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262A -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262A
KR20070006262A KR1020050061421A KR20050061421A KR20070006262A KR 20070006262 A KR20070006262 A KR 20070006262A KR 1020050061421 A KR1020050061421 A KR 1020050061421A KR 20050061421 A KR20050061421 A KR 20050061421A KR 20070006262 A KR20070006262 A KR 20070006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formation
display device
transmitter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0773B1 (ko
Inventor
윤귀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1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773B1/ko
Publication of KR2007000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FM 방송을 수신하는 FM receiver와,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 아웃 포트와, 상기 FM receiver에서 감지되는 공중파 방송과 혼신을 일으키지 않는 이용채널을 선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용채널의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제어신호 통신부가 내장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상기 제 1 제어신호 통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이용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제어신호 통신부와, 상기 제 2 제어신호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이용채널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이용채널로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어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FM receiver로 송신하는 FM transmitter가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와 외부 음향 시스템이 연동되는 주파수 대역을 편리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사용자가 간단한 작업만으로 연동되는 주파수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특정의 주파수에 대하여 혼신이 일어날 때에는 편리하게 주파수를 바꾸어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제품의 신뢰성이 한층 더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FM transmitt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방법{Display system and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시도.
도 4는 설정채널의 정보 및 그에 대한 어드레스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플레이 시스템 2 : 리모콘 3 : 오디오 시스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수신된 뒤에 재생되는 영상과 음향 중에서, 음향이 외부 음향 시스템을 통하여 무선으로 청취가능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RF 신호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영상/음향신호 중에서 음향신호가 에프엠 트랜스미터(FM transmitter, 이하, 영어로 기재하도록 한다.)에 의해서 외부 음향 시스템으로 전달될 때, 올바른 송수신 주파수가 설정되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감을 증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M transmiter라고 하는 것은, 음향 재생 시스템-예를 들어 MP3-와, 외부 음향 시스템-예를 들어 카오디오-이 분리되어 있을 때, 음향 재생 시스템에서 독출되는 음향신호가 무선으로 별도의 외부 음향 시스템로 전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좋은 환경에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한편, 이와 같은 FM transmitter는 무선으로 사용되는 기기이기 때문에 특정의 FM 주파수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FM transmiter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는 무선 주파수 사용에 관한 국제협약에 의해서 국가 또는 지역 마다 일정한 대역의 주파수만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반 라디오 방송에서도 국가마다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를 나누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FM transmitter의 무선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일반 라디오 방송 주파수 대역과 혼신될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FM transmitter가 사용되는 각 주파수에는 다수개의 사용가능한 주파수 채널을 설정해 두는 것이 일반적이고, 기기가 놓이는 위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주파수가 무선 통신에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 가능한 다수의 다른 주파수 중에서 특정의 주파수를 선택하는 과정은 소비자에게는 너무나 난해하지 않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종래의 적용례로서는, 특정 지역에서 사용되는 라디오 주파수 대역를 회피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FM transmitter에 미리 설정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지만,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사용하는 특정의 주파수만이 아니라 원래의 주파수와 간섭이 일어나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도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같이 건물의 내부에 놓여서 사용되는 기기는, 건물 내부 특히, 실내에 놓이기 때문에 라디오 신호들 간의 간섭신호와, 건물의 반사신호, 기기 주변에 놓이는 다른 전자기기에 의한 전자파 신호들이 많이 발생되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같이 건물 내부에 놓이는 기기는 특정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음향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도록 정해놓는 것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음향신호를 디스플레이 기기가 아닌 다른 외부 음향 