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438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438A
KR20070010438A KR1020050064996A KR20050064996A KR20070010438A KR 20070010438 A KR20070010438 A KR 20070010438A KR 1020050064996 A KR1020050064996 A KR 1020050064996A KR 20050064996 A KR20050064996 A KR 20050064996A KR 20070010438 A KR20070010438 A KR 20070010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terminal
charge
battery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64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0438A/ko
Publication of KR20070010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8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line protection circuits such as current or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시 발생되는 누설전류가 단말기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 접지를 통해 인체로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시 단말기 사용자나 다른 주변 사람의 신체 일부가 단말기에 접촉하게 되는 상황 즉, 배터리 충전을 일시 차단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는지를 감지하고, 해당되는 배터리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그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기까지 외부 충전기로부터 충전 회로부로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차단시켜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킴으로써, 배터리 충전중에 단말기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에 단말기 사용자나 주변 사람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더라도 그 금속물을 통해 인체로 충전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충전 누설전류로 인해 느끼게 되는 불쾌감이나 불안전성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충전, 금속물, 접지, 누설전류, 스위치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Leakage-Current Preven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충전기 21 : 충전 차단 감지부
22 : 충전 회로부 23 : 충전 차단 스위칭부
24 : 단말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충전시 발생되는 누설전류가 단말기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 접지를 통해 인체로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및 방 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이 휴대용으로 사용하므로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배터리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일정시간 동안 사용되고 나면 그 전원이 방전되므로, 다시 충전시켜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방법으로는, 충전기 본체에 충전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안착시켜 그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방법과, 충전용 케이블을 단말기 하단의 커넥터에 연결하여 그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단말기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을 내부 접지(Ground)와 접촉시키지 않을 경우 ESD(Electro Static Discharge) 즉, 정전기에 의하여 제품의 이상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 예컨대, 키버튼이나 스피커 등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여 내부 접지와 연결시키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시에 그 단말기 사용자 또는 다른 사람의 신체 일부가 단말기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에 접촉되는 경우 그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을 통해 인체로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불쾌감을 느끼게 되거나 안전성을 의심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시 단말기 사용자나 다른 주변 사람의 신체 일부가 단말기에 접촉하게 되는 상황 즉, 배터리 충전을 일시 차단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는지를 감지하여, 그러한 배터리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외부 충전기로부터 충전 회로부로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차단시켜 그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기까지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중에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그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기까지 충전 전원 공급을 차단시켜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킴으로써, 단말기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에 단말기 사용자나 주변 사람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더라도 그 금속물을 통해 인체로 충전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술한 충전 누설전류로 인해 느끼게 되는 불쾌감이나 불안전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충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회로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시에 그 단말기에 신체 일부가 접촉하게 되는 상황인 충전 차단 상황의 발생 및 그 충전 차단 상황 해제를 감지하기 위한 충전 차단 감지부와; 상기 충전기와 충전 회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회로부로 공급되는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충전 차단 스위칭부와; 상기 충전 차단 감지부에 의해 충전 차단 상황의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그 충전 차단 상황의 해제가 감지되기까지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회로부로 공급되는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차단하여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킴으로써 단말기 외부 금속물을 통해 충전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해 주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 차단 감지부는, 배터리 충전중에 호 착신 또는 발신이 감지되는 경우에 이를 충전 차단 상황 발생으로 인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충전 차단 상황 발생 신호를 단말 제어부로 전달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단말기 일측에 구비된 터치 센서나 적외선 센서를 통해 단말기 사용자나 주변 사람이 단말기에 직접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 이를 충전 차단 상황 발생으로 인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충전 차단 상황 발생 신호를 단말 제어부로 전달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제어부는, 충전 차단 감지부로부터 충전 차단 상황 발생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충전 차단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충전기와 충전 회로부 사이의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키고, 상기 충전 차단 감지부로부터 충전 차단 상황 해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충전기와 충전 회로부 사이의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다시 연결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충전기를 연결하여 그 충전기를 통해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신체 일부가 접촉하게 되는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그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기까지 상기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차단시켜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킴으로써 단말기 외부 금속물을 통해 충전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배터리 충전중에 호 착신 또는 발신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통해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지 확인하거나, 단말기 일측에 구비된 터치 센서나 적외선 센서를 통해 단말기 사용자나 주변 사람이 단말기에 직접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통해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외부 금속물을 통해 충전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은,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충전기와 단말기 내부 충전 회로부 