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857A -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857A
KR20070009857A KR1020050063778A KR20050063778A KR20070009857A KR 20070009857 A KR20070009857 A KR 20070009857A KR 1020050063778 A KR1020050063778 A KR 1020050063778A KR 20050063778 A KR20050063778 A KR 20050063778A KR 20070009857 A KR20070009857 A KR 20070009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mobile
icon
communication network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3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9857A/ko
Publication of KR20070009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Mobile Icon)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자신의 개인 홈페이지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와 직접 링크될 수 있는 모바일 아이콘을 삽입해 두고, 제3자가 웹상에서 모바일 아이콘을 클릭시 제3자와 홈페이지 주인의 이동통신 단말이 1:1 연결될 수 있도록 하되, 구체적으로 웹상에서 모바일 아이콘 클릭시 제3자와 홈페이지 주인의 이동통신 단말간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며, 웹상에서 모바일 아이콘 클릭시 웹상의 제3자(또는 이동통신 환경의 홈페이지 주인)의 음성 정보를 압축 변환하여 전송하고, 웹상에서 모바일 아이콘 클릭시 이미지 전송 메뉴 화면을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 또는 데스크톱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문자와 홈페이지 주인과의 실시간 연결 환경,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나 웹 기반의 채팅 서비스 같은 실시간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측면에서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사업주 측면에서 매출 증진을 극대화할 수 있다.
MSC, BSC, BTS

Description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SERVICE USING OF MOBILE ICON IN WIRE/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Mobile Icon)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아이콘 프로그램 삽입 및 실행 과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 형태로서, 단문 메시지 및 음성 정보 전송 서비스 과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이미지 전송 서비스 과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클라이언트
102 : 인터넷
104 : 모바일 아이콘 서버
106 : 클라이언트/이동 클라이언트 정보 DB
108 : 과금 처리부
110 : 단문 메시지 처리부
112 : 음성 신호 처리부
114 : 이동 클라이언트
116 :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118 : BSC(Base Station Controller)
120 : MSC(Mobile Switching Center)
122 : 이동통신망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망과 무선망을 연계하여 클라이언트들 간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공유 환경을 제공하는데 적합한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Mobile Icon)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람,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 등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이에는 키폰 시스템, 이동전화(휴대전화, 차량전화), 항만전화, 항공기전화, 이동공중전화(열차, 유람선, 고속버스 등에 설치), 무선호출, 무선전화, 위성이동통신, 아마추어무선, 어업무선 등이 포함된다.
또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방식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간에 음성으로 통화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 발생시 주로 이용된다.
여기서 음성 통화가 곤란한 상황이라 함은 송/수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회의장 등과 같이 개인적인 음성전화 통화가 곤란한 장소에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가 착신된다 하더라도 이에 응답하여 상대방과 음성으로 통화하는 것이 곤란하며, 또한 긴급하게 통화해야 할 일이 발생하는 경우 상대방측 단말기로 송신하여 통화로를 형성하였다 하더라도 음성으로 통화하는 것은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 단말기 사용자들은 상대방측 단말기 사용자에게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제한된 내용이지만 서로 필요한 내용에 대해 연락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단문 메시지의 활용도는 특히 10대 내지 20대 사이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최근 들어서는 이러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제공하는 업체가 지속적으로 늘어가고 있기 때문에 통화료를 절약하려는 사용자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단말기의 주요 기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근래 인터넷이 보편화되어 감에 따라 인터넷 사용 인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 사용자를 위한 웹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웹을 기반으로 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가운데 채팅(chatting) 서비스 는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서비스로 자리 잡아 인터넷 서비스 가운데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음성/화상 채팅, 아바타(avatar) 채팅 등 채팅 관련 기술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부가 기술들이 선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채팅 프로그램 상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 기술, 파일 공유 및 데이터 전송(업로드/다운로드) 기술 등이 개발 및 서비스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러한 채팅 서비스와 병행하여 자신의 정보들을 공유시키고 타인의 정보들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홈페이지 관련 서비스'도 웹 기반의 대표적인 서비스라 할 수 있다.
