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516A -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516A
KR20070008516A KR1020067007628A KR20067007628A KR20070008516A KR 20070008516 A KR20070008516 A KR 20070008516A KR 1020067007628 A KR1020067007628 A KR 1020067007628A KR 20067007628 A KR20067007628 A KR 20067007628A KR 20070008516 A KR20070008516 A KR 20070008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frame
memory
portions
encoded video
fram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799B1 (ko
Inventor
이오아니스 쿠라마니스
막심 스미르노프
밀리보예 알렉식
Original Assignee
에이티아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에이티아이 인터내셔널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아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에이티아이 인터내셔널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에이티아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08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63Graphics controll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갖는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디오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그래픽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메모리 소자는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 모두 보다 적은 저장용량을 갖는다. 상기 방법 및 장치는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에 결합된 그래픽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는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고 제 1 그래픽 부분을 생성한다. 제 2 메모리 소자는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은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와 연동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2 메모리 소자를 사용하여 부분단위를 기초로 처리된다.
휴대형 단말기, 그래픽 렌더링, 비디오 프레임, MPEG, JPEG

Description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In A Handheld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내에서의 그래픽 렌더링(graphic rendering)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컴퓨팅 경향(computing trending)의 성장으로,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동성 및 향상된 기능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휴대형 단말기는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삐삐, 스마트 폰, 또는 그래픽 양방향성(graphic interactivity)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휴대 전자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데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ptop) 컴퓨터와 같은 휴대형 단말기와 자립형 컴퓨팅 시스템의 융합으로, 다수의 휴대형 단말기들 사이 및 또한 상기 휴대형 단말기와 자립형 컴퓨팅 시스템 사이의 양방향성의 향상된 기능과 품질에 대한 수요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 부각되는 영역은 그래픽 및/또는 비디오 이미지를 획득하고, 나타내며, 전송하는 능력이다. 여러 기술들의 융합의 일례는 휴대형 단말기상에 있는 카메라들의 배치이다. 이들 그래픽 강화 애플리케이션들로, 그래픽 출 력을 발생시키는 그래픽 구조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에는 한계가 있다.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한가지 통상적인 문제는 이용가능한 메모리 자원이다. 3차원 그래픽 렌더링 기술을 포함하는 현재의 그래픽 렌더링 기술은 이미지 처리 파이프라인(image processing pipeline)에서 다양한 렌더링 단계의 성능에 있어 많은 메모리의 양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그래픽 이미지들은 또한 압축동작의 구현을 위해 전체적으로 저장된 이미지를 필요로 하는 압축기술로 인해 메모리 집약적일 수 있다. 기존의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크기 요건으로 인해, 메모리 자원에 한계가 있다.
현재의 휴대형 단말기내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특정 제한은 그래픽 렌더링 엔진을 배치하기 위한 제한된 물리적 공간 및 메모리 배치를 위한 제한된 공간이다. 휴대형 단말기가 더 컴팩트해짐에 따라, 이미지 렌더링에 필요로 하는 추가 메모리의 삽입을 위한 공간이 더 좁아진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기에 있는 기존의 그래픽 프로세서를 사용하려는 시도에 있어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카메라(102), 고정된 크기의 버퍼(104), JPEG 프로세서(106) 및 최대 복호화 크기 버퍼(108)를 갖는 종래 기술의 휴대형 단말기(100)를 도시한 것이다. 카메라(102)는 고정된 크기의 버퍼(104)에 제공되어 있는 비디오 이미지(110)를 캡쳐링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크기의 카메라일 수 있다. 휴대형 단말기(100)에서, 고정된 크기의 버퍼(104)는 이미지(110)의 단일 프레임을 캡쳐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커야 하고, 예컨대, 카메라(102)가 16비트의 64라인의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110)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버퍼(104)가 상기 단일 이미지(110)를 저장하기에 충분한 기억장소들을 포함하게 되는, 카메라(102)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110)의 크기에 따른다. 당업자에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더 큰 메모리(104)가 스트리밍 비디오 또는 다수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능력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휴대형 단말기(110)에서, 이미지(110)는 그런 후 상기 이미지(110)의 썸네일(thumbnail)을 구성하기 위한 압축엔진을 필요로 하는 썸네일 형태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일실시예에서, JPEG 프로세서(106)가 저장된 이미지(112)를 검색하고 상기 저장된 이미지(112)는 공지된 JPEG 처리기술에 따라 상기 JPEG 프로세서(106)에 의해 처리된다.