시스템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재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와 외부 음향 시스템이 연동되는 주파수를 보다 편리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간단한 작업만으로 연동되는 주파수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특정의 주파수에 대하여 혼신이 일어날 때에는 편리하게 주파수를 바꾸어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제품의 신뢰성이 한층 더 높아지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FM 방송을 수신하는 FM receiver와,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 아웃 포트와, 상기 FM receiver에서 감지되는 공중파 방송과 혼신을 일으키지 않는 이용채널을 선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용채널의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제어신호 통신부가 내장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상기 제 1 제어신호 통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이용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제어신호 통신부와, 상기 제 2 제어신호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이용채널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이용채널로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어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FM receiver로 송신하는 FM transmitter가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이용채널이 선정되는 단계; 상기 이용채널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이용채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내장되는 FM transmitter의 송신 채널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FM transmitter에 의해서 상기 디 스플레이 기기의 음향 신호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와 외부 음향 시스템 간에 무선 송수신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용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인 RF 신호를 수신하고 음향신호를 무선-예를 들어 FM주파수의 신호-으로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과,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으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외부 음향 시스템으로서 오디오 시스템(3) 및/또는 리모콘(2)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시스템(3)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에는 라디오 주파수 수신 장치와 내장 스피커 또는 스피커 아웃 포트가 내장되어 있고, 이들 장치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송신된 음향신호가 재생된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도 스피커가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무선으로 음향신호가 송출되지 아니할 때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음향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는 방송신호로서 RF 신호가 입력되는 텔레비전으로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오디오 신호가 발생되는 DVD 플레이어 또는 VCR 또는 Set-top box 또는 PC 또는 게임기 또는 캠코더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어떠한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1)에 일정 주파수가 설정된 뒤에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에서 송신되는 특정의 주파수로 오디오 시스템(3)에도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 및 오디오 시스템(3)을 통하여 동시에 음향 수신이 가능한 장점을 얻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송신되는 무선 음향 신호의 주파수가 조정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외부 음향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기기(1)와 리모컨(2)이 포함된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에는 방송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RF 신호안테나(24)와, 상기 RF 신호안테나(24)에서 수신된 RF 신호 중에서 원하는 신호를 추출하는 튜너(11)와, 상기 튜너(11)에서 추출된 RF 신호 중에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신호 출력부와,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 출력부와, 제어부(마이크로 프로세서, micro processor)(1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음향신호 출력부에는 튜너(11)에서 선택된 음향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프로세서(audio processor)(12)와, 오디오 프로세서(12)에서 처리된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3)와, 상기 증폭기(amplifier)(13)에서 증폭된 신호가 물리적인 진동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내부 스피커(internal speaker)(14)가 포함된다. 그리고, 음향 재생 시스템에서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선택된 경우에 FM 주파수로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하기 위한 FM transmitter(15)가 포함된다. 상기 FM transmitter(15)는 음향 신호인 FM 주파수를 통하여 상기 외부 음향 시스템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어부(17)에 의해서 송신 FM 주파수 채널등이 제어된다.
