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078A -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078A
KR20070006078A KR1020050061087A KR20050061087A KR20070006078A KR 20070006078 A KR20070006078 A KR 20070006078A KR 1020050061087 A KR1020050061087 A KR 1020050061087A KR 20050061087 A KR20050061087 A KR 20050061087A KR 20070006078 A KR20070006078 A KR 20070006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unit
video signal
pin connection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3947B1 (ko
Inventor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1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947B1/ko
Priority to CN2006101054112A priority patent/CN1893605B/zh
Priority to US11/480,898 priority patent/US7825717B2/en
Publication of KR2007000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출력부와; 외부장치에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서브출력부와; 상기 서브출력부에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속 감지부와; 상기 접속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인 출력부에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서브 출력부에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자기기에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영상신호를 자동으로 외부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Electr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a는 D-sub 커넥터 접속포트에 마련된 핀접속부의 구성도이고,
도 2b는 DVI 커넥터 접속포트에 마련된 핀접속부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 출력부 30 : 영상 프로세서
50 : 서브 출력부 70 : 접속 감지부
100 : 전자기기 200 : 외부장치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메인 출력부 및 서브 출력부를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PDA, thin client 등 임베디드 시스템을 이용한 제품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베디드 시스템이란, 프로세서가 시스템에 내장되어 동 작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미리 정해진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조합된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자기기가, 예를 들어 내부에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PDA 인 경우, PDA의 출력포트에 프로젝터와 같은 외부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종래의 전자기기는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 내부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장치 중 어느 곳으로 영상신호를 출력해야 하는지 사용자가 별도로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에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영상신호를 자동으로 외부장치에 출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기기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출력부와; 외부장치에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서브출력부와; 상기 서브출력부에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속 감지부와; 상기 접속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인 출력부에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서브 출력부에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출력부는 소정의 감지 핀접속부를 갖는 출력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감지부는 상기 감지 핀접속부에 상기 외부장치가 연결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핀접속부는 상기 출력포트에 마련된 복수의 핀접속부 중 그라운드 핀접속부와 미사용 핀접속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 핀접속부는 상기 출력포트에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접지가 해제되고, 상기 접속 감지부는 상기 감지 핀접속부의 접지가 해제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단자는 D-sub 포트와 DVI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 감지부는 풀업 저항을 포함하여, 상기 감지 핀접속부의 상태에 따라 풀업신호를 감지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메인출력부와 서브출력부를 갖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소정의 외부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 결과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지 않았으면 상기 메인출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감지 결과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서브출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출력부는 소정의 감지 핀접속부를 갖고,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감지 핀접속부가 접지되어 있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감지 핀접속부의 접지가 해제되는 단계와;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감지 핀접속부의 접지가 해제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메인 출력부와, 외부장치(200)에 소정의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서브 출력부와, 서브 출력부에 외부장치(20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속 감지부(70)와, 이들을 제어하는 영상 프로세서(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출력포트(50)에 외부장치(200)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영상 프로세서(30)가 처리한 영상신호를 소정의 메인 출력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이 하, 디스플레이부(10)라 한다)에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메인 출력부 외에 소정의 서브 출력부, 예를 들어 출력포트(50)(이 하, 출력포트(50)라 한다)에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출력포트(50)에는 소정의 외부장치(200)가 접속되며, 영상 프로세서(30)는 외부장치(200)에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포트(50)와 외부장치(200)는 DDC(Display Data Channel) 인터페이스, 바람직하게는 DDC-CI 인터페이스 규격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여기서, 출력포트(50)는 외부장치(200)와 연결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포트는 D-sub 포트, DVI 포트 등 영상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포트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D-sub 포트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핀접속부의 배열을 갖는다. 즉, 1번 내지 3번 핀접속부는 RGB 신호, 12번 핀접속부는 DDC 데이터, 13번 핀접속부는 수평동기신호, 14번 핀접속부는 수직동기신호, 15번 핀접속부는 DDC 클럭이 전송되는 핀접속부이며, 9번 핀접속부는 미사용 핀접속부이다. 4번 핀접속부 내지 8번 핀접속부, 10번 핀접속부, 11번 핀접속부는 접지 핀접속부로서 일측에 전송된 신호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 이 접지 핀접속부를 통해 신호가 흘러나오게 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을 원활하고 안정되게 한다.
DVI 포트는 크게 디지털 데이터만 전송되는 DVI-D 포트와 디지털 데이터와 아날로그 데이터 전송이 모두 가능한 DVI-I 포트로 구분된다. 도 2b는 DVI-D 포트를 일 예로 든 것이다.
DVI는 T.M.D.S 디지털 전송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있어서 각 핀접속부는 T.M.D.S 신호 및 제어신호에 적용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핀접속부 중 8번 핀접속부는 미사용 핀이며, 15번 핀접속부는 접지 핀접속부이다.
