그룹 중 하나에 할당된다.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으로의 전송에 사용되는 최대 허용 전송 출력에 대한 제 1 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하나의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그룹들 중 하나에 속하는 모든 가입자국에 전송한다.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을 미리 정함으로써, 가입자국들의 전송으로 인해 기지국에서 야기되는 간섭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더 바람직한 것은, 관련 그룹에 속하는 모든 가입자국에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의 동일한 제 1 값이 할당되고, 그러한 할당을 위해 공통 제어 채널이 사용된다는 점이다. 그럼으로써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의 개별 값들을 각각의 가입자국으로 할당하는 것에 비해 신호 전송(signaling) 요구되는 수고가 훨씬 더 줄어든다. 기존의 가입자국들은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할되므로,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내 모든 가입자국들에 대해 하나의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이 정해지는 경우보다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들의 할당이 더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기지국으로부터 관련 그룹의 가입자국들로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의 값을 전송하는 공통 제어 채널은 상기 그룹의 적어도 모든 가입자국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제어 채널이다. 그렇지만, 상기 공통 제어 채널이 관련 서비스 범위 내 모든 가입자국들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고, 상기 채널을 통해 각각의 가입자국 그룹에 대해 적절한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이 전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이한 그룹들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다수의 제어 채널이 제공될 필요가 없다.
신호로 전송되는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이 서비스 범위 내에서의 현재 운용 조건에 좌우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럼으로써 서비스 범위의 현재 운용 조건에 알맞은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이 가입자국들에 규정될 수 있다. 서비스 범위 내에서의 운용 조건은 예컨대 서비스 범위의 부하 또는 서비스 범위 내에서의 간섭의 영향에 좌우될 수 있다. 서비스 범위의 부하가 높은 경우 또는 예컨대 기지국에서의 적절한 간섭 측정이나 잡음 발생의 검출을 통해 측정될 수 있는 간섭의 영향이 큰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전송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가입자국 그룹에 대해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이 더 낮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범위 내에서의 간섭이 제한된다. 역으로, 무선 셀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또는 간섭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가입자국에 대한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서비스 범위 내에서의 운용 조건이 정해진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을 신호로 전송한다. 이는, 운용 조건이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아니면 상기 임계값에 못 미치는지가 검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임계값이 초과되거나 미달되는 경우에만 기지국에 의한 신호 전송이 이루어짐으로써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이 조정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가입자국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가입자국들의 그룹 할당이 좌우된다. 따라서 관련 그룹의 가입자국들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관련 그룹에 상이한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가 높은 가입자국들이 포함된 그룹은 우선 순위가 낮은 가입자국들이 포함된 그룹보다 더 높은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을 할당받을 수 있다. 더 높은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을 할당받은 가입자국에서는 더 낮은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을 가진 가입자국보다 더 나은 접속 품질이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가입자국의 우선 순위는 각각의 가입자국의 접속의 요구 서비스 품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가입자국의 우선 순위가 서비스 범위 내에서의 가입자국들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기지국 근방에 위치한 가입자국이 서비스 범위의 경계에 더 가까운 가입자국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가입자국은 마찬가지로 더 높은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을 갖는다. 이는 인접한 다른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내에서 관련 가입자국들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셀 내부 간섭)을 줄이는 데 있어 유용할 수 있다. 셀 내부 간섭은 각 기지국의 근방에 위치한 가입자국의 경우보다 서비스 범위의 경계에 위치한 가입자국의 경우에 더 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가입자국의 우선 순위가 가입자국의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각 가입자국의 사용자가 이동 무선 시스템의 운용자에게 대금을 지급하는 통신 서비스에 대한 요금 부과 레벨에 따라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 그룹에는 그들의 기능에 따라 더 높은 우선 순위가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찰이 이동 무선 시스템의 다른 가입자들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할당받을 수 있다.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의 제 1 값이 신호로 전송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가입자국이 기지국에의 접속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 1 TFC(Transport Format Combination)를 사용하는 경우(이때, 가입자국은 제 1 값보다 더 큰 특정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을 고려함), 제 1 실시예에 따라, 제 1 값이 신호로 전송된 후 가입자국은 연결을 위해 계속 상기 제 1 TFC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가입자국은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의 제 1 값을 고려한다. 여기서 "TFC"는 UMTS 표준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개념이다. UMTS 표준에 따르면 TFC는 특수한 연결에 사용되는 전송 채널들의 결합을 의미하며, 이 경우 특히 전송 채널당 블록 수 및 상기 전송 채널 결합에 대한 연결 데이터 흐름의 분배가 정의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가입자국은 제 1 값을 신호로 전송한 후 동일한 연결에 대해 제 2 TFC를 사용하며, 이때 상기 가입자국은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의 제 1 값을 고려한다. 이는 가입자국이 신호로 전송된 제 1 값에 기초하여 사용된 TFC를 교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 각각 적용되는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있어 제 1 TFC보다 더 적합한 제 2 TFC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상기 방법의 실시예들과 개선예들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상기 방법의 실시예들과 개선예들이 수행되도록 하는 실행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있다.
