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921B1 -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921B1
KR100799921B1 KR20060007684A KR20060007684A KR100799921B1 KR 100799921 B1 KR100799921 B1 KR 100799921B1 KR 20060007684 A KR20060007684 A KR 20060007684A KR 20060007684 A KR20060007684 A KR 20060007684A KR 100799921 B1 KR100799921 B1 KR 100799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list
messeng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07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873A (ko
Inventor
김유노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20060007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921B1/ko
Publication of KR2007007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92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신저 연동자들 사이에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 및 메신저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들은 메신저가 설치되며, 상기 메신저 서버는 상기 단말기들을 상기 메신저를 통하여 연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들은 컨텐츠를 상호 공유한다.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메신저를 통하여 다수 사람들이 컨텐츠를 공유하므로, 사람들간의 관계가 친밀해질 수 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통신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동통신시스템, 단말기, 컨텐츠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신저 화면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전송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구매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물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신저 연동자들 사이에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은 교신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들은 인터넷망에 연결된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다운받고, 상기 컨텐츠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러한 컨텐츠 다운 과정은 컨텐츠 검색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인터넷에 업로드된 컨텐츠가 과도하게 많거나 검색이 안되서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다운받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검색 중 인터넷 접속이 끊긴 경우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하여 선행 검색 과정을 반복해야만 했다. 따라서, 이러한 검색 및 다운은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메신저가 설치된 복수의 단말기들; 상기 단말기들을 상기 메신저를 통하여 연동시키는 메신저 서버; 및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들 중 제 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목록을 저장하며, 제 2 단말기의 요청시 상기 제 1 단말기의 컨텐츠 목록을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전송된 제 1 단말기의 컨텐츠 목록 중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제 3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목록 정보를 가지는 제 1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는 컨텐츠부; 및 상기 생성된 제 1 컨텐츠 목록을 제 1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기들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은 제 1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제 1 컨텐츠 목록을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컨텐츠 목록 중 소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들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은 메신저를 통하여 다수 사람들이 컨텐츠를 공유하므로, 사람들간의 관계가 친밀해질 수 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통신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은 타인의 컨텐츠 목록을 이용하므로, 타인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 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신저 화면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시스템은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102), 제 3 단말기(104), 제 1 기지국(first Originating Base Transceiver System, 106, 제 1 BTS), 제 1 기지국 제어기(first Originating Base Station Controller, 108, 제 1 BSC), 제 1 교환국(first Originating Mobile Switching Center, 110, 제 1 MSC), 메신저 서버(112), 컨텐츠 서버(114), 제 2 MSC(116), 제 2 BSC(118), 제 2 BTS(120) 및 게이트웨이 서버(122)를 포함한다.
제 1 및 2 단말기들(100 및 102)은 무선망을 통하여 다른 장치와 교신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등이다. 반면에, 제 3 단말기(104)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다른 장치와 교신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이다. 즉, 본 발명의 이동통신시스템은 무선망을 이용하는 단말기들(100 및 102) 또는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단말기(104)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무선망 및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단말기들(100, 102 및 104)을 모두 사용한다.
단말기들(100, 102 및 104)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가 설치되며, 그래서 단말기들(100, 102 및 104)은 메신저 서버(112)를 통하여 상호 연동된다. 여기서, 상기 메신저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다양한 형태 로 존재할 수 있다.
일 단말기의 메신저 창에 상대방, 예를 들어 철수가 등록된 경우, 철수는 상기 메신저 창에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여기서, 철수가 그의 단말기에 음악 파일, 홈페이지 또는 동영상 등과 같은 컨텐츠(contents)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상기 메신저 창에서 철수 이름 옆에 컨텐츠 파일 목록, 예를 들어 음악 파일 아이콘(200), 홈페이지 아이콘(202) 및 동영상 파일 아이콘(204)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길동은 철수의 컨텐츠를 공유한다. 물론, 철수도 길동의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길동은 해당 단말기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철수에 상응하는 아이콘들(200, 202 및 204) 중 음악 파일 아이콘(200)을 선택하며, 그 결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수의 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음악 파일 목록이 메신저 창에 디스플레이된다. "사랑은 가슴이 시킨다"는 버즈의 음악 파일을 살펴보면, "버즈" 옆에 미리 시청 아이콘(206), 구매 아이콘(208) 및 선물 아이콘(210)이 위치한다.
