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825A -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 Google Patents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825A
KR20070008825A KR1020050062640A KR20050062640A KR20070008825A KR 20070008825 A KR20070008825 A KR 20070008825A KR 1020050062640 A KR1020050062640 A KR 1020050062640A KR 20050062640 A KR20050062640 A KR 20050062640A KR 20070008825 A KR20070008825 A KR 20070008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bicycle
transmission shaft
transmis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 배 박
Original Assignee
인 배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 배 박 filed Critical 인 배 박
Priority to KR102005006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8825A/ko
Publication of KR20070008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7/00Freight- or passenger-carrying cycles
    • B62K7/02Frames
    • B62K7/04Frames having a carry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10Other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62K27/12Coupling parts for attaching cars or the like to cycle;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6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axle parts
    • B62M6/65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axle parts with axle and driving shaft arranged co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반자전거에서 뒷바퀴부분을 손수레인 트레일러로 교체하여 삼륜으로 제조하고, 동력전달 수단으로는 페달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축 중심에 전달하고, 상기 전달축은 양단부와 후방의 바퀴를 각각 체인으로 연결하여 페달에서 발생된 동력을 후방바퀴에 개별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각 바퀴를 제어하여 회전등이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하는 등 편의성을 향상시킨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트레일러를 구비한 자전거에 있어서, 상부에는 핸들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륜이 장착된 핸들프레임과, 전기 핸들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주프레임과, 전기 제1주프레임과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안장이 장착된 제2주프레임과, 전기 제1주프레임과 제2주프레임의 연결부분에 결합되고 페달이 장착된 구동스프라켓으로 구성된 자전거와; 물건을 안치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측면에 회전축을 각각 형성하여 전기 회전축에 장착된 후륜과, 전기 후륜을 제동시키기 위해 장착된 브레이크드럼으로 구성된 트레일러;가 자전거 후미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트레일러의 본체부 저면에는 베어링으로 자유회전가능하게 전달축을 결합하고, 전기 전달축의 내측에는 기어치수를 달리하는 다수의 스프라켓으로 구성된 변속기를 장착하여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하고, 전달축 외측의 양단부에는 측면스프라켓을 장착하여 회전축에 장착된 후방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자전거, 트레일러, 스프라켓, 변속기, 모터

Description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Bicycle With Trailer}
도 1은 종래의 자전거용 트레일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자전거용 트레일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에 따른 트레일러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자건거와 트레일러의 결합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동력전달체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일예에 따른 동력전달체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변속기와 전달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20 : 자전거
21 : 주프레임 22 : 핸들프레임
23 : 연결프레임 24 : 지지프레임
25 : 전륜 26 : 볼트
30 : 트레일러 31 : 본체부
32 : 후륜 33 : 전달축
34 : 회전축 35 : 변속기
36 : 결합부 37 : 고정바
40 : 체인 211 : 제1주프레임
212 : 제2주프레임 213 : 구동스프라켓
214 : 안장 231 : 제1연결프레임
232 : 제2연결프레임 233 : 갈고리부
311 : 꽂이부 331 : 베어링
332 : 측면스프라켓 333, 353 : 요홈
334 : 기어 341 : 후방스프라켓
342 : 브레이크드럼 351 : 스프라켓
361 : 홈 M : 모터
본 발명은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반자 전거에서 뒷바퀴부분을 손수레인 트레일러로 교체하여 삼륜으로 제조하고, 동력전달 수단으로는 페달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축 중심에 전달하고, 상기 전달축은 양단부와 후방의 바퀴를 각각 체인으로 연결하여 페달에서 발생된 동력을 후방바퀴에 개별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각 바퀴를 제어하여 회전등이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하는 등 편의성을 향상시킨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싸이클, 산악자전거 등 특수한 목적을 갖는 자전거를 제외한 대부분의 자전거에는 안장의 뒷부분에 짐을 안치할 수 있는 안치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치대에는 실을 수 있는 짐의 량이 한정되기 때문에 다량의 짐을 실을 수 있는 인력거 등의 트레일러를 줄로 연결사용하고 있다.
