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663A - 차단기-형태 제어 스위치를 구비한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단기-형태 제어 스위치를 구비한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663A
KR20070009663A KR1020067023040A KR20067023040A KR20070009663A KR 20070009663 A KR20070009663 A KR 20070009663A KR 1020067023040 A KR1020067023040 A KR 1020067023040A KR 20067023040 A KR20067023040 A KR 20067023040A KR 20070009663 A KR20070009663 A KR 20070009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actuator
motor
source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788B1 (ko
Inventor
앤드류 다니엘 캠파니
브라이언 존 로쓰
데이비드 브라이언 웰치
Original Assignee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09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16K31/04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with electric means, e.g. for controlling the motor or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 Control Of Stepping Motors (AREA)
  • Actuator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Abstract

액츄에이터(30)는 기어 트레인을 통해 출력 기구에 연결된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출력 기구의 이동에 상응하는 경로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출력 기구에 연결된 차단기 날개; 및 출력 기구의 이동 한계에 상응하는 지점에서 차단기 날개의 경로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광차단기 스위치와 같은 둘 이상의 차단기 스위치(34, 36)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명령 신호에 응하여 모터를 구동시키고 차단기 스위치(32, 34) 중 하나로부터 출력 기구가 이동 한계 중 하나에 있거나 또는 접근한다는 표시에 응하여 모터를 비구동화 시킨다. 액츄에이터는 회전식 또는 선형 액츄에이터일 수 있고, 특히 항공 전자 공학 응용에 잘 맞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단기-형태 제어 스위치를 구비한 액츄에이터 {ACTUATOR WITH INTERRUPTER-TYPE LIMIT SWITCHES}
본 발명은 항공(airborne) 응용을 위한 선형 액츄에이터 및 작동 밸브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액츄에이터, 특히 회전식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모터 구동 액츄에이터는 산업을 통해 다양한 구성요소의 작동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ITT 항공우주산업 제어 회사는 본 발명의 양수인으로 관련되어 있고, 도 1A 및 1B에서 도시되고 부품번호 S343T003-39 또는 MA20A1001-1로서 거래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를 제조하였다. 이 액츄에이터는 비행기에서 볼(ball), 버터플라이(butterfly), 및/또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 상에서 사용되며, 이는 예를 들어 물, 유압유(hydraulic fluid), 및/또는 연료를 공급한다.
액츄에이터(10)는 DC 모터(12) 및 유성 기어 트레인(planetary gear train, 14)을 이용하고, 이에 의해 출력 샤프트(16)의 90도 회전 작동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하우징(24) 내에서 출력 샤프트(16)에 부착된 캠(미도시)은 액츄에이터의 위치의 표시 및 이동의 제한을 위해 하나 이상의 전자-기계적 마이크로 스위치(18)를 동작시킨다. 일반적으로 네 개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제공된다: 두 개(각각의 단부에 하나씩)는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고 두 개는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 이다. 중계장치(relay, 미도시)는 일반적으로 DC 모터의 방향을 제어한다. 모터(12)는 모터 플레이트(20) 상에 장착되고 마이크로 스위치(18)는 스위치 플레이트(22) 상이 장착되며, 이 모두는 바닥부 커버(25)를 갖는 하우징(24) 안에 넣어진다. 스위치 플레이트 아래의 출력 샤프트(16)에 장착된 수동 밸브 핸들(26)은 밸브의 수동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동력(power)의 부재시 밸브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수동 밸브 핸들(26)을 위한 이동의 각 단부에서 수동 정지부(23)는 출력 샤프트의 이동에 대한 기계적 제한을 제공한다.
본 기술에서는 기계적 설계를 단순화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제조성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액츄에이터의 제어를 촉진시킬 필요가 있으며, 가혹한 작동 환경에서도 긴 수명을 유지해야 하며, 향상 및 촉진을 이루는데 최소의 증가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기어 트레인을 통해 출력 기구에 연결된 입력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출력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출력 기구의 이동에 상응한 경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차단기 날개; 및 상기 출력 기구의 이동 한계에 상응하는 지점에서 차단기 날개의 경로를 따라 서로 이격된 둘 이상의 차단기 스위치를 포함한다. 각각의 차단기 스위치는 소스, 상기 소스로부터 이격된 탐지기, 및 상기 차단기 날개의 이동 경로와 정렬되고 상기 소스 및 상기 탐지기 사이에 위치한 차단기 채널을 포함한다. 차단기 날개는 샤프트가 상응하는 이동 한계에 위치할 때 차단기 채널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차단기 스위치는 상기 탐지기가 상기 소스로부터 방사물을 탐지했는지를 나타내고, 또한 탐지된 소스 방사물의 비례적인 양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기는, 명령 신호에 응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차단기 스위치 중 하나로부터 상기 차단기 날개가 상기 이동 한계 중 하나에서 또는 이에 접근한다는 표시에 응하여 상기 모터를 비구동시키기 위한 차단기 스위치 및 전원 장치에 연결된다.
