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386A - 지엽류 분리 기구 및 그것을 이용한 지엽류 분리 집적기구 - Google Patents

지엽류 분리 기구 및 그것을 이용한 지엽류 분리 집적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386A
KR20070009386A KR1020060053781A KR20060053781A KR20070009386A KR 20070009386 A KR20070009386 A KR 20070009386A KR 1020060053781 A KR1020060053781 A KR 1020060053781A KR 20060053781 A KR20060053781 A KR 20060053781A KR 20070009386 A KR20070009386 A KR 20070009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paper
paper sheets
stag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2038B1 (ko
Inventor
신지 오하라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4Pressing or h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2번째로 내 보내는 지엽류에 모멘트가 작용하여, 그 지엽류의 자세가 크게 어긋나게 되는 것으로 지엽류 잼 등의 장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지엽류가 집적되어 있는 스테이지와, 상기 지엽류를 내 보내는 방향을 따른 중심선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엽류를 내 보내는 픽커 롤러를 구비한 지엽류 분리 기구에 있어서, 지엽류를 내 보낼 때, 상기 스테이지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의 상기 픽커 롤러로부터 내 보내는 방향의 상류측을 누르는 누름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엽류, 스테이지, 픽커 롤러, 누름 수단

Description

지엽류 분리 기구 및 그것을 이용한 지엽류 분리 집적기구{APPARATUS FOR SEPERATING PAPER SHEETS AND APPARATUS FOR SEPERATING/STACKING PAPER SHEETS USING THE SAME}
도 1은 실시예 1의 지엽류 분리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실시예 1 지엽류 분리 기구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집적한 지엽류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실시예 1의 지엽류를 내 보냈을 때 다음에 내 보낼 지엽류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점 B에 힘 FB이 작용하지 않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2의 지엽류 분리 집적 기구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7은 실시예 2의 지엽류 분리 집적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종래의 지엽류에 작용하는 힘이나 마찰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2번째로 내 보내는 지엽류에 모멘트가 작용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엽류 분리 기구 2 : 지엽류 수납부
2a : 프론트판 2b : 리어판
2c : 측면판 2d : 바닥판
3 : 스테이지 4a, 4b : 피드 롤러
5 : 피드 롤러 샤프트 6, 11 : 높은 마찰부재
7a, 7b : 분리 롤러 8a, 8b, 8c, 8d : 픽커 암
9a, 9b, 9c, 9d : 픽커 롤러 10, 14 : 스프링
12a, 12b : 누름 롤러 13a, 13b : 누름 롤러 암
20 : 빌 프레셔 부 21 : 샤프트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지폐나 전표류의 지엽류가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수납부로부터 지엽류를 분리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 및 지엽류 분리 집적 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지엽류 분리 기구는, 지엽류를 내 보낼 때에 스테이지를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를 픽커 롤러로 누름과 동시에, 픽커 롤러를 회전시켜서 지엽류를 1장씩 분리해서 피드 롤러와 분리 롤러 사이에 내 보내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5-147749호 공보 (제4쪽 단락 0019 - 단락0020, 제1도)
[발명의 개시]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지엽류를 내 보낼 때 픽커 롤러로 지엽류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사이에서 픽커 롤러가 누르고 있는 개소에 비교적 큰 마찰이 일어나, 첫 번째로 내 보내는 지엽류와 2번째로 내 보내는 지엽류 사이에 생기는 마찰과, 2번째로 내 보내는 지엽류와 3번째로 내 보내는 지엽류 사이에 생기는 마찰과의 밸런스에 의해, 내 보내지는 1번째의 지엽류에 영향을 받아 2번째의 지엽류가 움직여 그 자세가 어긋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2번째 지엽류의 한쪽이 내 보내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다른쪽이 움직이지 않았을 경우, 지엽류의 자세가 크게 벗어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지엽류를 내 보내게 되면 지엽류 반송로 도중에 잼 등의 장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가 일어날 경우의 지엽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의 밸런스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종래의 지엽류에 작용하는 힘이나 마찰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는 위쪽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집적하고 있는 모양을 옆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2번째로 내 보내지는 지엽류에 모멘트가 작용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스테이지 위에 집적되어 있는 최상위의 지엽류 P1을 지엽류 반송로로 내 보 낼 때, 스테이지를 이동시켜서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P를 내 보내는 방향을 따른 중심선의 양측에 배치한 2개의 픽커 롤러로 눌러 픽커 롤러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픽커 롤러로 누른 지엽류 P1을 피드 롤러와 분리 롤러와의 사이로 내보낸다.