상기 트레일러가 연결된 자전거는 다량의 짐을 실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자전거와 트레일러가 끈을 이용한 약한 결합이기 때문에 트레일러하중과 방향전환에 의한 하중집중에 의해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자전거와 트레일러를 일체화한 자전거용트레일러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 20-0210503호에 제시되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종래기술은 자전거(1)의 뒷부분을 트레일러(2)와 결합 일체화하고, 페달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트레일러의 축에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동력전달과정에서 상기 종래기술은 동력발생축인 구동축(3)에서 발생된 동력을 체인을 이용하여 트레일러바퀴를 장착한 회전축(4)에 전달하게 되는데, 상기 두 축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중간에 변속기(6)를 장착한 브라켓(5)을 설치하여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트레일러바퀴가 구동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자전거트레일러도 트레일러바퀴가 장착된 회전축(4)의 중심 일측에만 동력이 전달됨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축 중심과 트레일러바퀴의 이격거리만큼 부하가 발생되어 발생된 부하만큼 동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 트레일러바퀴가 동일한 축에 의해 동일한 회전속도를 갖게 됨으로, 회전시 마찰력 증가와 회전반경이 커지는 단점은 여전히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전거의 뒷바퀴부분에 트레일러를 결합하고, 자전거 페달에서 발생된 동력은 트레일러의 전방에 설치된 전달축에 직접 전달하고, 상기 전달축은 양측에 설치된 스프라켓을 통해 한쌍의 트레일러바퀴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게 하여 바퀴에 근접한 축부분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동력손실을 최소화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바퀴에는 브레이크드럼과 변속기가 설치되어 부드러운 제동과 회전시 양바퀴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부하발생을 억제하여 동력의 전달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달축에 근접하여 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를 전달축에 고정시켜 자동으로 동력을 발생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는,
트레일러를 구비한 자전거에 있어서, 상부에는 핸들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륜이 장착된 핸들프레임과, 전기 핸들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주프레임과, 전기 제1주프레임과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안장이 장착된 제2주프레임과, 전기 제1주프레임과 제2주프레임의 연결부분에 결합되고 페달이 장착된 구동스프라켓으로 구성된 자전거와; 물건을 안치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측면에 회전축을 각각 형성하여 전기 회전축에 장착된 후륜과, 전기 후륜을 제동시키기 위해 장착된 브레이크드럼으로 구성된 트레일러;가 자전거 후미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트레일러의 본체부 저면에는 베어링으로 자유회전가능하게 전달축을 결합하고, 전기 전달축의 내측에는 기어치수를 달리하는 다수의 스프라켓으로 구성된 변속기를 장착하여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하고, 전달축 외측의 양단부에는 측면스프라켓을 장착하여 회전축에 장착된 후방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전거에는 연결프레임을 더 형성하고, 전기 연결프레임은 트레일러의 전방하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일단이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하로 일정각을 갖게 중앙이 절첩된 ">" 형태로 형성하고, 절첩된부분은 트레일러의 결합부에 볼트체결되도록 하고, 하부의 제1연결프레임 일단은 구동스프라켓이 장착된 주프레임 부분에 용착되고, 상부의 제2연결프레임의 일단은 제2주프레임의 일측에 용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좌우로 일정각을 갖는 "∧" 형태로 형성하여 절첩된 부분이 구동스프라켓이 장착된 주프레임 부분과 제2주프레임의 일측에 용착되도록 하고, 양 단부는 복수개로 형성된 트레일러의 결합부에 각각 결합되어 두 점을 이용하여 볼트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와 트레일러의 연결부분이 트레일러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일러의 전방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제1연결프레임의 중심일측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달축과 변속기의 접합부분에는 변속기를 구성하는 스프라켓이 전달축과 겉돌지 않도록 고정바를 삽입고정시키되, 상기 고정바가 삽입되는 전달축과 변속기 부분에는 고정바의 길이와 폭이 동일/유사한 요홈을 형성하여 고정바가 내설될 수 있도록 하고, 전달축과 변속기에 형성된 두 요홈의 깊이 합이 고정바의 두께와 동일/유사하게 형성하여 변속기에 전달된 동력이 고정바를 통해 전달축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방스프라켓은 기어치수가 다른 복수개로 형성하여 개별적인 변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전달축에는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기어를 더 장착하여 전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의 본체부는 중량이 가볍고, 내열성이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를 상세히 설명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에 따른 트레일러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자건거와 트레일러의 결합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동력전달체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일예에 따른 동력전달체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변속기와 전달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10)는 자전거(20)와, 전기 자전거의 후미에 결합되는 트레일러(30)로 구성된다.
