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353A - 제어식 투웨이 밸브 - Google Patents

제어식 투웨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353A
KR20070012353A KR1020067017327A KR20067017327A KR20070012353A KR 20070012353 A KR20070012353 A KR 20070012353A KR 1020067017327 A KR1020067017327 A KR 1020067017327A KR 20067017327 A KR20067017327 A KR 20067017327A KR 20070012353 A KR20070012353 A KR 20070012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exhaust gas
running
outlet
contro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3917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쾨스터
하인리히 디스몬
한스-위르겐 휘스게스
한스-울리히 퀴넬
프란츠 델렌
리델 뢰트게스
Original Assignee
피어불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어불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피어불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12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66Lift valves, e.g. poppet valves
    • F02M26/69Lift valves, e.g. poppet valves having two or more valve-clos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22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coolers in the recirculation passage
    • F02M26/23Layout, e.g. schematics
    • F02M26/25Layout, e.g. schematics with coolers having bypasses
    • F02M26/26Layout, e.g. schematics with coolers having bypasse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bypass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45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EGR systems
    • F02M26/48EGR valve position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52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 F02M26/53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using electric actuators, e.g. solenoids
    • F02M26/54Rotary actuators, e.g. step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Lift Valv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밸브 로드(3)가 적어도 두 개의 밸브 멤버(4, 5, 6; 24, 25; 39, 40)와 결합되며, 밸브 로드(3)가 엑추에이터(2)를 통해 작동되는 제어식 투웨이 밸브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7)은 하나의 입구(8; 41) 또는 출구를 포함하며, 이에 상응하게 두 개의 출구(9; 32; 42)(10; 28; 43) 또는 입구을 포함하며, 두 개의 밸브 멤버(4, 5, 6; 24, 25; 39, 40)가 적어도 두 개의 밸브 시트(12, 17, 22; 29, 37, 38; 46, 47)와 연동하며, 적어도 두 개의 밸브 멤버(4, 5, 6; 24, 25; 39, 40)가 세 개의 제어면(11, 13, 18; 26, 27, 31; 44, 45, 48)을 포함한다. 이로서 고정적으로 배치된 밸브 멤버를 통해 추가적 장치 없이 오염에 둔감하며 간단하게 작동되는 밸브가 제공되는데, 이 밸브는 입구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양측 출구를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제어식 투웨이 밸브{CONTROLLABLE TWO-WAY VALVE}
본 발명은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이 투웨이 밸브는 하나의 밸브 로드 및 적어도 두 개의 밸브 멤버를 포함하며 엑추에이터를 통해 작동 가능하고, 입구 또는 출구 및 두 개의 출구 또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각각 하나의 입구 또는 출구를 하나 또는 양측 출구 또는 입구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제어식 투웨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런 유형의 제어식 투웨이 밸브는 조합식 배기가스 재순환 및 바이패스 밸브로서 알려져 있는데, 이 밸브에서는, 워밍업 단계에서 배기가스가 바이패스를 통해 안내되고 촉매변환장치가 워밍업된 후에는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냉각기를 통해 재순환되게 함으로써 엔진의 유해물질 방출을 줄이기 위하여 두 개의 밸브 멤버가 엑추에이터를 통해 작동된다.
독일 특허 DE 100 25 877에는 밸브 장치를 구비한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는데, 이 밸브 장치는 하나의 배기가스 입구와 두 개의 배기가스 출구를 포함하며, 배기가스 출구 중 하나는 냉각기로 안내되고 다른 배기가스 출구는 냉각기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채널로 안내된다. 밸브의 하우징에서 배기가스 입구와 양측 배기가스 출구 사이에 각각 하나의 밸브 시트가 배치되는데, 이 밸브 시트는 접시 형태의 밸브 멤버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하나의 밸브 멤버는 엑추에이터를 통해 작동될 수 있는 내측 밸브 로드에 배치되며 엑추에이터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밸브 멤버는 제1 밸브 로드를 우회하는 튜브형의 제2 밸브 로드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양측 밸브 디스크가 그 밸브 시트에 대해 압박되도록 초기 응력을 발생시키는 두 개의 스프링이 엑추에이터에 배치되도록, 엑추에이터가 실시된다. 각각의 내측 및 외측 밸브 로드는 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므로, 동작 방향에 따라서 단지 하나의 밸브 로드 및 이로서 단지 하나의 밸브 멤버가 밸브 시트로부터 위로 올려지도록 공압식 또는 전동식 엑추에이터가 실시된다.