상기 영상 신호 출력부는 제어부(17)의 제어하에서 상기 튜너(11)로 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프로세서(video processor)(20)와,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2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한 편향 및 주사등의 후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후처리부(back-end system)(21)와,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screen)(22)이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가 음향 재생 시스템의 기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23)와, 음향 재생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다수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9)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는 상기 FM transmitter(15)에서 송신되는 FM 신호를 수신하는 FM receiver(62)와, 외부 음향 시스템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마이크로 프로세서, micro processor)(61)와,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65) 와, 상기 제어부(61)의 제어하에서 상기 FM receiver(62)에서 수신된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 아웃 포트(64)와, 사용자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를 제어하는 유저 인터페이스(66)가 포함된다. 상기 스피커 아웃 포트(64)에는 별도의 이어폰이 더 연결되어 음향을 청취할 수도 있고, 스피커가 바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무선 음향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튜너(11)에서 선택되는 음향신호는 음향신호출력부를 통해서 출력되고, 영상신호는 영상신호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 때에는, 상기 음향신호는 상기 내부 스피터(14)를 통해서 출력되는 상태이다. 그러나, 만약 사용자가 음향신호를 무선으로 송신받아 별도의 외부 음향 시스템으로서 리모트 컨트롤러(2) 및/또는 오디오 시스템(3)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66)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기기(1) 특히, FM transmitter(15)의 이용채널을 조작하게 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66)의 동작을 간단하게 말하면, 사용자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66)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부(3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에 의해서 최적의 주파수가 탐색되도록 한다. 그리고, 최적의 송수신 주파수로 판단되는 주파수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에서 디스플레이 기기(1)로 송신되고, 상기 FM transmitter(15)의 송신 주파수가 상기 최적의 주파수로 설정된 상태에서 음향 신호가 무선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외부 음향 시스템에서는 상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을 출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 간에 제어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에는 제 2 제어신호 통신부(16)가 형성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에는 제 1 제어신호 통신부(63)가 형성된다. 각각의 제어신호 통신부(16)(63)는 각각의 시스템의 제어부(17)(61)와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제어신호가 전달되어 처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통신부(16)(63)의 통신은 다양한 방식의 통신규격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이 수행되는 IR module일 수 있고, 블루투스 모듈일 수도 있고, IEEE802.11b 모듈일 수도 있다. 다만, 양자 간에 무선 통신이 수행되어 제어신호가 양자 간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외부 음향 시스템(2)에 장착되는 FM receiver(62)는, 상기 FM transmitter(15)에서 송신되는 FM 신호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가 놓이는 위치에서 현재 공중파로 방송 중인 FM 채널을 탐색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이 경우에는 상기 FM receiver(62)에 의해서는 FM 디텍터로서의 역할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FM receiver(62)는 상기 제어부(61)의 제어에 의해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되고, 상기 설정채널로 수신되는 공중파 방송은 상기 스피커 아웃 포트(64)를 통하여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감지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채널과 관련되는 정보는 상기 메모리(65)에 미리 설정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 설정채널이 다른 공중파 방송에 점유되어 있는 가의 여부가 판단되고, 이미 공중파 방송에 의해서 점유된 채널로 판단되면 다른 설정채널을 적용하고, 공중파 방송에 의해서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채널을 이용가능한 이용채널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용채널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로 전송하여 상기 이용채널로 상기 FM transmitter(15)가 동작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모트 컨트롤러(2)에는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71)과, 스피커 아웃 포트(64)와, 다수개의 기능버튼이 형성된다. 상기 기능버튼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66)를 조작하여 리모트 컨트롤러(2)의 동작 상태가 조작되도록 한다.
상기 기능버튼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반적인 기능에 더하여 FM 수신 기능이 개시 또는 종료되는 온/오프 버튼(72)과, 상기 온/오프 버튼(72)의 동작이 시작된 뒤에 설정채널의 변경이 입력되는 채널 변경 버튼(75)과, 상기 설정채널이 적정의 채널로 판단된 뒤에 설정채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기기(1)로 송신하는 전송버튼(74)이 포함된다. 상기 온/오프 버튼(72)이 별도로 제공됨으로써, FM 수신 기능이 수행되지 않을 때에는 관련되는 부품의 동작을 위한 전원이 소모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원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되는 기능버튼부의 동작을 중심으로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온/오프 버튼(72)을 조작하면 설정될 수 있는 채널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이때 사용자는 채널변경버튼(75)을 이용하여 설정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설정된 채널은 제어부(61)의 제어하에 상기 FM receiver(62)에 설정되어, FM 방송이 리모트 컨트롤러(2)에 수신되어 상기 스피커 아웃 포트(64)를 통하여 출력된다.