길동이 미리 시청 아이콘(206)을 선택하는 경우, 메신저 서버(112)로부터 길동의 단말기로 미리 시청용 컨텐츠가 전송되며, 그래서 길동은 "사랑은 가슴이 시킨다" 음악을 미리 들어볼 수 있다.
음악을 미리 들은 후, 길동은 해당 음악 파일을 구매하고 싶은 경우에는 구매 아이콘(208)을 선택한다. 그 결과, 메신저 서버(112)로부터 "사랑은 가슴이 시킨다" 파일이 길동의 단말기로 전송된다. 물론, 이 경우 길동은 구매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구매 비용 지불에 관한 내용은 종래 기술에 다수 존재하므로, 이에 대 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예로, 길동은 음악 파일을 타인에게 선물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선물 아이콘(210)을 선택하여 타인의 단말기로 "사랑은 가슴이 시킨다" 음악 파일을 전송한다. 상세하게는, 길동이 선물 아이콘(210)을 선택한 후 타인의 전화번호 또는 아이피 주소(IP address) 등을 입력하는 경우, 메신저 서버(112)는 "사랑은 가슴이 시킨다" 음악 파일을 상기 타인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위에서는, 길동이 원하는 파일을 미리 시청한 후 구매하거나 선물하였지만, 길동은 미리 시청을 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구매 또는 선물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상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전송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구매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선물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컨텐츠 목록 전송 과정을 상술하겠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단말기(100)는 그의 내부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목록 정보를 가지는 제 1 컨텐츠 목록을 제 1 BTS(106)에 전송한다.
제 1 BTS(106)는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제 1 컨텐츠 목록을 제 1 BSC(108)로 전송한다. 또한, 제 1 BTS(106)는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교환하여 그가 담당하는 셀 내의 이동통신단말기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호설정 요구를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1 MSC(110)로 전송한다.
제 1 BSC(108)는 제 1 BTS(106)를 제어하며, 제 1 BTS(106)로부터 전송된 제 1 컨텐츠 목록을 제 1 MSC(110)로 전송한다.
제 1 MSC(110)는 메신저 서버(112)와 연결되어 제 1 BSC(108)로부터 전송된 제 1 컨텐츠 목록을 메신저 서버(112)로 전송한다(S300). 또한, 제 1 MSC(110)는 다른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고 그에 따른 통화 처리 및 호처리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 2 단말기(102)는 그의 내부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목록 정보를 가지는 제 2 컨텐츠 목록을 제 2 BTS(120), 제 2 BSC(118) 및 제 2 MSC(116)를 통하여 메신저 서버(112)에 전송한다(S302).
제 3 단말기(104)는 그의 내부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목록 정보를 가지는 제 3 컨텐츠 목록을 인터넷망을 통하여 게이트웨이 서버(122)에 전송한다.
게이트웨이 서버(122)는 제 3 단말기(104)로부터 전송된 제 3 컨텐츠를 메신저 서버(112)로 전송한다(S304). 또한, 게이트웨이 서버(122)는 유선망과 무선망을 접속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무선망과 유선망의 전송 속도 등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를 무선망 언어, 예를 들어 WML(Wireless Markup Language)로 바꾸거나 WML를 HTML로 바꾼다.
메신저 서버(112)는 단말기들(100, 102 및 104) 사이의 메신저 연동을 제어하는 서버로서, 상기 제 1 내지 3 컨텐츠 목록들을 컨텐츠 서버(114)로 전송한다(S306).
컨텐츠 서버(114)는 다양한 컨텐츠 및 메신저 서버(112)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목록들을 저장한다. 물론, 컨텐츠 서버(114)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외부 서버, 예를 들어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Multimedia contents)를 다운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음악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또는 동영상 컨텐츠 등이다.
위에서는 상기 컨텐츠 목록들이 메신저 서버(112)에 모두 전송된 후 컨텐츠 서버(114)로 제공되었으나, 상기 컨텐츠 목록들의 전송은 이러한 순서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컨텐츠 목록들은 일정 주기로 컨텐츠 서버(114)로 자동 전송될 수도 있고, 컨텐츠 서버(114)의 요구 또는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수동으로 컨텐츠 서버(114)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 1 단말기(100)는 메신저 서버(112)에 컨텐츠 목록, 예를 들어 제 2 컨텐츠 목록을 요청한다(S310).
이어서, 메신저 서버(112)는 컨텐츠 서버(114)에 상기 제 2 컨텐츠 목록을 요청한다(S312).
계속하여, 컨텐츠 서버(114)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컨텐츠 목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 2 컨텐츠 목록을 메신저 서버(112)로 전송한다(S314).