마찬가지로 독일 특허 DE 198 12 702 A1에도 재순환된 배기가스 흐름의 제어를 위한 밸브 장치가 설명되어 있는데, 이 밸브 장치는 바이패스 채널 또는 배기가스 냉각기 뒤에 배치되며, 이로서 두 개의 입구 및 하나의 출구를 포함한다. 각각 하나의 밸브 시트와 연결된 두 개의 밸브 멤버는 채널에 배치된 두 개의 코일 스프링을 통해 각각 밸브 시트에 대항하여 압박된다. 두 개의 밸브 멤버는 중앙에서 하나의 보어를 포함하는데,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의 밸브 로드가 이 보어에 도달한다. 밸브 로드는 두 개의 칼라(collar)를 포함하는데, 이 칼라를 통해 밸브 멤버가 밸브 로드의 작동 시 각각 개별적으로 개방 방향에서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작동될 수 있으며, 각각 다른 밸브 멤버는 밸브 로드에서 활주하는데, 그 이유는 이 밸브 멤버가 스프링 힘에 의해 계속 밸브 시트 방향으로 압력되기 때문이다.
독일 특허 DE 197 33 964 A1에는 이와 유사한 밸브 장치가 설명되어 있는데, 이 특허에서는 양측 밸브 디스크의 초기 응력이 양측 밸브 디스크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므로, 밸브 로드의 양측 칼라가 스프링 반대 방향의 밸브 디스크 단부에 각각 배치된다.
전술한 실시들의 단점은 두 개의 밸브 로드 및 이로서 복잡한 엑추에이터가 밸브 로드의 상호 독립적인 조절을 위해 필요하거나 또는 개별 밸브 로드를 포함하는 실시에서는 밸브 멤버가 로드 상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지 않으며 이로서 하우징에서 특정한 위치를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이런 유형의 밸브 장치는 오염에 상당히 민감한데, 그 이유는 코일 스프링이 배기가스 통로 구역에 배치될 뿐 아니라 배기가스 통로 구역에서 밸브 로드가 밸브 보어를 통과하여 동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카본 블랙에 의해 밸브 로드에 침착물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원활한 기능, 즉 밸브 로드의 활주가 밸브 멤버의 보어에서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 또한 모든 실시들에서 양측 입구 또는 출구의 단 하나만 개방될 수 있으므로, 냉각기 및 바이패스 채널의 동시 유동이 불가능하고, 이로서 혼합 온도에 도달할 수 없다. 밸브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맥동으로 인해 채널의 안정적인 밀폐를 위해 스프링 힘을 매우 크게 선택해야 하며, 또한 이로서 개방 시 엑추에이터가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큰 힘을 가해야 하며 따라서 고가로 크게 실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엑추에이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게 구동되는 투웨이 밸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런 투웨이 밸브는 단지 하나의 밸브 로드만 포함하며, 이런 밸브에서는 양측 출구 흐름 또는 입구 흐름을 개별적으로 및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발생하는 배기가스 맥동에도 불구하고 재순환 배기가스를 완전하게 및 신뢰성 있게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밸브는 가능한 한 오염에 둔감해야 하며 저비용으로 제조 및 조립이 가능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에서는 부분 흐름이 배기가스 냉각기 또는 바이패스 채널을 통해 안내될 수 있으므로, 혼합 온도로 운전될 수 있다.
이 목적은, 밸브 로드가 적어도 두 개의 밸브 멤버와 결합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밸브 멤버는 적어도 두 개의 밸브 시트와 연동하며, 적어도 두 개의 밸브 멤버가 세 개의 제어면을 포함한다. 이로서 입구 채널 또는 출구 채널을 각각 개별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밸브가 제공되며, 이를 위해 엑추에이터와 결합된 단 하나의 밸브 로드 만 필요하다. 또한 내부 장치 또는 밸브 로드 또는 밸브 멤버의 초기 응력이 필요치 않다. 바이패스 채널 또는 배기가스 냉각기로의 각 흐름에 대한 가능한 양 조절도 그대로 유지된다. 밸브 시트에 대해 서로 다르게 밸브 멤버를 적합하게 배치함으로써 이런 밸브 장치에서는 배기가스 흐름의 혼합을 통해 특정한 온도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런 배기가스 흐름은 일부 배기가스 냉각기를 통해 안내되고 다른 일부는 바이패스 채널을 통해 안내된다.
