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193A -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의 스케일러블 송신을 위한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의 스케일러블 송신을 위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193A
KR20070010193A KR1020067025553A KR20067025553A KR20070010193A KR 20070010193 A KR20070010193 A KR 20070010193A KR 1020067025553 A KR1020067025553 A KR 1020067025553A KR 20067025553 A KR20067025553 A KR 20067025553A KR 20070010193 A KR20070010193 A KR 20070010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ontent
clips
group
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386B1 (ko
Inventor
라빈더 챈덕
안 메이 천
타디 엠 나가랴
이신 주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1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4Monitoring of server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5Monitoring of client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84Data processing by the network
    • H04N21/6479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e.g. by dropping p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컨텐츠의 스케일러블 송신에 관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복수의 컨텐츠 클립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컨텐츠 클립에 대한 QoS 인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QoS 인자에 기초하여 컨텐츠 클립을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그 방법은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그룹 내의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는 단계,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코딩된 컨텐츠를 인터리빙하는 단계, 및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컨텐츠 클립, 클립 스트립, 스케일러블 컨텐츠 송신 시스템, QoS 인자

Description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의 스케일러블 송신을 위한 시스템{SYSTEM FOR SCALABLE TRANSMISSION OF CONTENT IN A DATA NETWORK}
35 U.S.C. §119에 따른 우선권 주장
2004년 5월 4일에 출원된 "ALGORITHM FOR SCALABLE AND RELIABLE TRANSMISSION OF CLIPS" 명칭의 가출원번호 제 60/568,327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어 있고 여기에 참조로서 명백히 포함된다.
배경기술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컨텐츠 전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컨텐츠의 스케일러블 송신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는 단일 단말기에 커스터마이즈된 서비스와 모든 단말기에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하는 서비스 사이에서 교환 (trade off) 되어야 한다. 다수의 기존 및 미래의 출원이 극복하여야 할 중요한 문제는, 스케일러블 및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손실 있는 그리고 가능하면 이종 채널을 통해 매우 다수의 자율 클라이언트에게 컨텐츠를 전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출원에서, 네트워크 서버는 단말기의 수가 수백 또는 수천과 비슷한 다수의 네트워크 단말기에 비디오/오디오 클립을 송신한다. 이들 단말기는 다양한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클립의 각 수신기는 상이한 네트워크 정체, 채널 오류, 또는 서비스 중단을 경험할 수도 있다. 클립이 송신되는 등의 동안에 인커밍 보이스 콜을 수신하면서, RF 커버리지의 손실에 의해 서비스 중단이 야기될 수 있다.
시스템에서 각 클립의 경우, 언제 클립이 시청 가능하여야 하는지에 관하여 관련된 데드라인이 있다. 클립이 데드라인의 만료 이후에 전달되면, 무용한 컨텐츠가 된다. 클립이 손실 있는 채널을 통해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될 수도 있기 때문에, 성공적인 전달을 보증하기 위해 몇몇 신뢰성 메커니즘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선택된 신뢰성 메커니즘은 과도한 대역폭 리소스를 초래하지 말아야 한다.
이들 문제를 다루기 위해 제안된 일 기술은 확인응답-기반 접근을 이용한다. 멀티캐스트 송신이 우세하지 않다고 가정하면, 일대일 전달은 종종 매우 다수의 수신기에게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되어 졌다. 확인응답-기반 접근에서, 유니캐스트 접속은 전송기와 각각의 수신기 사이에서 확립된다. 확인응답-기반 프로토콜 (즉, TCP) 은 컨텐츠의 신뢰성 있는 송신을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전송기는 N개의 별개 유니캐스트 TCP와 같은 접속을 N개의 상이한 수신기에 오픈하여야 한다. 이후, 각 패킷의 N개의 카피는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잘 이용하지 않으면서 상이한 링크를 통해 전송되어야 한다. 또한, 전송기는 N개 의 수신기의 각각의 상태를 추적하여야 한다.
확인응답-기반 접근의 변종은 전달 메커니즘에 멀티캐스트를 이용한다. 이러한 변종은 패킷이 그 경로가 분기하는 포인트에서의 네트워크에서 복제되어야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이다. 그러나, TCP와 유사한 확인응답-기반 접근이 멀티캐스트 분산에 적용되면, 다수의 문제가 일어난다. 먼저, 데이터 패킷이 모든 수신기로부터 확인응답 (긍정 또는 부정) 을 트리거하기 때문에, 전송기는 공지의 "확인응답 내파" 효과인 경향이 있다. 두번째로, 전송기가 신뢰성 있는 전달에 책임이 있으면, 활성된 수신기의 변화하는 세트 및 각 수신 상태를 연속적으로 추적하여야 한다. IP 멀티캐스트에서, 데이터는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송되지만, 수신기 세트로는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송기가 수신기 세트를 획득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세번째로, 네트워크 조건을 변경하는 것에 적응하는데 이용되는 알고리즘은, 모든 수신기가 동일한 링크를 공유하기 때문에, 멀티캐스트의 경우에 그 의미를 잃어가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본래의 문제에 추가하여, 확인응답-기반 접근은 수신기로부터 전송기로의 리턴 경로를 필요로 한다. 불행하게도, 리턴 경로는 유용한 에어 링크 리소스를 이용하여, 그 결과, 이러한 접근은 수신 인구가 많을 때에는 잘 스케일링하지 않는다.
컨텐츠 분산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다른 기술은 순방향 오류 정정 (FEC) 을 이용한다. 이러한 기술에서, 오리지널 컨텐츠는 인코딩되어, 수신기가 인코딩된 데이터로부터 오리지널 컨텐츠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오류 보호 를 제공한다. 이러한 접근은 전송기로의 리턴 경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중 컨텐츠 클립이 분산되어야 하는 경우, 이러한 기술은 적시의 클립의 전달을 고려하지 않고, 각 클립이 얼마나 많은 오류 보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서비스 품질 (QoS) 을 제공하여야 하는지도 고려하지 않는다.