그 결과, 상기 JPEG 프로세서(106)는 복호화된 이미지(114)를 만들고, 상기 복호화된 이미지(114)는 버퍼(108)에 저장된다. 버퍼(108)의 크기는 복호화된 이미지(114)의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기(100)는 2개의 메모리 버퍼(104 및 108)를 가져야만 하고, 상기 메모리 버퍼(104 및 108)의 크기는 카메라(102) 및 상기 이미지(114)의 최대 복화된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휴대형 단말기(100)는 큰 메모리 버퍼(104 및 108) 또는 카메라(102)의 품질/해상도의 저하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휴대형 단말기내의 메모리 자원요건을 극복하고 이미지 획득기술 및 이미지 처리기술을 유지하면서 양질의 이미지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휴대형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또 다른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렌더링 파이프라인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렌더링 파이프라인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e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비디오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제 1 메모리 소자는 듀얼 버퍼 메모리(dual buffer memory)이고, 비디오 입력신호는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획득장치를 사용하여 얻은 이미지의 부호화 표현이다. 비디오 입력신호는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한다. 제 1 메모리 소자는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 모두 보다 적은 저장용량을 갖는다.
상기 방법 및 장치는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에 결합되는 그래픽 프로세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는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고 제 1 그래픽 부분을 만든다. 제 1 그래픽 부분은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복호화된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 및 장치는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을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소자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은 그래픽 프로세서와 연동하며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2 메모리 소자를 사용하여 부분단위(portion-by-portion)를 기초로 처리되어, 제한된 메모리 자원이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2는 휴대형 단말기(202)에서의 이미지 처리장치(2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장치(200)는 제 1 메모리(204), 그래픽 프로세서(206), 및 제 2 메모리(208)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제 1 메모리(204) 및 제 2 메모리(208)는 비디어 데이터의 부호화된 프레임을 저장할 수 있는 듀얼 버퍼 메모리이다.
제 1 메모리 소자(204) 및 제 2 메모리 소자(208)는 단일 메모리, 복수의 기억장소, 공유 메모리, CD, DVD, ROM, RAM, EEPROM, 광학 기억장치,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비휘발성 기억장치 매체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206)는 단일 프로세서, 복수의 프로세서, DSP, 마이크로 프로세서, ASIC, 상태 기계(state machine),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산 로직(discrete logic)을 처리하고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수단 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firmware)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는 오로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내재적으로 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ROM, RAM 및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모리(204)는 카메라(212)로부터 비디오 입력신호(210)를 수신한다. 비디오 입력신호(210)는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갖는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한다. 예컨대,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은 16개의 부분들로 구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비디오 입력신호(210)는 카메라(21)로부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16개 부분들로 제공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부분들은 소정의 수평 스캔라인 개수 또는 픽셀들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윤곽 필드를 나타낸다.
제 1 메모리 소자(204)는 듀얼 버퍼 메모리인 상술한 예시적 실시예에서와 같이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210)의 다수 의 부분들 모두 보다 적은 저장용량을 갖는다.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210) 중 제 1 부분(214)이 그래픽 프로세서(206)에 제공된다. 일실시예에서, 그래픽 프로세서(206)는 기지(旣知)의 이미지 처리기술에 따라 동작하여 제 1 그래픽 부분(216a)을 만들며,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216a)은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214)의 복호화된 제 1 부분이다.
그 결과, 제 1 그래픽 부분(216a)이 제 2 메모리 소자(208)에 제공된다. 제 2 메모리 소자(208)는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216b)을 장치(200)의 외부에 있는 미도시된 기억장소(storage location)에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미도시된 기억장소는 프레임 버퍼일 수 있으며,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206)에 의해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들의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 모두가 만들어진 후에, 전체 복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이 (미도시된) 프레임 버퍼로부터 (미도시된) 디스플레이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2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형 단말기(200)는 키패드(230), 스피커(232), 마이크로폰(234), 디스플레이(236), 카메라(238), 및 네비게이션 버튼(240)을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휴대형 단말기(200)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이며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처리 요소들과 함께 디스플레이(236) 및 카메라(238)를 갖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휴대형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휴대형 단말기(200)에서, 카메라(238)는 비디오 획득용으로 제공되지만, 당업자에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238)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있거나 더 많은 카메라들이 휴대형 단말기(20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무선 통신용 안테나(252)에 결합된 기저대역 수신기(250)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200)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기저대역 수신기(250)는 통신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CPU)(254)에 조작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당업자에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CPU(254)는 현재 실행되며 기존의 휴대형 단말기내에 사용되는 기지의 중앙처리장치들과 일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CPU(254)는 SDRAM/DDR(258)에 결합될 수 있어 처리정보(260)가 저장될 수 있고 메모리(258)와 CPU(254) 사이에 전송될 수 있다. CPU(254)는 가요성 케이블(262)을 거쳐 이미지 처리장치(202)에 또한 결합된다.