액츄에이터는 회전식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출력 기구는 회전하는 출력 샤프트를 포함하며, 액츄에이터는 선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출력 기구는 선형 경로를 가진다. 회전식 액츄에이터 실시예에서, 차단기 날개는 출력 샤프트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회전식으로 고정되며, 차단기 스위치는 출력 샤프트에 대해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있고 서로 회전식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의 차단기 채널은 차단기 날개의 회전 경로와 방사상으로 정렬된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기 스위치는 광차단기 스위치이고, 이 경우 소스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광원을 포함하며, 탐지기는 광탐지기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는 각각의 차단기 스위치에 대응하여 MOSFET 스위치와 같은 위치 표시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H-다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샤프트가 제 1 한계 위치로 배향될 때 제 1 전압으로 모터를 구동시키고 샤프트가 제 2 한계 위치로 배향될 때 제 1 전압과 크기는 동일하고 극성이 반대인 제 2 전압으로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모터의 전극을 동시에 단락시킴에 의해 모터의 동적 브레이킹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어기는 차단기 스위치로부터 최대 소스 방사물보다 적은 소스 방사물의 예정된 양, 더욱 구체적으로 최대 소스 방사물 보다 소스 방사물이 없는 경우에 더 가까운 예정된 양이 탐지되었다는 표시에 응하여 동적 브레이킹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는 상기의 특징 중 어느 것 또는 모두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여기서 설명된 액츄에이터의 하나 이상을 갖는 비행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상기에서 설명된 광차단기 스위치를 가지고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식 액츄에이터 실시예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명령 신호에 응하여 모터를 구동시키고 광차단기 스위치 중 하나로부터 받은 전류의 부재에 응하여 모터를 비구동화시키고 동적 브레이킹하기 위한 광차단기 스위치 및 전원 장치에 연결된다. 제어기는 제 1 차단기 스위치로부터 문턱 전압이 없는 경우 명령 신호의 수용시 제 1 전압으로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제 2 차단기 스위치로부터 문턱 전압이 없는 경우 명령 신호의 수용시 제 1 전압과 크기는 동일하나 극성이 반대인 제 2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기는 차단기 스위치로부터 최대 소스 방사물보다 소스 방사물이 없는 것에 더 가깝고 초대 소스 방사물보다 작은 예정된 양의 소스 방사물이 탐지된다는 표시에 응하여 동적 브레이킹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액츄에이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액츄에이터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액츄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서 도시된 액츄에이터에 대한 부착 구성요소 및 스위치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에서 도시된 액츄에이터에 대한 부착 구성요소 및 스위치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예시적 광차단기 스위치를 도시한다.
도 5는 예시적 제어기의 입력 및 출력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정상 상태 이동 동안, 동적 브레이킹 동안 그리고 정지 후의 시간에 걸친 액츄에이터 이동, 모터 전류, 및 포토트랜지스터 신호의 예시적 오실로스코프 도표이다.
도 7A는 예시적 선형 액츄에이터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예시적 선형 액츄에이터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도 7C에서 도시된 선(7B-7B)을 따른 단면이다.
도 7C는 도 7A의 예시적 선형 액츄에이터 실시예의 종단면도로서 선(7C-7C)를 따른 단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액츄에이터(30)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모터 플레이트(20) 및 그 위에 장착된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고, 도 3B는 스위치 프레이트(32) 및 그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스위치 플레이트(32)는 모터 플레이트(20)의 하면 (underside)에에 장착되고 한 쌍의 광차단기 스위치(34, 36)를 포함한다. 차단기 날개(interrupter vane, 38)는 출력 샤프트(16)에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도 4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각각의 광차단기 스위치(34, 36)는, 예를 들어 적외선 LED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광원(40), 방사물된 광(44)을 탐지할 수 있는 포토트랜지스터(42), 및 광원 및 탐지기 사이에 위치한 차단기 채널(46)을 포함한다. 스위치(34, 36)는 샤프트(16)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있고, 서로 "회전식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의 스위치의 차단기 채널(46)이 차단기 날개(38)의 회전 경로를 따라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토트랜지스터(42)는 일반적으로 탐지된 광의 양에 비례하여 탐지된 광을 전압으로 전환시킨다. 광원(40) 및 포토트랜지스터(42) 사이에서 아무것도 광(44)을 막지 않을 때, 차단기 스위치는 최대 전압을 발한다. 차단기 날개(38)가 차단기 채널(46)로 들어가서 광원 및 포토트랜지스터 사이에서 광을 부분적으로 막기 시작하는 위치로 구동 샤프트(16)가 회전할 때, 스위치는 최대 전압의 일정 분율의 전압을 전송한다.
