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341A - 식품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제공된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제공된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341A
KR20070012341A KR1020067016126A KR20067016126A KR20070012341A KR 20070012341 A KR20070012341 A KR 20070012341A KR 1020067016126 A KR1020067016126 A KR 1020067016126A KR 20067016126 A KR20067016126 A KR 20067016126A KR 20070012341 A KR20070012341 A KR 20070012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element
wall
food container
sealing
oper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937B1 (ko
Inventor
안토니오 기세프 페라
Original Assignee
바운드2비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7933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1234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운드2비 비.브이. filed Critical 바운드2비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7001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7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rupturing a portion of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6Unusual reclosabl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91Means for venting upon initial opening
    • B65D2517/0094Means for venting upon initial opening formed as a separat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용기, 특히 음료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벽에 배열된 벽 개구부 주위에서 식품 용기의 벽에 연결하기 위한 밀봉 요소(2) 및 벽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폐된 위치와 벽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된 위치 사이에 밀봉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밀봉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조작 요소(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장치가 제공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제공된 식품 용기{DEVICE FOR SEALING FOOD PRODUCT CONTAINER AND FOOD PRODUCT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본 발명은 식품 용기, 특히 음료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벽에 배열된 벽 개구부 주위에서 식품 용기의 벽에 연결하기 위한 밀봉 요소 및 벽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폐된 위치와 벽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된 위치 사이에 밀봉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밀봉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조작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 요소는 식품 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이 제공되며, 조작 요소가 바이어스 하에 밀폐된 위치에서의 밀봉 요소를 식품 용기의 매체가 세지 않는 밀봉을 위하여 벽에 연결하도록 조작 요소와 밀봉 요소의 상대적인 방향(orientation)이 바뀔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치가 제공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재밀폐 가능한 액체 용기는 오랜 기간 동안 공지되어져 왔다. 미국 특허 제 US 4,077,538호에는 음료 또는 그 외의 식품을 위한 재밀폐 가능한 캔이 공지된다. 공지된 캔은 접혀 이어진 상부 벽(seam-folded upper wall) 또는 커버에 의해 상부에서 밀폐된다. 상부 벽은 캔에 저장된 음료의 통로를 위한 벽 개구부(wall opening)가 제공된다. 또한 캔은 캔을 밀폐하기 위하여 상부 벽에 연결된 장치가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장치는 밀봉 요소에 연결된 기립된 조작 요소와 회전 가능한 밀봉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밀봉 요소는 불투과성 립(non-permeable lip)으로 구성되며, 조작 요소가 돌려진 후 벽 개구부는 닫혀지거나 또는 열려 질 수 있으며, 따라서 음료는 각각 통과되거나 통과될 수 없다. 공지된 캔의 장점은 재밀폐가능한 데 있으며, 이로 인해 즉시 캔의 내용물을 모두 소비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각각의 시간에 소비할 수 있다. 립에 의하여 캔의 통로 개구부를 밀폐함에 따라 캔의 내용물의 보관 기능이 다소 강화되며, 캔으로부터 캔의 내용물이 단순한 방법으로 누출될 수 있거나 또는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공지된 캔은 상기 기술된 장점뿐만 아니라 여러 단점을 가진다. 공지된 캔의 주요 단점은 오직 질이 떨어지는 밀봉 기능(mediocre sealing)에 있다. 밀봉 요소는 완벽히 액체가 세지 않는 밀봉 방법으로 캔을 밀봉할 수 없다. 캔이 밀봉된 상태에서, 캔의 내용물은 미생물이 침투될 수 있으며, 캔을 둘러싸는 대기와 캔 내부의 대기 사이에 자유롭게 가스 교환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캔의 내부에 탄산 음료가 담겨 있을 때, 캔의 내부에 내부 압력이 형성되어 밀봉 요소는 충분히 밀봉을 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누출될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음료의 내용물에서 이산화탄소가 원치않게 감소되어 음료의 맛이 변질 된다.
음료 용기, 특히 탄산 음료가 채워진 음료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개선된 장 치는 미국 특허 제 4,426,314호에 공개된다. 상기 장치는 조작 요소와 밀봉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 요소와 밀봉 요소는 음료 용기의 벽에 위치된 중앙 벽 개구부를 통하여 나사 연결부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조작 요소를 회전시킴에 따라, 밀봉 요소는 상승되거나 또는 하강되며, 이로 인해 다른 벽 개구부를 폐쇄하는 것이 각각 제거되어 음료 용기의 밀봉부가 각각 개방된다. 비록 공지된 장치는 (탄산)음료 용기를 위한 현저히 개선된 밀폐부가 제공될지라도, 상기 장치는 다수의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 장치의 제 1 문제점은 상기 장치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구성되는데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복잡성으로 인해, 공지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주요 비용이 증가된다. 게다가 음료 용기의 상부 벽은 다수의 벽 개구부가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장치는 상대적으로 누수(leakage) 되기에 쉽고, 공지된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기 언급된 장점을 포함하는 동시에 식품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식품 용기는 실질적으로 매체가 세지 않는 방법(medium-tight manner)으로 밀봉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타입의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커플링 수단이 벽 개구부의 주변 변부에 연결되기에 적합하며, 상기 주변 변부의 주위에서 밀봉 요소는 바이어스 상태 하에 연결될 수 있는 특징으로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를 다수의 벽 개구부 대신에 단일의 벽 개구부를 이용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단순한 장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상기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단일의 조인트 벽 개구부가 다각적인 기능을 가지는 반면, 이 동일한 벽 개구부는 조작 요소의 일부분의 통로와 한 측부에서 식품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는 식품 용기에 결합되며,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장치가 제공된다. 게다가 다수의 벽 개구부를 제공하는 대신에 단일의 조인트(공동) 벽 개구부가 이용되기 때문에 누수의 위험성은 상당히 감소되며, 이로 인해 탄산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 용기와 상대적으로 적합하고 신뢰성 있게 결합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커플링 수단은 예들 들어 돌출된 플랜지를 조작 요소의 한 부분으로부터 떨어진 벽의 측부 상에 연결하기에 적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커플링 수단은 식품 용기의 벽과 조작 요소 사이에 물리적인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탄성 립(lip)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작 요소는 조작 요소가 벽 위에서 좌우 대칭으로 이루며 연결되도록 벽 개구부에 부분적으로 위치될 것이다. 돌출된 플랜지는 벽에 대해 조작 요소의 공통 위치를 고정시킨다. 플랜지는 벽 개구부의 주변 변부의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벽 개구부의 전체 주변 변부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게다가 단일의 다 기능적인 조인트 벽 개구부가 제공되며, 밀봉 요소는 식품 용기(벽 개구부가 제공된)의 벽에 바이어스 상태 하에 연결되는 것이 여전히 중요하다. 바이어스 상태 하에 밀봉 요소가 식품 용기의 벽에 연결됨에 따라, 식품 용기는 매체가 세지 않는 방법으로 밀봉된다. 이로 인해 식품 용기의 밀폐된 위치에서 식품 용기로부터 액상 및/또는 고상의 식품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식품 용기에서의 대기와 식품 용기를 둘러싸는 대기 사이의 가스 교환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경우 이산화탄소는 밀폐된 상태에서 식품 용기의 내부에 가둬진 상태로 위치될 것이며, 이로 인해 식품 용기 내부에 이산화탄소 내용물이 유지될 수 있으며, 맛 그리고 이와 비슷한 것이 보존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밀폐된 상태에서 식품 용기의 외부로부터 식품 용기의 내부 위치까지 미생물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식품의 일정한 성분은 밀폐된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보장되고, 식품은 밀폐된 식품 용기에서 상대적으로 위생적인 방법으로 보존될 수 있다. 밀봉 요소의 개방된 상태에서 밀봉 요소는 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며, 벽 개구부에 의하여 밀봉 요소를 따라서 식품이 자유롭게 제거될 수 있다. 식품이 충분하게 제거된 후, 밀봉 요소는 밀폐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식품 용기의 매체가 세지 않는 밀봉을 형성하기 위하여 벽 위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바이어스가 가해질 것이다. 밀봉 요소에 의하여 벽에 가해진 바이어스는 사용자를 위한 조작 요소에 의하여 개별적 또는 연속적인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다.