일실시예에서, 장치(202)는 보안 디지털 메모리 카드와 같은 메모리(264)에 조작가능하게 결합되어 데이터(265)가 그 사이에 전송될 수 있다. 휴대형 단말기(200)는 비디오 입력신호(210)를 상기 장치(202)에 제공하는 카메라(23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치(202)는 또한 LCD 컨트롤러(266)에 결합된다. 일실시예에서, LCD 컨트롤러(266)는 내부에 배치된 (미도시된) 프레임 버퍼를 포함할 수 있어 제 1 그래픽 부분(216b)이 제공되어 진다. 알려진 LCD 컨트롤러 동작에 따라, LCD 컨트롤러(266)는 시청가능한 출력신호(268)를 LCD(236)에 또는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200)의 또 다른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장치(202)는 비디오 입력 프로세서(300), 버퍼(302), 실시간 기억장치 직접접근(real time direct memory access, RTDMA) 소자(304), 메모리(306) 및 JPEG/MPEG 프로세서(308)를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장치(202)내에서 동작하게 형성되어 있는 소자들은 단지 명확성을 위해 생략하였다.
카메라(238)는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디오 입력신호(210)를 비디오 입력 프로세서(300)에 제공한다. 상기 비디오 입력 프로세서(300)는 비디오 부분(310)을 버퍼(302)에 제공하고, 상기 버퍼(302)는 버퍼 비디오 부분(312)을 RTDMA(304)에 제공한다.
RTDMA(304)는 버스(318)를 거쳐 버스 프로세서(308)와 함께 데이터 요청(314) 및 비디오 정보(316)와 결합하여 연동하고, 상기 프로세서(308)는 버퍼(302)로부터 제공된 그래픽 정보(312)를 나타낸다. 일실시예에서, RTDMA(304)는 당업자에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메모리일 수 있는 메모리(306)를 사용하며, 상기 메모리(306)는 어드레스(320)에 응답하여 데이터(322)가 검색되도록 실시간으로 접속된다.
프로세서(308)는 도 6을 참도로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들어오는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처리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부호화된 프레임 데이터를 복화화시켜 LCD 컨트롤러(266)에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216b)를 생성한다. 일실시예에서, 일단 LCD 컨트롤러(266)가 전체 프레임을 획득하면, LCD(236)에 상기 전체 프레임(268)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LCD(236)가 순차주사(progressive scan) LCD 디스플레이인 경우, 프레임 부분들은 미도시된 프레임 버퍼를 채우는 대신에 부분단위를 기초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로세서(308)의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들의 기능블록 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요소들은 더 구체적으로는 부호화된 비디오 입력신호에 대하여 지시되어 있다. 프로세서(308)는 포맷 변환기(330), 스케일링 모듈(scaling module)(332) 및 회전모듈(334)을 포함한다. 또 다른 데이터 처리 분기(branch)에서, 프로세서(308)는 이산여현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양자화 모듈(quantization module)(342), 및 런길이 모듈(run length module)(344)을 포함한다. 프로세서(308)내의 기능 블록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블록들은 결합된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로 표현된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8)내의 블록들은 분기처리(branch process)를 나타내며, 특정 동작들이 선택된 분기동작에 대해 수행된다. 예컨대, 블록들(340, 342, 및 344)은 중앙처리장치 분기 동작내에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블록들(330, 332, 및 334)은 그래픽 처리 분기내에 있다. 또한, 블록(322)에서 스케일링 동작은 포맷팅 사양을 기초로 포맷 변환기(330)를 사용한 포맷 변환으로 또는 포맷 변환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입력신호(350)가 포맷 변환된 신호(352)를 생성하는 포맷 변환기(330)에 제공된다. 상기 포맷 변환된 신호(352)는 스케일링 블록(332)에 제공되어 스케일된 데이터 신호(354)가 회전블록(334)에 제공되어 진다. 회전값을 기초로, 상기 신호(354)에 의해 표현된 이미지의 방위(orientation)가 회전될 수 있어 회전된 출력 신호(356)를 발생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입력신호(360)가 DCT 기능블록(340)에 제공될 수 있 어 변환된 신호(362)가 양자화 블록(342)에 제공된다. 일실시예에서, 미도시된 양자화 테이블을 사용하여, 상기 신호(362)가 양자화 조절될 수 있어 조절된 출력신호(364)를 발생시킨다. 조절된 출력신호(364)가 런길이 부호기(344)에 제공되어 상기 신호(364)의 런길이의 종료부호(ending code)를 증대시켜 출력신호(366)를 발생시킨다.