FEC 접근 이면의 생각은 첫번째에 송신을 옳게 입수하는 것이다. FEC 접근에서, 전송기는 오리지널 컨텐츠를 가진 패리티라고 지칭되는 몇몇 잉여 데이터를 송신하여, 수신기측의 손실된 패킷의 재구성을 허용한다. 송신은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잉여 데이터는 코딩 이론으로부터의 기술을 이용하여 오리지널 데이터로부터 도출된다. 예를 들어, 배타적 OR (XOR) 또는 리드-솔로몬 (RS) 코딩이 이용될 수도 있다.
FEC 접근의 속성 중 하나는 그 방식이 리턴 경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FEC 송신기는 k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추가적인 h 잉여 패리티 패킷을 추가한다. 네트워크가 전송된 h+k개 패킷 중 h개보다 많이 드롭하지 않으면, 수신기는 오리지널 k개 정보 패킷을 재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FEC 접근과 관련된 하나의 문제는 신뢰성 있는 송신을 보증하기 위해 옳바른 잉여 양을 선택하는 것이다. 잉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소중한 송신 리소스를 소비하고 총 시스템 스루풋을 감소시킨다. 또한, 잘못된 잉여 양을 선택하는 것은 몇몇 컨텐츠의 송신에서 지연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FEC 접근에서, 단일 컨텐츠 클립의 코드 블록이 모두 동시에 전송된다. 높은 QoS 요구조건을 갖는 클립은 낮은 코드 레이트를 가진다. 따라 서, 그 클립에 대한 모든 코드 블록을 송신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 이러한 긴 송신 시간은 불필요하게 다른 컨텐츠 클립의 송신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몇몇 컨텐츠 클립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 송신 리소스를 소비하기 때문에, 이러한 타입의 시스템은 시간 다이버시티가 부족하다.
따라서, 컨텐츠 클립을 매우 다수의 수신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스케일러블 컨텐츠 송신 시스템이 필요하다. 송신 시스템은, 송신이 소중한 송신 리소스상에서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클립의 데드라인뿐만 아니라 대역폭 효율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그 시스템은 다수의 컨텐츠 클립이 동일한 송신 리스스와 경쟁하는 곳 및 모든 컨텐츠 클립이 동일한 서비스 품질로 전달될 필요가 없는 곳에서 동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그 시스템은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컨텐트 클립의 송신을 우선시 및 스케줄링할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서비스 품질 요구조건에 기초하여 각 컨텐츠 클립에 얼마나 많은 신뢰성을 제공하여야 하는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개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컨텐츠 클립을 하나 이상의 수신 단말기에 효율적으로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스케일러블 송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그 시스템은 컨텐츠 클립의 송신을 우선시 및 스케줄링하도록 동작하고, 개별 서비스 품질 요구조건에 기초하여 각 컨텐츠 클립에 얼마나 많은 신뢰성을 제공하여야 하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그 시스템은 개개의 컨텐츠 클립이 그 클립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 인자에 기초하여 얼마나 많은 오 류 보호를 수신하여야 하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동일한 그룹의 모든 클립이 동일한 레벨의 오류 보호를 수신하도록 오류 보호 코딩 이전에 컨텐츠 클립은 그룹화된다. 그 시스템은 일 그룹으로부터의 컨텐츠 클립의 코딩된 블록에 다른 그룹으로부터의 컨텐츠 클립의 코딩된 블록을 인터리빙하도록 동작하여, 더 훌륭한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고 가능한 송신 지연을 감소시킨다. 인터리빙 알고리즘은 코딩된 블록의 송신 스케줄을 결정하도록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컨텐츠 클립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컨텐츠 클립에 대한 QoS 인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QoS 인자에 기초하여 컨텐츠 클립을 그룹들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그 방법은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그룹으로 된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는 단계,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는 단계, 및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컨텐츠 클립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그 장치는 컨텐츠 클립에 대한 QoS 인자를 결정하고 결정된 QoS 인자에 기초하여 컨텐츠 클립을 그룹들로 그룹화하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싱 로직을 포함한다. 또한, 그 장치는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그룹으로 된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는 코딩 로직, 및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는 인터리빙 로직을 포함한다. 또한, 그 장치는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 로직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컨텐츠 클립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그 장치는 컨텐츠 클립에 대한 QoS 인자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결정된 QoS 인자에 기초하여 컨텐츠 클립을 그룹들로 그룹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그 장치는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그룹으로 된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기 위한 수단, 및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그 장치는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서버에서 프로세싱 로직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복수의 컨텐츠 클립을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컨텐츠 클립에 대한 QoS 인자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 및 결정된 QoS 인자에 기초하여 컨텐츠 클립을 그룹들로 그룹화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그룹으로 된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기 위한 명령, 및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장점 및 특징은 이하 설명되는 도면의 간단한 설명,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를 검토 후에 명백해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의 전술한 양태 및 부수적인 장점은 첨부 도면에 따라 취해지는 경우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스케일러블 컨텐츠 송신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를 도시한다.