밀봉 요소와 조작 요소는 벽에 대해 한 측부에 위치될 수 있지만 밀봉 요소와 조작 요소는 식품 용기의 벽의 일부분을 둘러싸기(enclose)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조작 요소는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며, 벽의 외측부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밀봉 요소는 적어도 식품 용기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밀봉 요소의 일반적으로 밀봉 변부, 밀봉 부분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는 신뢰성 있는 매체가 세지 않는 밀봉을 통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식품 용기로부터 식품의 양을 제거한 후, 잔여 식품은 벽 개구부의 변부에 들러붙은 상태로 단일의 다-목적 벽 개구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이로 인해 용이하게 비위생적인 상태가 될 수 있다. 벽 개구부의 내부에 잔여 식품이 남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 요소가 밀봉 요소의 밀폐된 위치에서 벽 개구부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위치되어 벽 개구부로부터 상기 잔여 음식물을 밀어내도록 밀봉 요소가 설계되는 것이 선호된다. 바람직하게 조작 요소는 식품 용기에 저장된 식품을 위한 통로 개구부가 제공된다. 위생학적인 관점에서, 통로 개구부는 조작 요소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밀봉 요소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스크리닝 요소(screening element)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 보다 선호된다. 이는 식품 용기에 저장된 액상 식품, 음료의 경우에 특히 적용된다. 이러한 스크리닝 요소는 조작 요소에 형성된 통로 개구부와 일치되는 것이 선호된다. 식품을 직접적으로 섭취하기 위하여, 통로 개구부와 스크리닝 요소는 실질적으로 신장형(reniform)(또는 콩팥)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조작 요소에 의하여 가둬진 둘러싸여 진 통로 개구부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조작 요소가 벽 개구부의 날카로운 주변 변부보다 상대적으로 좋은 느낌(sensation)을 제공하기 때문에 음료가 식품 용기로부터 직접적으로 소비될 때, 사용자에게 개선된 느낌을 제공한다. 게다가 사용자는 주변 변부로부터 상처를 입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조작 요소와 밀봉 요소 사이의 상호 거리는 변화될 수 있다. 밀봉 요소와 조작 요소의 상호 작용은 장치의 밀폐된 상태에서 조작 요소의 회전 및/또는 병진 운동의 경우 형성되며, 밀봉 요소는 조작 요소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그 뒤 밀폐된 위치에서 밀봉 요소는 바이어스 상태 하에(under bias) 벽 개구부 주위의 벽에 대해 위치될 것이며, 개방된 위치에서 밀봉 요소는 벽의 거리의 일부분, 바람직하게 벽 전체 거리에 위치될 것이다. 식품 용기가 장착된 후 조작 요소는 커플링 수단에 의해 식품 용기, 바람직하게 벽에 결합되기 때문에, 식품 용기에 대해 조작 요소의 병진 운동의 가능성이 제한될 것이며, 심지어 최소한으로 형성되며 0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조작 요소는 오직 벽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조작 요소가 밀봉 요소와 벽에 대해 회전한 후, 밀봉 요소는 조작 요소와 벽에 대해 이동된다. 이는 광의적으로 식품 용기로 설명되어 질 것이다. 종래 모든 종류의 용기와 포장(package)은 식품을 보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식품은 음료, 시럽, 정제(tablet), 사탕류, 그 밖의 여러 가지 식용 살포 물질(consumable sprinkling material)로 구성된다.
밀봉 요소는 밀봉 요소의 밀폐된 위치에서 밀봉부에 의하여 벽 개구부가 제공된 식품 용기의 벽에 연결된다. 장치의 밀폐된 상태에서 매체가 세지 않는 밀봉을 보장하기 위하여 밀봉 층이 선호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밀봉부는 가요성의 밀봉 스트립 재료로 형성되며, 바이어스 상태 하에 벽 위에서 지지되기에 적합한 밀봉 요소의 일부분 상에 배열된다. 또한 밀봉 스트립 재료는 밀봉 요소가 밀폐된 상태로 지지되어질 위치에서 그 자체로 벽 위에 배열되는 것이 선호된다. 종래의 다양한 재료는 밀봉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 및/또는 밀폐된 셀 구조물을 가지는 가요성 폼(flexible foam)이 이용되는 것이 선호된다. 이용 가능한 재료의 실례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고무(EVA), 에틸렌 비닐 에탄올(EvOH) 및 실리콘 고무로 구성된다. 밀봉 요소의 남겨진 부분과 조작 요소는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밀봉 요소는 밀봉 요소의 밀폐된 위치에서 벽 개구부가 제공된 식품 용기의 벽의 적어도 주변 변부에 인접하게 또는 바이어스 상태 하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실질적인 밀봉은 벽 개구부의 주위에서 직접적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개구부를 수용하는 벽의 적어도 주변 변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밀봉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가 유지된다.