특정한 분기의 선택을 기초로 한, 출력신호(356) 또는 출력신호(366)는, 부분단위를 기초로, 비디오 데이터의 전체 프레임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의 복화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전체 프레임은 스케일 및/또는 회전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양자화 테이블은 버퍼크기와 같은 출력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하드웨어가 상기 양자화 테이블을 동적으로 조절한다.
도 7은 카메라(238)로부터 스트리밍 비디오 입력(210)을 수신하는 그래픽 프로세서(308)의 MPEG 처리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스트리밍 비디오 입력(210)은 프레임 단위 입력을 포함한다. 지정된 한 프레임인 제 1 프레임(371)이 제 1 메모리(370)에 수신된다. MPEG 부호화 기술을 기초로, 기준 프레임(373)이 기억장소(372)로부터 검색된다. 델타 계산(delta calculation)(374)을 기초로, 다른 프레임(376)이 p프레임 마크로블록(macro block) 메모리(378)에 기록된다.
프레임 데이터(371)가 그래픽 프로세서(380)에 또한 제공된다. 그래픽 프로세서는 또한 p프레임 데이터(382)를 수신하여 그래픽 출력을 발생시킨다. 일실시예에서, I프레임이 임시버퍼(384)에 기록되고 그 결과 I프레임 마크로블록 메모 리(386)에 기록된다. 더욱이, P프레임 데이터(382)는 P프레임 버퍼(388)에 기록되고 그 결과 P 서브-n 마크로블록(390)에 기록된다.
잘 알려진 MPEG 복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그래픽 프로세서(380)는 일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출력 디스플레이를 만들기 위해 결합된 프레임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또한, 당업자에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MPEG과는 다른 동작보상(motion compensation) 또는 평가능력(estimation capability)을 갖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부호화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단계 500에서 시작하고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입력 프레임을 수신한다(단계 502). 다음 단계는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비디오 입력 프레임보다 적은 저장용량을 갖는 제 1 메모리 소자에 제공한다(단계 504). 상술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제 1 메모리(204)는 부호화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수신하고 비디오 입력 프레임보다 적은 저장용량을 갖는다.
상기 방법에서 다음 단계는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로부터 입력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읽는 단계를 포함한다(단계 506). 다음 단계(단계 508)는 그래픽 프로세서에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그 결과,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은 제 1 그래픽 부분을 만들기 위해 그래픽적으로 처리된다(단계 510). 이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을 제 2 메모리 소자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단계 512). 다시 한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206)에 의해 그래픽적으로 처리된 후에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216a)이 상기 제 2 메모리(208)에 기록된다. 그런 후, 상기 방법은 종료된다(단계514).
도 9a 내지 도 9e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의 여러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유사한 초기 단계를 제공하나, 도 9a의 단계들 및 도 9b 내지 도 9e 단계들에 대해 나타낸 다양한 다른 단계들을 제공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단계 520에서 시작하여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부호화된 다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입력 프레임을 카메라에 서 수신한다(단계 522). 일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38)는 비디오 이미지를 요구하고 상기 비디오 이미지를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입력 프레임으로 변환시킨다. 다음 단계(단계524)는 비디오 입력 프레임보다 적은 저장용량을 갖는 제 1 메모리 소자에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기록한다. 그런 후, 다음 단계(단계 526)는 제 1 메모리 소자로부터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읽는다.