바람직하게도 조절식 투웨이 밸브는 조합형 배기가스 재순환 및 바이패스 밸브이며, 여기에서 입구는 배기가스 재순환 채널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1 배기가스 출구는 직접 또는 채널을 통해 배기가스 냉각기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배기가스 출구는 바이패스 채널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 바이패스 채널을 통해 배기가스 냉각기를 우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적어도 하나의 밸브 멤버가 밸브 로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을 포함하며, 이로서 배기가스 흐름 제어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양측 배기가스 흐름은 개별적 및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며 재순환 배기가스는 발생하는 배기가스 맥동에도 불구하고 완전하게 및 신뢰성 있게 차단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추가적으로 밸브 멤버에 작용하는 스프링 힘을 극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이 원통형 외측면으로서 실시되며, 그 중앙축은 밸브 로드를 통해 형성된다. 이로서 간단한 제조 및 조립이 보장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하나의 밸브 시트와 연동하는 세 개의 밸브 멤버가 밸브 로드에 배치되며, 제1 밸브 멤버는 배기가스 입구를 제어하고, 제2 밸브 멤버는 배기가스 냉각기 측 출구를 제어하며, 이 출구는 배기가스 입구와 바이패스 채널 측 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을 포함하고, 제2 밸브 멤버는 축방향에서 가스 흐름이 통과될 수 있으며, 제3 밸브 멤버는 바이패스 채널 측 출구를 제어한다. 이런 형태의 배치는, 밸브 로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배기가스 흐름의 완전한 차단뿐 아니라 냉각기 또는 바이패스 측의 유체 소통 가능한 연결을 차단하기에도 적합하며, 또한 배기가스를 냉각기 뿐 아니라 바이패스로도 안내하기에 적합하고, 이로서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축방향 제어면의 높이에 따라서 냉각 채널이 닫힌 상태에서도 바이패스 채널 측으로의 양 조절이 가능하다.
대안적 실시 형태에서는 두 개의 밸브 멤버가 밸브 로드에 배치되는데, 이 중에서 제1 밸브 멤버는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을 포함하며, 각 제어면은 밸브 시트와 연동한다. 이 대안적 실시와 달리 하나의 밸브 멤버를 절약할 수 있으며 바이패스 측 또는 냉각기 측 배기가스 질량 흐름의 조절이 밸브 로드와 고정 결합된 밸브 멤버를 토해 구현된다.
이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밸브 멤버의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이 배기가스 입구를 제어하며, 제1 밸브 멤버의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이 바이패스 채널 측 출구를 제어하고 제2 밸브 멤버의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이 배기가스 냉각기 측 배기가스 출구를 제어하고, 이로서 간단한 배치가 이루어지며, 따라서 서로 다른 입구 및 출구 또는 밸브 멤버의 배치를 통해 적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냉각기 및 바이패스 측 재순환 배기가스량의 제어는 이런 향태의 배치를 통해 구현된다.
또한 제2 밸브 멤버는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측면은 배기가스 흐름을 더욱 양호하게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밸브 멤버의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이 원통형 외측면으로서 실시되는데, 그 직경은 제2 밸브 멤버의 직경보다 작고, 하우징의 내측벽과 원통형 외측면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는데, 이 틈새는 제1 출구의 대응측에 배치된다. 이로서 출구에서 제어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배기가스 냉각기 측으로의 유체 소통 가능한 연결이 가능하며 적은 설치 공간에서 밸브의 안정적인 기능이 구현되고, 개별 부품, 특히 밸브 하우징의 조립 및 제조가 저비용으로 가능하다.
대안적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가스 입구가 배기가스 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이로서 바이패스 측 및 냉각기 측 배기가스 질량 흐름 조절이 각각 다른 바이패스 또는 냉각기 측 출구가 닫힌 상태에서 가능하며 단지 두 개의 밸브 시트 만 제어되고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밸브 멤버의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두 개의 제어면 사이의 간격이 제1 밸브 시트와 제2 밸브 시트 사이의 배기가스 입구의 높이와 같고, 제1 밸브 시트는 바이패스 채널 측 배기가스 출구와 배기가스 입구 사이의 통로를 감싸며, 제2 밸브 시트는 배기가스 냉각기 측 배기가스 출구와 배기가스 입구 사이의 통로를 감싼다. 이로서 배기가스 재순환 라인이 차단된 상태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의 안착을 통한 완전하고 안정적인 밀폐가 보장된다.
또한 이에 대한 다른 대안적 실시 형태에서는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이 밸브 시트에 안착됨으로써 배기가스 유입 흐름이 차단되며 제1 밸브 멤버의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이 양측 밸브 시트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양측 밸브 시트 사이의 간격에 거의 일치하는 높이를 가지므로,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이 선택적으로 양측 밸브 시트 중 하나와 각각 연동한다. 이로서 이 실시 형태에서도 제2 출구가 닫힌 상태에서 배기가스 유량 조절이 가능하다. 동시에 이 밸브는 오염에 둔감하며 약한 작동력을 필요로 하므로, 소형의 저가 엑추에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배치된 밸브 멤버에서 하나의 엑추에이터 및 하나의 밸브 로드를 구비한 투웨이 밸브를 통해 냉각기 측 배기가스 유량 뿐 아니라 바이패스 채널 측 배기가스 유량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오염에 대한 상당한 둔감성이 제공되며, 저비용의 제조 및 조립이 가능하다. 배기가스 맥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엑추에이터가 약한 작동력만 필요로 하므로, 저가의 구동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소요 설치 공간이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른 투웨이 밸브의 실시예는 배기가스 재순환 및 바이패스 밸브에 대한 예시로서 하기 도면에 도시되며 설명된다.