조작 요소와 밀봉 요소 사이의 결합(coupling)은 다양한 종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작 요소와 밀봉 요소는 나사산 연결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선호된다. 조작 요소와 밀봉 요소의 상대적인 방향이 바뀔 때, 이에 따라 2개의 부품 의 상호 거리도 또한 바뀐다. 나사 연결에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베이오넷 연결(bayonet fitting)과 같은 그 외의 형태의 상호 작용을 하는 연결의 이용이 고찰될 수 있다.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나사산 연결부는 적어도 밀봉 요소의 밀폐된 위치에서 조작 요소와 식품 용기의 하나 이상의 벽과 밀봉 요소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둘러싸여 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식품의 잔여물에 의하여 나사산 연결부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나사산 연결부의 기능 장애와 비위생적인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선택적으로 나사산 연결부에 형성된 나사산의 적어도 일부분은 식품 용기 내부의 공간과 이를 둘러싸는 대기 사이에서 제한적으로 특히 탈기(de-aeration), 배기(venting)의 특정 정도를 허용하도록 차단된다.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조작 요소는 벽으로부터 돌출된 핀을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 공간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핀은 식품 용기에 의하여 둘러싸여 진 공간의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방향으로 돌출된 부품의 개수가 최소화된다. 바람직하게 핀은 원통형의 몸체로 형성되지만 또한 선택적으로 그 외의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다. 핀과 수용 공간의 공통 상호 작용으로 인해 밀봉 요소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러나 밀봉 요소는 핀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작 요소가 회전한 후 조작 요소와 벽에 대해 밀봉 요소는 병진 운동을 할 수 있다. 핀은 벽의 만곡된 및/또는 접혀진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작 요소와 밀봉 요소 사이에 각각 위치된 고정된 중간 링과 같은 중간 요소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뒤 중간 링은 벽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선호되며, 바람직하게 핀은 벽 개구부에 의하여 밀봉 요소의 방향으로 돌출된다. 중간 링의 장점으로는 종래 식품 용기의 형성된 구조물을 밀봉 요소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핀을 이용하기 위하여 변화시킬 필요가 없는데 있다. 중간 링 또는 그 외의 다른 형태의 중간 요소는 다음 단계(later stage)에서 각각 제조되고 배열되기에 충분하다. 밀봉 요소의 회전 방지를 추가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복수(이격된)의 돌출된 핀들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간 링은 식품 용기로부터 식품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는 유도 돌출 플랜지(guiding projecting flange)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조작 요소는 사용자를 위하여 돌출된 연결 부재(engaging member)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돌출된 연결 부재는 식품 용기의 개구부를 각각 밀폐하는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는 핀(fin)과 같은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부재는 핸들로서 제공되는 동시에 음료 캔과 같은 식품 용기에서 벽 개구부가 벽에서 좌우 대칭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조작 요소의 최대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회전이 결정된 후 돌출된 연결 부재는 벽의 접혀 이어진 부분과 연결될 것이며, 이로 인해 조작 요소의 추가적인 회전이 방지된다. 조작 요소의 외측 변부는 프로파일 형태(profiled form)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외측 변부는 사용자를 위한 연결 부재로서 효과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를 조작할 때 사용자, 특히 어린이들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촉각 변부(tactile edge)와 조작 요소의 그 외의 뾰족한 부분, 특히 연결 부재는 둥글게 형성된다.
식품 용기는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탄산 음료와 같은 특정의 식품은 밀폐된 상태의 식품 용기에서 압력을 발생시킨다. 가압된 식품 용기를 개방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장치는 특히 벽 개구부에 의하여 식품 용기의 탈기(de-aeration)를 위한 배기 수단(venting means)이 제공된다. 이러한 탈기 후 상기 장치와 식품 용기는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특히 액상 식품의 경우에 있어서, 배기구는 음료 용기로부터 음료를 제거하는 동안에 특히 선호된다. 따라서 음료의 콸콸 흐르며 제거(gurgling removal)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탈기는 (조인트) 벽 개구부에 의하여 발생되기 때문에 벽 개구부는 추가적인 기능을 가진다. 또한 배기 수단은 식품 용기의 내부에 진공 분율(vacuum fraction)이 존재하는 경우 인식될 수 있는 식품 용기로부터 탈기를 하는 대신에 통기(aeration)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기 수단은 조작 요소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 1 배기 부재와 밀봉 요소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 2 배기 부재를 포함하며, 배기 수단을 통하여 배기하고 각각 배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제 1 배기 부재와 제 2 배기 부재의 상호 방향이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배기 부재는 제 1 배기 부재와 상호 작용을 하기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제 1 배기 부재와 제 2 배기 부재는 상호 회전 가능하며, 하나 배기 부재는 그 외의 배기 부재를 둘러싼다. 일반적으로 양쪽의 배기 부재는 평평한 부분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배기는 오직 양쪽의 평평한 부분이 일렬로 위치되거나 또는 모든 평평한 부분이 상호 연결되도록 위치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장치는 장치의 밀폐된 상태에서 초기에 밀봉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는 식품 용기가 미리 개방되어 졌는지의 여부와 내용물이 제조자에 의하여 보장된 특정 품질의 기준을 가지는 내용물에 해당하는 지의 여부에 대해 구매 시간을 특정할 수 있다.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밀봉부는 밀봉 요소와 조작 요소 사이의 상호 깨질 수 있는 연결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예를 들어 로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는 사용자에게 보다 바람직하게 보여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장치가 이전 단계에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초기에 로드는 조작 요소에 일체로 구성된 배기구의 주변 변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로드를 볼 수 있다. 초기에 장치를 개방하는 동안, 로드는 주변 변부로부터 영구히 분리될 것이며, 이로 인해 밀봉부는 깨진 상태로 보여지며, 배기구는 식품 용기의 배기 기능 또는 통기 기능으로 기능을 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조작 요소는 하나 이상의 선호되는 위치에서 상부 요소에 대해 고정될 수 있으며, 조작 요소와 상호 작용을 하는 밀봉 요소는 적어도 밀폐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장치는 고정된 방법으로 밀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밀폐된 위치에서부터 개방된 위치까지 조작 요소와 밀봉 요소의 상대적인 방향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경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르는 장치는 예를 들어 외부 하중(external load)에 의하여 제어되지 않은 방법으로 개방될 수 없으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제어된 작업(controlled operation)은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의 순서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된다. 만약 사용자가 밀봉 요소와 조작 요소의 상대적인 방향을 고정한다면, 장치로부터 음료와 같은 식품의 추가적인 제거는 밀봉 요소가 조작 요소에 대해 해제(release)된 후에만 가능하다. 장치의 밀폐된 상태뿐만 아니라 장치의 그 외의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오작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의 과도한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치의 개방된 상태는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적어도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밀봉 요소는 보강 수단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보강 수단은 단일 또는 다수의 보강 립(reinforcement rib)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립은 밀봉 요소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밀봉 요소는 7 바(bar)보다 높은 내부 압력을 견디기 위한 충분한 강도와 강성이 제공된다. 게다가 립은 주입 몰딩에 의해 밀봉 요소를 제조하는 동안 게이트(gate)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장치는 밀봉 요소의 밀폐된 위치에서 물과 그 외의 성분이 식품 용기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 수단이 제공된다. 장치와 식품 용기의 조립체를 제조하는 동안, 일반적으로 조립체는 물을 흘러보냄으로써 세척된다. 게다가 식품 용기에 수용된 식품은 종종 (뜨거운) 물을 흘러보냄에 의해 저온 살균된다. 조립체로 흐르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리어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리어 수단은 래버린스(labyrinth) 또는 TPE 또는 TPR과 같은 것으로 제조된 고무 스트립에 의해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2개의 부품 시스템으로서 배리어 수단과 조작 요소는 특히 주입 몰딩에 의해 단일 처리 단계에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배리어 수단은 용기를 채우고 용기의 내용물을 살균하거나 또는 용기를 비우기 전에 이용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가 제공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종래의 식품 용기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장치는 식품 용기의 상부 벽에 위치되며, 이와 관련하여 식품은 식품 용기의 상부 벽을 통하여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식품 용기는 예를 들어 병, 판지 상자 또는 캔과 같은 음료 용기로 형성된다. 음료 용기에서, 음료는 벽 개구부를 통하여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벽 개구부는 상부 벽에 위치되거나 또는 해당 음료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상부 벽에 위치된다. 장치는 해당 음료 용기가 제조되는 동안 상부 벽에 연결되어 진다. 음료 캔을 제조하는 동안, 커버가 음료로 채워진 몸체로 이음세 접힘이 되기 전에 커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가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식품 용기를 밀폐하기 위한 장치의 투시도.