도 8에 있어서, 점 A, 점 B는 스테이지를 이동시켜서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P를 픽커 롤러로 눌렀을 때, 지엽류 P에 픽커 롤러로부터의 압력 N이 작용하는 점이다.
L은 픽커 롤러 간의 길이이다.
μ12A는, 2번째로 내 보내지는 지엽류 P2의 점 A에서 생기는 지엽류 P1 사이의 정지마찰계수이다.
μ12B는, 지엽류 P2의 점 B에서 생기는 지엽류 P1와의 사이의 정지마찰계수이다.
μ23A는, 지엽류 P2의 점 A에서 생기는 3번째로 내 보내지는 지엽류 P3과의 사이의 정지마찰계수이다.
μ23B는, 지엽류 P2의 점 B에서 생기는 지엽류 P13와의 사이의 정지마찰계수이다.
여기에서, 지엽류 P1을 내 보냈을 때 지엽류 P2의 점 A에 작용하는 내 보내는 방향을 향하는 힘 FA는,
[수 1]
Figure 112006041843594-PAT00001
로 나타낸다. 단, μ23A>μ12A인 경우, 지엽류 P2와 지엽류 P3 사이의 마찰이 지엽류 P1과 지엽류 P2사이의 마찰보다도 크기 때문에 점 A는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지엽류 P1을 내 보냈을 때 지엽류 P2의 점 B에 작용하는 내 보내는 방향을 향하는 힘 FB은,
[수 2]
Figure 112006041843594-PAT00002
로 나타낸다. 단, μ23B>μ12B인 경우, 지엽류 P2와 지엽류 P3과의 사이의 마찰이 지엽류 P1과 지엽류 P2 사이의 마찰보다도 크기 때문에 점 B는 움직이지 않는다.
여기에서,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엽류 P2에 힘 FA에 의해 점 A가 움직이고, 힘 FB가 작용했지만 점 B가 움직이지 않았을 경우, 지엽류 P2에는 점 B를 중심으로 한 모멘트가 발생하여 지엽류 P2의 자세가 어긋나게 된다.
이와 같이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사이의 마찰에 의해, 내 보내지는 지엽류 P1과 함께 움직이게 되는 지엽류 P2에 있어서, 지엽류 P2의 한쪽이 내보내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다른쪽이 움직이지 않았을 경우에 모멘트가 작용하여 지엽류 P2의 자세가 크게 어긋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번째로 내보내는 지엽류에 모멘트가 작용하여, 그 지엽류의 자세가 크게 어긋나게 되는 것으로 지엽류 잼 등의 장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지엽류가 집적되어 있는 스테이지와, 상기 지엽류를 내 보내는 방향을 따른 중심선의 양쪽에 배치되어, 상기 지엽류를 내 보내는 픽커 롤러를 구비한 지엽류 분리 기구에 있어서, 지엽류를 내 보낼 때, 상기 스테이지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의 상기 픽커 롤러로부터 내 보내는 방향의 상류측을 누르는 누름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엽류 분리 기구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지엽류 분리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지엽류 분리 기구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집적된 지엽류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실시예 1의 지엽류를 내 보냈을 때 다음에 내 보내는 지엽류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도 2에 있어서, 부호 1은 지엽류 분리 기구이다.