도 1은 세 개의 밸브 멤버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웨이 밸브에 대한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두 개의 밸브 멤버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웨이 밸브에 대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 형태에 대한 개략적 측단면도로서, 밸브의 서로 다른 위치에 따른 작동 방식을 도시한다.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에서 동일한 기능을 충족시키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조합형 배기가스 재순환 및 바이패스 밸브(1)는 엑추에이터(2)를 포함하는데, 이 엑추에이터를 통해 밸브 로드(3)가 병진적(translatory) 운동을 하게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도 액추에이터(2)는 위치 센서를 구비한 양방향 작동이 가능한 전동 모터 구동장치로서 실시된다. 밸브 로드(3)에는 세 개의 밸브 멤버(4, 5, 6)가 고정 배치되며, 이 밸브 멤버는 배기가스 재순환 및 바이패스 밸브(1)의 하우징(7)에 형성된 배기가스 입구 또는 출구(8, 9, 10)와 연동하고, 각 밸브 멤버(4, 5, 6)에는 정확하게 하나의 배기가스 입구 또는 출구(8, 9, 10)가 할당된다. 제1 밸브 멤버(4)의 제어면(11)은 밸브 시트(12)와 연동하는데, 이 밸브 시트는 배기가스 출구(8)의 단부에 배치되므로, 밸브 시트(12)에 밸브 멤버(4)가 안착할 때 환류된 배기가스 흐름이 중단된다. 이를 위해 배기가스 입구(8)는 알려진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배기가스 환류 채널에 연결된다.
제2 밸브 멤버(5)는 축방향에서 밸브 로드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13)을 포함하며, 이 제어면은 원통형 외측면(14)에 배치되며, 이 외측면은 웨브(15)를 통해 밸브 로드(3)와 연결되어 있어서, 이 밸브 멤버(5)는 축방향에서 기체 통과가 가능하다. 이 밸브 멤버(5)는 그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13)을 통해 채널(16)을 제어하는데, 이 채널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배기가스 냉각기와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7)은 제2 밸브 시트(17)를 포함하는데, 이 밸브 시트는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밸브 멤버(5) 제어면(13)과 연동한다. 엑추에이터(2)에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밸브 멤버(6)는 포핏 밸브(poppet valve)로서 실시되며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18)을 통해 제2 배기가스 출구(10)를 제어하는데, 이 제2 배기가스 출구는 이 실시예에서 직접 흡기 매니폴드(20)의 집합관(19)으로 안내되고 배기가스의 우회를 위한 바이패스 채널(21)로서 기능한다. 물론 밸브 멤버(6)에 의해 제어되는 별도의 바이패스 채널(2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바이패스 채널(21)을 닫기 위해 밸브 멤버(6)는 마찬가지로 배기가스 재순환 및 바이패스 밸브(1)의 하우징(7)에 형성된 밸브 시트(22)와 연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가스 유입은 스로틀 밸브 서포트(23) 바로 뒤에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한 밸브(1) 및 밸브 멤버(4, 5, 6)의 위치에서는 배기가스 재순환 채널 즉 배기가스 입구(8)와 바이패스 채널(21)로서 기능하는 흡기 매니폴드(20) 사이에 유체 소통 가능한 연결이 형성되며, 반면 밸브 멤버(5)는 배기가스 냉각기측 채널(16)을 닫는다. 이러한 밸브(1) 위치는 예를 들어 촉매변환장치의 신속한 가열을 위해 엔진의 시동 시 일반적인 위치이다. 이제 밸브 로드(3)가 계속 아래로 동작하면, 밸브 멤버(5)의 원통형 외측면(14)의 제어면(13)이 밸브 시트(17)에서부터 이동하므로, 배기가스 냉각기 측 채널(16)이 배기가스 입구(8)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런 유형의 위치에서는 그에 따라 온도 제어가 가능한데, 그 이유는 출구(9)가 점점 더 개방됨에 따라 냉각기 측 배기가스 흐름도 통과 면적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이다. 밸브 로드(3)가 흡기 매니폴드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 밸브 멤버(4)가 밸브 시트(12)에 안착하게 되므로 배기가스 재순환이 중단된다.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한 위치에서는 밸브 로드(3)가 엑추에이터(2)의 방향으로도 동작할 수 있으므로, 다시 배기가스 출구(9)가 개방되고 특정한 범위에서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밸브 시트(17, 22)의 통과 횡단면적이 상호 의존적으로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런 동작의 최종 위치에서는 배기가스 출구(9)가 완전히 개방되고 밸브 멤버(6)가 밸브 시트(22)에 안착되므로, 재순환된 배기가스 흐름 전체가 이제 냉각기를 거쳐 엔진으로 공급되는데, 이는 엔진이 이미 워밍업된 상태에서 특히 엔진의 중간 부하 범위에서 요구된다.