도 2 는 스케일러블 컨텐츠 송신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에 이용하기 위한 서버의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 은 도 2 의 서버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4 는 스케일러블 컨텐츠 송신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의 실시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상세한 설명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송신 서버로부터 매우 다수의 단말기로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도록 동작하는 스케일러블 컨텐츠 송신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과 같은 공공 네트워크, 가상 사설 네트워크 (VPN) 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 로컬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롱 홀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데이터 네트워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 임의의 타입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이용하는데 적절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그 시스템은 FEC 접근을 이용하여, 리턴 경로의 이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송신 채널을 통해 매우 다수의 단말기에 컨텐츠를 전달한다. 그러나, 실제로, 시스템에 의해 분산된 모든 컨텐츠가 동일한 양의 오류 보호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작은 값을 갖는 하나의 클립은 FEC를 필요로 하지 않거나 매우 높은 코드 레이트를 가진 FEC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높은 값을 갖는 다른 클립은 더 많은 보호를 요구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정보 컨텐츠 또는 클립을 요구하는 단말기 (사용 자) 의 수와 같은 인자에 기초하여, 그 값은 각 클립의 중요도와 관련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인코딩 레이트는 송신 채널 특성의 함수일 뿐만 아니라, 그 시스템이 개개의 컨텐츠에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에 기초한다. 따라서, 클립이 입수하는 오류 보호의 양은 QoS 인자에 따른 것이다. 인코딩 레이트를 결정하는 QoS 인자를 이용함으로써, 그 시스템은 전달될 필요가 있는 클립에 대한 QoS를 보증하는 개선된 시스템 스루풋을 달성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그 시스템은 클립이 각 블록 사이즈로부터 완전히 디코딩될 수 있는 곳에서 일 클립의 코드 블록을 다른 클립의 코드 블록으로 인터리빙함으로써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며, 이 경우, 클립은 각 블록 사이즈로부터 완전히 디코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중단이 없는 원하는 채널 조건하에서, 수신 단말기는 제 1 코드 블록의 수신 이후에 완전한 클립을 재구성할 수 있다.
도 1 은 스케일러블 컨텐츠 송신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데이터 네트워크 (100) 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100) 는 서버 (102), 데이터 네트워크 (104), 및 1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1 내지 X) 를 포함한다. 데이터 네트워크 (104) 는 데이터로 하여금 서버 (102) 로부터 단말기 (106) 로 송신되게 하는 임의의 타입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단말기 각각은 휴대 전화, 핸드헬드 디바이스, PDA,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통신을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타입의 수신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 통 신 링크를 포함할 수도 있는 통신 채널 (108) 을 이용하여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단말기 (106) 는 무선 통신 채널 (108) 을 통해 네트워크 (104) 와 통신하는 무선 전화이다.
서버 (102) 는 컨텐츠 클립 1 내지 N을 포함하는 컨텐츠 (112) 를 포함한다. 클립은 임의의 타입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데이터 파일일 수도 있다. 동작 동안에, 각 클립이 원하는 품질 레벨로 전달되어야 하는 그 품질 레벨을 나타내는 QoS 인자 (Q1~QN) 는 각 클립과 각각 관련된다. 또한, 서버 (102) 는 임의의 타입의 유선 또는 무선 채널일 수도 있는 통신 채널 (110) 을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서버 (102) 는 클립 (112) 을 프로세싱하여 이들을 QoS 인자에 따라 그룹화한다. 각 그룹의 클립은 이후 동일한 레벨의 오류 보호로 인코딩된다. 인코딩 이후에, 클립은 인터리빙 알고리즘에 따라 인터리빙되어, 데이터 네트워크 (104) 를 통해 단말기 (1~X) 에 송신되는 클립 스트림 (114) 을 형성한다. 클립이 관련된 QoS 인자에 기초하여 인코딩되기 때문에, 인코딩 리소스는 낮은 QoS 요구조건을 가진 클립을 대량으로 인코딩함으로써 낭비되지 않는다. 또한, 클립의 인터리빙은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도록 동작하고, 낮은 레이트 코드로 인코딩된 클립의 송신이 다른 클립의 송신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는 컨텐츠 송신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에 이용하기 위한 서버 (102) 의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서버 (102) 는 프로세싱 로직 (202), 디바이스 리소스 및 인터페이스 (204), 컨텐츠 클립 데이터 (206), QoS 인자 (208), 및 트랜시버 로직 (210) 을 포함하며, 모두 내부 데이터 버스 (212) 에 커플링된다. 또한, 서버 (102) 는 데이터 버스 (212) 에도 커플링되는 FEC 로직 (214) 및 인터리버 (216) 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프로세싱 로직 (202) 은 CPU,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하드웨어 로직, 개별 로직, 메모리 엘리먼트, 가상 기계,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따라서, 프로세싱 로직 (202) 은 일반적으로 기계-판독가능 명령을 실행하는 로직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리소스 및 인터페이스 (204) 는 서버 (102) 로 하여금 내부 및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내부 시스템은 대용량 저장 시스템, 메모리,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모뎀, 또는 다른 내부 디바이스 리소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외부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프린터,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다른 로컬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컨텐츠 클립 데이터 (206) 는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수신 단말기에 송신되는 컨텐츠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클립 데이터 (206) 는 임의의 포맷이거나 임의의 타입의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로직 (210) 은 서버 (102) 로 하여금 외부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으로/으로부터 데이터 및 다른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로직 (210) 은 도 1 에 도시된 수신 단말기 (106) 와 같이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에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를 송신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 (102) 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수신 단말기에 멀티캐스트 송신을 송신하는 트랜시버 로직 (210) 을 이용할 수도 있다.
FEC 로직 (214) 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임의의 타입의 코딩 기술을 이용하여 클립 데이터 (206) 를 인코딩하도록 동작하여, 각 클립이 수신된 단말기에서 선택된 QoS 레벨로 전달될 수도 있게 한다. 예를 들어, FEC 로직 (214) 은 클립 데이터 (206) 를 인코딩하기 위해 XOR 또는 리드 솔로몬 코딩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인터리버 (216) 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인터리빙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더 낮은 값 클립이 전달되도록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덜 유용한 컨텐츠 클립이 더 유용한 컨텐츠 클립으로 인터리빙되게 하는 인터리빙 알고리즘이 제공된다.
