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684A -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684A
KR20070011684A KR1020050066160A KR20050066160A KR20070011684A KR 20070011684 A KR20070011684 A KR 20070011684A KR 1020050066160 A KR1020050066160 A KR 1020050066160A KR 20050066160 A KR20050066160 A KR 20050066160A KR 20070011684 A KR20070011684 A KR 20070011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rooves
shaft housing
plat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7540B1 (ko
Inventor
정승수
Original Assignee
정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수 filed Critical 정승수
Priority to KR102005006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54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1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회전각을 제어할 수 있는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단에 복수의 제 1 축 하우징을 구비한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축 하우징과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축 하우징을 구비한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1 및 2 축 하우징에 삽입되는 축을 포함하는 힌지 장치로, 상기 제 1 축 하우징은 원주방향의 복수의 각 조절 홀이 형성된 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축 하우징은 회전각을 제어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각 조절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 하우징의 밀착부와 접촉하는 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조절 홈 및 홀에 위치고정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를 제공한다.
힌지 장치, 회전각, 각 조절 홈, 힌지

Description

힌지 장치 {Door hi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제 1 플레이트의 각 조절 홀 및 제 2 플레이트의 각 조절 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의 축 하우징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의 일정 각에서의 제어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힌지 장치 20, 40: 제 1 , 제 2 플레이트
22, 42: 축 하우징 24: 각 조절 홀
44: 각 조절 홈 50: 축
60: 볼 베어링 62: 스프링
64: 워셔(washer)
본 발명은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각을 제어할 수 있는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 장치는 가동판, 고정판 및 축으로 구성되어 도어를 개폐한다. 가동판과 고정판은 직사각플레이트로 일측단에는 일정한 지름을 갖는 원통형의 축 하우징을 구비한다. 그리고 축은 일정 길이의 원형의 바(bar)로 축 하우징의 내경과 거의 같은 치수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 장치의 조립시 힌지 장치의 고정판과 가동판의 일측에 형성되는 축 하우징을 일직선상에 배열하여 상기 축 하우징의 내부로 축을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힌지 장치는 도어의 몸체에 고정판을 고정하고, 도어에 가동판을 고정시켜 상기 가동판이 장착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다.
그러나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종래에는 상기 도어가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힌지 장치가 없어 도어의 하단부에 부목과 같은 버팀수단을 받쳐 고정하거나 또는 쇼바와 같은 고가의 장치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여 왔다.
그리고 또한 종래의 힌지 장치가 지면과 닫지 않는 곳에 있는 도어에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버팀수단을 사용할 수 없고, 특히, 현장의 통신장비 콘트롤 박스나 반도체 장비의 스텐 박스가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어서 작업자들이 바람으로 인해 도어의 문이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종래의 힌지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회전시킬 때 일정 위치에서 별도의 버팀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고정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힌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힌지 장치는 일단에 복수의 제 1 축 하우징을 구비한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축 하우징과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축 하우징을 구비한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1 및 2 축 하우징에 삽입되는 축을 포함하는 힌지 장치로, 상기 제 1 축 하우징은 원주방향의 복수의 각 조절 홀이 형성된 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축 하우징은 회전각을 제어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각 