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775A -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775A
KR20070011775A KR1020050066322A KR20050066322A KR20070011775A KR 20070011775 A KR20070011775 A KR 20070011775A KR 1020050066322 A KR1020050066322 A KR 1020050066322A KR 20050066322 A KR20050066322 A KR 20050066322A KR 20070011775 A KR20070011775 A KR 20070011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duct
air
air condition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6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1775A/ko
Publication of KR2007001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2013/088Air-flow straigh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소정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몸체 내에 증발기, 응축기 등이 구비되어 냉매의 냉방사이클을 통해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이동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증발기 쪽으로 향하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면서 냉각되어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응축기 쪽으로 향하는 공기가 도입되는 도입구 및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도입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며 외부 공기가 도입되는 통로인 흡입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며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덕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동형 에어컨, 흡입덕트, 배출덕트, 흡입팬, 층류판, 연통공

Description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Double Duct Structure for Portable Air-Condition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형 에어컨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어컨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10 : 흡입부
120 : 토출부 130 : 도입구
140 : 배출구 150 : 증발기
160 : 토출팬 170 : 응축기
180 : 배출팬 190 : 압축기
200 : 흡입덕트 210 : 흡입팬
220 : 층류판 221 : 연통공
300 : 배출덕트
본 발명은 이동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응축기에 공급되는 공기를 실외에서 도입하여 에어컨의 냉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건물 등의 개별 냉방에 사용되는 에어컨은 실내에 붙박이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형 에어컨과 소정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에어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이동형 에어컨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의 몸체(10) 전면 상부에는 증발기(60) 쪽으로 향하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20) 및 상기 흡입부(20)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60)를 거치면서 냉각되어 토출팬(65)에 의해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30)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10)의 후면 하부에는 응축기(70) 쪽으로 향하는 실내 공기가 도입되는 도입부(40) 및 상기 응축기(70)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이 배출팬(7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5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70)의 일측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80) 및 팽창밸브(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배출구(5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며 상기 응축기(70)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이 실외로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덕트(85)가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이동형 에어컨의 냉방사이클을 살펴보면, 작동유체인 액체 냉매는 상기 증발기(60) 내에서 저온ㆍ저압으로 증발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한편, 기체로 변환된 냉매는 흡입관을 통하여 압축기(80)를 거치면서 고온ㆍ 고압의 기체로 변환되어 상기 응축기(70)에 보내지며, 상기 응축기(70)에서는 기체 상태의 냉매가 액체 상태로 변환되면서 응축열이 방출되고, 상기 응축기(70)를 거치면서 응축ㆍ액화된 냉매는 팽창밸브에 의해 단열팽창되어 상기 증발기(60)로 공급되는 과정을 통해 냉방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형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몸체(10)의 흡입부(20)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증발기(60)를 거치면서 냉각되어 토출부(3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한편, 몸체(10)의 도입부(40)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응축기(70)를 거치면서 열교환되고, 이때 발생되는 응축열은 상기 배출덕트(85)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형 에어컨은 상기 도입부(40)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도입하여 상기 응축기(70) 쪽으로 공급하게 되므로 밀폐된 공간인 실내는 음압(Negative Pressure)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의 냉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냉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응축기에 공급되는 공기를 실외에서 도입하여 밀폐된 실내의 음압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에어컨의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몸체 내에 증발기, 응축기 등이 구비되어 냉매의 냉방사이클을 통해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이동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증발기 쪽으로 향하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면서 냉각되어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응축기 쪽으로 향하는 공기가 도입되는 도입구 및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도입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며 외부 공기가 도입되는 통로인 흡입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며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덕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덕트 내에는 실외 공기의 흡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흡입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에어컨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온도와 기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흡입팬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덕트 내에는 공기의 흐름을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다수의 연통공이 형성된 층류판이 구비되어 상기 흡입팬과 상기 몸체의 도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어컨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구조는 전술한 내용을 참고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00)의 전면 상부에는 증발기(150) 쪽으로 향하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110) 및 상기 흡입부(110)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150)를 거치면서 냉각되어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12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150) 일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토출팬(16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후면 하부에는 응축기(170) 쪽으로 향하는 공기가 도입되는 도입구(130) 및 상기 응축기(170)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이 배출되는 배출구(14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170)의 일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배출팬(180) 및 압축기(190), 팽창밸브(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도입구(13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며 외부 공기가 도입되는 통로인 흡입덕트(20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0)의 배출구(14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며 상기 응축기(170)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덕트(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덕트(200) 내에는 실외 공기의 흡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흡입팬(210)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0)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에어컨의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온도와 기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흡입팬(21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에어컨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입덕트(200) 내에는 공기의 흐름을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다수의 연통공(221)이 형성된 벨마우스 타입의 층류판(220)이 구비되어 상기 흡입팬(210)과 상기 몸체(100)의 도입구(1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어컨을 작동시키게 되면, 실외로 연결된 상기 흡입덕트(200)를 통해 상기 응축기(170) 쪽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실외에서 도입하게 되고, 상기 배출덕트(300)를 통해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된 응축열을 다시 실외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와 기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실내 온도가 기설정 온도보다 높게 되면, 에어컨의 냉방 세기를 높이도록 상기 흡입팬(210)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흡입팬(210)이 작동되면서 외부에서 도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흡입덕트(200)를 통해 도입되는 공기는 상기 층류판(220)의 연통공(221)을 거치면서 그 흐름이 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에어컨은 실내의 냉각된 공기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밀폐된 공간에서 실내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됨에 따라 음압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덕트 및 배출덕트를 통해 응축기에 공급되는 공기를 실외에서 도입하여 실외로 배출하여 밀폐된 실내의 음압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덕트에 구비된 흡입팬 및 층류판을 통해 가혹조건에서도 에어컨의 냉방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소정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몸체 내에 증발기, 응축기 등이 구비되어 냉매의 냉방사이클을 통해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이동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증발기 쪽으로 향하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면서 냉각되어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응축기 쪽으로 향하는 공기가 도입되는 도입구 및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도입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며 외부 공기가 도입되는 통로인 흡입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며 상기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덕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 내에는 실외 공기의 흡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흡입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에어컨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온도와 기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흡입팬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 내에는 공기의 흐름을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다수의 연통공이 형성된 층류판이 구비되어 상기 흡입팬과 상기 몸체의 도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
KR1020050066322A 2005-07-21 2005-07-21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 KR20070011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322A KR20070011775A (ko) 2005-07-21 2005-07-21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322A KR20070011775A (ko) 2005-07-21 2005-07-21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775A true KR20070011775A (ko) 2007-01-25