상기 자전거는 일반자전거와 동일하게 하부에 전륜(25)이 장착되고, 상부에 핸들이 형성된 핸들프레임(22)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프레임은 주프레임(21)에 결합되되, 상기 주프레임(21)은 제1주프레임(211)과 제2주프레임(212)으로 구성되어 일단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제1주프레임(211)의 타단에는 상술된 핸들프레임(22)이 결합되고, 제2주프레임(212)의 타단에는 안장(21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주프레임(211)과 제2주프레임(212)의 연결부분에는 구동스프라켓(213)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전기 구동스프라켓에 장착되는 페달의 회전에 의해 동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트레일러(30)는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건을 안치하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31)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후륜 (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31)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수레등과 같이 측벽이 형성되고, 후미벽체는 탈거가능하도록 하여 물건을 용이하게 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측에 꽂이부(311)를 형성하여 파라솔등의 차양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1)는 도시된 바와같이 금속재질의 바(bar) 또는 봉을 이용하여 틀을 형성하고, 판체를 안착 및 부착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거나, 본체부 자체를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으로 제조하고 일부분만 금속프레임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트레일러(30)는 자전거의 후륜이 설치되는 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을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자전거에는 연결프레임(23)이 더 형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3)은 상하로는 ">" 형태이고, 좌우로는 "∧" 형태로 형성된 다단절첩된 프레임이다. 먼저 상하로는 상기한 바와같이 ">"로 일정각으로 절첩된 제1연결프레임(231)과 제2연결프레임(2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첩된 부분은 후술되는 트레일러의 결합부(36)에 볼트(26)체결되고 일정각으로 이격된 양단부는 자전거에 용착되는 것이다. 즉, 일단은 두 주프레임의 연결부분인 구동스프라켓(213)이 장착된 부분에 용착되고, 타단은 안장(214)이 설치된 제2주프레임(212)에 용착하는 등 자전거에 이중으로 용착시켜 연결프레임(23)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프레임(23)의 좌우로는 "∧" 형태로 절첩되어 있다. 절첩된 부분은 상술된 바와같이 구동스프라켓(213)이 장착된 주프레임부분과 제2주프레임의 일측에 용접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양단은 트레일러의 결합부(36)에 볼트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트레일러에 형성된 결합부(36)도 이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23)과 같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일러의 결합부(36)는 트레일러의 전방 하부에 판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으로부터 경사지게 홈(361)을 형성하고 상기 홈의 상측에 볼트(26)체결하되 체결되는 볼트사이에 자전거의 연결프레임(23)을 내재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부(36)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은 걸릴 수 있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하여 체결시 용이하게 볼트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연결프레임(23)의 갈고리부(233)나, 트레일러 결합부의 홈(361)은 볼트를 완전히 풀지 않고서도 자전거(20)와 트레일러(30)를 분리할 수 있게 하는 등 탈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빠른 탈거목적을 제외한다면, 상기 결합부(36)와 연결프레임(23)에는 결합공을 형성하여 볼트로 체결하거나, 상기 결합부는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갈고리부를 형성하여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전거(20)와 트레일러(30)의 결합이 결합부(36)의 볼트만을 이용해 이루어질 경우에는 하중에 의해 볼트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분에는 지지프레임(24)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은 트레일러 전방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연결프레임(231)에 결합되어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트레일러(30)의 저면에는 구동스프라켓(213)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직접 전달받는 전달축(33)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달축(33)은 베어링(331)에 의해 트레일러의 저면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각 베어링이 받는 하중을 축소시키기 위해 전달축의 양측면과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부분등 3부분에 베어링(331)으로 결합된다.
이와같이 트레일러(30)의 저면에 장착된 전달축(33)의 중심에는 변속기(3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변속기(35)는 기어수를 달리하는 다수의 스프라켓(351)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213)과 체인(40)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변속기(35)의 변속방법으로는 다단변속이 가능한 자전거의 변속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변속을 위한 레버등이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전달축(33)에는 양측면에 측면스프라켓(332)이 더 장착되어 있다. 상기 측면스프라켓(332)은 후륜(32)을 장착한 회전축(34)에 결합된 후방스프라켓(341)과 체인(40)으로 연결되어 구동스프라켓(213)에서 발생된 동력을 후륜(32)으로 전달시키는 것이다.