조절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 하우징의 밀착부와 접촉하는 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조절 홈 및 홀에 위치고정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축 하우징의 밀착부는 축관이 형성되는 상부 고정 탭 및 나선 홈이 형성되는 하부 고정 탭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각 조절 홈에 일부 삽입되는 볼 베어링 및 상기 볼 베어링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프링 및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는 워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축 하우징의 각 조절 홈은 상기 제 2 축 하우징을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180°각으로 두 개의 홈, 120°각으로 세 개의 홈, 90°각으로 네 개의 홈 또는 180°각으로 두 개의 홈 및 상기 두 개의 홈을 기준으로 각각 45°이격된 위치에서 두 개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의 구성 및 작동 모습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10)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제 1 플레이트의 각 조절 홀 및 제 2 플레이트의 각 조절 홈의 측면도이다. 제 1 플레이트(20)는 그 일단에 복수의 제 1 축 하우징(22)을 구비하고, 제 2 플레이트(40)는 제 1 축 하우징(22)과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축 하우징(42)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는 두 개의 제 1 축 하우징(22)과 하나의 제 2 축 하우징(42)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축(50)은 상기 축 하우징(22, 4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축 하우징(22, 42)에 형성되는 축관(3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상기 제 1 플레이트(20)의 제 1 축 하우징(22)은 상부 고정 탭(66)이 삽입되는 요홈부(28)가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28)의 아래에는 소정 두께의 밀착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20)의 밀착부(26)는 중심에 축관(30)이 마련되고 그 원주 방향 둘레로 복수의 각 조절 홀(2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40)의 제 2 축 하우징(42)에는 소정 두께의 밀착부(46)가 마련되는데, 상기 밀착부(46)는 중심에 축관(30)이 마련되고 그 원주 방향 둘레로 복수의 각 조절 홈(4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40)의 제 2 축 하우징(42)은 내부에 밀착부(46)를 구비 하고, 그 중심에 축관(30)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46)에 소정 깊이의 복수의 각 조절 홈(44)이 형성된다.
상부 고정 탭(66)에는 축관(30)이 형성되어 축(50)이 통과할 수 있지만 하부 고정 탭(68)에는 축의 나사산(52)과 결합할 수 있게 나선 홈(6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볼 베어링(60)과 스프링(62)으로 실현된다. 상기 볼 베어링(60)은 상기 제 1 축 하우징(22)의 각 조절 홀(24)을 통과하여 제 2 축 하우징(42)의 밀착부(46)에 형성되는 각 조절 홈(44)에 상기 볼 베어링(60)이 삽입된다. 여기서, 볼 베어링(60)이 상기 각 조절 홈(44) 삽입되는 정도는 상기 볼 베어링(60) 크기의 약 1/3 정도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 베어링(60)은 상기 제 1 축 하우징(22)의 각 조절 홀(24) 및 홈(44)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62)은 각 조절 홀(24) 내에서 상기 볼 베어링(6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볼 베어링을 압축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볼 베어링(60)에 힘을 더 가하기 위해 상기 제 1 축 하우징(22)의 요홈부(28)의 저면에 배치되는 워셔(6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제 1 및 제 2 플레이트(20, 40)의 각 축 하우징(22, 42)을 일직선 상으로 배열하고, 제 2 플레이트(40)의 축 하우징(42)의 밀착부(46)에 있는 복수의 각 조절 홈(44)과 제 1 플레이트(20)의 축 하우징(22)의 밀착부(26)에 있는 복수의 각 조절 홀(24)이 일치되도록 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실시 예는 각 조절 홈(44)의 개수가 세 개인 경우이다. 우선 하부에서 상기 각 조절 홀 (24)과 상기 각 조절 홈(44)을 정렬한 후, 볼 베어링(60)을 두 개 삽입하여 상기 각 조절 홈(44)에 볼 베어링(60)을 삽입하고, 상기 각 조절 홀(24)에 나머지 볼 베어링(60)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조절 홀(24) 내로 상기 볼 베어링(60) 위에 스프링(62)을 삽입하고, 상기 요홈부(28)에 워셔(64)를 차례로 삽입한다. 이 후, 축(50)의 하부에 있는 나사산(52)과 체결되기 위한 나선 홈(68a)이 구비되는 하부 고정 탭(68)을 제 1 하우징(22)의 요홈부(28) 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부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동일한 선상의 홀(24), 홈(44) 및 요홈부(28)에 볼베어링(60), 스프링(62) 및 워셔(64)를 설치하고, 축관(30)을 구비하는 상부 고정 탭(66)을 제 1 하우징(22)의 요홈부(28) 내로 삽입한다. 그런 후, 축(50)은 각 부품들의 축관(30)을 통과하여 하부 고정 탭(68)까지 삽입하여, 축(50)의 나사산(52)과 상기 하부 고정 탭(68)의 나선 홈(68a)을 나선 결합시켜 조립공정을 완성한다.