서버 (102) 의 동작 동안, 프로세싱 로직 (202) 은 QoS 인자 (208) 에 저장되는 각 클립에 대한 QoS 인자를 결정하기 위해 클립 데이터 (206) 의 컨텐츠 클립을 프로세싱하도록 동작한다. QoS 인자는 이 문헌의 다른 섹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각 클립과 관련된 다양한 전달 파라미터로부터 결정된다.
일단 QoS 인자가 결정되면, 프로세싱 로직 (202) 은 QoS 인자에 의해 클립을 그룹화하도록 동작한 후, 임의의 FEC 코딩 기술을 이용하여 각 그룹으로 된 클립을 인코딩하기 위해 FEC 로직 (214) 을 활성화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일 그룹의 모든 클립은 동일한 레벨의 오류 보호로 인코딩된다. 예를 들어, 유용한 컨텐츠 클립을 포함하는 그룹은 덜 유용한 컨텐츠 클립을 포함하는 그룹보다 낮은 레이트를 이용하여 코딩될 것이다.
모든 그룹이 인코딩된 이후에, 프로세싱 로직 (202) 은 모든 그룹의 코딩된 클립으로부터의 코드 블록을 인터리빙하도록 인터리버 (216) 를 활성화한다. 따라서, 인터리버 (216) 는 서버 (102) 로부터 수신 단말기로의 송신에 대한 코딩된 클립 스트림을 형성한다. 클립 스트림은 트랜시버 로직 (210) 에 의해 송신된다. 인터리버 (216) 에 의해 발생되는 클립 스트림은 더 높은 값의 클립이 더 낮은 값의 클립으로 인터리빙되기 때문에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컨텐츠 송신 시스템은, 프로세싱 로직 (202) 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여기서 설명한 서버 (102) 의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CDROM, 메모리 카드, FLASH 메모리 디바이스, RAM, ROM,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또는 디바이스 리소스 (204) 를 통해 서버 (102) 로 인터페이스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서브 (102) 로 명령이 로드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트랜시버 로직 (210) 을 통해 서버 (102) 로 인터페이스하는 네트워크 리소스로부터 서버 (102) 로 명령이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그 명령은 프로세싱 로직 (202) 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싱 로직 (202) 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여기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스케일러블 컨텐츠 송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그 시스템은 다음의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수신 단말기에 컨텐츠 클립을 스케일러블적으로 송신하도록 동작한다.
1. 각 클립에 대한 QoS 인자가 계산된다.
2. 클립이 QoS 인자에 기초하여 그룹화된다. 이들 그룹을 인코딩 그룹이라 지칭한다.
3. 각 그룹에 대한 인코딩 인자가 계산된다. 이는 각 인코딩 그룹으로부터의 오류 보호 클립이 얼마나 수신되는지를 안내한다.
4. 클립은 인코딩 인자에 기초하여 인코딩된다.
5. 코딩된 클립은 인터리빙되어, 시간 다이버시티를 달성하고 선택된 QoS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컨텐츠 클립 스트림을 생산한다.
6. 결과로서 발생하는 컨텐츠 클립 스트림은 수신 단말기에 송신된다.
서비스 품질 (Q oS ) 인자를 계산
이하, 일 실시형태에서, 어떻게 프로세싱 로직 (202) 이 QoS 인자 (208) 를 계산하도록 동작하는지 설명한다. 서버 (102) 는, 서버 (102) 로부터 다수의 수신 단말기에 전달될 필요가 있는 클립 데이터 (206)) 에서 m개의 클립을 가진다고 가정하며, 이때 클립은 A 1, A 2, …, A m 으로 나타낸다. 각 클립의 경우, 수요 확률 p i 가 있으며,
Figure 112006089885817-PCT00001
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숫자 p i 는 클립 i를 가지기를 원하는, 시스템에서의 수신 단말기 (사용자) 의 퍼센트를 나타내거나, 다른 실 시형태에서, 숫자 p i 는 클립 i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의 경우, l i d i 는 각각 클립 i의 사이즈 및 전달 지연인 것으로 가정한다. 전달 지연은 클립의 분산 센터 (즉, 송신 서버 (102)) 에서의 클립 i의 도착과 수신 단말기에서의 클립의 가망 있는 시청 사이의 시간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QoS 인자 ν i 는 클립 i의 사이즈 및 전달 지연 d i 에 의해 수요 확률 p i 를 표준화함으로써 정의되며,
Figure 112006089885817-PCT00002
이 되고, F i (χ)는 x의 증가 함수이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그 시스템은, 이후 QoS 인자 (208) 로 저장되는, 클립 데이터 (206) 에서의 각 클립에 대한 QoS 인자를 계산하는 상기의 수학식을 이용하도록 동작한다.
클립을 인코딩 그룹으로 구획
이하, 일 실시형태에서, 어떻게 프로세싱 로직 (202) 이 클립을 인코딩 그룹으로 구획하도록 동작하는지 설명한다. 프로세싱 로직 (202) 은 그 QoS 인자 ν i 에 의해 클립에게 명령하며, i∈{1,2,…,m}는 가장 높은 값 인자에서 시작하여 가장 낮은 값까지이다. 이후, 클립은, 각 그룹이 유사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QoS 인자를 가진 클립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구획된다. 예를 들어, 서로의 10퍼센트 내의 QoS 인자를 가진 클립은 동일한 그룹에 위치한다. 이들 그룹은 인코딩 그룹으로 지칭되고, 개개의 인코딩 그룹 내의 모든 클립은 동일 오류 보호를 입수한다. 예를 들어, 동일 FEC 레이트 코딩은 개개의 인코딩 그룹에서 모든 클립에 이용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클립을 인코딩 그룹으로 구획하기 위해 임의의 기술 및 임계값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코딩 인자를 결정
이하, 일 실시형태에서, 어떻게 프로세싱 로직 (202) 이 인코딩 그룹에서 각 클립에 제공되는 인코딩 양을 결정하도록 동작하는지를 설명한다. 개개의 클립이 수신하는 오류 보호의 양은 인코딩 그룹이 어디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른다. 일 실시형태에서, 프로세싱 로직 (202) 는 다음과 같이 인코딩 인자를 계산한다:
1. G j 는 인코딩 그룹 j이고, 그 대응하는 인코딩 인자는 e j 이며, 이때 jm이라고 가정한다.
2. G j 에 대한 인코딩 인자 e j
Figure 112006089885817-PCT00003
이 되도록 선택하며,
Figure 112006089885817-PCT00004
,
Figure 112006089885817-PCT00005
, 및
Figure 112006089885817-PCT00006
는 각각 G j 내의 컨텐츠 아이템의 평균 수요율 (demand factor), 평균 사이즈 및 평균 전달 지연이고,
Figure 112006089885817-PCT00007
이고, n j G j 에서 콘텐츠 아이템의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2개의 인코딩 그룹이 있으면, 제 1 인코딩 그룹은 클립 사이즈의 3배로 코딩할 수도 있고, 제 2 인코딩 그룹은 클립 사이즈의 2배로 코딩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인코딩 그룹 내의 클립은 송신에 대한 얼리스트 듀 데이트 (Earliest Due Date; EDD) 에 기초하여 랭크된다.
일단 프로세싱 로직 (202) 이 각 클립에 제공되도록 인코딩의 양을 결정하면, 프로세싱 로직 (202) 은 그에 따라 클립을 인코딩하는 FEC 로직 (214) 을 제어한다.
인터리빙 패턴을 결정
이하, 일 실시형태에서, 어떻게 프로세싱 로직 (202) 이 하나의 클립으로부터의 코드 블록을 하나 이상의 다른 클립으로부터의 코드 블록으로 인터리빙하기 위한 인터리버 (216) 를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이는 종래 FEC 접근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헤드 오브 라인 (Head of the Line; HOL) 의 가능성을 극복한다. 예를 들어, 종래 FEC 접근은 클립에 대한 모든 인코딩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여, 낮은 레이트 코딩을 가지는 유용한 클립이 덜 유용한 클립의 송신을 차단 또는 지연시키도록 한다.
컨텐츠 송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코드 블록은 오리지널 정보 아이템을 완전히 디코딩할 수 있다. 제 1 코드 블록이 임의의 오류 없이 수신되면, 그 개개의 컨텐츠 클립에 대한 정보 수신은 완료된다. 다음에 전송되 는 코드 블록은 상이한 컨텐츠 클립으로부터이다. 코드 블록을 인터리빙하는 것은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고 더 높은 코딩 레이트로 코드 블록이 송신되도록 한다. 따라서, 수신기가 컨텐츠 클립의 제 1 코드 블록을 수신하는 동안에 중단되면, 수신기는 다음 코드 블록의 송신까지 기다릴 수 있다. 다음 코드 블록에서, 수신기는 오리지널 컨텐츠 클립을 재구성할 정도의 충분한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리드 솔로몬 코딩에서는, 수신기는 k 사이즈의 오리지널 정보를 재구성하기 위해 n개의 코드 블록 중에서 임의의 k를 수신하는 것만이 필요하며, 루비 변환 코딩에서는, 수신기는 k 사이즈의 오리지널 정보를 재구성하기 위해 k+ε코드 블록을 수신할 필요가 있으며, ε는 매우 작은 값으로 주어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인터리빙 패턴은 컨텐츠 클립의 QoS 인자로부터 도출되는 코딩 인자에 의해 지시된다. 컨텐츠 클립이 유용하면, 코드 블록은 덜 유용한 컨텐츠 클립보다 정시에 좀더 자주 그리고 더 가깝게 송신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프로세싱 로직 (202) 은 인터리빙 패턴을 결정하는 다음의 기능을 수행한다. 코드 블록 사이클 (CBC) 이 먼저 계산된다. CBC는 송신되는 그룹의 인코딩 인자의 최소공배수 (LCM) 이다. 예를 들어, 각각 2 및 3의 인코딩 인자를 가진 2개의 인코딩 그룹이 있으면, CBC는 6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인터리빙 패턴은 다음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도출되며,
For i=0 to CBC-1;
For j=1 to number of code groups;
k=i mod Ni;
Transmit code block k of group j;
End;
End;
Ni는 코드 그룹에서 인터리빙 유닛의 수를 나타내고, 다음과 같이
Figure 112006089885817-PCT00008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싱 로직 (202) 은, 서버 (102) 로부터 수신 단말기로 송신되는 코딩된 블록의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인코딩 그룹으로부터 코딩된 블록을 인터리빙하는 상기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도 3 은 스케일러블 컨텐츠 송신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을 도시한 방법 (300) 을 나타낸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그 방법 (300) 은 도 2에 도시된 서버 (102) 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클립 데이터 (206) 는 하나 이상의 수신 단말기에 송신되는 다수의 컨텐츠 클립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프로세싱 로직 (202) 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여, 이하 설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블록 (302) 에서, QoS 인자는 송신되는 각 컨텐츠 클립에 대해 계산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로직 (202) 은 클립 데이터 (206) 에서 각각의 컨텐츠 클립에 대한 QoS 인자 (208) 를 계산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QoS 인자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블록 (304) 에서, 컨텐츠 클립은 그 QoS 인자에 따라 그룹화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로직 (202) 은 다음 단계에서 결정되는 QoS 인자 (208) 에 의해 클립 데이터 (206) 의 클립을 그룹화하도록 동작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클립은 다함께 그룹화되어 대략 동일한 QoS 인자를 가진 클립이 동일한 그룹에 위치하도록 한다.