가입자국에는 이동 무선 시스템의 고정 가입자국뿐만 아니라 이동 가입자국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임의의 이동 무선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UMTS 표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UMTS 표준의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변형 및 TDD(Time Division Duplex) 변형에 따른 이동 무선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및 상기 서비스 범위 내에 배치된 가입자국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공통 제어 채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가입자국들 중 하나와 도 1의 기지국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기지국(BS)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서비스 범위 (C)가 도시되어 있다. 서비스 범위(C) 내에는 다수의 가입자국(MSn)이 배치된다. 가입자국들(MSn)은 4개의 상이한 가입자 그룹에 할당된다. 각각의 그룹으로의 할당은 도 1에서 각각의 가입자국에 표시된 숫자로 식별할 수 있다. 즉, 가입자국 MS1과 MS5는 제 1 그룹에 속하고, 가입자국 MS2는 제 2 그룹에 속하며, 가입자국 MS3은 제 3 그룹에 속하고, 가입자국 MS4는 제 4 그룹에 속한다. 실제로는 서비스 범위(C) 내에 훨씬 더 많은 수의 가입자국(MSn)이 존재하나, 도 1에는 그중 5개만 도시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그룹에 하나 이상의 가입자국이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입자국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가입자국(MSn)의 그룹(1, 2, 3, 4) 할당이 실시된다. 이 경우 우선 순위는 각각의 이동국(MSn)에서 요구하는, 가입자국과 기지국(BS) 간 연결의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 4 그룹(4)의 가입자국(MS4)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고, 제 1 그룹의 가입자국(MS1, MS5)의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기지국(BS)은 상이한 그룹의 가입자국들(MSn)에 그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가입자국(MSn)으로부터 기지국(BS)으로의 전송을 위한 최대 허용 전송 출력에 대해 상이한 값을 할당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기지국(BS)은 공통 제어 채널(CCH)을 통해 방송(broadcast)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C) 내에 존재하는 모든 가입자국(MSn)으로 관련 값들을 전송한다.
도 2에는 도 1의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제어 채널(CCH)을 통해 어느 값(U1, U2, U3, U4)이 전송되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기지국(BS)은 제 1 그룹의 모든 가입자국(MS1, MS5)의 최대 허용 전송 출력에 대해 제 1 값(U1)을 전송한다. 계속해서 기지국은 도 1의 나머지 그룹(2, 3, 4)의 모든 가입자국의 최대 허용 전송 출력에 대해 대응되는 값(U2, U3, U4)을 전송한다. 제 4 그룹(4)의 가입자국(MS4)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관련 값(U4)이 나머지 그룹(1, 2, 3)의 값(U1, U2, U3)보다 크다. 따라서 제 3 그룹에 대한 값(U3)은 관련 가입자국(MS3)의 우선 순위가 더 높기 때문에 나머지 2개 그룹(1, 2)의 값(U1, U2)보다 크다.
공통 제어 채널(CCH)은 서비스 범위(C) 내 모든 가입자국(MSn)에 의해 수신된다. 그러나 가입자국은 가입자국 자신이 속한 그룹(1, 2, 3, 4)에 할당되는 값(U1, U2, U3, U4)만 고려한다. 그룹(1, 2, 3, 4)에 대한 값(U1, U2, U3, U4)의 할당은 예컨대 공통 제어 채널(CCH) 내에서의 값들의 순서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도 1의 가입자국(MSn)의 전송 출력은 당업자에 공지된 방식으로 적절한 제어 회로를 통해 설정된다. 이때, 전송 출력은 요구되는 전송 품질이 달성되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이 경우, 기지국(BS)에 의해 신호로 전송된, 가입자국(MSn)을 위한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1, U2, U3, U4)이 고려되므로, 요구된 신호 품질이 달성될 수 없는 경우에도 실제 전송 출력은 상기 값보다 결코 더 크게 선택될 수 없다.