도 1b는 도 1a에 따르는 장치의 상부를 도시하는 반투명 상태의 투시도.
도 1c는 도 1a 및 도 1b에 따르는 장치의 하부를 도시하는 반투명 상태의 투시도.
도 1d는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르는 장치의 반투명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a는 밀폐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장치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2b는 개방된 상태에서 도 2a에 따르는 장치를 도시하는 투시도.
도 2c는 밀폐된 상태에서 도 2a 및 도 2b에 따르는 장치를 도시하는 상부 투시도.
도 3a는 밀폐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대안의 장치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3b는 개방된 상태에서 도 3a에 따르는 장치의 횡단면도.
도 3c는 밀폐된 상태에서 도 3a 및 도 3b에 따르는 장치를 도시하는 하부 투시도.
도 3d는 밀폐된 상태에서 도 3a 내지 도 3c에 따르는 장치를 도시하는 상부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음료 캔의 횡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일부분과 음료 캔의 벽의 조립체를 도시한 투시도.
도 5b는 도 5a에서 도시된 장치의 상보적인 부분의 상측부를 도시한 트시도.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상보적인 부분의 하측부를 도시한 투시도.
도 1a는 밀폐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식품 용기(도시되지 않음)를 밀폐하기 위한 장치(1)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장치(1)는 밀봉 요소(sealing element, 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조작 요소(operating element, 3)와 밀봉 요소(2)를 포함한다. 밀봉 요소(2)는 식품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기에 적합하고, 조작 요소(3)(사용자를 위한)는 식품 용기의 외부에 위치되기에 적합하다. 밀봉 요소(2)와 조작 요소(3)는 나사산 연결에 의해 상호 작용을 한다(도 1b 내지 도 1d에 도시). 조작 요소(3)와 밀봉 요소(2) 사이의 상호 거리는 밀봉 요소(2)에 대해 조작 요소(3)를 회전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조작 요소(3)를 회전시키는 동안 밀봉 요소(2)가 동시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 요소(2)는 2개의 고정 핀에 의해 고정된다(도 1c 및 도 1d에 도시). 여기서 핀은 중간 링의 일부분을 형성한다(도 1c 및 도 1d에 도시). 밀봉 요소(2)는 2개의 핀을 위한 2개의 수용 공간(4)이 제공된다. 조작 요소(3)는 식품 용기의 벽 개구부(wall opening)에 조작 요소(3)를 클램프 고정하기 위한 돌출된 커플링 플랜지(projecting coupling flange, 5)가 제공된다. 조작 요소(3)는 식품 용기에 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달 모양의 통로 개구부(moon-shaped passage opening, 6)가 제공된다. 밀폐된 상태의 장치(1)가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 개구부는 조작 요소(3)의 하부에 위치된 공간에 위생적인 밀봉을 형성하기 위하여 달 모양의 돌출부(7)로 채워진다. 조작 요소(3)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요소(3)의 회전을 돕는 핀과 같은 돌출부(8)가 제공된다. 장치(1)가 밀폐된 것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음식 용기로부터 음식은 제거될 수 없다. 음식 용기의 벽에 도시된 장치(1)를 배열한 후, 밀봉 요소(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변부(edge, 9)는 바이어스 상태 하에서(under bias) 벽 위에 지지될 것이며, 이로 인해 식품 용기의 매체가 세지 않는 밀봉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장치(1)에서 벽과 밀봉 요소(2)의 변부(9) 사이는 물리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이는 밀봉 층(10)이 상기 밀봉 요소와 변부 사이에 배열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층(10)은 접착제에 의하여 벽 또는 밀봉 요소(2)의 변부(9)로 고정될 수 있다. 조작 요소(3)는 특히 물과 같은 식품이 제거되는 것을 돕기 위한 배기구(venting opening, 11)가 제공된다. 배기구(11)에서는 밀봉 요소(2)에 연결된 로드(12)의 자유 단부가 보인다. 조작 요소(3)가 밀봉 요소(2)에 대해 회전할 때 로드는 영구적으로 부셔지거나 또는 변형된다. 따라서 로드(12)는 장치(1)가 밀봉되거나 또는 밀봉되지 않는 지시기(indicator)로서 기능을 한다. 장치(1)는 식품 용기 위에 도시된 상태로 배열되며, 조립체로서 상업용으로 거래된다. 바람직하게 장치(1)는 오로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또한 장치(1)는 금속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장치(1)의 반투명 상태의 상부 투시도이다. 본 도면에서, 조작 요소(3)는 반투명한 상태로 도시된다. 그 외의 부품들은 장치(1)에서 일반적인 상태로 도시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는 내부 나사산(12)이 형성된 중앙에 위치된 관형 부재(tubular member, 11)가 제공된다. 또한 관형 부재(11)는 밀봉 요소(2)와 조작 요소(3)의 최대 상대 회전(maximum relative rotation)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나사산(1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돌출부(13)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량의 최대 각도는 120°이다. 최대 회전 각도의 상반된 바운더리는 달과 같은 돌출부(7)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통로 개구부(6)와 공동으로 형성됨에 따라 밀폐된 상태로 경계가 형성된다. 나사산(12)과 돌출부(13) 사이의 상호 거리는 최소한 돌출된 관형 부재의 벽 두께이며, 상기 돌출된 관형 부재는 외부 나사산이 제공되고, 조작 요소(3)의 일부분을 형성한다(도 1c에 도시). 도 1b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링(14)은 밀봉 요소(2)에 대해 동심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중간 링(14)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식품 용기의 벽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도 1c는 도 1a와 도 1b의 장치(1)를 도시하는 반투명 상태의 하부 투시도이다. 도 1c에서, 밀봉 요소(2)는 반투명한 상태로 도시된다. 그러나 장치(1)의 그 외의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도시된다. 본 도면에 있어서, 조작 요소(3)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돌출된 관형 몸체(tubular body, 15)가 명확히 도시된다. 여기서 몸체(15)는 외부 나사산(16)이 제공되며, 내측부에 돌출된 카운터-돌출부(counter-protrusion, 17)가 제공된다. 나사산(16)은 밀봉 요소(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나사산(12)과 상호 작용을 하기에(co-act) 적합하다. 카운터-돌출부(17)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돌출부(13)와 상호 작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중간 링(14)이 명확히 도시되며, 중간 링은 상기 언급된 핀(18)이 제공된다. 핀(18)은 밀봉 요소(2)의 수용 공간(receiving space, 4)에 수용되며, 이로 인해 조작 요소(3)가 회전하는 동안 밀봉 요소(2)는 오직 일차원 변위만이 가능 하다.