이로서 이런 유형의 투웨이 밸브를 통해 배기가스 재순환 라인이 완전히 닫힐 뿐 아니라 배기가스가 선택적으로 완전히 바이패스 채널 또는 흡기 매니폴드를 통해 안내되거나 또는 완전히 배기가스 냉각기를 통해 안내될 수도 있다. 또한 혼성 모드도 가능한데, 이런 혼성 모드에서는 냉각기로 안내된 배기가스량이 밸브 로드(3)의 동작 시 바이패스 채널(21)을 통해 안내된 양에 대해 동일한 비율로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또한 도 1에 따른 엑추에이터의 방향에서와 비교하여 축방향 제어면(13)의 축방향 확장의 증가로 인해 냉각 채널(16)이 닫힌 상태에서 바이패스 채널(21)을 통한 양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 배기가스 재순환 및 바이패스 밸브(1)로서 실시되는, 도 2에 도시한 투웨이 밸브는 그 밸브 로드(3)에 배치된 단지 두 개의 밸브 멤버(24, 25) 만 포함하며, 엑추에이터(2)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 밸브 멤버(24)는 도 1에 따른 밸브 멤버(4, 5)의 기능을 서로 통합한다. 이 밸브 멤버(24)는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26) 뿐 아니라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27)도 포함하는데, 이 제어면은 제1 배기가스 출구(28)를 제어하고 도 1의 제어면(12)처럼 주로 밸브 시트(29)와 연동하며 원통형 외측면(30)의 일부에 해당한다. 또한 밸브 멤버(25)도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31)을 포함하는데, 이 제어면은 제2 배기가스 출구(32)를 제어한다. 또한 이 밸브 멤버(25)는 추가적으로 하나의 원통형 외측면(33)도 포함하지만, 우선적으로 이 외측면은 하우징(7)에 있는 상응하는 보 어(34)에 대항하여 밀봉을 더욱 개선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누설 흐름이 억제된다. 이때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두 개의 원통형 외측면(30, 33)은 교차되거나 또는 덮이게 형성된다. 즉 밸브 멤버(25)의 원통형 외측면(33)은 밸브 멤버(24)의 원통형 외측면(3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원통형 외측면(33)이 하우징(7)의 내측벽에 완전히 접하는 반면, 원통형 외측면(30)은 하우징(7)의 내측벽에 대해 틈새(35)를 갖는데, 이 틈새는 밸브 로드(3)의 출구(28) 대응 측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도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가스 출구(28)가 바이패스 채널(36)과 연결되는 반면, 배기가스 출구(32)는 엔진의 냉각기로 연결된다. 이 위치에서는 밸브 시트(37)가 밸브 멤버(24) 또는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그 제어면(26)을 통해 완전히 닫히므로, 배기가스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제 밸브 로드(3)가 엑추에이터(2)를 통해 아래로 밀리면,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26)이 밸브 시트(37)로부터 분리되어, 배가기스 흐름이 바이패스 채널(36) 측 틈새(35)를 통해 이루어진다. 밸브 로드(3)가 계속 밀리면 밸브 시트(37)를 통과하는 횡단면적이 커지므로, 제어면이 부분적으로 밸브 시트(29) 전까지 이동하여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27)이 바이패스 채널(36)을 닫기 시작할 때까지, 바이패스 채널(36) 측으로 더욱 증가된 배기가스 흐름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이후 동작에서 바이패스 채널(36)이 완전히 닫힐 때까지 계속된다.
하지만 출구(28) 및 이로서 바이패스 채널(36)이 완전히 닫힘과 동시에 배기가스 냉각기로 안내되는 배기가스 출구(32)가 열리는데, 그 이유는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밸브 멤버(25) 제어면(31)이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밸브 시트(38) 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이로서 유동 횡단면이 자유롭게 되고 엔진의 워밍업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더 많은 배기가스가 완전히 냉각기를 거쳐 방출되기 때문이다.
이로서 이런 유형의 밸브에서는, 재순환된 배기가스량을 조절하고 바이패스 채널(36)을 통과하는 배기가스량 뿐 아니라 배기가스 냉각기를 통과하는 배기가스량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에서는 혼성 모드가 불가능하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절식 투웨이 밸브는 도 2의 밸브에서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밸브 멤버(39, 4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 및 바이패스 밸브(1)의 주요 차이점은 이 실시에서 출구(41)가 두 개의 출구(42, 4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하우징(7)에서 밸브(1)의 네 가지 서로 다른 위치를 근거로 하여, 어떤 방식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는 지를 뚜렷하게 알 수 있다.