도 5는 원하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 모터를 시동시키고 정지시키는 제어기(50)의 일부의 입력 및 출력을 형성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제어기(50)는 이 기술에서 공지된 "H-다리" 회로(52)를 포함하고, 이 회로는 회로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액츄에이터 모터(12)로 공급되는 전압(55)의 극성을 선택한다. 회로(52)는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외부 명령 신호(54)를 받는다. 스위치(34)로부터의 문턱 전압이 없는 명령 신호(54)를 받을 때(이는 차단기 날개(38)가 스위치(34)의 채널 (46)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함), 제 1 값을 갖는 전압(55)은 모터(12)로 공급되고, 이는 스위치(36)를 향해 날개(38)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모터를 회전시킨다. 스위치(34)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없는 명령 신호(54)를 받을 때, 모터에 공급된 전압(55)은 제 1 전압과 극성이 반대이나 크기가 동일하며 반대 방향으로 모터를 회전시키는 제 2 값을 갖는다.
원하는 이동의 단부가 광차단기 스위치에 의해 탐지될 때, 모터로의 전압의 인가가 제거되고 모터 공급 전극은 동시에 단락되어 모터의 움직임을 빠르게 정지시키는 "동적 브레이킹"을 발생시킨다. 제어기 내에서 모터의 전극을 동시에 단락시키는 것은 실질적으로 모터를 발전기로 변환시키며, 이러한 발전기는 회전 시스템의 질량에 의해 저장된 각 운동량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에너지는 모터로 가해져서 대향 토크(opposing torque)를 발생시킨다.
제어 시스템 및 동적 브레이킹의 작동은 도 6의 예시적 오실로스코프 도표에서 도시된다. 사인파 선(60)은 시간에 따른 액츄에이터 회전을 도시하고, 이 경우 각 사이클은 출력 샤프트 회전의 정도를 나타낸다. 선(62)은 시간에 걸친 모터 전류를 도시한다. 선(64)은 시간에 걸친 차단기 스위치 포토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압을 도시한다. 도표의 제 1 영역(66)에서 선(60, 62, 64)은, 모터 전류가 제 1 극성에서 가해지고 포토트랜지스터가 LED 소스의 최대 방사물을 탐지함에 따라 정상상태에서 액츄에이터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표의 제 2 영역(68)에서, 포토트랜지스터 전압이 전이 영역에 있고, 이 경우 차단기 날개가 LED 소스로부터 포토트랜지스터에 도달하는 방사물 양을 차단하기 시작함에 따라 전압은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포토트랜지스터 전압이 최대값보다 낮은 값에 가까운 예정된 문턱값에 도달하는 예정된 문턱 위치(69)에서, 제어기는 동시에 모터의 전극을 단락시킴에 의해 동적 브레이킹을 개시하고, 이에 의해 모터 전류는 즉시 극성을 반대가 되게 하고 회전 질량의 각 운동량이 전류로 변환됨에 따라 감소하며, 이 전류는 모터에 가해져서 반대 방향으로 모터를 움직이도록 한다. 사인파 선(60)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동적 브레이킹이 시작되는 지점(69)부터 액츄에이터의 정지 지점(70)까지, 출력 샤프트는 1.5 도를 이동한다. 동적 브레이킹의 개시 후 액츄에이터 회전은 1.5 도 내외일 수 있고, 이는 액츄에이터의 크기 및 이에 부착된 로드(load)에 좌우된다.