블록 (306) 에서, 컨텐츠 클립의 그룹은 임의의 적절한 FEC 인코딩 기술을 이용하여 인코딩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로직 (202) 은 FEC 로직 (214) 을 활성화하여, 선택된 인코딩 인자에 의해 각 QoS 그룹의 클립을 인코딩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더 높은 QoS 인자와 관련된 그룹은 더 낮은 QoS 인자와 관련된 그룹보다 낮은 레이트 코드로 인코딩된다.
블록 (308) 에서, 코딩된 컨텐츠 블록은 인터리빙되어, 컨텐츠 클립을 나타내는 코딩된 블록의 스트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로직 (202) 은, 컨텐츠 클립을 나타내는 코딩된 블록의 인터리빙된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인터리버 (216) 를 활성화하여 인코딩 그룹에서 코딩된 블록을 인터리빙한다. 인터리버 (216) 는 코딩된 블록을 인터리빙하는 상술한 인터리빙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블록 (310) 에서, 컨텐츠 클립을 나타내는 코딩된 블록의 인터리빙된 스트림 (클립 스트림) 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단말기에 송신된다. 예를 들어, 인터리버 (216) 는 인터리빙된 스트림을 트랜시버 (210) 에 출력하며, 차례로, 인터리 빙된 스트림을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도록 동작한다.
블록 (312) 에서, 시스템 파라마터가 업데이트되는, 옵션인 단계가 수행되고, 그 방법은 반복되어 송신에 대해 새로운 클립 스트림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그 시스템은 새롭거나 업데이트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된 클립 스트림을 조절 또는 변경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클립의 상대적인 값이 변하여, 임의의 개개의 클립의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변경에 기초하여, 그 시스템은 컨텐츠 클립에 대한 계산된 QoS 요구조건을 업데이트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QoS 요구조건은 시간을 변환할 수도 있어, 선택된 시간 간격이 만료된 이후에, 컨텐츠 클립에 대한 QoS 요구조건이 블록 (302) 으로 진행함으로써 재계산될 수도 있도록 한다. 또한, 일단 QoS 새로운 요구조건이 결정되면, 그룹화, 코딩, 및 인터리빙의 프로세스 (304, 306, 308) 가 다시 수행되어, 블록 (310) 에서 송신에 대한 새로운 클립 스트림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또는 모든 설명된 파라미터가 (주기적인 또는 무작위적인 간격으로) 재계산되어 송신에 대한 새로운 클립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케일러블 컨텐츠 송신 시스템의 실시형태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을 하나 이상의 수신 단말기에 효율적으로 송신하기 위해, QoS 요구조건, 코딩 요구조건, 인터리빙 요구조건, 및/또는 변화 네트워크 조건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변화 조건에 적응하도록 동작한다.
그 방법 (300) 은 단지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그 방법의 변경, 추가, 또는 재배열은 다양한 실시형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예시된 실시예
다음 부분은, 어떻게 스케일러블 컨텐츠 송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가 매우 다수의 수신 단말기에 컨텐츠의 신용 있는 전달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지를 도시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4는 스케일러블 컨텐츠 송신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컨텐츠 송신 시스템은 수신 단말기에 송신될 필요가 있는 11개의 컨텐츠 클립을 가진다. 예를 들어, 컨텐츠 클립은 도 2 에 도시된 클립 데이터 (206) 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라, 프로세싱 로직 (202) 은 각 클립에 대한 QoS 인자를 결정하도록 동작하고, 클립은 인코딩 그룹으로 소팅 및 그룹화된다. 예를 들어, 그 QoS 인자에 기초하여 클립은 다음과 같이 3개의 인코딩 그룹 (G1, G2, 및 G3) 으로 소팅 및 그룹화된다고 가정된다.
Figure 112006089885817-PCT00009
라고 가정하면, 각 그룹에 대한 인코딩 인자는 e 1=4, e 2=2 및 가장 낮은 QoS 그룹의 인코딩 인자는 e 3 =1이다.
Figure 112006089885817-PCT00010
는 인코딩 그룹 G j 에 속하는 클립 i의 사이즈라고 가정한다. 결정된 인코딩 인자에 기초하여, G1의 클립은 그 오리지널 사이즈의 4배로 인코딩하며, 402에 도시된다. 4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G2에 속하는 2개의 클립은 그 오리지널 사이즈의 2배로 코딩된다. 그룹 G3에 속하는 컨텐츠 클립은 인코딩되지 않고 그 오리지널 사이즈로 유지된다.
이후, 그 시스템은, 이후 수신 단말기에 송신되는 클립 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인터리빙 패턴을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인터리빙 패턴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라 발생되며, 클립 스트림 (406) 에 의해 도시된 클립 스트림을 발생시킨다. 클립 스트림 (406) 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된 인터리빙 패턴은, 모든 인코딩 그룹 (G1, G2, G3) 으로부터의 블록이 주기적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클립 스트림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스케일러블 컨텐츠 송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가 여기서 도시 및 설명되지만, 사상 또는 기본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가 실시형태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여기의 개시 및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해 예시적이며, 제한되지 않고, 다음의 청구항에 개시된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로직 블록, 모듈, 및 회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상술할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계산 디바이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하드웨어에 의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또는 이 둘의 조합에 의해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저항기,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정보를 저장매체에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메체는 ASIC 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의 설명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제조 또는 이용하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형태의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하고, 여기에 정의된 포괄적인 원리는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형태, 예를 들어, 즉석 메세지 서비스 또는 임의의 범용 무선 데이터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도시된 실시형태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의 특징에 일관되는 최광의 범위에 따르게 될 것이다. 단어 "예시적인"은 예, 예시, 또는 설명의 기능을 하는"을 의미하기 위해 여기에 독자적으로 이용된다. 여기에 "예시적"이 라고 설명된 임의의 실시형태는 반드시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5)

  1. 복수의 컨텐츠 클립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컨텐츠 클립에 대한 QoS 인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QoS 인자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클립을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는 단계;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인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수요 확률 표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QoS 인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단계는, 각 그룹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QoS 인자를 가지는 컨텐츠 클립을 포함하도록 상기 컨텐츠 클립을 그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 텐츠 클립 송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는 단계는, 각 그룹 내의 컨텐츠 클립이 동일한 양의 코딩을 수신하는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하는 단계는 상기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리빙은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는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송신 기술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수신 단말기가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방법.