도 3a에서 밸브(1)는 양측 배기가스 출구(42, 43)가 닫힌 위치에 있다. 양측 밸브 멤버(39, 40)가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며, 출구(42, 43)에 대응하는 밸브 시트(46, 47)에 안착되는 제어면(44, 45)을 포함하므로, 이런 닫힘이 이루어진다. 이에 상응하게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이 양측 제어면(44, 45)의 간격이 배기가스 입구(41)의 높이이다.
도 3b에는 제2 위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제2 위치에서는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두 개의 제어면(44, 45)이 밸브 시트(46, 47)로부터 위로 올려져 있다. 이로서 제1 배기가스 출구(42)로의 통과 횡단면이 자유롭게 되고, 반면 이제 밸브 시트(47)가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원통형으로 실시된 밸브 멤버(39)의 제어면(48) 이 닫히므로, 더 이상 배기가스 출구(43)로의 배기가스 흐름이 불가능하다. 이로서 이 구역에서의 약간 위로 올림 또는 내림을 통해 단지 배기가스 출구(42)로의 배기가스 흐름만 조절된다.
이와 달리 도 3c는 이제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48)이 밸브 시트(46)과 연동하기 시작하는, 즉 제1 배기가스 출구(42) 측 통로가 닫히기 시작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배기가스 출구(43)가 개방되는데, 그 이유는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48)이 밸브 시트(47)로부터 위로 올라가, 이제 배기가스 출구(43)로의 약간의 배기가스 흐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상응하게 이 실시예에서는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48)의 높이는 배기가스 입구(41)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도록 선택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양측 밸브 시트(46, 47) 및 축방향 제어면(48)의 직경은 동일하게 선택해야 한다.
도 3d는 밸브(1)가 이제 더 아래로 이동한 위치를 나타내는데, 이 위치에서는 배기가스 출구(43) 측의 유동 가능한 모든 횡단면이 자유롭게 개방된다.
이로서 양측 배기가스 유량은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축방향 제어면의 높이 조정을 통해 이 밸브는 상응하는 요구에 맞게 각각 적응될 수 있고, 이로서 상황에 따라서 혼성 모드도 가능하다.
이 실시 형태를 통해 오염에 민감하지 않은 투웨이 밸브가 제공되는데, 이런 투웨이 밸브는 추가적인 내부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저렴하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런 밸브는 약한 작동력으로 기존의 양측 배출량을 차단하는 것 뿐 아니라 제어하는 것도 보장한다.
또한 자명하게도, 이런 밸브 구조의 복수의 변경이 가능하며, 특히 입구 및 출구의 서로 다른 상호 배치 및 축방향 또는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의 상호 배치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재순환과 관연된 분야 이외의 분야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배기가스 또는 바이패스 채널 앞 뿐 만 아니라 뒤에도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엔진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하나의 밸브 로드 및 적어도 두 개의 밸브 멤버를 포함하며 엑추에이터를 통해 작동 가능하고, 입구 또는 출구 및 두 개의 출구 또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각각 하나의 입구 또는 출구를 하나 또는 양측 출구 또는 입구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에 있어서,
    밸브 로드(3)가 적어도 두 개의 밸브 멤버(4, 5, 6; 24, 25; 39, 40)와 고정 방식으로 결합되며, 이 밸브 멤버는 적어도 두 개의 밸브 시트(12, 17, 22; 29, 37, 38; 46, 47)와 연동하며, 적어도 두 개의 밸브 멤버(4, 5, 6; 24, 25; 39, 40)가 세 개의 제어면(11, 13, 18; 26, 27, 31; 44, 45, 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조절식 투웨이 밸브는 조합형 배기가스 재순환 및 바이패스 밸브(1)이며, 입구(8; 41)는 배기가스 재순환 채널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1 배기가스 출구(9; 32; 42)는 직접 또는 채널(16)을 통해 배기가스 냉각기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배기가스 출구(10; 28; 43)는 바이패스 채널(21, 36)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 바이패스 채널을 통해 배기가스 냉각기의 우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멤버(5; 24; 39)가 밸브 로 드(3)에 대해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13; 27; 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13; 27; 48)이 원통형 외측면(14; 30; 39)으로서 실시되며, 그 중앙축은 밸브 로드(3)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밸브 시트(12, 17, 22)와 연동하는 세 개의 밸브 멤버(4, 5, 6)가 밸브 로드(3)에 배치되며, 제1 밸브 멤버(4)는 배기가스 입구(8)를 제어하고, 제2 밸브 멤버(5)는 배기가스 냉각기 측 출구(9)를 제어하며, 이 출구는 배기가스 입구(8)와 바이패스 채널(21) 측 출구(10) 사이에 배치되며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13)을 포함하고, 제2 밸브 멤버(5)는 축방향에서 가스 흐름이 통과될 수 있으며, 제3 밸브 멤버(6)는 바이패스 채널(21) 측 출구(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밸브 멤버(24, 25)가 밸브 로드(3)에 배치되는데, 이 중에서 제1 밸브 멤버(24)는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27)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26)을 포함하며, 각 제어면(26, 27, 31)은 밸브 시트(37, 29, 38)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밸브 