홈페이지 관련 서비스로는, 일반적인 개인 홈페이지를 비롯하여, 최근 들어 크게 부각되고 있는 미니 홈페이지, 블로그(BLOG : weB+LOGs) 등이 있으며, 사용 용도가 다각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 대부분이 개인 미니 홈페이지 또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종래의 홈페이지 관련 서비스에서는 제3자가 임의의 홈페이지(또는 블로그)를 방문하여 웹상에서 홈페이지 주인에게 연락을 취하고자 할 때, 매우 수동적이고 단방향성을 지닌다는 한계, 즉 홈페이지 주인이 직접 자신의 홈페이지나 전자메일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제3자의 방문 사실을 인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즉, 종래에는 홈페이지 상의 게시판에 글을 올리거나, 전자메일 또는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홈페이지 주인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방문자와 홈페이지 주인과의 실시간 연결 환경,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나 웹 기반의 채팅 서비스 같은 실시간 클라이언트 환경은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자신의 개인 홈페이지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와 직접 링크될 수 있는 모바일 아이콘(Mobile Icon)을 삽입해 두고, 제3자가 웹상에서 모바일 아이콘을 클릭시 제3자와 홈페이지 주인의 이동통신 단말이 1:1 연결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웹상에서 모바일 아이콘 클릭시 제3자와 홈페이지 주인의 이동통신 단말간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웹상에서 모바일 아이콘 클릭시 제3자와 홈페이지 주인의 이동통신 단말간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고 웹상의 제3자(또는 이동통신 환경의 홈페이지 주인)의 음성 정보를 압축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웹상에서 모바일 아이콘 클릭시 이미지 전송 메뉴 화면을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 또는 데스크톱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 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와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클라이언트/이동 클라이언트 정보 DB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개인 홈페이지 상에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콘을 링크시키며, 제2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상기 모바일 아이콘이 클릭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이동 클라이언트의 정보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제2의 클라이언트를 연결하여 실시간 데이터 전송 환경을 제공하는 모바일 아이콘 서버와, 상기 모바일 아이콘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 간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성공되면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전송 주체에 대해 과금 처리하는 과금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으로서, 소정의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클라이언트가 상기 유선 통신망을 통해 로그인하여 상기 홈페이지 상에 모바일 아이콘 삽입을 요청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아이콘 삽입이 요청되면 상기 모바일 아이콘 삽입을 위한 그래픽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그래픽 정보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한 모바일 아이콘 삽입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와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를 링크시키는 단계와, 제2의 클라이 언트가 상기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모바일 아이콘을 클릭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아이콘이 클릭되면 상기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 링크 정보의 레퍼런스 주소를 실행시켜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 상에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전화 번호 링크 정보를 갖는 모바일 아이콘이 삽입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에 접속되는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모바일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를 실시간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에 의해 상기 모바일 아이콘이 클릭되면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로 임의의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 측 유선 단말에 단문 메시지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한 단문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 완료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이 성공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대해 과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 상에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전화 번호 링크 정보를 갖는 모바일 아이콘이 삽입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에 접속되는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모바일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를 실시간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에 의해 상기 모바일 아이콘이 클릭되면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로 임의의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 측 유선 단말에 이미지 전송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한 이미지 업로드가 완료되면 업로드 완료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전송이 성공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대해 과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클라이언트(100), 인터넷(102), 모바일 아 이콘 서버(104), 클라이언트/이동 클라이언트 정보 DB(106), 과금 처리부(108), 단문 메시지 처리부(110), 음성 신호 처리부(112), 이동 클라이언트(114), 기지국 전송 시스템(이하,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라 약칭함)(116),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라 약칭함)(118), 이동 스위칭 센터(이하, MSC(Mobile Switching Center)라 약칭함)(120), 이동통신망(122)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100)는, 예를 들면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의 유선 단말을 지칭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인터넷(102)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와 TCP/IP 통신을 수행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100)는 초기 모바일 아이콘 프로그램을 삽입하기 위해 접속하는 홈페이지 주인의 단말이거나, 또는 임의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웹 페이지 방문자의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하나의 클라이언트(100)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인터넷(102)에 접속되는 클라이언트(100)는 다수 개 구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상기 클라이언트(100)와 후술하는 이동 클라이언트(114)를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환경으로는,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한 1:1 채팅 지원 서비스, 사진 등의 이미지 파일 상호 전송 서비스, 음성 및 문자 채팅 서비스, VoIP를 통한 음성 채팅 서비스를 포함하며, 이들 서비스의 상세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인터넷(102)을 통해 제공되는 클라이언트(100)의 음성 정보, 단문 메시지 정보, 이미지 정보와, 이동통신망(122)을 통해 제공되는 이동 클라이언트(114)의 음성 정보, 단문 메시지 정보, 이미지 정보 등을 실시간 처리하기 위해, 후술하는 클라이언트/이동 클라이언트 정보 DB(106), 과금 처리부(108), 단문 메시지 처리부(110), 음성 신호 처리부(112),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클라이언트/이동 클라이언트 정보 DB(106)에는 클라이언트 및 이동 클라이언트의 각종 정보들, 예를 들면 사용자 상세 정보, 로그인(log-in) 정보, 이동통신 단말 번호 정보, 인증 정보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에 의해 필요한 정보가 독출된다.