이를 도 6a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스프라켓(213)에는 장착된 페달로 동력이 발생되어 정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된 변속기(35)의 스프라켓(351)도 구동스프라켓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회전하게되면서 변속기(35)가 장착된 전달축(33)도 구동스프라켓과 동일한 방향인 정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달축의 양측면에 장착된 측면스프라켓(332)도 정회전하게 되 고, 상기 측면스프라켓과 체인(40)으로 연결된 후방스프라켓(341)도 정회전하게 되어 회전축(34)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후륜(32)이 정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후륜에는 브레이크드럼(342)이 설치되어 있어 조작에 의해 안정된 제동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브레이크드럼은 공지된바와같은 드럼과 브레이크슈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한 구조에서 상기 회전축(34)에 장착되는 후방스프라켓(341)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스프라켓(341, 341')을 복수개로 형성하는 것은 양바퀴의 기어수를 다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시 일측바퀴와 타측바퀴의 회전력이 달라져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 회전반경의 축소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달축(33)에는 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334)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어(334)는 스프라켓 또는 헬리칼기어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어는 전달축(33)에 설치되고, 모터는 트레일러의 저부에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는 자전거의 핸들에 설치하여 필요시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자동으로 구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전달축(33)과 변속기(35)는 착탈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의 스프라켓의 조립인 변속기(35)는 전달축(33)을 내입하여 설치되며, 상기 전달축의 일측과 이에 접하는 변속기의 일측에는 각각 요홈(333, 353)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333, 353)에 고정바(37)가 삽설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바(37)의 두께는 변속기에 형성된 요홈(353)의 깊이와 전달축에 형성된 요홈(333)의 깊이를 합한 것과 동일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홈(333, 353)은 고정바(37)와 동일한 길이와 폭으로 형성하여 고정바를 내포하도록 하되 틈을 제거하여 동력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구조로 전달축(33)에서 변속기(35)의 탈거가 가능하고록 함은 물론, 측면스프라켓(332)도 상술된 방법으로 결합하여 탈거가 가능하도록 해서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동력발생원인 구동스프라켓(213)과 후륜(32)이 장착된 후방스프라켓(341) 사이에 전달축(33)을 설치한 것은 체인이 늘어져 긴장상태 저하됨에 따른 동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중간부분에 전달축(33)을 설치하여 체인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키게 함으로써 구동스프라켓(213)에서 발생된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후방스프라켓(341)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전달축(33)과 후륜이 설치된 회전축(34)의 동력전달과정에서, 전달축에 전달된 동력이 두 후륜(32)을 연결한 선상의 중심부분으로 전달하지 않고 양측면을 통해 전달되는 것도 동력전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동력이 전달받는 부분이 회전되는 후륜(32)과 멀수록 동력손실이 크게 발생됨으로, 구동부인 후륜과 최대한 가까운 부분에 동력을 전달하여 동력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발생된 동력의 전달거리가 가까울수록 동력손실이 최소화되고, 동력전달부분이 최종전달부인 후륜과 가까울수록 동력전달이 최소화됨으로, 동력발생원인 구동스프라켓(213)과 전달축(33)의 연결과 상기 전달축(33)과 최종전달부인 후륜(32)과의 연결은 최단거리로 구성시킴으로써, 동력손실을 최대한 감소시켜 효율을 극대화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서술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가 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부분변경 사용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는,
자전거의 뒷바퀴부분에 트레일러를 결합하고, 자전거 페달에서 발생된 동력은 트레일러의 전방에 설치된 전달축에 직접 전달하고, 상기 전달축은 양측에 설치된 스프라켓을 통해 한쌍의 트레일러바퀴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게 하여 바퀴에 근접한 축부분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동력손실을 최소화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바퀴에는 브레이크드럼과 변속기가 설치되어 부드러운 제동과 회전시 양바퀴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부하발생을 억제하여 동력의 전달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전달축에 근접하여 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기 어를 전달축에 고정시켜 자동으로 동력을 발생이 가능하게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용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Claims (8)

  1. 트레일러를 구비한 자전거에 있어서,
    상부에는 핸들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륜(25)이 장착된 핸들프레임(22)과, 전기 핸들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주프레임(211)과, 전기 제1주프레임과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안장(214)이 장착된 제2주프레임(212)과, 전기 제1주프레임과 제2주프레임의 연결부분에 결합되고 페달이 장착된 구동스프라켓(213)으로 구성된 자전거(20)와;