  8. 복수의 컨텐츠 클립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컨텐츠 클립에 대한 QoS 인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QoS 인자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클립을 그룹으로 그룹화하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싱 로직;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는 코딩 로직;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는 인터리빙 로직; 및
    상기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 로직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로직은, 수요 확률 표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QoS 인자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로직은, 각 그룹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QoS 인자를 가지는 컨텐츠 클립을 포함하도록 상기 컨텐츠 클립을 그룹화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로직은, 각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이 동일한 양의 코딩을 수신하는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 로직은, 상기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코딩된 컨텐츠를 인터리빙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인터리빙은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로직은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송신 기술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는 로직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수신 단말기가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15. 복수의 컨텐츠 클립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컨텐츠 클립에 대한 QoS 인자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결정된 QoS 인자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클립을 그룹으로 그룹화하기 위한 수단;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기 위한 수단;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인자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수요 확률 표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QoS 인자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수단은, 각 그룹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QoS 인자를 가진 컨텐츠 클립을 포함하도록 상기 컨텐츠 클립을 그룹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기 위한 수단은, 각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이 동일한 양의 코딩을 수신하는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 수단은 상기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인터리빙은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송신 기술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수신 단말기가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클립 송신 장치.
  22. 서버에서 프로세싱 로직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복수의 컨텐츠 클립을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컨텐츠 클립에 대한 QoS 인자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
    상기 결정된 QoS 인자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클립을 그룹으로 그룹화하기 위한 명령;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기 위한 명령;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인자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은 수요 확률 표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QoS 인자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명령은, 각 그룹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QoS 인자를 가지는 컨텐츠 클립을 포함하도록 상기 컨텐츠 클립을 그룹화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기 위한 명령은, 각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이 동일한 양의 코딩을 수신하는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 명령은 상기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인터리빙은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명령은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송신 기술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8. 제 2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수신 단말기가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9. 복수의 컨텐츠 클립을 송신하기 위한 코딩 로직 및 인터리빙 로직을 포함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컨텐츠 클립에 대한 QoS 인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QoS 인자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클립을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는 단계;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QoS 인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수요 확률 표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QoS 인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단계는, 각 그룹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QoS 인자를 가지는 컨텐츠 클립을 포함하도록, 상기 컨텐츠 클립을 그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는 단계는, 각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이 동일한 양의 코딩을 수신하는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그룹 내의 상기 컨텐츠 클립을 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빙 단계는 상기 클립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코딩된 컨텐츠 클립을 인터리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리빙은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34.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는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송신 기술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클립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35. 제 29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수신 단말기가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KR1020067025553A 2004-05-04 2005-05-04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의 스케일러블 송신을 위한시스템 KR100864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6832704P 2004-05-04 2004-05-04
US60/568,327 2004-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193A true KR20070010193A (ko) 2007-01-22
KR100864386B1 KR100864386B1 (ko) 2008-10-20

Family

ID=3496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553A KR100864386B1 (ko) 2004-05-04 2005-05-04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의 스케일러블 송신을 위한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58252B2 (ko)
EP (1) EP1743468A1 (ko)
JP (1) JP2007536822A (ko)
KR (1) KR100864386B1 (ko)
CN (1) CN1981503B (ko)
CA (1) CA2565790A1 (ko)
TW (1) TW200616397A (ko)
WO (1) WO20051098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720A (ko) * 2016-03-24 2018-12-12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양방향 네트워크를 위한 텔레그램 분할 송신 방법
KR20180135450A (ko) * 2016-03-24 2018-12-20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양방향 네트워크를 위한 텔레그램 분할 송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3691A1 (en) * 2005-11-29 2007-06-14 Docomo Communications Laboratories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ayered rateless coding
US20080144713A1 (en) * 2006-12-13 2008-06-19 Viasat, Inc. Acm aware encoding systems and methods
US8395993B2 (en) * 2006-12-13 2013-03-12 Viasat, Inc. Video and data network load balancing with video placeholder
US8576858B2 (en) * 2006-12-13 2013-11-05 Viasat, Inc. Multiple transmission paths for hierarchical layers
US8411572B2 (en) * 2006-12-13 2013-04-02 Viasat, Inc. ACM and fixed coding and modulation of hierarchical layers
US8456986B2 (en) 2006-12-13 2013-06-04 Viasat, Inc. Video and data network load balancing
US7961665B2 (en) 2006-12-13 2011-06-14 Viasat, Inc. Terminal aware multicasting