그런 후, 메신저 서버(112)는 상기 제 2 컨텐츠 목록을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16). 따라서, 제 1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제 1 단말기(100)를 통하여 상기 제 2 컨텐츠 목록을 열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철수에 해당하는 아이콘들(200, 202 및 204) 중 음악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제 1 단말기 (100)는 메신저 서버(112)로부터 전송된 제 2 컨텐츠 목록 중 상기 음악 아이콘에 해당하는 컨텐츠 목록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시킨다.
다음으로, 컨텐츠 전송 과정을 상술하겠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도 2b에 도시된 컨텐츠 목록 중 미리 시청 아이콘(206)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제 1 단말기(100)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미리 시청을 메신저 서버(112)에 요청한다(S400).
이어서, 메신저 서버(112)는 상기 요청에 따라 미리 시청용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114)에 요청한다(S402).
계속하여, 컨텐츠 서버(114)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미리 시청용 컨텐츠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미리 시청용 컨텐츠를 메신저 서버(112)로 전송한다(S404).
그런 후, 메신저 서버(112)는 상기 미리 시청용 컨텐츠를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06).
이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미리 시청용 컨텐츠를 제 1 단말기(100)를 통하여 시청한 후 해당 컨텐츠를 구매할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계속하여, 상기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구매하기로 결정한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메신저 서버(112)로 해당 컨텐츠를 요청한다(S410).
그런 후, 메신저 서버(112)는 상기 컨텐츠의 전송을 컨텐츠 서버(114)에 요청한다(S412).
이어서, 컨텐츠 서버(114)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컨텐츠를 메신저 서버(112)로 전송한다(S414).
계속하여, 메신저 서버(112)는 상기 컨텐츠를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16).
다음으로, 컨텐츠 선물 과정을 상술하겠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단말기(100)는 미리 시청용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114)에 요청하여 다운받을 수 있다(S500, S502, S504 및 S506).
이어서, 제 1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상기 미리 시청용 컨텐츠를 미리 시청한다.
계속하여, 상기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메신저 창에서 선물 아이콘(210)을 선택하며, 그 결과 제 1 단말기(100)는 상기 컨텐츠의 전송을 메신저 서버(112)에 요청한다(S510). 다만, 상기 사용자는 선물 아이콘(210) 선택과 함께 컨텐츠를 선물할 지인의 전화번호 등을 입력한다.
이어서, 메신저 서버(112)는 상기 요청에 따라 제 2 단말기(102)에 컨텐츠 수락을 요청한다(S512).
제 2 단말기(102)의 사용자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수락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에 따라 제 2 단말기(102)는 상기 수락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수락 정보를 메신저 서버(112)로 전송한다(S514).
상기 사용자가 수락하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츠의 전송 과정은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사용자가 수락한 경우, 메신저 서버(112)는 컨텐츠 서버(114)로 해당 컨텐츠를 요청하고(S516), 이에 따라 컨텐츠 서버(114)는 상기 컨텐츠를 검출하여 메신저 서버(112)로 전송한다(S518).
이어서, 메신저 서버(112)는 상기 컨텐츠를 제 2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물론, 지인에게 선물할 경우, 메신저 서버(112)는 상기 지인의 수락 여부를 묻지 않고 컨텐츠를 직접적으로 상기 지인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들(100, 102 및 104)은 메신저를 통하여 상호 연동되며, 메신저 서버(112)의 중계로 컨텐츠를 상호 공유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다양한 컨텐츠를 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유로 인하여 지인들과의 관계가 더 친밀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 중 일인이 최신 업그레이드된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경우 상호 연동되는 다른 지인들도 상기 컨텐츠를 구매하거나 선물할 수 있으므로, 빠르게 변화하는 통신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단말기(100)는 제 3 단말기(104)의 컨텐츠 목록을 메신저 서버(112)로 요청한다(S600).
이어서, 메신저 서버(112)는 컨텐츠 서버(114)로부터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지 않고 제 3 단말기(104)에 요청한다(S602).
계속하여, 제 3 단말기(104)는 상기 요청에 따라 컨텐츠 목록을 전송할 지의 여부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에 따라 컨텐츠 목록을 메신저 서버(112)로 전송한다(S604).
그런 후, 메신저 서버(112)는 상기 컨텐츠 목록을 제 1 단말기(100)로 전송 한다(S606).