Family

ID=3801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322A KR20070011775A (ko) 2005-07-21 2005-07-21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17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1967A (zh) * 2019-01-04 2019-04-26 东莞市金鸿盛电器有限公司 一种便于装配的稳固型移动空调机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109681967A (zh) * 2019-01-04 2019-04-26 东莞市金鸿盛电器有限公司 一种便于装配的稳固型移动空调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7761B2 (en) Stand-type air conditioner
KR20180044162A (ko) 공기조화기
US20050257539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JP2011137597A (ja) 空気調和装置
KR20040045095A (ko) 공기조화기의 소음 저감방법
KR20070011775A (ko) 이동형 에어컨의 이중 덕트구조
KR20080001311A (ko) 다단 증발기를 구비한 에어컨
KR20080065176A (ko) 휴대용 공기 조화기
CN113310112A (zh) 空调器室内机
KR20100026351A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4368647B2 (ja) 熱交換ユニット
KR2009013115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64709B1 (ko) 냉기의 토출방향제어 장치를 갖는 에어컨 및 이의 제어방법
CN216244600U (zh) 空调器室内机
US2006003733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olenoid valve of air-conditioner
KR100350439B1 (ko)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용 전장품 고정장치
CN111609585B (zh) 双温空调系统、控制方法和空调器
KR20040033801A (ko) 제습용 에어컨의 베인 제어 방법
KR20070113898A (ko) 창문형 에어컨의 압축기 냉각장치
CN209944637U (zh) 一种蒸发冷却移动式吹风降温局部空调器
JP6991369B2 (ja) 空気調和装置
CN100375867C (zh) 家庭用中央空调器
KR100546658B1 (ko) 공조시스템
KR20030030473A (ko) 환기 겸용 에어컨
KR200249513Y1 (ko) 실외기 없는 냉난방기의 열교환용 공기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