2는 지엽류 수납부이며, 프론트판(2a)과 이것에 대향하여 설치된 리어판(2b), 프론트판(2a)과 리어판(2b)의 옆쪽에 설치된 한 쌍의 측면판(2c) 및 바닥판(2d)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으로,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바닥판(2d)으 로부터 멀어지거나 다가오도록 왕복 이동하는 스테이지(3)를 구비하고, 스테이지(3)에 지엽류 P가 집적된다.
또한, 도 1은 앞쪽의 측면판(2c)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4a , 4b는 피드 롤러이며, 지엽류 수납부(2)의 입구에 설치된 피드 롤러 샤프트(5)에 부착되어 정방향 역방향이 가능하도록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그 일부에 지엽류 P의 반송을 위해 충분한 마찰력을 가지는 높은 마찰부재(6)가 부착된다.
부호 7a , 7b는 분리 롤러이며, 각각 피드 롤러(4a, 4b)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지엽류 P의 내보내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부호 8a, 8b은 픽커 암이며, 피드 롤러 샤프트(5)의 회전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을 피드 롤러 샤프트(5)에 부착하고, 타단에는 픽커 롤러(9a, 9b)가 부착됨과 동시에, 스테이지(3)가 이동해서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P가 픽커 롤러(9a, 9b)로 눌렸을 때 픽커 롤러(9a, 9b)가 지엽류 P를 소정압으로 누르도록 스프링(10)이 부착된다.
픽커 롤러(9a, 9b)는, 외주의 일부에 지엽류 P를 내 보내기 위해서 충분한 마찰력을 가진 높은 마찰부재(11)가 부착되고, 도시하지 않은 벨트 등을 통해 피드 롤러(4a, 4b)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픽커 암(8a, 8b)은 스테이지(3)가 이동하여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P를 픽커 롤러(9a, 9b)로 눌렀을 때 지엽류 P의 내 보내는 방향을 따른 중심선의 양측에 배치된다.
부호 12a, 12b는 누름 수단으로서 공회전하는 수지제 롤러나 볼베어링을 이용한 롤러 등의 누름 롤러이며, 각각 픽커 롤러(9a, 9b)의 내 보내는 방향을 따른 동일선상의 상류측에서, 누름 롤러 암(13a, 13b)에 의해 부착된다.
누름 롤러 암(13a, 13b)은, 일단은 리어판(2b)의 근방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타단은 누름 롤러(12a, 12b)를 부착하고 있으며, 지엽류 P를 내 보낼 때에 스테이지(3)가 이동하여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P가 누름 롤러(12a, 12b)로 눌렸을 때, 누름 롤러(12a, 12b)로부터 지엽류 P에 50∼100g정도의 하중이 걸리도록 스프링(14)이 부착된다.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지엽류 수납부(2)의 스테이지(3)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P를 도시하지 않은지엽류 반송로로 내 보낼 때,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P를 픽커 롤러(9a, 9b) 및 누름 롤러(12a, 12b)로 누르도록 스테이지(3)를 이동시키고, 픽커 롤러(9)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픽커 롤러(9a, 9b)의 높은 마찰부재(11)에 의해 최상위 지엽류 P1을 피드 롤러(4)와 분리 롤러(7) 사이로 내 보낸다.
누름 롤러(12a, 12b)는 스테이지(3)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P의 내 보내는 방향을 따른 중심선의 양측을 누르고, 내 보내지는 지엽류 P1에 의해 내 보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지엽류 P1밑에 있는 다음에 내 보내는 지엽류 P2에 생기는 마찰을, 도 3에 나타내는 2번째의 지엽류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설명도를 따라서 설명 한다.
또한, 전술한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에서 설명한 개소와 같은 개소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도 4에 있어서, D는 스테이지(3)를 이동시켜서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P를 누름 롤러(12a, 12b)로 눌렀을 때, 누름 롤러(12a)로부터의 압력 M이 작용하는 점이다.
E는 스테이지(3)를 이동시켜서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P를 누름 롤러(12a, 12b)로 눌렀을 때, 누름 롤러(12b)로부터의 압력 M이 작용하는 점이다.
μ12D는, 지엽류 P2의 점 D에서 발생하는 지엽류 P1와의 사이의 정지마찰계수이다.