만약, 현재의 설정채널에 공중파 방송이 없어서 만족스러운 경우에는 현재의 설정채널을 이용채널로 하여, 제어부(61)에서는 메모리(65)에 이용채널로 저장하고, FM receiver(62)는 계속해서 이용채널로 방송이 수신되도록 한다. 물론, 현재의 설정채널에 공중파 방송이 있는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만족스럽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채널변경버튼(75)을 조작하여 설정채널이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 설정채널의 변경은 만족스러운 채널이 탐색될 때까지 계속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 전송버튼(74)을 눌러서 현재 이용채널의 정보가 마이크로 프로세서(61)의 제어하에 제 1 제어신호 통신부(6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기기(1)로 전송된다. 전송된 이용채널의 정보는 제 2 제어신호 통신부(63)에 수신된 뒤에, 디스플레이 기기(1)의 제어부(17)로 전달되고 디스플레이 기기(1)의 메모리(19)에 저장되고, 상기 FM transmitter(15)에 이용채널로 설정된다.
이후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음향신호는 이용채널을 통하여 FM transmitter(15)에서 송신되고 리모트 컨트롤러(2)의 FM receiver(62)에 수신되고 스피커 아웃 포트(64)를 통하여 출력되어 사용자가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설정채널은 리모트 컨트롤러(2)와 디스플레이 기기(1)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신호 통신부(16)(63)는 채널의 자체적인 정보가 아닌 채널이 저장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 정보를 전송하여서 설정채널의 정보가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도 4에는 설정채널의 정보 및 그에 대한 어드레스가 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어드레스는 일곱가지의 경우가 표시되고, 각 어드레스에는 설정채널의 주파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물론, 구체적인 사용지역 및 기기의 사양에 따라서 설정채널의 수와 주파수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되는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디스플레이 기기(1)에서 영상 및 음향의 재생되고(S1), FM transmitter(15)를 통하여 음향이 재생될 지의 여부가 판단되어(S2), FM transmitter(15)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기기(1)의 내부 스피커(14)를 통하여 음향이 출력된다(S9).
만약, 상기 FM transmitter(15)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리모트 컨트롤러(2)에서 이용채널을 선정하는 과정이 더 진행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이용채널이 선정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메모리에 설정되는 상기 설정채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선택채널을 선정하고(S3), 상기 선택채널에 공중파 방송이 있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4). 여기서 상기 선택채널을 선정하는 과정은, 상기 메모리(65)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설정채널 중에서 임의의 설정채널을 제어부(61)가 호출한 뒤에, 상기 FM receiver(62)에 이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채널에 공중파 방송이 있는 지의 여부가 더 판단되어, 공 중파 방송이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설정채널을 선택채널로 하는 과정(S10)이 수행된다. 여기서 임의의 선택채널에 공중파 방송이 있는 지의 여부는, 상기 FM receiver(62)를 통하여 수신되는 공중파 방송이 스피커 아웃 포트(64)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하고, 출력되는 음향에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는 지의 여부로 판단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채널을 변경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상기 채널 변경 버튼(75)을 눌러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공중파 방송 여부 판단단계(S4)에서 현재의 선택채널에 공중파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리모컨에서 현재의 선택채널이 이용채널로 설정되도록 한다(S5). 상기 이용채널에는 상기 FM transmitter(15)와 상기 FM receiver(62)간의 무선 송수신에 사용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이용채널의 정보는 상기 메모리(65)에 저장된다. 이후에는 상기 이용채널의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2)에서 디스플레이 기기(1)로 전송한다(S6). 이때, 이용채널의 정보는 이용채널의 주파수 대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어드레스 정보(도 4참조)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용채널 정보의 전송은 상기 전송버튼(74)이 눌려지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용채널정보가 디스플레이 기기(1)에서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기기(1)의 제어부는 메모리(19)에 이용채널의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되는 어드레스에 수록되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호출한 뒤에, 상기 FM transmitter(15)의 채널을 상기 이용채널의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고, 이후에는 이용채널에 의해서 FM transmitter(15)가 동작된다(S7).