이어서, 제 1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목록 중 전송되길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며, 그래서 제 1 단말기(100)는 메신저 서버(112)로 해당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S610).
계속하여, 메신저 서버(112)는 컨텐츠 서버(114)로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다(S612).
그런 후, 컨텐츠 서버(114)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컨텐츠를 메신저 서버(112)에 전송한다(S614).
이어서, 메신저 서버(112)는 상기 컨텐츠를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616).
위의 실시예들에서는 상대방의 컨텐츠 공유 허락에 관계없이 컨텐츠들이 공유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바람직하게는 컨텐츠의 공유시 상대방의 허락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허락을 요청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일 예로, 메신저 대화 상대들은 상호간 컨텐츠의 공유 여부를 묻고, 상호 동의하는 경우 서로 간에 컨텐츠 공유의 허락을 설정한다. 그 결과, 그들의 단말기들에 상대방의 컨텐츠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예로, 메신저 등록시, 컨텐츠 공유 여부를 묻고, 동의하는 경우 컨텐츠가 공유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단말기,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 (102)의 컨텐츠 목록을 메신저 서버(112)에 요청한다(S700).
이어서, 메신저 서버(112)는 제 1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제 1 사용자가 컨텐츠 공유 서비스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02). 여기서, 상기 서비스는 가입자들끼리 상호간 컨텐츠를 공유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상기 제 1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가입자가 아닌 경우, 컨텐츠 공유 서비스가 종료된다. 또는, 메신저 서버(112)는 제 2 단말기(102)에 직접적으로 컨텐츠 목록을 요청한다(S706).
제 2 단말기(102)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목록의 전송을 수락할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S708).
상기 제 2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목록의 전송을 수락한 경우, 제 2 단말기(102)는 제 1 단말기(100)로 상기 컨텐츠 목록을 전송한다(S710). 그러나, 상기 제 2 사용자가 수락하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츠 공유 서비스는 종료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가 서비스 가입자인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704).
상기 제 2 사용자가 서비스 가입자가 아닌 경우, 컨텐츠 공유 서비스가 종료된다. 또는, 메신저 서버(112)는 제 2 단말기(102)에 직접적으로 컨텐츠 목록을 요청한다(S706). 상기 제 2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목록의 전송을 수락한 경우, 제 2 단말기(102)는 제 1 단말기(100)로 상기 컨텐츠 목록을 전송한다(S710). 그러나, 상기 제 2 사용자가 수락하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츠 공유 서비스는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제 2 사용자가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메신저 서버(112)는 컨 텐츠 서버(114)로부터 상기 컨텐츠 목록을 전송받은 후 전송받은 컨텐츠 목록을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710).
도 8은 도 1의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들(100, 102 및 104)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는 제어부(800), 메신저부(802), 컨텐츠부(804), 메모리(806) 및 인터페이스(808)를 포함한다.
메신저부(802)는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메신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컨텐츠부(804)는 컨텐츠 목록부(810), 컨텐츠 미리 시청부(812) 및 컨텐츠 요청부(814)를 포함한다.
컨텐츠 목록부(810)는 메모리(806)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목록인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 목록을 인터페이스(808)를 통하여 메신저 서버(112)에 제공한다. 또한, 컨텐츠 목록부(810)는 메신저 서버(112)를 통하여 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목록을 관리한다.
컨텐츠 미리 시청부(81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컨텐츠 미리 시청 아이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미리 시청을 인터페이스(808)를 통하여 메신저 서버(112)에 요청한다. 또한, 컨텐츠 미리 시청부(812)는 메신저 서버(112)로부터 전송된 미리 시청용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미리 시청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컨텐츠 요청부(814)는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구매 또는 선물 아이콘 선택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전송을 인터페이스(808)를 통하여 메신저 서버(112)에 요청한 다.
메모리(806)는 컨텐츠 저장부(816) 및 프로그램 저장부(818)를 포함한다.
컨텐츠 저장부(816)는 각종 컨텐츠,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한다.