과금 처리부(108)는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에 의해 제어되며, 단문 메시지 정보, 음성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가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전송 성공되었을 때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과금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해당 클라이언트의 과금 처리 정보를 책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문 메시지 처리부(110)는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의 제어하에 클라이언트(100) 또는 이동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112)는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100) 또는 이동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압축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클라이언트(114)는 이동통신 단말을 지칭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BTS(116)와 IS-2000 규격에 따른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에게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도면에는 하나의 이동 클라이언트(114)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동통신망(122)에 접속되는 이동 클라이언트(114)는 다수 개 구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BSC(118)는 MSC(120)와 BTS(116)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PSTN(도시 생략됨)을 통해 인터넷 정합기능을 수행하며 음성에 대한 보코딩(Vocoding)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BSC(118)는 본 실시예에 따라, 이동 클라이언트(114)의 음성 정보를 MSC(118)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MSC(120)는 예를 들면, CDMA 2000망에서 교환기능을 수행하고 가입자를 망내의 각종부가장비(SMS, VMS)와 연결시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타 망, 예를 들면 PSTN과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모바일 아이콘 프로그램 삽입 및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200)에서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클라이언트(100)가 인터넷(102)을 통해 로그인 하는지를 판단하고, 로그인 과정이 성공되면 단계(S202)로 진행한다. 이때, 클라이언트(100)는 해당 홈페이지 주인의 단 말임을 가정한다.
단계(S202)에서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모바일 아이콘 삽입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고, 모바일 아이콘 삽입이 선택되면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204)로 진행하여 디폴트 그래픽 정보를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디폴트 그래픽 정보는 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를 위한 웹 페이지 구성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아이콘 삽입을 위해 디폴트 그래픽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해당 홈페이지 주인이 직접 제작한 별도의 그래픽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계(S204)에서 제공된 디폴트 그래픽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100)에 의한 모바일 아이콘 삽입 과정이 완료되면(S206),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208)로 진행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와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를 링크시킨다.
이와 같은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 링크 정보는, 예를 들면 와 같은 URL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aaa'는 이동통신 사업자를 나타내며, '0111234567'은 클라이언트(100) 또는 이동 클라이언트(114)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나타낸다.
단계(S208)의 과정이 완료되면,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210)로 진행하여 임의의 클라이언트(모바일 아이콘이 삽입된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방문자 단말)에 의해 상술한 URL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콘이 클릭 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210)에서의 판단 결과, 모바일 아이콘이 클릭되면,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212)로 진행하여 상기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 링크 정보의 레퍼런스(reference) 주소, 예를 들면 <h ref=" http://aaa.mobileicon/0111234567">를 실행한다.
이러한 레퍼런스 주소가 실행됨에 따라 단계(S214)에서와 같이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가 개시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이동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 형태로서,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음성 정보 전송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도 3a의 단계(S300)에서와 같이,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가 개시됨에 따라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클라이언트(100), 즉 모바일 아이콘이 삽입된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방문자 단말에게 제공한다.
이후 단계(S302)에서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 인증이 요청되면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304)로 진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00)의 이동통신 단말로 인증번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인증 과정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 번호, 주민등록 번호 등을 입력하고 사용자 확인을 누르면,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 측에서 클라이언트/이동 클라이언트 정보 DB(106)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임의의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클라이언트(100)로부터 해당 인증번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306), 해당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308)로 진행하여 클라이언트(100) 측 단말에 단문 메시지 입력 화면을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계(S310)에서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단문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하고, 단문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면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312)로 진행하여 단문 메시지 처리부(110) 등을 제어하여 입력 완료된 단문 메시지를 출력 처리한다.
이러한 단문 메시지는 이동통신망(122), MSC(120), BSC(118), BTS(116) 등을 경유하여 이동 클라이언트(114), 즉 모바일 아이콘이 삽입된 홈페이지의 주인 단말로 전송된다.