이 실시예에서는, 고려되고 있는 이동 무선 시스템이 UMTS FDD 표준에 따라 작동된다. 따라서 가입자국(MSn)은 기지국(BS)으로의 자신의 연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특정 TFC를 사용한다. 도 3에는 제 1 가입자국(MS1)의 경우를 들어, 상기 제 1 가입자국이 제 1 TFC(TFC1)를 사용하며, 이때 상기 제 1 가입자국은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의 정해진 값(UX)을 고려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따라 기지국(BS)으로의 가입자국 MS1의 연 결을 위한 최대 허용 전송 출력에 대한 제 1 값(U1)이 수신된 후, 사용된 TFC가 제 2 TFC(TFC2)로 교체되고, 이때 제 1 가입자국(MS1)은 신호로 전송된 제 1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1)을 고려한다. 여기서 제 2 TFC(TFC2)는 제 1 TFC(TFC1)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손쉽게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1)을 유지(준수)할 수 있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기지국(BS)이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C) 내에서의 간섭을 측정한다. 상기 간섭이 최소값을 초과하지 않는 동안에는 기지국이 가입자국(MSn)의 최대 허용 전송 출력에 대한 값(U1, U2, U3, U4)을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 한계값이 초과되어야 각 그룹(1, 2, 3, 4)의 가입자국들로 상기 값들(U1, U2, U3, U4)이 신호로 전송되며, 그 결과 간섭 레벨의 추후 상승이 저지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이한 그룹에 속하는 가입자국들(MSn)의 우선 순위에 따라 최대 전송 출력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최대 허용 전송 출력에 대한 값들(U1, U2, U3, U4)이 규칙적으로, 예컨대 주기적으로, 기지국(BS)으로부터 송출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범위(C) 내에서의 간섭 상황이 크게 변동함에 따라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의 상향 조정 또는 하향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값들(U1, U2, U3, U4)의 송출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간섭도에 따라 일부(즉, 우선 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그룹에 대해서만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이 감소되고, 다른(우선 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그룹에 대해서는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이 감소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가입자국(MSn)의 우선 순위가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 대신 가입자국의 사용자 유형에 따라서 결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범위(C) 내에서의 가입자국(MSn) 위치에 따라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가입자국(MS1, MS5)은 기지국(BS)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서 서비스 범위(C)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1 그룹(1)에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러한 방식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가입자국에 대해 상황에 따라 특히 더 낮은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1)이 설정되기도 한다. 그 이유는, 서비스 범위(C)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 가입자국들(MS1, MS5)에 의해 이동 무선 시스템의 인접 서비스 범위 내에 야기되는 간섭이 매우 심각하기 때문이다.
상이한 그룹(1, 2, 3, 4)으로의 가입자국(MSn) 할당은 연결 구축시 그리고 관련 가입자국에 새로운 채널이 할당될 때 기지국(BS)의 적절한 신호 전송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특히 업링크시 패킷 데이터 전송을 이용하여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달성하기에 적합하다.
각각의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1, U2, U3, U4)이 정해진 시간 동안만 적용되도록 규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관련 값이 신호로 전송되기 전에 유효한 값이 다시 사용된다.
기지국(BS)은, 우선 순위가 더 높은 가입자국(예: 기업 고객)은 무선 자원을 완전히 활용할 수 있는 반면, 우선 순위가 더 낮은 사용자(예: 2차 업무(secondary services))는 전송 출력을 제한해야 한다. 선택된 제한이 충분치 않은 경우, 기지 국은 개별 그룹들에 대한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을 추가로 더 감소시키거나, 우선 순위가 더 높은 가입자국에 대한 전송 출력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가입자국의 그룹 할당을 우선 순위와 무관하게 수행할 수 있고, 상이한 그룹들에 대해 교대로 최대 허용 전송 출력을 상이한 강도로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그룹에 대한 평균 전송 품질은 동일하나 전체적으로는 서비스 범위(C) 내 간섭 상황이 개선된다. 이는 국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그룹 할당이 실시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우선 순위가 더 높은 그룹에 우선 순위가 더 낮은 그룹보다 더 자주(그러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님) 더 큰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이 할당됨으로써 전술한 상황이 발생한다.