사이의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차단하여 상기 충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원이 충전 회로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켜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충전기와 충전 회로부 사이의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다시 연결하여 상기 충전 회로부로 충전 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충전을 재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시에 단말기 사용자나 다른 주변 사람의 신체 일부가 단말기에 접촉하게 되는 상황(즉, 충전 누설전류가 인체로 흐르게 되는 상황)을 미리 감지하여 충전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단말기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을 통해 충전시 발생되는 누설전류가 인체로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1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는 충전기(10)와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성되는 장치로서, 충전 차단 감지부(21)와, 충전 회로부(22)와, 충전 차단 스위칭부(23) 및 단말 제어부(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충전기(10)는 외부 전원인 AC 전원(예컨대, 220V AC 전원)을 입력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시 필요한 DC 전원(예컨대, 5V DC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이거나, 또는 차량용 시거잭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전원인 DC 전원(예컨대, 12V DC 전원)을 입력받아 배터리 충전시 필요한 DC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이거나, 또는 그 이외의 단말기 배터리 충전시 이용되는 모든 충전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충전 차단 감지부(21)는 배터리 충전시에 단말기 사용자나 다른 주변 사람의 신체 일부가 단말기에 접촉하게 되는 상황인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 또 는 해제되는지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충전 차단 상황 발생 또는 해제 신호를 발생시켜 단말 제어부(24)로 전달해 주게 되는데, 이때 충전 차단 상황이라 함은 단말기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에 신체 일부가 접촉하게 되어 충전 누설전류가 인체로 흐르게 되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충전 차단 감지부(21)는 배터리 충전중에 호 착신 또는 발신이 감지되는 경우에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얼굴(즉, 귀, 입, 뺨 등)에 단말기를 접촉시켜 그 단말기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에 신체 일부가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충전 차단 상황으로 감지하고, 또한 단말기 일측에 터치 센서나 적외선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나 주변 사람이 단말기에 직접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되는 경우에 그 단말기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에 신체 일부가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충전 차단 상황으로 감지하게 된다.
충전 회로부(22)는 충전기(10)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 충전을 수행한다.
충전 차단 스위칭부(23)는 충전기(10)와 충전 회로부(22) 사이에 구비되어, 충전기(10)로부터 충전 회로부(22)로 공급되는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 제어부(24)는 배터리 충전 상태에서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어 충전 차단 감지부(21)로부터 충전 차단 상황 발생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충전 차단 스위칭부(23)를 제어하여 충전기(10)와 충전 회로부(22) 사이의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켜 충전 누설전류가 인체로 흐르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고,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지 않거나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 어 충전 차단 감지부(21)로부터 충전 차단 상황 해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충전 차단 스위칭부(23)를 제어하여 충전기(10)와 충전 회로부(22) 사이의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연결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을 재개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 사용자가 배터리 충전을 위해 충전기(10)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게 되면, 단말 제어부(24)에서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기(10)의 충전 전원에 내부 충전 회로부(22)로 공급되도록 충전 차단 스위칭부(23)를 제어하여 충전기(10)와 충전 회로부(22) 사이의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연결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충전기(1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충전 전원은 그 충전기(10)와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차단 스위칭부(23)를 통해 충전 회로부(22)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충전 회로부(22)에서는 그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을 시작하게 된다(스텝 S21).
그리고, 배터리 충전이 시작된 후에 단말 제어부(24)는 충전 차단 감지부(21)를 제어하여 단말기 사용자나 다른 주변 사람의 신체 일부가 단말기에 접속하게 되는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지를 확인하게 되는데(스텝 S22), 이때 충전 차단 감지부(21)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호 착신 또는 발신이 감지되는지, 또는 단말기 일측에 구비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나 적외선 센서에 의해 단말기 사용자나 주변 사람이 단말기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만약, 배터리 충전중에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즉, 충전 차단 감지부(21)로부터 충전 차단 상황 해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단말 제어부(24)는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하게 되고(스텝 S23), 이때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충전 차단 스위칭부(23)를 현재 상태(즉, 스위치 온 상태)로 유지시켜 충전 회로부(22)로 충전 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이 계속 진행되도록 제어하게 되고(스텝 S24), 그 배터리 충전 상태에서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지를 확인하는 스텝 S22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하면서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지를 확인하는 중에 스텝 S22에서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즉, 충전 차단 감지부(21)로부터 충전 차단 상황 발생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단말 제어부(24)는 충전 차단 스위칭부(23)를 제어하여 충전기(10)와 충전 회로부(22) 사이의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차단하여 충전기(1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원이 충전 회로부(22)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켜 단말기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에 신체 일부가 접촉되더라도 충전 누설전류가 인체로 흐르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게 된다(스텝 S25).
이후, 단말 제어부(24)는 앞에서 발생된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는지 즉, 충전 차단 감지부(21)로부터 충전 차단 상황 해제 신호가 전달되는지를 확인하게 되고(스텝 S26), 이때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충전 차단 스위칭부(23)를 현재 상태(즉, 스위치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충전 회로부(22)로 충전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함으로써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기 이전까지 배터리 충전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 충전 일시 정지 상태에서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는 경우 즉, 충전 차단 감지부(21)로부터 충전 차단 상황 해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단말 제어부(24)는 충전 차단 스위칭부(23)를 제어하여 충전기(10)와 충전 회로부(22) 사이의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 차단을 해제시킴으로써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다시 연결하게 되며, 이에 따라 충전기(10)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원이 충전 차단 스위칭부(23)를 통해 다시 충전 회로부(22)로 공급됨으로써 배터리 충전을 재개하게 된다(스텝 S27).