프로그램 저장부(818)는 메신저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어부(800)는 상기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은 메신저를 통하여 다수 사람들이 컨텐츠를 공유하므로, 사람들간의 관계가 친밀해질 수 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통신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은 타인의 컨텐츠 목록을 이용하므로, 타인이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메신저가 설치된 복수의 단말기들;
    상기 단말기들을 상기 메신저를 통하여 연동시키는 메신저 서버; 및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들 중 제 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목록을 저장하며, 제 2 단말기의 요청시 상기 제 1 단말기의 컨텐츠 목록을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전송된 제 1 단말기의 컨텐츠 목록 중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제 3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요청시, 상기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 상기 요청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는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메신저 서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8.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목록 정보를 가지는 제 1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는 컨텐츠부; 및
    상기 생성된 제 1 컨텐츠 목록을 제 1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부는,
    상기 제 1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고, 제 2 외부 장치로부터 제 2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는 컨텐츠 목록부;
    상기 제 2 컨텐츠 목록 중 특정 컨텐츠에 대한 미리 시청하기를 상기 컨텐츠가 저장된 제 3 외부 장치로 요청하는 컨텐츠 미리 시청부; 및
    상기 제 2 컨텐츠 목록 중 특정 컨텐츠의 전송을 상기 제 3 외부 장치로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복수의 단말기들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1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제 1 컨텐츠 목록을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제 2 단말기에서 상기 제 1 컨텐츠 목록 중 소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들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하여 미리 시청하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미리 시청용 컨텐츠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시청용 컨텐츠를 시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2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제 2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2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제 3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는 상기 제 1 컨텐츠 목록 및 제 2 컨텐츠 목록을 각기 메신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a-2) 상기 전송된 컨텐츠 목록들을 상기 메신저 서버 또는 다른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a-3) 상기 제 2 단말기는 상기 메신저 서버에 상기 제 1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단계; 및
    (a-4) 상기 메신저 서버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제 1 컨텐츠 목록을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는,
    상기 메신저 서버는 상기 제 2 단말기의 상기 제 1 컨텐츠 목록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단말기의 사용자가 컨텐츠 공유 서비스 가입자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메신저 서버는 상기 제 1 컨텐츠 목록을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KR20060007684A 2006-01-25 2006-01-25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KR100799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7684A KR100799921B1 (ko) 2006-01-25 2006-01-25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7684A KR100799921B1 (ko) 2006-01-25 2006-01-25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873A KR20070077873A (ko) 2007-07-30
KR100799921B1 true KR100799921B1 (ko) 2008-01-31

Family

ID=3850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07684A KR100799921B1 (ko) 2006-01-25 2006-01-25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021B1 (ko) * 2006-12-01 2007-1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메신저를 이용한 선물 아이콘 송수신 방법,단말기 및 그시스템
KR101420379B1 (ko) * 2012-07-10 2014-07-21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668A (ko) * 2000-12-15 2002-06-21 김지한, 김재형 무선 통신 기기 간 직접 데이터 통신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92958A (ko) * 2002-05-31 200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wap을 이용한 p2p 서비스 방법
KR20040096331A (ko) * 2003-05-09 2004-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6077A (ko) * 2004-03-29 2005-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주도형 클라이언트 동기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668A (ko) * 2000-12-15 2002-06-21 김지한, 김재형 무선 통신 기기 간 직접 데이터 통신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92958A (ko) * 2002-05-31 200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wap을 이용한 p2p 서비스 방법
KR20040096331A (ko) * 2003-05-09 2004-1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6077A (ko) * 2004-03-29 2005-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주도형 클라이언트 동기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873A (ko) 2007-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19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ssenger service capable of changing messenger status information based on a schedule
CN101730999B (zh) 用于在通信设备之间共享公共位置相关信息的系统、方法及设备
CN103141075A (zh) 媒体/语音绑定协议和相关用户界面
AU2008311548A1 (en) Visual ARS service system and method enabled by mobile terminal's call control function
JP2005332187A (ja) サーバ装置、招待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招待処理システム、および招待処理方法
KR20060097882A (ko) 스타 포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70165800A1 (en) Connec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20000058857A (ko) 휴대통신단말기 바탕화면 이미지파일 전송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799921B1 (ko)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KR101420379B1 (ko)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US20090049093A1 (en) Custom User Pages for Participants in a Two-Way Communication
KR100509916B1 (ko)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와 연동되는 부가 컨텐츠 제공 방법및 장치
KR100575281B1 (ko) 메시지를 이용한 url 전송 방법
JP5255890B2 (ja) 通信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830533B1 (ko)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070009857A (ko)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모바일 아이콘을 이용한 데이터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58754B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1008630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
JP3667598B2 (ja) 情報提供装置
JP4189541B2 (ja) メニュー配信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メニュー管理サーバ
US8400966B2 (en) Computer assisted VOIP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JP7264964B2 (ja) 端末、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11469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70076803A (ko) 이동통신단말기간의 동기화 방법
JP2005339493A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およ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