동적 브레이킹이 시작된 후 액츄에이터의 연속된 움직임은 차단기 날개와 액츄에이터의 정렬을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에 의해 브레이킹이 적절한 시간에 개시된다. 액츄에이터는 적절한 정지 구역을 수용하도록 정렬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먼저 최대 광 탐지를 가진 채 광차단기 스위치 포토트랜지스터로부터의 전압을 측정하고(V1) 이후 광 탐지를 갖지 않은 채 포토트랜지스터 전압을 측정하는(V2) 것에 의해 의한다. 이후 (V2+K*(V1-V2))의 "날개 세팅 전압"이 계산될 수 있고, 이 경우 K는 퍼센트로 일반적으로 100%보다는 0%에 가깝고, 예를 들면 20% 이다. 이는 제어기가 동적 브레이킹을 개시하도록 프로그램된 경우의 전압이다. 이후 최적화된 브레이킹 위치(도 6에서 지점(69)에 대략 상응함)는 필요한 리드 오프셋(lead offset)만큼 뺀 공칭(nominal) 정지 지점(지점 70)에서 정의될 수 있고, 이는 액츄에이터의 공칭 작동 조건 하에서 최고의 정지 동작 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특별한 실시예(광차단기 스위치를 사용하도록 전환되는 MA20A1001-1 액츄에이터)에 대해, 공칭 28 볼트 모터 공급 전압에서 모터 로드(0-50 in-bls)를 위한 모든 작동 지역에 대해 정지 구역은 약 1.5 내지 2 도 사이에 있도록 특징된다. 또한, 정지 구역은 낮은 전압(18V) 및 높은 전압(36V)으로 특징되고, 이는 모터 전압에 대한 모든 적절한 작동 범위에 걸쳐 이해(understanding)를 제공한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최적의 리드 오프셋은 1.75도로 선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에 대해, 최적화된 브레이킹 위치는 1.75도를 뺀 공칭 정지 위치로 정의되었다. 액츄에이터 및 차단기 날개를 정렬하기 위해, 이후 액츄에이터는 최적화된 브레이킹 위치에 맞춰질 수 있고, 차단기 날개는 날개 세팅 전압이 관찰될 때까지 이동된다. 차단기 날개는 도 2에서 도시된 세트 스크류(39)와 같이, 이 위치에서 출력 샤프트에 대한 위치로 고정된다.
상기 과정은 적절한 밸브 닫힘 위치에 대해 액츄에이터 및 차단기를 정렬하는 한 예시적 방법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다른 과정 또한 액츄에이터 이동의 어느 한 단부 또는 양 단부에서 구성요소의 적절한 정렬을 위해 개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차단기 스위치를 가진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정지 거리, 전압, 로드, 리드 오프셋, 및 이와 유사한 것은 시스템에 의존하는 것이고 특정 값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광차단기 스위치(34, 36)는 낮은 저항 상태로 가는 MOSFET 스위치와 같은 연관된 위치 스위치(56, 58)를 개별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액츄에이터 위치의 시각적 표시 또는 떨어진 전자적 피드백(remote electronic feedback)을 제공한다(예를 들어 부착된 밸브가 개방되거나 또는 닫히는 지 여부). 또한, 제어기(50)는 추가적인 특징(미도시)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액츄에이터 제어 전압에서 전압 스파이크를 막고 부적절한 제어 신호를 폐쇄하기 위해 회로 보호 특징 및 모터 전류를 모니터하기 위한 마이크로제어기와 같은 것으로 이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제어기(50)를 포함하는 회로 및 다른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프린트된 와이어링 보드(PWBs)(60a, 60b 및/또는 60c)에 설치될 수 있고, 이는 도 3A 및 3B에 도시된다.
상기 장치는 종래 기술을 넘는 장점을 제공하는데, 이는 광차단기 스위치가 스위치 와이어링으로부터 출력 샤프트로의 잠재적인 직류 경로를 제거한다는 점인데 이는 차단기 날개, 소스, 및 탐지기 사이의 에어 갭 때문이다. 또한, 차단기 날개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계 스위치와 다르게, 광차단기 스위치는 스파킹(sparking)을 만들지 않는다. 기계적 스위치의 제거에 부가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어 전자공학(electronics)은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 존재하는 전자-기계적 중계장치를 제거한다. 스파킹의 방지 및 다른 전기적 차폐(failure)는 항공 우주 산업 사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인데, 이 경우 액츄에이터는 주위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고, 연료 증발(fuel vapor), 또는 적어도 연료 증발의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재앙적 결과를 초래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이 구성요소는 항공 우주 산업 응용의 가혹한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이는 일반적으로 -55℃ 이하의 온도에서 작동할 조건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는 항공 우주 산업 응용에 대해 그리고 특히 밸브 액츄에이터로서의 사용에 대해 매우 적합할 수 있지만, 액츄에이터는 어떤 특별한 응용 또는 사용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캠 및 네 개의 마이크로스위치보다 두 개의 광차단기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은 방사상 축 상의 구성요소의 수를 줄이고, 이는 액츄에이터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 정렬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스택-업(stack-up)" 오차(tolerance)를 최소화하고, 그렇지 아니하면 액츄에이터(30)의 전체 제조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모든 구성요소에 대해 매우 엄격한 오차를 요구할 수 있다.