상기 방법은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복수의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그래픽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단계 528). 도 2를 참조로 상술한 바와 같이, 그래픽 프로세서(206)는 상기 제 1 메모리(204)로부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214)의 다수의 부분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 단계(단계 530)는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만들기 위해 그래픽적으로 처리한다. 일실시예에서, 그래픽 프로세서(206) 및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8)가 이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 단계(단계 532)는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부분 단위를 기초로 제 2 메모리 소자에 기록한다. 그런 후, 상기 방법은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부분 단위를 기초로 외부 메모리 장치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단계 534).
이에 따라, 단계 522 내지 단계 534에 대해 표시자 A(536)로 언급되는 또 다른 실시예들이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9b는 휴대형 단말기상의 LCD 디스플레이에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그런 후, 이 실시예는 단계(540)에서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LCD 디스플레이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36)이다.
표시자 A(536)에 대한 계속되는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c는 입력 비디오 프레임이 이미지인 경우, 그래픽 프로세서는 포맷 변환, 스케일링 또는 회전을 수행할 수 있는 단계(542)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프로세서(308)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런 후, 상기 방법의 이 실시예는 종료된다(단계 544).
표시자 A(536)에 대한 지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d는 입력 비디오 프레임의 수신이 동영상의 한 프레임인 경우, 그래픽 프로세서는 이산여현변환, 양자화 또는 벡터 런길이 부호화(vector run length encoding)를 수행할 수 있는 단계(546)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동작은 기능블록(340, 342 및 344)과 함꼐 도 6을 참조로 설명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제 2 메모리 부분의 저장용량을 수 용하기 위해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양자화 테이블을 더 포함한다(단계 548). 그런 후, 이 방법은 종료된다(단계 550).
도 9e를 참조로 예시된 또 다른 실시예는 표시자 A(536)에 대해 도 9a의 방법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다음 단계는 내장형 메모리내에 배치된 제 1 메모리 및 제 2 메모리 부분을 포함한다(단계 552). 그런 후, 링버퍼 접근을 이용하여 실시간 기억장치 직접접근 소자에 의해 기록의 읽기가 수행된다(단계 554).
본 발명은 부분단위 렌더링 기술을 기초로 한 비디오 데이터의 효율적인 이용 및 처리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형 단말기내의 향상된 그래픽 처리를 제공한다. 제한된 메모리 부분들을 사용하고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을 기초로 한 비디오 입력 신호 처리를 통해, 메모리 크기 요건의 감소가 이용될 수 있고 그 결과 휴대형 처리장치내 공간을 줄인다.
다양한 태양에 있어 본 발명의 다른 변형 및 변경 수단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지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술한 특정한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이미지 처리는 비디오 데이터용으로 개시된 MPEG 및 JPEG 부호화 기술 이상이거나 넘어서는 임의의 부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인 바탕을 이루는 원리의 기술사상내에 있는 어떠한 공지된 변형, 변경 또는 균등물도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되고 포함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고 특허청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됨.

Claims (38)

  1.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비디오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 모두 보다 적은 저장용량을 가지며, 상기 부호화된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수신하는 제 1 메모리 소자;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에 결합되어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고 제 1 그래픽 부분을 만드는 그래픽 프로세서; 및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을 수신하는 제 2 메모리 소자를 구비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 소자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이 저장될 수 있는 외부 메모리 소자를 더 구비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는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부분들 모두를 수신하고,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각 부분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는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만들고,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상기 제 2 메모리 소자에 제공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 소자는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제공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메모리에 조작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외부 메모리로부터 출력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디스플레이는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는 조절된 데이터 세트를 갖는 상기 그래픽 부분들을 만들기 위해 양자화 테이블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디스플레이는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의 썸네일(thumnail)인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2 메모리 소자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 및 상기 제 2 메모리 소자에 직접 접근을 제공하는 실시간 기억장치 직접접근 소자(real time direct memory access device)를 더 구비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는 내장형 메모리 소자의 제 1 부분이고 상기 제 2 메모리 소자는 상기 내장형 메모리 소자의 제 2 부분인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장치.