다수의 기지국(BS)으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동일한 가입자국(MSn)에 수신되는 경우(예컨대 2개의 무선 셀 간의 소위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의 경우), 본 발명을 적용하면 각각의 기지국이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C) 내에서의 운용 조건에 기초하여 상이한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을 신호로 전송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입자국이 상기 가입자국 자신에 신호로 전송된 2개의 최대 전송 출력값 중 더 작은 값만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으로, 가입자국이 상기 가입자국(MSn)에서 최대 수신 출력을 갖는 신호를 송출하는 기지국(BS)으로부터 전송된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만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대안으로, 가입자국이 상이한 기지국(BS)으로부터 전송된 2개의 값을, 기지국에서의 신호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가중 평균할 수 있다.

Claims (11)

  1. 이동 무선 시스템의 서비스 범위(C) 내에 있는 가입자국(MSn)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S)을 운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각각의 가입자국(MSn)이 2개 이상의 그룹(1, 2) 중 하나에 할당되고,
    상기 기지국(BS)은 상기 기지국(BS)으로의 전송에 사용되는 최대 허용 전송 출력에 대한 제 1 값(U1)을 나타내는 신호를 공통 제어 채널(CCH)을 통해 상기 그룹들 중 하나(1)의 모든 가입자국(MS1, MS5)에 전송하는,
    기지국 운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공통 제어 채널(CCH)을 통해 다른 그룹(2)의 모든 가입자국(MS2)에 제 2의 최대 전송 허용 출력값(U2)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운용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1) 및/또는 상기 제 2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2)은 상기 서비스 범위(C) 내에서의 현재 운용 조건에 따라 좌우되는,
    기지국 운용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 조건은 상기 서비스 범위(C)의 부하 또는 간섭의 영향에 좌우되는,
    기지국 운용 방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BS)은 상기 운용 조건이 정해진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 1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1) 및/또는 상기 제 2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2)을 신호로 전송하는,
    기지국 운용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MSn)의 그룹(1, 2) 할당은 상기 가입자국의 우선 순위에 따라 좌우되는,
    기지국 운용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국(MSn)의 우선 순위가 각 가입자국들의 연결의 요구 서비스 품질, 상기 서비스 범위(C) 내에서의 가입자국의 위치 또는 상기 가입자국의 사용자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기지국 운용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1)이 신호로 전송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가입자국(MS1)이 기지국(BS)으로의 연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 1 TFC(Transport Format Combination)(TFC1)를 사용하고, 이때 상기 가입자국은 상기 제 1 값(U1)보다 더 큰 특정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X)을 고려하며,
    상기 제 1 값(U1)이 신호로 전송된 후 상기 가입자국은 연결을 위해 계속 상기 제 1 TFC(TFC1)를 사용하고, 이때 상기 가입자국은 제 1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1)을 고려하는,
    기지국 운용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1)이 신호로 전송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가입자국(MS1)이 기지국(BS)으로의 연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 1 TFC(TFC1)를 사용하고, 이때 상기 가입자국은 상기 제 1 값(U1)보다 더 큰 특정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X)을 고려하며,
    상기 제 1 값(U1)이 신호로 전송된 후 상기 가입자국은 상기 동일한 연결을 위해 제 2 TFC(TFC2)를 사용하고, 이때 상기 가입자국은 제 1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1)을 고려하는,
    기지국 운용 방법.
  10. 이동 무선 시스템의 서비스 범위(C) 내에 있는 가입자국(MSn)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S)으로서,
    각각의 가입자국(MSn)이 2개 이상의 그룹(1, 2) 중 하나에 할당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으로의 전송을 위해 제 1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1)을 나타내는 신호를 공통 제어 채널(CCH)을 통해 상기 그룹들 중 하나(1)의 모든 가입자국(MS1, MS5)에 전송하는 수단을 구비한,
    기지국.