멤버(24)의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26)이 배기가스 입구(8)를 제어하며, 제1 밸브 멤버(24)의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27)이 바이패스 채널(36) 측 출구(28)를 제어하고 제2 밸브 멤버(25)의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31)이 배기가스 냉각기 측 배기가스 출구(3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제2 밸브 멤버(25)가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외측면(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밸브 멤버(24)의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27)이 원통형 외측면(30)으로서 실시되며, 그 직경은 제2 밸브 멤버(25)의 직경보다 작고, 하우징(7)의 내측벽과 원통형 외측면(30) 사이에는 틈새(35)가 형성되고, 이 틈새는 제1 출구(28)의 대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
  10.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기가스 입구(41)가 양측 배기가스 출구(42, 4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밸브 멤버(39, 40)의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두 개의 제어면(44, 45) 사이의 간격이 제1 밸스 시트(46)와 제2 밸브 시트(47) 사이의 배기가스 입구(41)의 높이와 같고, 제1 밸브 시트(46)는 바이패스 채널 측 배기가스 출구(42)와 배기가스 입구(41) 사이의 통로를 감싸며, 제2 밸브 시트(47)는 배기가스 냉각기 측 배기가스 출구(43)와 배기가스 입구(41) 사이의 통로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44, 45)이 밸브 시트(46, 47)에 안착됨으로써 배기가스 유입 흐름이 차단되며 제1 밸브 멤버(39)의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48)이 양측 밸브 시트(46, 47)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양측 밸브 시트(46, 47) 사이의 간격에 거의 일치하는 높이를 가지므로,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제어면(48)이 선택적으로 양측 밸브 시트(46, 47) 중 하나와 각각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제어식 투웨이 밸브.
KR1020067017327A 2004-05-21 2006-08-28 제어식 투웨이 밸브 KR101213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25184A DE102004025184B4 (de) 2004-05-21 2004-05-21 Regelbare Zweiwegeventilvorrichtung
DE102004025184.3 2004-05-21
PCT/EP2005/003802 WO2005113972A1 (de) 2004-05-21 2005-04-12 Regelbare zweiwegeventil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353A true KR20070012353A (ko) 2007-01-25
KR101213917B1 KR101213917B1 (ko) 2012-12-18

Family

ID=3496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327A KR101213917B1 (ko) 2004-05-21 2006-08-28 제어식 투웨이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28897B2 (ko)
EP (1) EP1747369B1 (ko)
KR (1) KR101213917B1 (ko)
AT (1) ATE372456T1 (ko)
DE (2) DE102004025184B4 (ko)
WO (1) WO20051139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588A (ko) * 2018-07-30 2020-02-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결합된 egr 및 배기가스 냉각기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7306A1 (de) 2004-11-26 2006-06-01 Siemens Ag Verfahren zur Rückführung eines Teilstromes an Abgas zu einem Verbrennungsmotor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5041149A1 (de) * 2005-07-19 2007-02-01 Behr Gmbh & Co. Kg Wärmeübertragerventileinrichtung
EP1793114B1 (de) * 2005-12-02 2013-05-15 Behr Thermot-tronik GmbH Vorrichtung, insbesondere Abgasrückführventileinrichtung, zum Steuern oder Regeln eines Fluidstroms
DE102006054225B4 (de) * 2006-11-15 2019-06-19 Mahle International Gmbh Abgasrückführeinrichtung
WO2008087045A1 (de) * 2007-01-19 2008-07-24 Behr Thermot-Tronik Gmbh Wärmeübertragerventileinrichtung
WO2008087046A1 (de) * 2007-01-19 2008-07-24 Behr Thermot-Tronik Gmbh Wärmeübertragerventileinrichtung
AT504667B1 (de) * 2007-02-07 2008-07-15 Forschungsgesellschaft Fuer Ve Vorrichtung zur abgasrückführung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2007048297A1 (de) * 2007-10-08 2009-04-09 Behr Gmbh & Co. Kg Ventilvorrichtung zur Regelung eines rückgeführten gasförmigen Fluids, Wärmetauscher, Verfahren zur Regelung einer Ventilvorrichtung und/oder zur Regelung eines Wärmetauschers
DE102008008697A1 (de) * 2008-02-11 2009-08-27 Behr Gmbh & Co. Kg Aktuator für eine Bypass-Regeleinrichtung eines Bypasses bei einem Wärmetauscher, Wärmetauscher oder Baueinheit mit einem oder mehreren Wärmetauschern, Bypasssystem, Fahrzeugdiagnosesystem, Abgasrückführsystem, Ladeluftzuführsystem und Verwendung des Wärmetauschers oder der Baueinheit