  10.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입력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입력 프레임보다 적은 저장용량을 갖는 제 1 메모리 소자에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로부터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읽는 단계;
    제 1 그래픽 부분을 만들기 위해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그래픽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을 제 2 메모리 소자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로부터 부분단위를 기초로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읽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 부분단위를 기초로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만들기 위해 그래픽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제 2 메모리 소자에 기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과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외부 메모리 소자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과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휴대형 단말기상의 LCD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그래픽적으로 처리하는 단계는 포맷변환, 스케일링(scaling), 회전, 이산여형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양자화 테이블(quantization table), 포맷 및 런길이 부호화를 사용하여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 중 각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부분과 상기 제 2 메모리 부분은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 중 2개를 저장하기 위한 근사한 저장용량을 갖는 듀얼 버퍼(dual buffers)인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부분 및 상기 제 2 메모리 부분이 내장형 메모리내에 배치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내에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상기 비디오 입력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읽기 및 기록 단계는 링버퍼 접근을 이용한 실시간 기억장치 직접접근소자에 의해 수행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19.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획득하고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카메라;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 모두 보다 적은 저장용량을 가지며,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수신하는 제 1 메모리 소자;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에 결합되어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에 기록하는 실시간 기억장치 직접접근 소자;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에 조작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실시간 기억장치 직접접근 소자를 통해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고 제 1 그래픽 부분을 만드는 그래픽 프로세서; 및
    상기 실시간 기억장치 직접접근 소자에 결합되고, 상기 실시간 기억장치 직 접접근 소자를 통해 상기 제 1 그래픽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을 수신하는 제 2 메모리 소자를 구비하는 휴대형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메모리 소자의 저장용량과 연관하여 상기 제 1 그래픽 부분을 만들 수 있는 양자화 테이블을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는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모든 부분들을 수신하고 각각의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를 부분단위를 기초로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에 제공하며,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는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만들고,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상기 제 2 메모리 소자에 제공하며, 상기 제 2 메모리 소자는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외부 메모리 제공하는 휴대형 단말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메모리에 조작가능하게 결합되어 출력 디스플레이가 상기 외부 메모리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 디스플레이는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는 이미지 복호기 및 동영상 복호기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복호기는 포맷 변환, 스케일링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JPEG 부호화된 이미지인 휴대형 단말기.
  26. 제 24 항에 있어서,
    스케일링 동작시에,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은 부분 비디오 프레임을 나타내는 휴대형 단말기.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동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동영상 복호기가 이산여형변환, 양자화, 및 벡터 런길이 부호화(vector run length encoding)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복호기는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디스플레이의 일부분과 잠정적인 프레임을 만들기 위해 기준 버퍼에 저장된 기준 프레임의 일부분을 비교하는 휴대형 단말기.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복호기는 MPEG 복호기인 휴대형 단말기.
  3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기억장치 직접접근 소자는 링버퍼 접근을 이용하는 휴대형 단말기.
  31.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입력 프레임을 카메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상기 비디오 입력 프레임보다 적은 저장용량을 갖는 제 1 메모리 소자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모리 소자로부터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읽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그래픽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다수의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만들기 위해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제 2 메모리 소자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부분단위를 기초로 외부 메모리 소자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휴대형 단말기상의 LCD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비디오 프레임은 이미지이고,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는 포맷 변환, 스케일링 및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비디오 프레임의 수신이 동영상의 한 프레임인 경우,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는 이산여형변환, 양자화 및 벡터 런길이 부호화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 소자의 저장용량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그래픽 부분들을 조절하는데 양자화 테이블이 사용될 수 있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부분과 상기 제 2 메모리 부분이 내장형 메모리내에 배치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읽기 단계 및 기록 단계는 링버퍼 접근을 이용한 실시간 기억장치 직접접근 소자에 의해 수행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처리방법.