여기서 볼 베어링(60) 및 스프링(62)은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힘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하여 삽입될 수 있는데, 특히 세 개 이상이 삽입되는 경우는 경첩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더 많이 소요되며, 원하는 각도에서 강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축(50)의 하부 고정 탭(68)과의 나선 결합의 정도에 따라, 일정 각도에서 고정될 때, 상기 힌지 장치(10)에 걸리는 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의 축 하우징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힌지 장치(10)의 도어에서의 실제 작동 모습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어의 몸체에 어느 한 플레이트(20, 40)를 고정한다(도어와의 고정 모습은 미도시). 도어가 닫힌 상태는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40)가 접혀져 있는 경우이다. 제 1 플레이트(20)를 고정시키고 제 2 플레이트(40)를 가동하여 도어를 여는 경우, 소정의 힘이 제 2 플레이트(40)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 2 하우징(42)의 각 조절 홈(44)에 있던 볼 베어링(60)이 상기 각 조절 홈(44)에서 나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여 다른 각 조절 홈(44)으로 끼워지면서 다시 소정의 힘 이상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각도에서 고정된다. 이 후, 다시 소정의 힘이 더 가해지면 다른 각 조절 홈(44)에 끼워졌던 볼 베어링(60)이 빠져나와 또 다른 각 조절 홈(44)에 끼워지면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다.
말하자면, 각 조절 홈(44)의 개수와 배치된 각도에 따라 제 2 플레이트 회전시 고정되는 각도가 달라진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의 일정 각에서의 제어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도 4a는 상기 제 2 축 하우징(42)의 각 조절 홈(44)은 상기 제 2 축 하우징(42)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각으로 두 개가 형성되어 제 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180°까지 중간에 고정됨 없이 열린다. 도 4b는 상기 제 2 축 하우징(42)의 각 조절 홈(44)이 상기 제 2 축 하우징(42)을 중심을 기준으로 120°각으로 세 개가 형성된 경우로, 제 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45°에서 제 2 플레이트(40)가 한번 고정된 다음 소정의 힘이 더 가해지는 경우 완전히 도어가 개방된다. 도 4c는 상기 제 2 축 하우징(42)의 각 조절 홈(44)이 상기 제 2 축 하우징(42)의 중심을 기준으로 90°각으로 네 개가 형성된 경우로, 제 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90°에서 제 2 플레이트(40)가 한번 고정된 다음 소정의 힘이 더 가해지면 완전히 도어 가 개방된다. 도 4d는 상기 제 2 축 하우징(42)의 각 조절 홈(44)은 상기 제 2 축 하우징(42)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의 각으로 두 개가 형성되고, 45°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두 개가 더 형성된 경우로, 제 1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135°에서 한번 고정된 후 소정의 힘이 더 가해지면 도어는 완전히 개방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2 축 하우징(42)에 형성되는 각 조절 홈(44)의 각도 및 개수에 따라 볼 베어링(60) 및 축(50)을 조절하여 상기 제 2 축 하우징(42)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도어가 원하는 곳에서 다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고,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에 따라, 상기와 같이 각각의 축 하우징에 각 조절 홈, 각 조절 홀 및 위치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도어 개방시 소정의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의 하단부에 부목과 같은 버팀수단이 필요없게 되고, 쇼바와 같은 고가의 장치에 비해 경제적 효과를 누릴 수 있고,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를 소정시간 열어두고 작업하는 곳에서 바람에 의해 문이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작업하고 안정성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일단에 복수의 제 1 축 하우징을 구비한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축 하우징과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축 하우징을 구비한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1 및 2 축 하우징에 삽입되는 축을 포함하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 하우징은 원주방향의 복수의 각 조절 홀이 형성된 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축 하우징은 회전각을 제어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각 조절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 하우징의 밀착부와 접촉하는 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조절 홈 및 홀에 위치고정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 하우징의 밀착부는 축관이 형성되는 상부 