  11. 이동 무선 시스템의 서비스 범위(C) 내에 있는 가입자국(MSn)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기지국(BS)의 운용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각각의 가입자국(MSn)이 2개 이상의 그룹(1, 2) 중 하나에 할당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기지국(BS)이 상기 기지국(BS)으로의 전송을 위한 제 1 최대 허용 전송 출력값(U1)을 나타내는 신호를 공통 제어 채널(CCH)을 통해 상기 그룹들 중 하나(1)의 모든 가입자국(MS1, MS5)에 전송하도록 하는 실행 명령(어)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67003529A 2003-08-21 2004-07-12 업링크 전송 출력 제어를 포함하는 기지국 운용 방법 및관련 컴퓨터 프로그램 KR200700127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3138485 DE10338485A1 (de) 2003-08-21 2003-08-21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asisstation, Basisstation und Computerprogramm
DE10338485.5 2003-08-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773A true KR20070012773A (ko) 2007-01-29

Family

ID=3420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529A KR20070012773A (ko) 2003-08-21 2004-07-12 업링크 전송 출력 제어를 포함하는 기지국 운용 방법 및관련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656747A1 (ko)
KR (1) KR20070012773A (ko)
CN (1) CN1839562A (ko)
DE (1) DE10338485A1 (ko)
WO (1) WO2005022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5825B2 (en) 2004-07-21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signaling channel for a communication system
GB2450521B (en) * 2007-06-28 2009-07-2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 common control channel to a mobile station
FI123253B (fi) * 2008-06-19 2013-01-15 Cassidian Finland Oy Ohjausmekanismi yhteisen ohjauskanavan käyttöön
US20130143502A1 (en) * 2010-08-13 2013-06-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ual Operation of User Equipment in Licensed and Unlicensed Spectru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7929C (fi) * 1994-02-25 1997-03-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eri prioriteetin omaavien puheluiden lähettämiseksi solukkoradioverkossa
US8072915B1 (en) * 1998-06-12 2011-12-06 Ericsson Ab Common power control channel in a CDMA system and a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uch a channel
JP3385217B2 (ja) * 1998-08-05 2003-03-10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ン含有水性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の製造法
EP0993128A1 (en) * 1998-10-05 2000-04-12 Motorola, Inc. Power control in communications systems
US20020098860A1 (en) * 1999-01-12 2002-07-25 Pecen Mark E. Transmit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I19992695A (fi) * 1999-12-15 2001-06-16 Nokia Networks Oy Kanava-allokointimenetelmä solukkoradioverkossa
US6658262B1 (en) * 1999-12-27 2003-12-02 Telefonaktiebol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power control order message management
DE10149549A1 (de) * 2001-07-06 2003-04-10 Siemens Ag Verfahren zur Steuerung der Sendeleistung mindestens einer Sendestation eines Funkkommunikationssystems, zugehöriges Teilnehmergerät sowie Sendestation
JP2004128993A (ja) * 2002-10-03 2004-04-22 Ntt Docomo Inc 送信電力制御方法、基地局、移動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2774A1 (de) 2005-03-10
CN1839562A (zh) 2006-09-27
EP1656747A1 (de) 2006-05-17
DE10338485A1 (de)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1399B2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a high-speed shared channel
JP5054186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セル間干渉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3260233B (zh) 控制无线通信系统内的小区间干扰的上行链路资源分配
KR101059662B1 (ko) Wan 시그널링 및 피어 투 피어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혼합형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 및/또는 간섭 관리에 관한 방법 및 장치
KR100911087B1 (ko) 간섭 제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결정, 통신, 및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94375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loa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neighboring base stations
EP276179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AU2006350924B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7647025B2 (en) Method for adaptively controlling and coordinating other cell interference
EP3094123A1 (en) Measurement-assisted dynamic frequency-reuse in cellular telecommuncations networks
US20080051096A1 (en) Method for adaptively controlling other cell interference
US200701055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21781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송신전력 설정 및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WO2007132861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KR20060106863A (ko) 패킷 통신 시스템, 패킷 통신 방법, 기지국, 이동국, 및패킷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1147339A (zh) 在移动通信系统中将最大用户设备发送器功率信息通过信号传送到基站以用于调度上行分组传输的方法和设备
US20060246935A1 (en) Scheduling apparatus and scheduling apparatus method
US6928268B1 (en) Method for allocating a transmission capacity to connection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SE524688C2 (sv) Metod och anordningar för att allokera kanal till en mobilstation i ett radiokommunikationssystem
WO2009145546A2 (ko)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적응형 부분 주파수 재사용 방법 및 장치
KR10093312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데이터 레이트 스케쥴링 장치및 방법
EP1855423B1 (en) Decentralized multi-user link adaptation for QoS support
EP1700394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ower contro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1300045B8 (en) Radio access traffic management
KR20070012773A (ko) 업링크 전송 출력 제어를 포함하는 기지국 운용 방법 및관련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