회전식 액츄에이터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6에서 도시되었지만, 또한 본 발명은 선형 액츄에이터의 예로서도 가능하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항공 응용을 위한, 광차단기 스위치를 사용하는 선형 액츄에이터는 회전식 액츄에이터에 대해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장점을 갖는다. 예시적 선형 액츄에이터는 도 7A 내지 7C에서 도시된다. 이러한 선형 액츄에이터와 관련한 전체 시스템 및 기초 제어는 회전식 액츄에이터에 대한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고, 다만 모터가 회전 출력을 갖는 기어 트레인(gear train)을 구동하는 대신, 선형 출력을 갖는 기어 트레인을 구동한다는 점이 다르다. 여기서 사용되는 "기어 트레인"이란 용어는, 모터 샤프트의 회전 입력을 일정한 출력 움직임으로 전환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이 종래 기어를 그대로 가지는 지는 관계없다. 회전식 액츄에이터 실시예에서, 기어 트레인은 예를 들어 예정된 경로를 따라 선형 랙(rack)을 이동시키는 피니온(pinion) 또는 웜(worm) 기어, 또는 도 7A 내지 7C에서 도시된 것처럼 스크류 및 부싱(bushing)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식 액츄에이터의 출력 기구는 회전 경로를 갖는 반면, 선형 액츄에이터에서의 출력 기구는 선형 경로에서 이동한다.
이제 도 7A 내지 7C로 돌아가면, 다수의 광차단기 제어 스위치(102a, 102b)를 포함하는 예시적 선형 액츄에이터(100)가 도시된다. 도 7A 내지 7C에서 도시된 특별한 설계에서, 모터(104)는 입력 샤프트(108)의 단부에서 피니온(106)을 회전시킨다. 피니온(106)은 합성 기어(109)를 구동시키고, 이는 아이들러(idler) 기어를 구동시키고, 이는 차례로 출력 기어(112)를 구동시키며, 이는 출력 스크류(114)를 회전시킨다. 출력 스크류(114)를 둘러싸는 부싱(116)은 출력 스크류의 수 나사산과 맞는 암 나사산 부분(117)을 포함한다. 로드 단부(120)를 갖는 로드(118)는 부싱(116)의 단부에 부착된다. 통풍 댐퍼(damper)와 같은 선형으로 작동되는 기구에 부착될 수 있는 로드 단부(120)는 따라서 출력 기구이고, 이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된다. 날개 위치 스크류(122)는 아이들러 기어(110) 상에 축방향으로 장착되고, 이는 출력 기어(112)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트래블러(traveler, 124)는 적어도 차단기 스위치(102) 사이의 공간에 대해 출력 스크류(114)와 평행한 수평 채널(126) 내에 꼭 맞는 하부 연장부(125)를 포함한다. 또한, 트래블러(124)는 차단기 날개(130)를 포함하고, 이는 출력 스크류에 수직하게 외부로 연장한다. 각각의 스위치(102)는 브래킷(bracket, 132)에 부착되고, 이는 스페이스(spacer, 136)에 의해 하우징(134)을 스크류하도록 고정된다.
작동에 있어서, 트래블러(124)는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고, 부싱(116)은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한다. 날개 위치 스크류(122)는 출력 스크류(114)보다 작 은 지름을 가지고, 스크류(114 및 122) 사이의 크기 차이는 기어(110 및 112) 사이의 크기 차이보다 더욱 실질적이며, 트래블러(124)의 선형 움직임의 전체 거리는 뷩(116)의 암 나사산 부분(117)보다 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단기 날개(130)의 이동 경로는 출력 기구(로드 단부 120)의 이동 경로에 상응하고, 그 경로는 서로 반대 방향인데, 왜냐하면 경로가 서로 비례하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도 2에 도시된 회전식 실제 실시예에서, 날개(38)의 회전 경로는 출력 샤프트(16)의 경로보다 더 큰 반경을 휩쓸고 지나가고, 두 경로는 서로 비례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단기 날개 및 출력 기구의 이동 경로는 거의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단기 날개는 회전 경로를 가질 수 있고 출력 기구는 선형 경로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모든 실시예에서 차단기 날개는 출력 기구의 이동에 대응하는 경로로 이동한다.
도 1 내지 6에서 도시된 특별한 회전식 액츄에이터 실시예 및 도 7A 내지 7C에서 도시된 선형 액츄에이터 실시예는 단지 예시이고, 다른 수많은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회전 출력을 요구하는 경로로 출력 기구의 요구되는 움직임으로 바꾸기 위하여 수많은 기어 트레인이 당업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어떤 특별한 구성요소의 사용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차단기 스위치가 광차단기 스위치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실시예가 여기서 설명되었고, 다른 형태의 차단기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 효과(Hall effect) 센서 차단기 스위치는 자기장을 발하는 소스, 자기장을 탐지하는 탐지기, 및 자기장을 흡수하는 차단기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다른 태양에서, 홀 효 과 차단기 스위치를 포함하는 발명은 광 차단기 스위치에 대해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는 오직 예시로서만 제공되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수많은 변경, 변화 및 교체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변경을 포괄하는 첨부된 청구항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되었다.