접속 감지부(70)는 출력포트(50)에 외부장치(200)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접속 감지부(70)는 소정의 풀업저항(R)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출력포트(50)의 그라운드 핀접속부, 즉, D-sub의 4번, 5번, 11번, DVI의 15번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미사용 핀접속부인 D-sub의 9번 핀접속부, DVI의 8번 핀접속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D-sub의 RGB 그라운드 핀접속부인 6번, 7번, 8번 핀접속부 역시 풀업저항(R)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RGB 그라운드 핀접속부는 각 RGB 신호 레벨의 기준이 되므로 전술한 핀접속부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D-sub의 5번 핀접속부(이하, 감지 핀접속부라 한다)에 외부장치(200)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감지 핀접속부는 그라운드 되어 있으며, 접속 감지부(70)의 풀업저항(R)의 일 단과 감지 핀접속부는 오프되어 있어서 접속 감지부(70)는 하이신호를 영상 프로세서(30)에 출력한다.
전술한 감지 핀접속부에 외부장치(200)가 연결되는 경우, 풀업저항(R)의 일 단과 감지 핀접속부는 온된다. 따라서, 감지 핀접속부는 그라운드 되어 있으므로 풀업저항(R)의 일 단은 그라운드 되어 접속 감지부(70)는 영상 프로세서(30)에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영상 프로세서(30)는 접속 감지부(70)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출력포트(50)에 외부장치(200)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영상 프로세서(30)는 외부장치(200)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가 표시 가능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 출력한다. 한편, 영상 프로세서(30)는 외부장치(200)가 출력포트(50)에 연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자동으로 외부장치(200)에 출력한다. 즉, 영상 프로세서(30)는 접속 감지부(7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0)와 출력포트(50)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영상 프로세서(30)는 출력포트(50)에 복수의 외부장치(200)가 접속하는 경우 출력포트(50)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우선순위에 따른 포트에 접속되는 외부장치(200)에만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 출력한다(S1).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 감지부(70)는 그라운드 핀접속부인 감지 핀접속부과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접속 감지부(70)는 출력포트(50)에 외부장치(200)가 접속된다고 감지되면, 풀업저항(R)에 의해 로우신호를 영상 프로세서(30)에 출력한다(S5). 영상 프로세서(30)는 접속 감지부(7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로우신호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외부장치(200)에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영상 프로세서(30)는 디스플레이부(10)에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S8).
접속 감지부(70)는 출력포트(50)에 외부장치(200)가 접속되지 않으면 영상 프로세서(30)에 하이신호를 출력한다(S9). 영상 프로세서(30)는 접속 감지부(70)의 감지 결과 하이신호가 인가되면 디스플레이부(10)에 지속적으로 영상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접속 감지부(70)는 외부장치(200)의 접속이 없으면 지속적으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에서, 영상 프로세서(30)는 디스플레이부(10)에 소정의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동안 접속 감지부(70)를 통해 외부장치(200)가 접속됐다는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자동으로 외부장치(200)에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접속 감지부(70)가 풀업저항(R)을 포함하고, 출력포트(50)에 외부장치(200)가 접속되는 경우 로우신호, 장작되지 않는 경우 하이신호를 출력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 불과하여 각각의 하이신호/로우신호는 회로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자유로이 바뀔 수 있으며, 접속 감지부(70)는 출력포트(50)에 외부장치(200)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 신호를 영상 프로세서(30)에 출력할 수 있다면 그 구성에 제한은 없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영상 프로세서(30)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0)와 출력포트(50)에 출력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영상 프로세서(30)가 적어도 2가지 경로로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면 충분하며 디스플레이부(10)와 출력포트(50)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외부장치(200)가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가 영상신호의 패스를 별도로 설정해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영상신호를 외부장치(20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에 외부장치(200)가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에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의 소비전력을 줄일 뿐 아니라 영상 프로세서(30)의 구동량을 줄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출력부와 서브 출력부에 영 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외부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선 메인 출력부에만 외부장치가 접속된 경우에는 서브 출력부에만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0)

  1. 전자기기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출력부와;
    외부장치에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서브출력부와;
    상기 서브출력부에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속 감지부와;
    상기 접속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인 출력부에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서브 출력부에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출력부는 소정의 감지 핀접속부를 갖는 출력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감지부는 상기 감지 핀접속부에 상기 외부장치가 연결되는지 여부 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핀접속부는 상기 출력포트에 마련된 복수의 핀접속부 중 그라운드 핀접속부와 미사용 핀접속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핀접속부는 상기 출력포트에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접지가 해제되고,
    상기 접속 감지부는 상기 감지 핀접속부의 접지가 해제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는 D-sub 포트와 DVI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감지부는 풀업 저항을 포함하여, 상기 감지 핀접속부의 상태에 따라 풀업신호를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메인출력부와 서브출력부를 갖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소정의 외부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 결과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지 않았으면 상기 메인출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감지 결과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서브출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출력부는 소정의 감지 핀접속부를 갖고,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감지 핀접속부가 접지되어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감지 핀접속부의 접지가 해제되는 단계와;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감지 핀접속부의 접지가 해제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50061087A 2005-07-07 2005-07-07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63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087A KR100763947B1 (ko) 2005-07-07 2005-07-07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2006101054112A CN1893605B (zh) 2005-07-07 2006-07-06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1/480,898 US7825717B2 (en) 2005-07-07 2006-07-06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087A KR100763947B1 (ko) 2005-07-07 2005-07-07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078A true KR20070006078A (ko) 2007-01-11