KR1020067007628A 2003-09-22 2004-09-20 핸드헬드 디바이스에서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085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67,912 US7486297B2 (en) 2003-09-22 2003-09-22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in a handheld device
US10/667,912 2003-09-22
PCT/IB2004/003064 WO2005029407A1 (en) 2003-09-22 2004-09-20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in a handheld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516A true KR20070008516A (ko) 2007-01-17
KR101085799B1 KR101085799B1 (ko) 2011-11-22

Family

ID=3431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628A KR101085799B1 (ko) 2003-09-22 2004-09-20 핸드헬드 디바이스에서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86297B2 (ko)
EP (1) EP1673727B1 (ko)
JP (1) JP4870563B2 (ko)
KR (1) KR101085799B1 (ko)
CN (1) CN1902659B (ko)
AT (1) ATE440347T1 (ko)
DE (1) DE602004022687D1 (ko)
WO (1) WO20050294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204B1 (ko) * 2009-04-08 2013-12-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향상된 핸드헬드 스크린-센싱 포인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871A (ko) * 2000-09-21 2002-03-28 방풍실 점 또는 사마귀 제거용 조성물
EP1584185A2 (en) * 2003-01-14 2005-10-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transceiving equipment, image processor, and image-processing method
TWM249387U (en) * 2003-12-19 2004-11-01 Power Quotient Int Co Ltd A portable digital image process device
US20060050155A1 (en) * 2004-09-02 2006-03-09 Ing Stephen S Video camera sharing
KR100618883B1 (ko) * 2005-02-02 2006-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7822277B2 (en) 2005-08-31 2010-10-26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compressed video information
US10410376B1 (en) * 2016-09-26 2019-09-10 Amazon Technologies, Inc. Virtual reality media content decoding of portions of image fram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6460A (en) 1986-10-08 1987-12-29 Sperry Corporation Display refresh memory apparatus utilizing one half frame updating
DE69411859T2 (de) 1993-11-30 1999-02-11 Texas Instruments Inc Digitaler Speicher für ein Anzeigesystem mit räumlichem Lichtmodulator
KR100215824B1 (ko) 1996-04-09 1999-08-16 구자홍 엠펙 디코더의 프레임 메모리 및 영상 데이타 디코딩방법
JPH10150659A (ja) * 1996-11-18 1998-06-02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
AR016812A1 (es) * 1997-08-14 2001-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odo para transmitir informacion de video comprimida, disposiciones de compresion y de grabacion de video y aparato de reproduccion de video
JP3884845B2 (ja) * 1997-11-18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SE511516C2 (sv) * 1997-12-23 1999-10-11 Ericsson Telefon Ab L M Handburen displayenhet och metod att visa skärmbilder
JP4009808B2 (ja) * 2000-03-01 2007-11-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EP1267272B1 (en) * 2001-06-11 2011-08-17 Zoran Microelectronics Ltd. A specialized memory device
US7113302B2 (en) * 2001-10-16 2006-09-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inter with unified display list and banded display lists
JP4245123B2 (ja) * 2002-02-28 2009-03-25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ウエーブレット処理装置及びウエーブレット処理方法
JP4031996B2 (ja) * 2003-01-30 2008-01-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メモリ装置を備えた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204B1 (ko) * 2009-04-08 2013-12-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향상된 핸드헬드 스크린-센싱 포인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9407A1 (en) 2005-03-31
CN1902659B (zh) 2010-08-11
JP4870563B2 (ja) 2012-02-08
ATE440347T1 (de) 2009-09-15
KR101085799B1 (ko) 2011-11-22
US7486297B2 (en) 2009-02-03
EP1673727A1 (en) 2006-06-28
EP1673727B1 (en) 2009-08-19
CN1902659A (zh) 2007-01-24
JP2007506327A (ja) 2007-03-15
US20050062858A1 (en) 2005-03-24
DE602004022687D1 (de)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8549B2 (en) Decoder, encoder, decoding method and encoding method
US85038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image data
US8295361B2 (en) Video compression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20070121733A1 (en) Scaler architecture for image and video processing
EP2747434A1 (en) Video image compression/decompression device
US5751888A (en) Moving picture signal decoder
US7319794B2 (en) Image decoding unit, image encoding/ decoding devices using image decoding unit, and method thereof
US7843993B2 (en) Moving picture encoding apparatus having increased encoding speed and method thereof
KR101085799B1 (ko) 핸드헬드 디바이스에서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500236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a progressive jpeg image
US20070046792A1 (en) Image compositing
CN100525373C (zh) 图像处理设备、显示设备、图像处理方法以及图像处理程序
EP1959350A2 (en) Fusion memory device and method
JP2009118226A (ja) メモリ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2004021346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N115623217B (zh) 一种图像预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20040183948A1 (en) Real time smart image scaling for video input
JPH0955946A (ja) 動画像信号復号装置
CN115412727A (zh) 编码方法、解码方法及其装置
WO2023194109A1 (en) Depth-color alignment with assistance metadata for transcoding of volumetric video
CN117560498A (zh) 图像处理方法及图像处理装置
KR100987252B1 (ko) 비트스트림 데이터 처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17560497A (zh) 图像处理方法及图像处理装置
JPH0530497A (ja) 画像符号化装置
JPH0494267A (ja) Mr復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