    물건을 안치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31)와, 본체부의 양측면에 회전축(34)을 각각 형성하여 전기 회전축에 장착된 후륜(32)과, 전기 후륜을 제동시키기 위해 장착된 브레이크드럼(342)으로 구성된 트레일러(30);가 자전거 후미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트레일러의 본체부(31) 저면에는 베어링(331)으로 자유회전가능하게 전달축(33)을 결합하고, 전기 전달축의 내측에는 기어치수를 달리하는 다수의 스프라켓(351)으로 구성된 변속기(35)를 장착하여 자전거의 구동스프라켓(213)과 체인(40)으로 연결하고, 전달축 외측의 양단부에는 측면스프라켓(332)을 장착하여 회전축에 장착된 후방스프라켓(341)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20)에는 연결프레임(23)을 더 형성하고, 전기 연결프레임(23)은 트레일러의 전방하부에 형성된 결합부(36)에 일단이 볼트(26)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프레임(23)은 상하로 일정각을 갖게 중앙이 절첩된 ">" 형태로 형성하고, 절첩된부분은 트레일러의 결합부(36)에 볼트체결되도록 하고, 하부 제1연결프레임(231)의 일단은 구동스프라켓(213)이 장착된 주프레임 부분에 용착되고, 상부 제2연결프레임(232)의 일단은 제2주프레임(212)의 일측에 용착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23)은 좌우로 일정각을 갖는 "∧" 형태로 형성하여 절첩된 부분이 구동스프라켓(213)이 장착된 주프레임 부분과 제2주프레임(212)의 일측에 용착되도록 하고, 양 단부는 복수개로 형성된 트레일러의 결합부(36)에 각각 결합되어 두 점을 이용하여 볼트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20)와 트레일러(30)의 연결부분이 트레일러의 결합부(36)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일러의 전방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제1연결프레임의 중심일측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4)을 더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축(33)과 변속기(35)의 접합부분에는 변속기(35)를 구성하는 스프라켓(351)이 전달축과 겉돌지 않도록 고정바(37)를 삽입고정시키되,
    상기 고정바가 삽입되는 전달축(33)과 변속기(35) 부분에는 고정바의 길이와 폭이 동일/유사한 요홈(333, 353)을 형성하여 고정바(37)가 내설될 수 있도록 하고, 전달축과 변속기에 형성된 두 요홈의 깊이 합이 고정바의 두께와 동일/유사하게 형성하여 변속기(35)에 전달된 동력이 고정바(37)를 통해 전달축(33)으로 전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스프라켓(341)은 기어치수가 다른 복수개로 형성하여 개별적인 변속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축(33)에는 모터(M)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기어(334)를 더 장착하여 전동에 의해 회전되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의 본체부(31)는 중량이 가볍고, 내열성이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KR1020050062640A 2005-07-12 2005-07-12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KR20070008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640A KR20070008825A (ko) 2005-07-12 2005-07-12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640A KR20070008825A (ko) 2005-07-12 2005-07-12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245U Division KR200398413Y1 (ko) 2005-07-12 2005-07-12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825A true KR20070008825A (ko) 2007-01-18

Family

ID=3801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640A KR20070008825A (ko) 2005-07-12 2005-07-12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88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796B1 (ko) * 2014-12-09 2016-06-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전거용 트레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796B1 (ko) * 2014-12-09 2016-06-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전거용 트레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02005A1 (en) High-Drive Electric Bicycle
US7568714B2 (en) Bicycle having a removable power assist module
US8573346B2 (en) Auxiliary power driven unit for a bicycle
US7261175B1 (en) Power assisted bicycle
EP2957496B1 (en) Electric bicycle and propulsion system therefor
US20120242058A1 (en) Frame structure
US20170334517A1 (en) Bicycle Equipped with Versatile Dual Chain Drive
US20030141126A1 (en) Electric bicycles and retrofit kits
US3834721A (en) Twin chain drive for tricycles
US7661690B2 (en) Mechanical advantage drive system for cycles
JP2010228627A (ja) 電動車両の動力伝達装置
KR200398413Y1 (ko)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KR20070008825A (ko) 트레일러가 구비된 자전거
EP1151912A1 (en) Swing type tricycle
US8465039B2 (en) Bike with belt transmission and its frame
US9650106B1 (en) Two wheel drive bicycle with a dual chain-and-sprocket drive mechanism driven by a two-sided paddle-sprocket system
JPH08142966A (ja) パワーアシスト三輪自転車
PT96761A (pt) Dispositivo de propulsao de uma bicicleta e bicicleta munida deste dispositivo
US20060237945A1 (en) Common axis drive and shift system
US9327798B1 (en) Drive system for vehicles
KR20110026126A (ko) 자전거의 후륜에 장착하기 위한 분할형 벨트 풀리
KR950003614Y1 (ko) 지렛대식 자전거
US11260936B2 (en) Gearless power conversion system employing two electric machines
KR200332125Y1 (ko) 자전거
CN106005229A (zh) 一种差速器式传动轮及差速双驱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