도 1d는 도 1a 내지 도 1c의 장치(1)를 도시하는 반투명 상태의 측면도이다. 밀봉 요소(2)는 반투명 상태로 도시된다. 식품 용기의 벽은 점선(19)으로 도시된다. 조작 요소(3)가 회전을 한 후, 밀봉 요소(2)는 조작 요소(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핀(18)을 따라 선형 이동될 것이며, 밀봉 요소(2)는 벽(19)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된다. 개방된 상태에서 식품은 벽 개구부(도시되지 않음)에 통해 밀봉 요소를 따라 제거될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핀(18)은 식품 용기의 벽의 변형된 부분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핀(18)은 식품 용기의 하부 변형(downward deformation)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식품을 위한 통로 개구부는 핀(18)들 사이에 위치되어 제공된다.
도 2a는 밀폐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장치(20)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작동 상태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장치(1)의 작동 상태와 상당히 일치된다. 장치(20)는 상부 요소(21), 상부 요소(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중간 층(22) 및 상부 요소(21)와 중간 층(22)과 상호 작용하는 커버 요소(23)를 포함한다. 중간 층(22)에 연결된 밀봉 링(sealing ring, 24)은 중간 층(22)과 커버 요소(23)의 사이에 배열된다. 커버 요소(23)는 중간 층(2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핀(26)을 위한 수용 개구부(25)가 제공된다. 상부 요소(21)는 상부 요소(21)의 회전을 돕기 위한 프로파일 변부(profiled edge, 28)와 손잡이(handgrip, 27)가 제공된다. 또한 상부 요소(21)는 배기구(29)가 제공되며, 배기구에서 가요성 로드와 같은 부재(30)가 밀폐된 상태로 수용된다. 로드와 같은 부재(30)는 밀폐된 상태로 배 기구(29)를 밀봉한다. 상부 요소(21)가 중간 층(22)과 커버 요소(23)에 대해 회전할 때, 로드와 같은 부재(30)는 배기구(29)로부터 제거된다. 커버 요소는 핀(26)을 따라서 동시에 선형 이동할 것이며, 식품 용기로부터 음료수와 같은 해당 식품은 상부 요소(21)에 배열된 통로 개구부(32)와 중간 층(22)에 의하여 커버 요소(23)를 따라 제거된다(도 2b에 도시).
도 2b는 개방된 상태의 도 2a에 도시된 장치(20)의 투시도이다. 도 2b는 상부 요소(21)와 커버 요소(23)를 명확히 도시하며, 상기 상부 요소(21)와 커버 요소(23)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고, 이로 인해 식품 용기로부터 식품이 제거된 수 있다(화살표 A로 도시). 또한 순간적으로 변형된 상태의 로드와 같은 부재(30)는 상부 요소(21)가 도 2a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될 때까지 상부 요소(21)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며, 그 뒤 로드와 같은 부재(30)는 배기구(29)로 연장될 것이다.
도 2c는 밀폐된 상태의 도 2a 및 도 2b의 장치(20)의 상부 투시도를 도시한다. 밀폐된 상태에서, 통로 개구부(32)는 커버 요소(23)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상승된 부분(33)에 의해 밀봉된다. 또한 손잡이(27)는 아이(eye, 34)가 제공되며, 상기 아이는 중간 층(22)에 배열된 상승된 부재(elevated member, 35)와 상호 작용한다(co-act). 상승된 부재(35)로 인해 상부 요소(21)는 바람직하지 못한 단순한 방법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결정된 바이어스(determined bias)가 극복된 후, 아이(34)는 상승된 부재(35) 위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후 결정된 각도를 통하여 상부 요소(21)의 방해받지 않는 회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요소(21)는 장치(20)를 밀폐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도 3a는 밀폐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르는 대안의 장치(36)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장치(36)는 음료 캔의 커버(37)에 배열된다. 장치(36)는 내부 요소(38)와 상호 작용하는 외부 요소(39)와 내부 요소(38)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내부 요소(38)는 내부 나사산(41)이 제공된 원통형의 부재(40)가 제공되며, 외부 요소(39)는 외부 나사산(43)이 제공된 원통형의 부재(42)가 제공된다. 내부 요소(38)의 회전으로 인하여 내부 요소(38)가 한 측부 상에 고정되는 것이 방지된다. 단측 고정(one-sided locking)은 불규칙적인 부분(44)에서 한 측부에 연결되고 내부 요소(38)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2개의 고정 돌출부(45)와 커버(37)에 배열된 불규칙적인 부분(44)의 상호 작용으로 구현된다. 외부 요소(39)의 일부분은 커버(39)에 배열된 음료를 위한 통로 개구부에 클램프 피팅(clamp fitting)이 배열된다. 여기서 외부 요소(39)는 2개의 측부 상에서 커버(37)에 연결된다. 외부 요소(39)는 돌출된 플랜지(46)를 커버(37)의 내측부에 연결하고, 지지 변부(supporting edge, 47)를 커버(37)의 외측부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외부 요소(39)는 사용자를 위한 음용 개구부(drinking opening, 48)가 제공되며, 음용 개구부(48)는 내부 요소(38)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플런저 부재(49)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로 채워진다. 도시된 상태에서, 내부 요소(38)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밀봉 변부(50)는 바이어스 상태 하에서 커버(37)에 연결된다. 밀봉 변부(도시되지 않음)는 음용할 수 있도록 오랜 기간 동안 매체가 세지 않는 밀봉을 보장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밀봉 변부(50)와 커버(37) 사이에 배열된다. 외부 요소(39)가 회전될 때, 내부 요소(38)는 커버(37)로 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것이며, 그 후 밀봉 변부(50)는 커버(37)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되어서 개방되며, 음료의 제거가 가능하다. 이러한 개방된 상태는 도 3b에 도시된다. 도시된 상태에서, 외부 요소(39)는 최대 회전에 도달하며, 외부 요소(39)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립(lip, 51)은 커버(37)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변부(52)와 연결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요소(38)의 플런저 부재(49)는 장치(36)의 남겨진 부분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형성된 표면을 가진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부재(49)의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된 부분은 밀폐된 위치의 방향으로 외부 요소(39)의 과도한 회전에 대해 바운더리를 형성한다.