그러면, 상기 FM transmitter(15)에서는 음향 신호를 상기 이용채널을 통하여 상기 FM receiver(62)로 송신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음향을 재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FM transmitter(15)에서 송신되는 음향신호는 리모트 컨트롤러(2)만이 아니라 상기 오디오 시스템(3)에도 송신될 수 있고, 이 때에는 오디오 시스템(3)의 주파수를 이용채널로 설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기기로 음향을 청취할 수도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시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으나, 이또한 본 발명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2)를 조작하여 임의의 설정채널을 선택채널로 선택하는 과정과 함께, 선택채널의 정보가 리모트 컨트롤러(2)에서 디스플레이 기기(1)로 전송되어 설정되도록 한 뒤에, 이 상태에서 상기 FM transmitter(15)로 부터 송신되는 음향 신호가 리모트 컨트롤러(2)에서 올바르게 출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바르게 수신되는 경우에는 현재의 선택채널을 이용채널로 설정하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선택채널을 변경하는 과정이 이용채널이 선택될 때까지 계속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와 외부 음향 시스템이 연동되는 주파수 대역을 편리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간단한 작업만으로 연동되는 주파수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특정의 주파수에 대하여 혼신이 일어날 때에는 편리하게 주파수를 바꾸어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제품의 신뢰성이 한층 더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FM 방송을 수신하는 FM receiver와,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 아웃 포트와, 상기 FM receiver에서 감지되는 공중파 방송과 혼신을 일으키지 않는 이용채널을 선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용채널의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제어신호 통신부가 내장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상기 제 1 제어신호 통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이용채널의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제어신호 통신부와, 상기 제 2 제어신호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이용채널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이용채널로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어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FM receiver로 송신하는 FM transmitter가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M transmitter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오디오 시스템이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채널의 정보는 주파수 대역 정보가 저장되는 주소정보인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채널은 복수개의 설정채널에 중에서 노이즈가 작은 채널이 선정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이용채널이 선정되는 단계;
    상기 이용채널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이용채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내장되는 FM transmitter의 송신 채널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FM transmitter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음향 신호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채널은 복수개의 설정채널에서 공중파 방송이 없는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 방법.
KR1020050061421A 2005-07-07 2005-07-07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700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421A KR100700773B1 (ko) 2005-07-07 2005-07-07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421A KR100700773B1 (ko) 2005-07-07 2005-07-07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262A true KR20070006262A (ko) 2007-01-11
KR100700773B1 KR100700773B1 (ko) 2007-03-27

Family

ID=3787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421A KR100700773B1 (ko) 2005-07-07 2005-07-07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931B1 (ko) * 2005-12-13 2007-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Dmb 오디오 방송의 상호간섭 최소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616A (ko) * 2003-10-20 2005-04-25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향상된 fm 송출기능을 갖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931B1 (ko) * 2005-12-13 2007-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Dmb 오디오 방송의 상호간섭 최소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773B1 (ko)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050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fm신호전송방법
KR20060136064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fm신호전송방법
US200400712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surround sound speaker systems
US90260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US20120033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stening to audio Corresponding to a PIP Display
US9363355B2 (en) Wireless terminal adapted to control broadcast in external device
JP200713489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送信方法
US7937742B2 (en)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receiving audio/video signals and additional audio signal for outputting to an external device
US2013033108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of other electronic devices
KR100700773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060009245A1 (en) Wireless audio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nd using method therefor
JP2007329860A (ja) テレビ放送録画システム、録画装置及びテレビ放送録画方法
KR100722038B1 (ko) 무선 음향 송수신 시스템 및 무선 음향 송수신 방법
KR100731383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방법
JP2007060575A (ja) Avシステム及び増幅装置
JP4672813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1086187B1 (ko) 티브이의 무선 청취 시스템
KR100738717B1 (ko) 무선 음향 송수신 시스템 그 시스템의 사용방법
KR102245072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68447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fm 신호 전송 방법
KR200374673Y1 (ko) 트랜스미터가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JP2006191366A (ja) 周波数シンセサイザ
KR20000040660A (ko) 헤드폰신호전송장치를 구비한 텔레비젼
JP2008085670A (ja) Av機器
KR20070063267A (ko) 텔레비전의 효과음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