고정 탭 및 나선 홈이 형성되는 하부 고정 탭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요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각 조절 홈에 일부 삽입되는 볼 베어링 및 상기 볼 베어링 상부에 위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는 워셔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 하우징의 각 조절 홈은 상기 제 2 축 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180°각으로 두 개의 홈, 120°각으로 세 개의 홈, 90°각으로 네 개의 홈 또는 180°각으로 두 개의 홈 및 상기 두 개의 홈을 기준으로 각각 45°이격된 위치에서 두 개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KR1020050066160A 2005-07-21 2005-07-21 힌지 장치 KR100687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160A KR100687540B1 (ko) 2005-07-21 2005-07-21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160A KR100687540B1 (ko) 2005-07-21 2005-07-21 힌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684A true KR20070011684A (ko) 2007-01-25
KR100687540B1 KR100687540B1 (ko) 2007-02-27

Family

ID=3801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160A KR100687540B1 (ko) 2005-07-21 2005-07-21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5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36B1 (ko) * 2007-02-20 2007-12-05 주식회사 공진 경첩
KR101392369B1 (ko) * 2012-07-02 2014-05-12 이우진 안전도어
KR20240003524A (ko) * 2022-07-01 2024-01-09 김용현 도어용 힌지 스톱퍼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838B1 (ko) 2007-09-13 2009-08-13 주식회사 에이앤비 푸리스톱 힌지장치
KR102428895B1 (ko) * 2020-05-15 2022-08-03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다단열림각도 기능을 구비한 스토퍼형 힌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890B1 (ko) * 1993-12-14 1999-11-01 정몽규 제품 생산라인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620037B1 (ko) * 2004-02-17 2006-09-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중 관 구조를 갖는 열수축 튜브 팽창관
KR100642002B1 (ko) * 2005-11-09 2006-11-0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층상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고무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36B1 (ko) * 2007-02-20 2007-12-05 주식회사 공진 경첩
KR101392369B1 (ko) * 2012-07-02 2014-05-12 이우진 안전도어
KR20240003524A (ko) * 2022-07-01 2024-01-09 김용현 도어용 힌지 스톱퍼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540B1 (ko)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1684A (ko) 힌지 장치
US7647798B1 (en) Lock having variably-spaced side pins
US7100240B2 (en) Hinge device having temporary angle set function
US20060005356A1 (en) Hinge device having angle hold function and folding electronic appliance using same
KR20080078045A (ko) 회전규제기능 부착 2축 힌지 장치
RU2009140293A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петля
US5139041A (en) Stop and lock plate for use with valve
KR100899239B1 (ko) 회전 각도 제한 기능을 갖는 경첩
US20070075471A1 (en) Torsion spring assembly
US4117567A (en) Door closer
US11767694B2 (en) Hinge
US20090100960A1 (en) Ratchet mechanism including lockable pinion assembly
JP2004360441A (ja) ヒンジ構造
JP4025804B1 (ja) 蝶番
US10357872B1 (en) Winding cone adaptor
ES2904481T3 (es) Herraje con una manija y un dispositivo de reposición para la manija, y procedimiento para transferir un dispositivo de reposición entre una primera posición de tope de manija y una segunda posición de tope de manija
KR200388859Y1 (ko) 스토퍼 기능을 내장한 경첩
KR100251855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ES2341564T3 (es) Herraje para puertas, ventanas o similar.
CN210888370U (zh) 方轴安装结构、把手芯组件和门锁
BR112017017471B1 (pt) Parte superior de válvula com uma peça de cabeça
JP4856501B2 (ja) ガスコック
JP4858716B2 (ja) ピストン挿入治具
JP4057991B2 (ja) ドア用ヒンジ
KR102334076B1 (ko) 보온재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