Claims (27)

  1. 액츄에이터로서,
    기어 트레인(gear train)을 통해 출력 기구에 연결된 입력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출력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출력 기구의 이동에 상응한 경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차단기 날개(interrupter vane);
    상기 출력 기구의 이동 한계에 상응하는 지점에서 상기 차단기 날개의 경로를 따라 서로 이격된 둘 이상의 차단기 스위치로서,
    각각의 차단기 스위치가 소스, 상기 소스로부터 이격된 탐지기, 및 상기 차단기 날개의 이동 경로로 정렬되고 상기 소스 및 상기 탐지기 사이에 위치한 차단기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기구가 상기 상응하는 이동 한계에 위치할 때 상기 차단기 날개가 상기 차단기 채널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탐지기가 상기 소스로부터 방사물을 탐지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차단기 스위치; 및
    명령 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차단기 스위치 중 하나로부터 상기 차단기 날개가 상기 이동 한계 중 하나에 위치하거나 또는 이에 접근한다는 표시에 응하여 상기 모터를 비구동시키기 위하여 차단기 스위치 및 전원 장치에 연결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이에터가 회전식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기구가 회전 출력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기 날개는, 상기 차단기 날개가 회전 경로를 이동하도록, 상기 출력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출력 샤프트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차단 스위치는, 각각의 차단기 채널이 상기 차단기 날개의 회전 경로와 방사상으로 정렬되도록, 서로 회전식으로 이격되고 상기 출력 샤프트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선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기구가 선형 경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스위치가 광차단기 스위치이고, 상기 소스가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탐지기가 광탐지기(photodete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가 발광 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ED가 주로 적외선 광을 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차단기 스위치 신호 전송기가 탐지된 소스 방사물의 비례적인 양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차단기 스위치로부터 최대 소스 방사물보다 적은 예정된 양의 소스 방사물이 탐지되었다는 표시에 응하여 모터를 비구동화 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차단기 스위치로부터 탐지된 예정된 양의 소스 방사물이 최대 소스 방사물보다 소스 방사물이 없는 것에 가깝다는 표시에 응하여 모터를 비구동화 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출력 기구가 제 1 한계 위치에 있을 때 제 1 전압으로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출력 기구가 제 2 한계 위치에 있을 때 제 2 전압으로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압이 상기 제 1 전압과 극성이 반대이고 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H-다리(H-Bridge)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모터 전류를 모니터하거나 액츄에이터 제어 전압에서 전압 스파이크(spike)를 방지하거나 부적절한 제어 신호를 폐쇄하거나 또는 이를 조합하여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차단기 스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표시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가 MOSFET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스위치가 서로 90도로 회전식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구가 밸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항공 우주 산업 서비스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DC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트레인이 한 세트의 유성 기어(planetary ge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2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구가 제 1 스크류에 의해 구동된 선형 움직임을 갖고, 상기 차단기 날개가 제 2 스크류에 의해 구동된 선형 움직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기구가 제 1 방향으로 제 1 길이를 갖는 제 1 경로를 따라 움직이고, 상기 차단기 날개가 제 2 방향으로 제 2 길이를 갖는 제 2 경로를 따라 움직이며, 여기서
    (a) 상기 제 1 길이는 상기 제 2 길이와 동일하지 않거나, (b)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과 서로 다르거나, (c) 상기 제 1 길이가 상기 제 2 길이와 동일하지 않고 상기 제 1 방향이 상기 제 2 방향과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모터를 비구동화 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상기 모터의 동적 브레이킹을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모터의 전극을 동시에 단락시킴에 의해 동적 브레이킹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차단기 스위치 신호 전송기가 탐지된 소스 방사물의 비례적인 양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차단기 스위치로부터 최대 소스 방사물보다 적고 최대 소스 방사물보다 소스 방사물이 없는 것에 더 가까운 정도의 예정된 양의 소스 방사물이 탐지되었다는 표시에 응하여 동적 브레이킹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26.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비행기로서,
    각각의 액츄에이터가
    기어 트레인(gear train)을 통해 출력 기구에 연결된 입력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출력 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출력 기구의 이동에 상응한 경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차단기 날개(interrupter vane);
    상기 출력 기구의 이동 한계에 상응하는 지점에서 상기 차단기 날개의 경로를 따라 서로 이격된 둘 이상의 차단기 스위치로서,
    각각의 차단기 스위치가 소스, 상기 소스로부터 이격된 탐지기, 및 상기 차단기 날개의 이동 경로로 정렬되고 상기 소스 및 상기 탐지기 사이에 위치한 차단기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기구가 상기 상응하는 이동 한계에 위치할 때 상기 차단기 날개가 상기 차단기 채널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탐지기가 상기 소스로부터 방사물을 탐지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차단기 스위치; 및
    명령 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차단기 스위치 중 하나로부터 상기 차단기 날개가 상기 이동 한계 중 하나에 위치하거나 또는 이에 접근한다는 표시에 응하여 상기 모터를 비구동시키기 위하여 차단기 스위치 및 전원 장치에 연결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비행기.