도 3c는 밀폐된 상태에서 도 3a 및 도 3b의 장치(36)의 하부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불규칙적인 부분(44)을 감싸는 고정 돌출부(45)와 불규칙적인 부분(44)의 상호 작용을 도시하며, 상기 상호 작용으로 인해 외부 요소(39)와 커버(37)에 대해 내부 요소(38)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d는 밀폐된 상태에서 도 3a 내지 도 3c의 장치(36)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외부 요소(39)의 통로 개구부(48)는 플런저 부재(49)에 의하여 채워진다. 도 3d는 외부 요소(39)를 도시하며, 상기 외부 요소(39)는 음료가 콸콸 흐르며 제거되는 것(gurgling removal)을 방지하는 배기구(53)가 제공된다. 게다가 외부 요소(39)는 사용자에 대해 외부 요소(39)의 회전을 돕기 위한 프로파일 변부(54)가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서 장치(56)가 제공될 수 있는 음료캔(55)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캔(55)은 탄산음료(56)가 채워진다. 캔(55)은 기저 요소(57), 기저 요소(57)에 연결된 몸체(58) 및 원형 몸체(58)와 접혀 이어진 (seam-folded) 커버(59)로 구성된다. 커버(59)는 마시기 위한 통로 개구부(60)가 제공된다. 장치(56)는 커버(59)에 결합되며, 커버(59)의 반복된 매체가 세지 않는 밀봉(renewed medium-tight sealing)을 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커버(59)는 안내된 방식으로 가이드 수단(guide means, 61)에 연결된 활주부(slide, 63)를 위한 수용 공간(62)이 제공되고, 커버(59)에 고정되게 연결된 가이드 수단(guide means, 61)을 포함한다. 활주부(63)는 가요성 요소(64)에 의하여 캔(55)에 위치된 밀봉 요소(64)에 결합된다. 활주부(63)를 가이드 수단(61)을 따라 활주시키고(화살표 A) 수용 공간(62)에 배치시킴에 따라, 밀봉 요소(64)는 매체가 세지 않는 밀봉이 형성되도록 커버(59)에 대해 고정되게 잡아당겨질 수 있다. 그러나 커버(59)는 매체가 세지 않는 밀봉을 보장하기 위한 고무링(65)이 제공된다. 어느 정도까지 밀봉 요소(64)의 위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커버 요소(64)는 핀(66)이 제공되며, 상기 핀(66)은 커버(59)에 배열된 개구부(67)를 통하여 클램프 피팅이 형성되도록 돌출된다. 밀봉부(68)는 핀(66)과 개구부(67) 사이에 배열된다. 활주부(63)의 변위를 돕기 위하여 활주부(63)는 손잡이(69)가 제공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72)의 일부분과 음료 캔에 형성된 벽(71)의 조립체(assembly, 70)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장치(72)의 도시된 부분은 외부 나사산(74)이 제공된 조작 요소(73)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장치(72)의 도시된 부분은 하부를 향하여 연장된 2개의 핀(76)이 제공된 중간 링(75)을 포함한다. 양쪽의 조작 요소(73)와 링(75)은 도 5b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77)에 결합되기에 적합하다. 링(75)은 둥근 변부가 제공되어 링(75)의 밀봉 능력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플랜지를 형성한다. 조작 요소(73)는 평평한 부분(79)이 제공된 돌출된 펜(protruding pen, 78)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펜(78)은 밀봉 요소(77)에 의하여 둘러싸인 배기 통로(80)를 차단하거나(block) 또는 통과시키기(clear)에 적합하다. 상기 돌출된 펜(78)은 평평한 부분 대신에 대안으로 요홈(groove)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77)는 상기 펜(78)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돌출된 공동 형태의 원통형 몸체(81)를 포함한다. 상기 공동 몸체(81)는 상기 펜(78)의 평평한 부분(79)에 의하여 음료 캔의 탈기(de-aeration)를 허용하기 위한 오목부(recess, 82)가 제공된다. 음료 캔에서 탈기하는 동안 가스의 자유롭고 방해하지 않는 흐름을 보장하기 위하여 밀봉 요소(77)의 내부 나사산(83)이 차단된다. 또한 밀봉 요소(77)는 중간 링(75)의 핀(76)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슬롯(84)을 포함한다. 밀봉 요소(77)는 밀봉 요소를 벽(71) 위로 매체가 세지 않는 연결을 보장하기 위하여 밀봉 링(86)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봉 링(86)은 TPE 또는 TPR로 제조되는 반면 밀봉 요소(77)는 PE 또는 PP와 같은 폴리머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2개의 부품 시스템과 같은 밀봉 요소(77)와 밀봉 링(86)은 특히 주입 몰딩에 의해 단일 공정 단계에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된다. 밀봉 요소(77)의 하부 표면은 대략 7바의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견디기 위하여 강화되고 경화된 밀봉 요소로 다수의 보강 립(85)이 제공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 원리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 원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상기 기술되고 도시된 실례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지만 종래 기술의 당업자들 사이에 명확한 다양한 변형물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Claims (29)

  1. -벽에 배열된 벽 개구부 주위에서 식품 용기의 벽에 연결하기 위한 밀봉요소, 및
    -벽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폐된 위치와 벽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된 위치 사이에 밀봉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밀봉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조작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요소는 식품 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이 제공되고,
    조작 요소가 바이어스 하에 밀폐된 위치에서의 밀봉 요소를 식품 용기의 매체가 세지 않는 밀봉을 위하여 벽에 연결하도록 조작 요소와 밀봉 요소의 상대적인 방향(orientation)이 바뀔 수 있는 식품 용기, 특히 음료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은 벽 개구부의 주변 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 요소가 벽 위에서 좌우 대칭을 이루어 연결되도록 조작 요소가 벽 개구부에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와 조작 요소는 식품 용기에 형성된 벽의 일부분을 상호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는 식품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는 밀봉 요소의 밀폐된 위치에서 벽 개구부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와 조작 요소 사이의 상호 거리는 바뀔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와 조작 요소의 상대적인 방향은 밀봉 요소를 조작 요소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바뀔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는 밀봉 요소의 밀폐된 위치에서 벽 개구부가 제공된 식품 용기의 벽에 밀봉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는 밀봉 요소의 밀폐된 위치에서 벽 개구부가 제공된 식품 용기의 벽의 주변 변부 근처에서 또는 바이어스 상태 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 요소와 밀봉 요소는 나사산 연결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나사산 연결은 적어도 밀봉 요소의 밀폐된 위치에서 조작 요소 및 식품 용기의 하나 이상의 벽과 밀봉 요소에 의하여 둘러싸여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는 벽으로부터 돌출된 핀을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 공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핀은 벽에 연결된 중간 요소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 요소는 사용자를 위한 돌출된 연결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돌출된 연결 부재는 핀(fin)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 요소는 식품 용기에 보유된 식품을 위한 통로 