단문 메시지가 이동 클라이언트(114)에게 전송 성공되면(S314),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316)로 진행하여 단문 메시지 입력을 요청한 클라이언트(100)에 대해 과금 처리한다.
한편, 이와 같은 단문 메시지 처리는 클라이언트(100)에서 이동 클라이언트(114)로 진행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이동 클라이언트(114)에서 클라이언트(100) 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이동 클라이언트(114)에 대해 과금 처리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방문자가 홈페이지의 단문 메시지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홈페이지 주인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고, 홈페이지 주인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방문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홈페이지 상에서 실질적으로 채팅 창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창출한다.
다른 한편, 도 3b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문 메시지 전송에 부가하여, 클라이언트(100) 또는 이동 클라이언트(114)의 음성 정보를 압축 파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단계(S318)에서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인터넷(102)을 통해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음성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음성 정보가 수신되면 단계(S320)로 진행하여 음성 신호 처리부(112)를 제어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를 압축 파일로 변환한다.
이후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322)로 진행하여 압축 변환된 클라이언트의 음성 정보를 이동통신망(122), MSC(120), BSC(118), BTS(116) 등을 경유하여 이동 클라이언트(114)에게 전송한다.
단계(S324)에서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전송이 성공되는지를 판단하고, 전송이 성공되면 단계(S326)로 진행하여 클라이언트(100)에 대해 과금 처리한다.
이때,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100)에서 이동 클라이언트(114)로 음성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동 클라이언트(114)에서 클라이언트 (100)로도 음성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 이 경우, 과금은 이동 클라이언트(114)에 대해 처리된다.
이와 같은 양방향 음성 전송의 구현을 위해서는 VoIP 기술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이 VoIP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기술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이미지 파일 전송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400)에서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가 개시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클라이언트(100), 즉 모바일 아이콘이 삽입된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방문자 단말에게 제공한다.
이후 단계(S402)에서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 인증이 요청되면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404)로 진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00)의 이동통신 단말로 인증번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인증 과정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 번호, 주민등록 번호 등을 입력하고 사용자 확인을 누르면,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 측에서 클라이언트/이동 클라이언트 정보 DB(106)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임의의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406)로 진행하여 클라이언트(100)로 부터 해당 인증번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408)로 진행하여 클라이언트(100) 측 단말에 이미지 전송 메뉴 화면을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계(S410)에서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소정 이미지 업로드가 완료되고 원하는 이동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미지 업로드가 완료되고 소정 이동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가 입력되면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412)로 진행하여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파일을 해당 이동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이미지 파일은 이동통신망(122), MSC(120), BSC(118), BTS(116) 등을 경유하여 이동 클라이언트(114), 즉 모바일 아이콘이 삽입된 홈페이지의 주인 단말로 전송된다.
이후, 이미지 파일이 이동 클라이언트(114)에게 전송 성공되면, 모바일 아이콘 서버(104)는 단계(S314)로 진행하여 이미지 전송 서비스를 요청한 클라이언트(100)에 대해 과금 처리한다.
한편, 이와 같은 이미지 전송 서비스도 상술한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100)에서 이동 클라이언트(114)로 진행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이동 클라이언트(114)에서 클라이언트(100)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이동 클라이언트(114)에 대해 과금 처리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방문자가 홈페이지의 이미 지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홈페이지 주인에게 이미지 파일을 전송할 수도 있고, 홈페이지 주인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방문자에게 이미지 파일을 전송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홈페이지 상에서 실질적으로 채팅 창과 같은 실시간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내에서 당업자로부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문자와 홈페이지 주인과의 실시간 연결 환경,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나 웹 기반의 채팅 서비스 같은 실시간 클라이언트 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측면에서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사업주 측면에서 매출 증진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13)

  1.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와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클라이언트/이동 클라이언트 정보 DB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개인 홈페이지 상에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콘을 링크시키며, 제2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상기 모바일 아이콘이 클릭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이동 클라이언트의 정보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제2의 클라이언트를 연결하여 실시간 데이터 전송 환경을 제공하는 모바일 아이콘 서버와,
    상기 모바일 아이콘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 간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성공되면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전송 주체에 대해 과금 처리하는 과금 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전송 환경은,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통한 1:1 채팅 지원 서비스, 이미지 파일 상호 전송 서비스, 음성 및 문자 채팅 서비스, VoIP를 통한 음성 채팅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아이콘 서버의 제어하에 상기 클라이언트 또는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 수단과,
    상기 모바일 아이콘 서버의 제어하에 상기 클라이언트 또는 상기 이동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압축 파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신호 처리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4.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으로서,
    소정의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클라이언트가 상기 유선 통신망을 통해 로그인하여 상기 홈페이지 상에 모바일 아이콘 삽입을 요청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아이콘 삽입이 요청되면 상기 모바일 아이콘 삽입을 위한 그래픽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그래픽 정보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한 모바일 아이콘 삽입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와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를 링크시키는 단계와,