μ12E는, 지엽류 P2의 점 E에서 생기는 지엽류 P1와의 사이의 정지마찰계수이다.
μ23D는, 지엽류 P2의 점 D에서 생기는 지엽류 P3과의 사이의 정지마찰계수이다.
μ23E는, 지엽류 P2의 점 E에서 생기는 지엽류 P3과의 사이의 정지마찰계수이다.
여기에서, 지엽류 P1을 내 보냈을 때 지엽류 P2의 점 D에서 내 보내는 방향에 작용하는 힘 FD는,
[수 3]
Figure 112006041843594-PAT00003
으로 나타낸다.
또한 지엽류 P1을 내 보냈을 때에 지엽류 P2의 점 E에서 내 보내는 방향에 작용하는 힘 FE는,
[수 4]
Figure 112006041843594-PAT00004
로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점 B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힘 FB만으로는 점 B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 힘 FD의 점 D와 점 B를 연결하는 직선방향의 분력(이하, 분력 FD′라고 한다.)과, 힘 FE와의 합력이 점 B에 작용한다.
도 5에 있어서, θ는 힘 FD가 작용하는 방향과 점 D와 점 B를 잇는 직선과의 각도이다.
분력 FD′는,
[수 5]
Figure 112006041843594-PAT00005
로 나타내고, 이것에 의해 점 B에 있어서의 분력FD′과 힘 FE와의 합력 FB′은,
[수 6]
Figure 112006041843594-PAT00006
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여, 지엽류 P를 내보내는 방향을 따른 중심선의 양측을 누르는 누름 롤러(12a, 12b)를 설치하고, 지엽류 P를 내 보낼 때 누름 롤러(12a, 12b)로 지엽류 P를 눌러 하중을 거는 것에 의해, 누름 롤러(12a, 12b)로부터의 하중이 결려 있는 개소의 지엽류 P사이에서 마찰력이 생기고, 내 보내지는 지엽류 P1에 잡아당겨지도록 지엽류 P2의 점 D에 힘 FD 및 점 E에 힘 FE가 작용하므로, 지엽류 P1을 내 보냈을 때에 지엽류 P2의 점 B에 작용하는 힘 FB이 점 B를 움직일 수 없는 경우에는, 힘 FD의 분력 FD′와 힘 FE와의 합력 F′B이 점 B에 작용하여 점 B를 움직이므로, 지엽류 P2에 모멘트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엽류의 내 보내는 방향을 따른 중심선의 양측을 누르는 누름 롤러를 설치하고, 지엽류를 내 보낼 때에 누름 롤러로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를 눌러 하중을 걸어서 지엽류 사이에 마찰력을 일으킴으로써, 지엽류를 내 보냈을 때에 2번째로 내 보내지는 누름 롤러로부터의 하중이 걸리는 지엽류의 양측에 내 보내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므로, 지엽류 한쪽이 움직이고 다른쪽이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발생하는 모멘트로 지엽류의 자세가 크게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지엽류 잼 등의 장해의 발생을 방지한다.
[실시예 2]
도 6은 실시예 2의 지엽류 분리 집적 기구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7은 실시예 2의 지엽류 분리 집적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도 7에 있어서, 부호 15는 지엽류 분리 집적 기구이다.
부호 20은 빌 프레셔 부이며,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스테이지(3)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샤프트(21)에 누름 롤러 암(13a, 13b)의 일단을 부착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픽커 암(8a, 8b)을 피드 롤러(4a)의 양측에 설치하여, 새롭게 픽커 롤러(9c)를 부착한 픽커 암(8c)과, 픽커 롤러(9d)를 부착한 픽커 암(8d)을 피드 롤러(4b)의 양측에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누름 수단으로서의 누름 롤러(12a)는 픽커 롤러(9a, 9b) 사이의 내 보내는 방향의 상류측에, 누름 롤러(12b)는 픽커 롤러(9c, 9d) 사이의 내 보내는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지엽류 P를 스테이지(3)위로 집적할 때, 즉 도시하지 않은 지엽류 반송로에 의해 반송하고, 피드 롤러(4)와 분리 롤러(7) 사이에서 끼운 지엽류를 지엽류 수납부(2)의 내부로 방출할 때, 방출되는 지엽류 P가 누름 롤러(12a, 12b)에 닿아 스테 이지(3)위에 집적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반송되어 오는 지엽류 P를 집적하고 있는 동안, 누름 롤러(12a, 12b)를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 P에서 분리하도록 빌 프레셔 부(20)를 이동시킨다.