  27.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식 액츄에이터로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밸브에 연결된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구동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회전 경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차단기 날개;
    상기 샤프트의 이동 한계에 상응하는 지점에서 상기 차단기 날개의 회전 경로를 따라 서로 회전식으로 이격되고 상기 샤프트에 대해 방사상으로 이격된 한 쌍의 광차단기 스위치로서,
    각각의 광차단기 스위치가 소스, 상기 소스로부터 이격되고 포토트랜지스터에 의해 탐지된 광의 양에 비례하는 전압을 발송하도록 구성된 포토트랜지스터, 및 상기 소스 및 상기 포토트랜지스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차단기 날개의 회전 경로와 방사상으로 정렬된 차단기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날개는 상기 샤프트가 상응하는 이동 한계에 있을 때 상기 차단기 채널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광차단기 스위치; 및
    명령 신호에 응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광차단기 스위치 중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전류의 부재에 응하여 상기 모터를 비구동화시키고 동적 브레이킹하기 위하여 상기 광차단기 스위치 및 전원 장치에 연결된 제어기로서,
    상기 제어기는 제 1 차단기 스위치로부터의 문턱 전압이 없이 상기 명령 신호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제 1 전압으로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제 2 차단기 스위치로부터의 문턱 전압이 없이 상기 명령 신호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전압과 크기는 동일하나 극성이 반대인 제 2 전압을 제공하며, 상기 차단기 스위치로부터 최대 소스 방사물보다 소스 방사물이 없는 것에 더 가깝고 최대 소스 방사물보다 작은 예정된 양의 소스 방사물이 탐지된다는 표시에 응하여 동적 브레이킹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식 액츄에이터.
KR1020067023040A 2004-04-02 2005-03-24 차단기-형태 제어 스위치를 구비한 액츄에이터 KR101162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17,080 2004-04-02
US10/817,080 US7105801B2 (en) 2004-04-02 2004-04-02 Actuator with interrupter-type limit switches
PCT/US2005/009775 WO2006006959A1 (en) 2004-04-02 2005-03-24 Actuator with interrupter-type limit switch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663A true KR20070009663A (ko) 2007-01-18
KR101162788B1 KR101162788B1 (ko) 2012-07-04

Family

ID=3497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040A KR101162788B1 (ko) 2004-04-02 2005-03-24 차단기-형태 제어 스위치를 구비한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05801B2 (ko)
EP (1) EP1756455B1 (ko)
JP (1) JP4786641B2 (ko)
KR (1) KR101162788B1 (ko)
CN (1) CN100464102C (ko)
AT (1) ATE488724T1 (ko)
AU (1) AU2005262936B2 (ko)
DE (1) DE602005024801D1 (ko)
WO (1) WO20060069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4657B2 (en) * 2006-07-12 2009-12-01 Thermotion Corporation Motor-driven actuator
WO2008075691A1 (ja) * 2006-12-19 2008-06-26 Hitachi Metals, Ltd. 高周波回路、高周波部品、及び通信装置
JP5750325B2 (ja) * 2011-07-15 2015-07-22 山洋電気株式会社 エンコーダ
US20140209146A1 (en) * 2011-08-26 2014-07-31 Raon Tech Co., Ltd. Solar power generating apparatus
RU2531208C1 (ru) * 2013-05-07 2014-10-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лектропривод" Электромеханизм поступа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CN103591362B (zh) * 2013-11-15 2015-08-19 天津河北工业大学资产经营有限责任公司 一种通断控制器专用执行器
CN104835663B (zh) * 2015-06-05 2017-03-01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自动控制工程分公司 汽轮机开关盒
CN107152539A (zh) * 2016-03-06 2017-09-12 张大伟 阀门控制装置
CN106015688B (zh) * 2016-07-11 2018-06-26 乐清市奥格节能自控系统有限公司 万能连接的电动执行器
TWI682371B (zh) * 2018-11-01 2020-01-11 褚錦雄 應用線性訊號遮斷以輸出調整訊號之控制開關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6482A (en) * 1964-06-19 1967-08-15 Square D Co Plunger operated photoelectric switch convertible from normally on to normally off
US3498328A (en) * 1967-12-29 1970-03-03 Buell Eng Co Rotary valve
US3588512A (en) * 1969-07-01 1971-06-28 Harry F Hollien Apparatus using radiation sensitive switch for signalling and recording data
AT345515B (de) 1973-09-24 1978-09-25 Kutzner Luitpold Absperreinrichtung zum einbau in die abgasleitung von feuerstaetten, insbesondere gasfeuerstaetten