    제2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모바일 아이콘을 클릭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아이콘이 클릭되면 상기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 링크 정보의 레퍼런스 주소를 실행시켜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를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 링크 정보는,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로 이루어진 URL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아이콘 서비스는,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 간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이미지 파일 상호 전송 서비스, 음성 및 문자 채팅 서비스, VoIP를 통한 음성 채팅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7. 임의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 상에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전화 번호 링 크 정보를 갖는 모바일 아이콘이 삽입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에 접속되는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모바일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를 실시간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에 의해 상기 모바일 아이콘이 클릭되면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로 임의의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 측 유선 단말에 단문 메시지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한 단문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 완료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이 성공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대해 과금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단문 메시지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한 단문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무선 단말로 상기 입력 완료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이 성공되면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해 과금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유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음성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음성 정보를 압축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 변환된 클라이언트의 음성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정보의 전송이 성공되면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해 과금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음성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음성 정보를 압축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 변환된 제2 클라이언트의 음성 정보를 상기 유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정보의 전송이 성공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대해 과금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 전송은 VoIP 기술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12. 임의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 상에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전화 번호 링크 정보를 갖는 모바일 아이콘이 삽입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에 접속되는 제2 클라이언트가 상기 모바일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를 실시간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으로 서,
    상기 제 2 클라이언트에 의해 상기 모바일 아이콘이 클릭되면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통신 단말로 임의의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 측 유선 단말에 이미지 전송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의한 이미지 업로드가 완료되면 업로드 완료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전송이 성공되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에 대해 과금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이미지 전송 메뉴가 요청되면 상기 클라이언트측 무선 단말에 이미지 전송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한 이미지 업로드가 완료되면 업로드 완료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유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 클라이언트의 유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전송이 성공되면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해 과금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KR1020050063778A 2005-07-14 2005-07-14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09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778A KR20070009857A (ko) 2005-07-14 2005-07-14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778A KR20070009857A (ko) 2005-07-14 2005-07-14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857A true KR20070009857A (ko) 2007-01-19

Family

ID=3801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778A KR20070009857A (ko) 2005-07-14 2005-07-14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98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149A (ko) * 2009-06-26 2011-01-03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웹페이지를 이용한 통화연결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425491B1 (ko) * 2012-02-14 2014-08-01 네이버 주식회사 웹 투 앱 연동 콜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79256B1 (ko) * 2013-06-25 2015-01-12 임태열 전화연결시스템 및 전화연결시스템에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149A (ko) * 2009-06-26 2011-01-03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웹페이지를 이용한 통화연결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425491B1 (ko) * 2012-02-14 2014-08-01 네이버 주식회사 웹 투 앱 연동 콜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79256B1 (ko) * 2013-06-25 2015-01-12 임태열 전화연결시스템 및 전화연결시스템에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18309A (ja) メッセージ処理装置及び方法
EP2408174A1 (en) Messaging activity feed
JP2006514513A (ja) 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方法
US20090327310A1 (en)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files on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phone number for authentication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974982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telephone calls over the internet
KR1006923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목록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09857A (ko)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6254119A (ja) 携帯通信端末連携システム
KR20120072113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pc를 이용하여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2294780B1 (en) A method for masking data
KR100858754B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100799921B1 (ko)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KR101531309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화 종료 후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0396027B1 (ko) 장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90098398A (ko) 화상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100243A (ko) 유,무선 통합 이미지 메세징 서비스.
CN113595873B (zh) 基于通话工具的通信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1283808B1 (ko) 메신저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신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70240B1 (ko) 전자 메일 중계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32879A (ko)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50079357A (ko) 화상 단말기 간의 채팅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61508B1 (ko) 교환기시스템의 관리기능이 구비된 인스턴트 메시징서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12223B1 (ko) 소셜 네트워크 자동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7753B1 (ko) 툴바를 이용한 웹 페이지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52796A (ko) 대화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