지엽류 P을 집적하는 이외에, 즉 반송된 지엽류 P를 모두 집적한 후나 지엽류 P의 집적이나 내 보냄을 행하지 않고 있을 때는, 누름 롤러(12a, 12b)로 스테이지(3)에 집적한 지엽류 P를 누르도록 빌 프레셔 부(20)를 이동시킨다.
또한 지엽류 P를 내 보내기 위해 집적한 지엽류를 픽커 롤러(9a, 9b)로 누르도록 스테이지(3)를 이동시킬 때는, 스테이지(3)위에 집적한 지엽류 P를 누름 롤러(12a, 12b)가 계속적으로 누르도록 스테이지(3)의 이동에 맞춰서 같은 방향으로 빌 프레셔 부(20)를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효과에 더해서, 빌 프레셔 부를 설치하여, 반송된 지엽류를 집적하고 있을 때는 누름 롤러를 집적하고 있는 지엽류로부터 분리하도록 빌 프레셔 부를 이동시켜 두고, 지엽류의 집적이 종료한 후에 누름 롤러로 집적한 지엽류를 누르는 위치까지 빌 프레셔 부를 이동시키켜, 지엽류를 내 보내기 위해 스테이지가 픽커 롤러쪽으로 이동할 때에, 누름 롤러가 지엽류를 계속해서 누르도록 빌 프레셔 부를 스테이지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했으므로, 지엽류 분리 집적 기구의 진동 등에 의해 지엽류 수납 부내에 집적한 지엽류의 자세가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누름 롤러 암에 스프링을 부착하여 누름 수단으로서의 누름 롤러가 지엽류를 50∼100g정도의 하중으로 누르도록 하여 설명 했지만 누름 수단은 상기에 한하지 않고, 누름 롤러의 자체 무게 등으로 50∼100g정도의 하중이 걸리도록 누름 롤러 암에 누름 롤러를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지엽류를 내 보낼 때 픽커 롤러보다도 지엽류를 내 보내는 방향의 상류에서 스테이지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의 양측에 하중을 거는 것에 의해, 지엽류 사이에서 하중이 걸리는 개소에서 마찰이 작용해서 내 보내지는 지엽류에 잡아 당겨지도록 2번째로 내 보내지는 지엽류의 양측에 내 보내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므로, 지엽류의 한쪽이 움직여서 다른쪽이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 지엽류의 자세가 크게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엽류 잼 등의 장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지엽류가 집적되어 있는 스테이지와, 상기 지엽류를 내 보내는 방향을 따른 중심선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엽류를 내 보내는 픽커 롤러를 구비한 지엽류 분리기구로서,
    지엽류를 내 보낼 때, 상기 스테이지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의 상기 픽커 롤러로부터 내 보내는 방향의 상류측을 누르는 누름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수단을, 지엽류의 상기 중심선의 양측을 누르는 누름 롤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롤러를 내 보내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누름 롤러 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롤러를, 상기 픽커 롤러와 동일선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지엽류 분리 기구.
  5.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지엽류를 집적하는 스테이지와, 상기 지엽류를 내 보내는 방향을 따른 중심선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엽류를 내 보내는 픽커 롤러를 구비한 지엽류 분리 집적 기구로서,
    상기 스테이지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부착되어, 상기 스테이지에 집적한 지엽류의 상기 픽커 롤러로부터 내보내는 방향의 상류측을 상기 중심선의 양측에서 누르는 누름 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스테이지에 지엽류를 집적할 때는, 상기 누름 롤러를 상기 샤프트에 의해, 상기 집적하고 있는 지엽류로부터 멀어진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스테이지에 지엽류를 집적할 때 이외는, 상기 스테이지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를 상기 누름 롤러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집적 기구.