개구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는 장치의 밀폐된 상태에서 통로 개구부에 배치시키고, 조작 요소의 방향으로 돌출된 스크리닝 요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는 벽 개구부에 의하여 식품 용기의 탈기를 위한 배기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배기 수단은 조작 요소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 1 배기 부재와 밀봉 요소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 2 배기 부재를 포함하며, 배기 수단을 통하여 배기하고 각각 배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제 1 배기 부재와 제 2 배기 부재의 상호 방향이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배기 부재는 제 1 배기 부재와 상호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는 초기에 장치의 밀폐된 상태에서 밀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밀봉부는 밀봉 요소와 조작 요소 사이에 상호 깨지기 쉬운 연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 요소는 하나 이상의 선호되는 위치에서 밀봉 요소에 대해 고정될 수 있으며, 조작 요소와 상호 작용을 하는 밀봉 요소는 밀폐된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조작 요소는 후크-형태의 부재에 의하여 밀봉 요소에 대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는 보강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는 밀봉 요소의 밀폐된 위치에서 물과 그 외의 성분이 식품 용기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장치가 제공된 식품 용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식품 용기는 음료 용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식품 용기는 음료 캔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29.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는 식품 용기의 상부 벽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KR1020067016126A 2004-01-13 2005-01-13 식품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를 가진 식품 용기 KR101166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NL2004/000024 WO2005068312A1 (en) 2004-01-13 2004-01-13 Device for sealing food product containers and food product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NLPCT/NL2004/000024 2004-01-13
PCT/NL2005/000019 WO2005068313A1 (en) 2004-01-13 2005-01-13 Device for sealing food product containers and food product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341A true KR20070012341A (ko) 2007-01-25
KR101166937B1 KR101166937B1 (ko) 2012-07-23

Family

ID=3479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126A KR101166937B1 (ko) 2004-01-13 2005-01-13 식품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를 가진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7819280B2 (ko)
EP (2) EP1725471A1 (ko)
JP (2) JP2007517739A (ko)
KR (1) KR101166937B1 (ko)
CN (2) CN1926028A (ko)
AU (2) AU2004314015A1 (ko)
BR (2) BRPI0418056A (ko)
CA (2) CA2552897A1 (ko)
DE (1) DE602005004893T3 (ko)
DK (1) DK1708930T4 (ko)
EG (1) EG24565A (ko)
ES (1) ES2304001T5 (ko)
IL (2) IL176778A0 (ko)
ME (1) ME01356B (ko)
MX (2) MXPA06007974A (ko)
NZ (1) NZ548984A (ko)
PL (1) PL1708930T5 (ko)
RS (2) RS20060426A (ko)
RU (1) RU2375277C2 (ko)
WO (2) WO2005068312A1 (ko)
ZA (1) ZA2006057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8312A1 (en) * 2004-01-13 2005-07-28 Bound2B B.V. Device for sealing food product containers and food product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EP1767464A1 (en) * 2005-09-23 2007-03-28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Sealing device for a container
JO2803B1 (en) * 2006-05-10 2014-03-15 كراون باكيجنج تكنولوجي،انك. Open Tool
DE102007028048A1 (de) 2006-06-17 2008-06-19 Horst Heigl Behälterverschlussvorrichtung
KR100671720B1 (ko) * 2006-06-30 2007-01-22 백영자 내·외부캡이 한 뭉치로 취급되는 용기의 마개
US8240498B2 (en) * 2006-10-31 2012-08-14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Resealable closure
US20110233227A1 (en) * 2006-10-31 2011-09-29 Alexandre Paris Resealable closure
BRPI0817411A2 (pt) 2007-11-09 2017-09-26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combinação de tampa de lata resselável e lata de bebida resselável
US8857644B2 (en) 2008-11-26 2014-10-14 B.E. Inventive, Llc Container
US8833585B2 (en) * 2009-05-22 2014-09-16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Resealable beverage can ends
AT508717B1 (de) 2009-09-07 2011-06-15 Xolution Gmbh Deckel eines behälters
AT511815B1 (de) * 2011-11-15 2013-03-15 Xolution Gmbh Deckel eines behälters
DE102012209241A1 (de) 2012-05-31 2013-12-05 Ball Packaging Europe Gmbh Deckel für Getränkedose oder dergleichen
DE102012213093A1 (de) 2012-07-25 2014-03-06 Ball Packaging Europe Gmbh Wiederverschließbarer Dosenverschluss, Dosendeckel und Verfahren
WO2014020100A2 (en) * 2012-08-03 2014-02-06 Becton Dickinson France Closing system for a container
US10968010B1 (en) 2012-08-10 2021-04-06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8985371B2 (en) 2012-08-10 2015-03-24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1952164B1 (en) 2012-08-10 2024-04-09 Powercan Holding, Llc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8844761B2 (en) 2012-08-10 2014-09-30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D828753S1 (en) 2012-08-10 2018-09-18 Daniel A Zabaleta Axially oriented peripheral sidewalled beverage container lid
USD795693S1 (en) 2012-08-10 2017-08-29 Daniel A Zabeleta Axially oriented peripheral sidewalled beverage container lid
US9637269B1 (en) 2012-08-10 2017-05-02 Daniel A. Zabaleta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e
CN103708096B (zh) * 2013-12-20 2016-02-03 杭州博达设计咨询有限公司 保温容器的释压装置
US9883759B2 (en) 2014-01-09 2018-02-06 Goverre, Inc. Closeable beverage lid
USD747199S1 (en) 2014-01-15 2016-01-12 B.E. Inventive, Llc Closure for can