KR100763947B1 KR100763947B1 (ko) 2007-10-05

Family

ID=3759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087A KR100763947B1 (ko) 2005-07-07 2005-07-07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25717B2 (ko)
KR (1) KR100763947B1 (ko)
CN (1) CN18936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748A (ko) * 2018-11-26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1864B2 (en) * 2007-08-31 2010-05-04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to dynamically manage performance state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CN102778299B (zh) * 2012-07-27 2014-03-12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具有孔径对准功能的哈特曼波前探测器
TWI565162B (zh) * 2015-07-20 2017-01-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應用於數位視訊介面的控制電路及相關的控制方法
KR20180018889A (ko) * 2016-08-09 2018-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3524A (ja) * 1991-12-20 1993-07-13 Nec Corp Lcd/crt切替方式
US5559964A (en) * 1992-12-15 1996-09-24 Rolm Company Cable connector keying
US6134612A (en) * 1994-08-23 2000-10-17 Nec Corporation External modular bay for housing I/O devices
JPH09270944A (ja) 1996-04-02 1997-10-14 Canon Inc 電子スチルカメラ
KR100243316B1 (ko) 1996-12-21 2000-02-01 윤종용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절환 회로 및 그 방법
JPH11212529A (ja) 1998-01-21 1999-08-06 Toshiba Corp 表示装置の切り替え制御装置とその切り替え制御方法
KR20000011182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노트북 컴퓨터
KR20010039050A (ko)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통신장비의 보드 및 케이블 감시장치
US7414606B1 (en) * 1999-11-02 2008-08-19 Ati Internationa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flat panel display monitor
JP4189872B2 (ja) 2001-04-23 2008-12-03 株式会社リベックス 位置検出器
JP3754635B2 (ja) 2001-07-17 2006-03-15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モニタ用入力チャンネル切替制御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モニタの入力チャンネル切替制御方法
KR100474724B1 (ko) * 2001-08-04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외부디스플레이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KR100667748B1 (ko) 2002-10-08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타입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식 정보 출력 장치 및방법
KR100512739B1 (ko) 2003-07-07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12978B1 (ko) * 2003-07-25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기기의 도킹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101561491B1 (ko) * 2008-11-25 201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핫 플러그 감지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748A (ko) * 2018-11-26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0111685A1 (ko) * 2018-11-26 2020-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고속 충전 및 오디오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799253B2 (en) 2018-11-26 202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for supporting high-speed charging and audio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3605A (zh) 2007-01-10
US7825717B2 (en) 2010-11-02
KR100763947B1 (ko) 2007-10-05
US20070009183A1 (en) 2007-01-11
CN1893605B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09166B (zh) 自动切换装置及自动切换方法
US8151018B2 (en) Dual-mode data transfer of uncompressed multimedia contents or data communications
CN107315556B (zh) 显示装置
KR101490895B1 (ko) 제어 버스를 사용하는 전자 디바이스들의 발견
CN107678985B (zh) 显示装置及讯号来源切换方法
US9471525B2 (en) Cable with circuitry for communicating performance information
US7743264B2 (en)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operational state of a computer system via power button of a peripheral device
JP2000089930A (ja) コンピュ―タシステム及びビデオアダプタ
US9940277B2 (en) Multi-channel peripheral interconnect supporting simultaneous video and bus protocols
WO2012097615A2 (zh) 将耳机接口复用为高清视音频接口的多用途连接器及手持电子设备
KR100763947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648487B (zh) 显示设备的数据传输装置及数据传输方法
US11503249B2 (en) Relay device, receiving device, and transmission system using same
EP2071449B1 (en)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eceiver/transmitter chipset
US952938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ocking station, and external display control method
US20140201420A1 (en) Transmission interface system with detection function and method
US20130117491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15562B1 (ko) 아날로그/디지털겸용의비디오어댑터및이를갖는컴퓨터시스템
KR102384298B1 (ko)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마더보드 및 운영 시스템
TW201321989A (zh) 輸出入裝置以及使用其之顯示設備
KR100575125B1 (ko)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dvi 신호입출력장치
JP2016024702A (ja) 電子装置、電子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4661647A (zh) 通用串行总线集线装置及集线系统
KR20010011020A (ko) 노트북컴퓨터의 비디오 출력 신호 감쇄 방지 장치
US20080129890A1 (en) Method of Detecting an Image Display Device in an Electronic System and Related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