KR1020060053781A 2005-07-15 2006-06-15 지엽류 분리 기구 및 그것을 이용한 지엽류 분리 집적기구 KR101292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06620A JP2007022741A (ja) 2005-07-15 2005-07-15 紙葉類分離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紙葉類分離集積機構
JPJP-P-2005-00206620 2005-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386A true KR20070009386A (ko) 2007-01-18
KR101292038B1 KR101292038B1 (ko) 2013-08-01

Family

ID=3760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781A KR101292038B1 (ko) 2005-07-15 2006-06-15 지엽류 분리 기구 및 그것을 이용한 지엽류 분리 집적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022741A (ko)
KR (1) KR101292038B1 (ko)
CN (1) CN18959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4426B2 (ja) * 2006-06-30 2011-06-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分離装置
CN101635064B (zh) * 2008-12-03 2012-08-15 高新现代智能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卡片自动发放装置
JP2011079596A (ja) * 2009-10-03 2011-04-21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紙葉類分離搬送装置
WO2011114513A1 (ja) * 2010-03-19 2011-09-2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繰出装置
JP5648093B2 (ja) * 2013-06-27 2015-01-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搬送機構及びシート搬送機構が組み込まれた画像形成装置
KR102255909B1 (ko) * 2014-12-30 2021-05-2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픽업유닛 및 다권종 지폐 정렬장치
JP7424049B2 (ja) 2019-12-26 2024-0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
CN113002214B (zh) * 2021-03-29 2022-03-25 郑州科技学院 一种会计用凭证核对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5135U (ko) * 1974-04-20 1975-11-07
JPS62171526U (ko) * 1986-04-21 1987-10-30
JPH0234530U (ko) * 1988-08-26 1990-03-06
JP3186026B2 (ja) * 1996-08-01 2001-07-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袋フィーダ
JPH1159942A (ja) * 1997-08-06 1999-03-02 Murata Mach Ltd 給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038B1 (ko) 2013-08-01
CN1895975A (zh) 2007-01-17
JP2007022741A (ja)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038B1 (ko) 지엽류 분리 기구 및 그것을 이용한 지엽류 분리 집적기구
US6244589B1 (en) Banknote stacking apparatus
US8397899B2 (en) Mail feeder with improved stripper mechanism
CN101595054B (zh) 用于储存薄衬纸的方法和设备
US5941681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lat, flexible objects, for example plastic or paper cards
CN101595053A (zh) 将介质组合体与介质垛分开
JP2007237562A (ja) 用紙束成形装置
CN1769153A (zh) 片材处理装置及图像形成装置
US9008568B2 (en) Sheet storing apparatus,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110114478A (ko) 지폐 처리 장치
US7588249B2 (en) Signature hopper with flexible guide
CN1392093A (zh) 多张纸的输送设备和堆放多张纸的方法
US20140062000A1 (en) Feed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feeding device
CN101181968B (zh) 片材供给装置及具备该片材供给装置的堆垛捆扎机
US8056898B2 (en) Pin conveyor for printed sheet material and transfer unit
KR101183787B1 (ko) 지엽류 조출 기구
US774870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eeding out end sheets from a stack of sheets
US200601179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leaf sheet and/or plate sheet removal and/or transport for use with a printing apparatus
JP6529792B2 (ja) 紙葉類前処理装置
US20090001659A1 (en) Stack holding device to prevent push-out
JPH072413A (ja) スタッカ用シート材支持機構
CN101595051B (zh) 将薄衬纸与可记录图像的材料分开的设备及其方法
JP4382644B2 (ja) 紙葉類の供給装置及び紙葉類の供給方法
US7654524B2 (en) Multi-feed detection independent of number of sheets or type of sheets
US11006011B2 (en) Conditioner modules with calender rol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