US3989943A (en) * 1975-07-03 1976-11-02 Campbell John E Angularly adjustable optical switch assembly
US4223217A (en) * 1977-05-12 1980-09-16 Eaton Corporation Fiber optic electric switch
JPS545456U (ko) * 1977-06-14 1979-01-13
JPS5561291A (en) * 1978-11-01 1980-05-08 Tlv Co Ltd Driving device by motor
JPS5561289A (en) * 1978-11-01 1980-05-08 Tlv Co Ltd Driving device by motor
JPS5569375A (en) * 1978-11-20 1980-05-24 Tlv Co Ltd Electric valve
JPS57134797A (en) * 1981-02-13 1982-08-20 Aisin Seiki State reading control method for photo interrupting sensor
US4607160A (en) * 1982-09-21 1986-08-19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Non-contact switching device
JPS59174470U (ja) * 1983-05-10 1984-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バルブ
JPS63122222U (ko) * 1987-01-31 1988-08-09
JP2522113Y2 (ja) * 1989-09-28 1997-01-08 株式会社キッツ 開閉バルブのアクチュエータ
JP2779452B2 (ja) * 1989-12-19 1998-07-23 株式会社キッツ 電動アクチユエータ
JP2652718B2 (ja) * 1990-01-08 1997-09-10 株式会社キッツ バルブ用電動アクチュエータ
US5519299A (en) * 1994-11-16 1996-05-21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encoding the position of a reverser handle on a locomotive control stand
JPH08322189A (ja) * 1995-05-23 1996-12-03 Nippon Seiko Kk 電動式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H10281336A (ja) * 1997-04-08 1998-10-23 Kawaden:Kk 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装置
US6186471B1 (en) * 1998-05-15 2001-02-13 Taco, Inc. Electronic motorized zone valve
JP3959872B2 (ja) * 1998-11-06 2007-08-15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式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6285021B1 (en) * 1999-07-27 2001-09-04 Banner Engineering Corp. Self checking safety switch
US6483105B2 (en) * 2001-02-22 2002-11-19 Realtime Automation, Inc. Optically controlled actuator
US6561481B1 (en) * 2001-08-13 2003-05-13 Filonczuk Michael A Fluid flow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delivering fluid at a continuously variable flow rate
CN100404935C (zh) * 2002-06-20 2008-07-23 株式会社开滋 用于阀门的致动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56455A1 (en) 2007-02-28
WO2006006959A1 (en) 2006-01-19
CN100464102C (zh) 2009-02-25
US7105801B2 (en) 2006-09-12
AU2005262936A1 (en) 2006-01-19
KR101162788B1 (ko) 2012-07-04
JP4786641B2 (ja) 2011-10-05
AU2005262936B2 (en) 2010-01-14
JP2007531490A (ja) 2007-11-01
CN1997845A (zh) 2007-07-11
ATE488724T1 (de) 2010-12-15
DE602005024801D1 (de) 2010-12-30
EP1756455B1 (en) 2010-11-17
US20050218311A1 (en)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788B1 (ko) 차단기-형태 제어 스위치를 구비한 액츄에이터
ES2900587T3 (es) Método para evaluar de la presencia de una falla eléctrica, electrónica y/o mecánica en un actuador electromecánico lineal
KR102279860B1 (ko) 매니퓰레이터 구동 유닛
US11060633B2 (en) Methods of determining a force associate with a valve system
US11054057B2 (en) Sensors for valve systems and related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GB2490032A (en) A variable area nozzle actuation control system
US9587725B2 (en) Ball screw actuator including a compliant ball screw stop
RU2635554C2 (ru) Приводы клапанов
EP3381796A1 (en) Aerodynamic control surface movement monitoring system for aircraft
EP3399282A1 (en) Contactless position sensor with circuit structure for sensing the position of a pointer mounted to a movable part
SE542386C2 (en) Controlled electric motor
CN112512753A (zh) 用于机械手的驱动装置
EP3457091B1 (en) Actuator position sensor mechanism
KR20030065091A (ko) 센서와 전자브레이크를 구비한 자체 신축방식의전기액추에이터
US20230332676A1 (en) Multiple load path actuator with fault detection
Lavrentjev et al. Method for effective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positioning of the output link of the mechatronic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