WO2009151681A2 (en) * 2008-03-31 2009-12-17 Borgwarner Inc. Multi-port valve
EP2133546B1 (en) * 2008-06-12 2011-08-17 Kia Motors Corporation Exhaust gas recirculation device and vehicle
US20110108013A1 (en) * 2009-11-09 2011-05-12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with bypass capability and method
US8707996B2 (en) 2010-01-25 2014-04-29 G. W. Lisk Company, Inc. Selector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R2983532B1 (fr) * 2011-12-01 2015-02-13 Valeo Sys Controle Moteur Sas Vanne pour un circuit de circulation de gaz dans un vehicule
DE102012101851B4 (de) 2012-03-06 2014-06-05 Pierburg Gmbh Abgaseinleitvorrichtung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KR102463197B1 (ko) * 2017-12-18 2022-11-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재순환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67442A5 (en) 1969-11-04 1971-08-20 Permo Filter valve
DE3109285A1 (de) 1981-03-11 1982-09-23 Cillichemie Ernst Vogelmann Gmbh & Co, 7100 Heilbronn Absperrvorrichtung
DE19733964B4 (de) * 1997-08-06 2010-04-29 Volkswagen Ag Ventilanordnung zur Steuerung eines rückgeführten Abgasstromes
DE19734801A1 (de) 1997-08-12 1999-02-18 Pierburg Ag Abgasrückführ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Turbolader
GB2329002B (en) 1997-09-04 2002-03-06 Gen Motors Corp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DE19812702A1 (de) * 1998-03-23 1999-09-30 Volkswagen Ag Ventilanordnung zur Steuerung eines rückgeführten Abgasstromes
JP3811746B2 (ja) * 1998-04-23 2006-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弁装置
DE19851677C1 (de) * 1998-11-10 2000-03-09 Daimler Chrysler Ag Abgasrückführeinrichtung
DE19951591C1 (de) * 1999-10-27 2001-01-04 Daimler Chrysler Ag Abgasrückführ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zwei Abgasfluten
DE10025877C2 (de) * 2000-05-25 2002-04-11 Siebe Automotive Deutschland Gmbh Abgasrückführsystem
US7011081B2 (en) * 2004-02-24 2006-03-14 Siemens Vdo Automotive Inc. Double-pintle emission control valve having a one-piece double-seat el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588A (ko) * 2018-07-30 2020-02-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결합된 egr 및 배기가스 냉각기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47369A1 (de) 2007-01-31
US7428897B2 (en) 2008-09-30
EP1747369B1 (de) 2007-09-05
ATE372456T1 (de) 2007-09-15
DE502005001439D1 (de) 2007-10-18
US20070181106A1 (en) 2007-08-09
KR101213917B1 (ko) 2012-12-18
DE102004025184B4 (de) 2008-01-31
WO2005113972A1 (de) 2005-12-01
DE102004025184A1 (de)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917B1 (ko) 제어식 투웨이 밸브
EP1859156B1 (en) By-pass and egr integrated valve
US8443593B2 (en) Liquid-cooled exhaust valve assembly
US8225773B2 (en) Valve arrangement for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device
US7757679B2 (en) Integrated charge air and EGR valve
CN101769204B (zh) 关于工业机械的燃料输送系统的方法、装置和/或系统
US7213587B2 (en) Adjustable two-way valve device for a combustion engine
KR20060069485A (ko) 내연 기관용 공기 흡입관 시스템
KR101674362B1 (ko) 배기 가스 열 교환기
KR102458753B1 (ko) 차량용 egr 밸브
US6293266B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device
EP2133546B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device and vehicle
KR20090091791A (ko) 밸브 제어 장치
US7543576B2 (en) Exhaust-gas recirculation system
JPH10500465A (ja) 力平衡を付与されたピンを備えたegrバルブ
US6109302A (en) Three-way gas management valve
CN104093950A (zh) 恒温装置
JP5981411B2 (ja) 自動車の排ガス流動用バイパス弁
JPH0893605A (ja) 内燃機関のインジェクタに空気を供給する2段式バルブ
JP2009103021A (ja) 流路切替バルブ
EP1342908B1 (en) EGR valve
KR101928512B1 (ko) Egr 쿨러용 밸브 조립체
KR101928517B1 (ko)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바이패스 밸브를 구비한 egr 쿨러 조립체
JP2004003811A (ja) 特に車両暖房システムの、燃料運転される暖房バーナに用いられる温度制御式の燃料弁
CN107476899B (zh) 用于吹入气体的可电磁操纵的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