USD747649S1 (en) 2014-01-15 2016-01-19 B.E. Inventive, Llc Can end
AU2015321422B2 (en) * 2014-09-23 2020-02-20 Puratap Pty Ltd Bottle lid assembly with retractable spout
US20170253389A1 (en) * 2016-03-04 2017-09-07 Brumis Imports, Inc. Travel mug with a twist lid
CN106241027A (zh) * 2016-08-30 2016-12-21 李红彪 旋转打开的容器
WO2019113272A1 (en) 2017-12-08 2019-06-13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Beverage can ends having a gas charging port
DE202018102047U1 (de) * 2018-04-16 2019-07-18 Esbit Compagnie Gmbh Verschlusseinricht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US10926924B2 (en) 2018-05-17 2021-02-23 Helen Of Troy Limited Drink container lid assembly
BR112021002254A2 (pt) * 2018-08-06 2021-05-04 Snstech, Llc sistema de fechamento por descolag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96171A (en) * 1964-03-10 1967-12-20 Willi Brandl Sealing device for containers
US3952914A (en) 1975-02-24 1976-04-27 Vogt Kuno J Re-sealable container lid
US3967748A (en) * 1975-06-03 1976-07-06 Thermo Seal Drinking receptacle valve means
US4077538A (en) 1976-08-16 1978-03-07 Waterbury Nelson J Vendable reclosable beverage container
US4122970A (en) * 1977-03-16 1978-10-31 Arnaldo Amabili Tamper-proof container with attached end closure
US4171060A (en) * 1978-12-11 1979-10-16 Spil-Les Covered drinking cup
US6010029A (en) * 1998-11-27 2000-01-04 Wang; Jung-Liang Container lid assembly
US6116476A (en) * 2000-02-04 2000-09-12 Huang; Frank Teh-Hsiung Push-button type bottle head
CA2305041A1 (en) * 2000-04-13 2001-10-13 Pierre Tardif Reusable pouring cap for a container capable of receiving potable liquids for human consumption
US6626314B1 (en) * 2001-03-13 2003-09-30 Rexam Beverage Can Company Resealable closure for beverage container
WO2003004370A1 (en) 2001-07-03 2003-01-16 Stephan Copeland Self-sealing container
US7731047B2 (en) * 2001-08-06 2010-06-08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Reclosable container lid with sliding element
US7073678B1 (en) * 2003-08-04 2006-07-11 Helen Of Troy Limited Travel beverage container
US7198168B2 (en) * 2003-11-27 2007-04-03 Jyunzi Mizuma Can
WO2005068312A1 (en) * 2004-01-13 2005-07-28 Bound2B B.V. Device for sealing food product containers and food product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US7222746B2 (en) * 2004-01-14 2007-05-29 Kurt Eckstrum Soda can safety screen
US7533783B2 (en) * 2005-04-11 2009-05-19 Camelbak Products, Llc Drink bottles with bite-actuated mouthpieces
US20060283859A1 (en) * 2005-06-20 2006-12-21 Sara Rose International Inc. Cup lid assembly
JO2803B1 (en) * 2006-05-10 2014-03-15 كراون باكيجنج تكنولوجي،انك. Open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4893T2 (de) 2009-02-26
EP1708930A1 (en) 2006-10-11
WO2005068312A1 (en) 2005-07-28
IL176779A (en) 2010-06-30
RU2006129269A (ru) 2008-02-20
IL176779A0 (en) 2006-10-31
CA2552898A1 (en) 2005-07-28
IL176778A0 (en) 2006-10-31
WO2005068313A1 (en) 2005-07-28
DE602005004893T3 (de) 2012-01-12
JP4693785B2 (ja) 2011-06-01
JP2007517739A (ja) 2007-07-05
MXPA06007975A (es) 2007-01-26
ES2304001T3 (es) 2008-09-01
DE602005004893D1 (de) 2008-04-03
RU2375277C2 (ru) 2009-12-10
CN1926028A (zh) 2007-03-07
EP1708930B1 (en) 2008-02-20
EP1725471A1 (en) 2006-11-29
BRPI0506518B1 (pt) 2018-01-16
ZA200605780B (en) 2007-03-28
RS50560B2 (sr) 2018-08-31
EP1708930B2 (en) 2011-06-15
DK1708930T3 (da) 2008-06-23
CA2552897A1 (en) 2005-07-28
BRPI0418056A (pt) 2007-06-26
US20080053997A1 (en) 2008-03-06
ES2304001T5 (es) 2011-11-07
DK1708930T4 (da) 2011-09-26
RS20060426A (en) 2008-08-07
AU2005205674B2 (en) 2010-05-27
BRPI0506518A (pt) 2007-02-27
MXPA06007974A (es) 2007-01-26
CN1930047A (zh) 2007-03-14
AU2004314015A1 (en) 2005-07-28
DE602005004893T8 (de) 2009-07-02
PL1708930T5 (pl) 2011-11-30
JP2007521194A (ja) 2007-08-02
EP1708930B8 (en) 2008-07-16
US7819280B2 (en) 2010-10-26
NZ548984A (en) 2008-08-29
EG24565A (en) 2009-10-28
CN100540409C (zh) 2009-09-16
ME01356B (me) 2010-05-07
PL1708930T3 (pl) 2008-10-31
KR101166937B1 (ko) 2012-07-23
RS50560B (sr) 2010-05-07
CA2552898C (en) 2012-10-09
AU2005205674A1 (en)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937B1 (ko) 식품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를 가진 식품 용기
US7823740B2 (en) Device for sealing foodstuff containers and foodstuff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RU2394736C2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крышка и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4440316A (en) Combined piercer and valve for flexible bag
US5141134A (en) Pitcher with spout
JP4391162B2 (ja) 液体容器の注出装置およびバッグインボックス
US10513382B2 (en) Modified aseptic front pull piercing valve assembly
JP5748071B2 (ja) 栓体
US7891517B2 (en) Apparatus for sealing a beverage can
JP2010269852A (ja) 容器のクロージャおよび充填方法
EP0046754A4 (en) COMBINED DRILLING BODY AND VALVE FOR FLEXIBLE BAG.
KR20070012342A (ko) 식품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제공된식품 용기
GB2156949A (en) Combined piercer and valve for flexible bag
US11053055B2 (en) Dispensing closure for a fluid container
JP2006341916A (ja) 飲料注出装置
RU23370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упоривания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набженный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JP2007008499A (ja) 液体容器用注出口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