또한, 단말 제어부(24)는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됨에 따라 배터리 충전을 재개시킨 후에는 다시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하는 스텝 S23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되며, 이후에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해당되는 배터리 충전 동작을 종료하게 되고, 또한 상술한 충전 누설전류 방지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스텝 S28).
하지만,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충전 차단 상황 발생시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시 단말기 사용자나 다른 주변 사람의 신체 일부가 단말기에 접촉하게 되는 상황 즉, 배터리 충전을 일시 차단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는지를 감지하고, 해당되는 배터리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그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기까지 외부 충전기로부터 충전 회로부로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차단시켜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킴으로써, 배터리 충전중에 단말기 외부로 노출된 금속물에 단말기 사용자나 주변 사람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더라도 그 금속물을 통해 인체로 충전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충전 누설전류로 인해 느끼게 되는 불쾌감이나 불안전성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충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회로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시에 그 단말기에 신체 일부가 접촉하게 되는 상황인 충전 차단 상황의 발생 및 그 충전 차단 상황 해제를 감지하기 위한 충전 차단 감지부와;
    상기 충전기와 충전 회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회로부로 공급되는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충전 차단 스위칭부와;
    상기 충전 차단 감지부에 의해 충전 차단 상황의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그 충전 차단 상황의 해제가 감지되기까지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회로부로 공급되는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차단하여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킴으로써 단말기 외부 금속물을 통해 충전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해 주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차단 감지부는, 배터리 충전중에 호 착신 또는 발신이 감지되는 경우에 이를 충전 차단 상황 발생으로 인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충전 차단 상황 발생 신호를 단말 제어부로 전달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차단 감지부는, 단말기 일측에 구비된 터치 센서나 적외선 센서를 통해 단말기 사용자나 주변 사람이 단말기에 직접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 이를 충전 차단 상황 발생으로 인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충전 차단 상황 발생 신호를 단말 제어부로 전달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4.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충전 차단 감지부로부터 충전 차단 상황 발생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충전 차단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충전기와 충전 회로부 사이의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키고, 상기 충전 차단 감지부로부터 충전 차단 상황 해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충전기와 충전 회로부 사이의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다시 연결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5. 이동통신 단말기와 충전기를 연결하여 그 충전기를 통해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신체 일부가 접촉하게 되는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그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기까지 상기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차단시켜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킴으로써 단말기 외부 금속물을 통해 충전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배터리 충전중에 호 착신 또는 발신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통해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지 확인하거나, 단말기 일측에 구비된 터치 센서나 적외선 센서를 통해 단말기 사용자나 주변 사람이 단말기에 직접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것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통해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외부 금속물을 통해 충전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은, 충전 차단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충전기와 단말기 내부 충전 회로부 사이의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차단하여 상기 충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원이 충전 회로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켜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충전을 일시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충전 차단 상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충전기와 충전 회로부 사이의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다시 연결하여 상기 충전 회로부로 충전 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충전을 재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방법.
KR1020050064996A 2005-07-18 2005-07-18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70010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996A KR20070010438A (ko) 2005-07-18 2005-07-18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996A KR20070010438A (ko) 2005-07-18 2005-07-18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438A true KR20070010438A (ko) 2007-01-24

Family

ID=3801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996A KR20070010438A (ko) 2005-07-18 2005-07-18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04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7155B2 (ja) 電子機器、非接触型充電器及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EP1633029A2 (en) Charging system for legged walking robot
TW200937795A (en)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power transmitting device, non-contact power transmitting system, and electronic instrument
TW201724690A (zh) 控制充電的方法、裝置、電源轉接器和移動終端
KR101512478B1 (ko)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US20210296906A1 (en) Current sensing circuit disconnect device and method
KR101609719B1 (ko)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WO2013147489A1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865236A (zh) 一种有线无线智能切换的充电系统及实现方法、充电设备
KR2007001043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누설전류 방지 장치 및 방법
EP1086521B1 (en) Two-wire multi-rate battery charger
CN107069864A (zh) 充电控制方法及装置
KR101820476B1 (ko)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CN105025148B (zh) 无线电话声音接口装置
KR101138985B1 (ko)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JP2018026218A (ja) 電気機器
JPH05244727A (ja) 電池の充電の改善手段
CN104283289A (zh) 一种蓝牙充电装置及充电控制方法
CN110768315B (zh) 一种充电接口的保护方法及系统、存储介质
KR101923979B1 (ko)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방법
US6963763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power supplies to circuitry within rechargeable devices
CN211744059U (zh) 一种与充电装置实现安全对接系统
CN107864285A (zh) 一种基于云平台的信息交互方法
CN219739985U (zh) 电池输出控制装置及电子设备
KR20130048736A (ko) 과열 보호기능을 구비한 무접점 전력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