US8358690B2 (en) * 2006-12-13 2013-01-22 Viasat, Inc. Predictive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US8411571B2 (en) 2006-12-13 2013-04-02 Viasat, Inc. Video and data network load balancing with video drop
US7944872B2 (en) * 2006-12-13 2011-05-17 Viasat, Inc.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aware network load balancing
US20090041100A1 (en) 2006-12-13 2009-02-12 Viasat, Inc. Link aware mobile data network
CN101340621A (zh) * 2007-07-04 2009-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播/广播业务的发送和接收的方法及装置
CN101340259B (zh) * 2007-07-06 2011-02-0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交织方法、数据交织器
EP2073460A1 (en) * 2007-12-17 2009-06-24 Alcatel Lucent Method for forwarding packets, a related packet forwarding system, a related classification device and a related popularity monitoring device
EP2204965B1 (en) 2008-12-31 2016-07-2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scalable content from multiple sources having different content quality
US9609370B2 (en) * 2011-05-31 2017-03-28 Alcatel Lucent Video delivery modification based on network availability
CN103354479B (zh) * 2013-03-22 2017-02-08 哈尔滨工业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基于lt码的空间dtn传输方法
US20140358930A1 (en) * 2013-05-29 2014-12-04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lassifying message content based on rebroadcast diversity
JP5556933B2 (ja) * 2013-06-10 2014-07-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反復終了条件設定装置、及びコンテンツ品質調整方法
CN103975551B (zh) * 2014-03-11 2018-03-06 华为技术有限公司 端到端的网络QoS控制系统、通信设备和端到端的网络QoS控制方法
CN107005423B (zh) 2014-10-20 2020-11-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节点提供、无线装置接收广播多播服务的方法及装置
US10804958B2 (en) 2015-02-24 2020-10-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bitrate video with dynamic block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8273A (en) 1989-02-21 1990-05-22 Unisys Corporation Time division multiplexer/demultiplexer with deterministic time slot assignment
US6934249B1 (en) * 1997-04-01 2005-08-2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minimizing the connection set up time in high speed packet switching networks
US6111567A (en) * 1997-04-03 2000-08-29 Microsoft Corporation Seamless multimedia branching
JPH1132370A (ja) 1997-07-08 1999-02-02 Hitachi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加入者交換機、マルチキャスト通信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6094429A (en) * 1998-03-02 2000-07-25 Motorola, Inc. Method for accessing and providing access to a packet channel
JPH11340937A (ja) 1998-05-28 1999-12-10 Sony Corp 多重化装置及び方法
US6640248B1 (en) 1998-07-10 2003-10-28 Malibu Networks, Inc. Application-aware, quality of service (QoS) sensitive, media access control (MAC) layer
US6310881B1 (en) * 1998-10-20 2001-10-30 Terabea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ntrol
US6466980B1 (en) 1999-06-17 2002-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pacity shaping in an internet environment
US6728300B1 (en) * 2000-02-11 2004-04-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standby time in remote stations configured to receive broadcast databurst messages
US6574195B2 (en) 2000-04-19 2003-06-03 Caspian Networks, Inc. Micro-flow management
GB2364459B (en) * 2000-06-30 2004-03-31 Nokia Mobile Phones Ltd Video error resilience
ES2191605T3 (es) * 2000-09-11 2003-09-16 Mediabricks Ab Metodo para proporcionar un contenido de medios sobre una red digital.
US6973622B1 (en) * 2000-09-25 2005-12-06 Wireless Valley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sign, tracking, measurement, prediction and optimization of data communication networks
US6724727B2 (en) 2001-12-03 2004-04-20 Nokia Corporation Policy-based forward error correction in packet networks
JP4198921B2 (ja) * 2002-02-28 2008-12-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適応無線パラメータ制御方法、QoS制御装置、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6725727B2 (en) * 2002-06-06 2004-04-27 Delphi Technologies, Inc. Tension sensing assembly
US7277419B2 (en) * 2002-08-30 2007-10-02 Intel Corporation Supporting disparate packet 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US7773624B2 (en) * 2002-12-12 2010-08-10 Alcatel Lucent Network system and method with centralized flow behavioral mapping between layers
US7146185B2 (en) 2003-06-12 2006-12-05 Richard Lane Mobile station-centric method for managing bandwidth and QoS in error-prone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720A (ko) * 2016-03-24 2018-12-12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양방향 네트워크를 위한 텔레그램 분할 송신 방법
KR20180135450A (ko) * 2016-03-24 2018-12-20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양방향 네트워크를 위한 텔레그램 분할 송신 방법
US20190036833A1 (en) * 2016-03-24 2019-01-3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Telegram splitting transmission method for bidirectional networks
US11258722B2 (en) 2016-03-24 2022-02-2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Telegram splitting transmission method for bidirectional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65790A1 (en) 2005-11-17
US7958252B2 (en) 2011-06-07
WO2005109827A1 (en) 2005-11-17
JP2007536822A (ja) 2007-12-13
TW200616397A (en) 2006-05-16
KR100864386B1 (ko) 2008-10-20
EP1743468A1 (en) 2007-01-17
CN1981503A (zh) 2007-06-13
CN1981503B (zh) 2012-05-09
US20050251838A1 (en)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386B1 (ko)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컨텐츠의 스케일러블 송신을 위한시스템
JP6284549B2 (ja) マルチパスストリーミングのためのfecベースの信頼性のある転送制御プロトコル
US742397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ybrid multicast and unicast transmissions in a data network
US88261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ng forward error correction in multicast over wireless networks
US8996946B2 (en) Application of fountain forward error correction codes in multi-link multi-path mobile networks
US83959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scalable multimedia data streams
CN103023813B (zh) 抖动缓冲器
US20090144601A1 (en) Fec-based reliability control protocols
Drinea et al. Delay with network coding and feedback
US8320472B2 (en) Method for efficient feedback of receiving channel conditions in adaptive video multicast and broadcast systems
WO2012018339A1 (en) Application of unequal error protection rateless codes in multimedia streaming over multi-path networks
Harold Robinson et al. SMR: a synchronized multipath re-broadcasting mechanis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onversational video service
Vicisano et al. One to many reliable bulk-data transfer in the MBone
KR20100112151A (ko) 네트워크 카드 및 정보 처리 장치
Liwen et al. Research on multicast congestion control
KR100890532B1 (ko)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하이브리드 멀티캐스트 및 유니캐스트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rupnicoff et al. Scalable Reliable Multi-rate Point to Multi-point Distribution of Bulk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