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015A -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015A
KR20070006015A KR1020050060138A KR20050060138A KR20070006015A KR 20070006015 A KR20070006015 A KR 20070006015A KR 1020050060138 A KR1020050060138 A KR 1020050060138A KR 20050060138 A KR20050060138 A KR 20050060138A KR 20070006015 A KR20070006015 A KR 20070006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portion
vehicle
connecting member
conn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0907B1 (ko
Inventor
권문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50060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90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직육면체 형상 몸체의 전후방이 관통 개구되고, 그 중 전방개구부(11)에 단자홀(13)들과 이를 구획하는 격벽(14)들이 형성되며, 상부벽과 하부벽에 몸체의 내측을 향하여 곡면돌부(15)가 형성된 부도체부(10)와; 상기 부도체부(10)의 후방개구부(12)에 삽입되는 직사각형 베이스(21)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상/하부벽의 곡면돌부(15)가 안착되는 곡면요부(24)가 형성된 상부탄성편(22) 및 하부탄성편(23)이 형성되고, 쇼트시키고자 하는 단자용 단자홀들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도체부(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쇼트시키고자 하는 단자의 수에 따라 도체부(20)만을 전용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부도체부(10)는 공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도체부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inter-connecting member of multi-function connector for vehicle}
도 1은 종래 다기능 컨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의 (a)와 (b)는 종래 다기능 컨넥터 중간연결부재의 실시예들로서, 각각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b)는 도 3의 도체부와 부도체부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a)는 단자홀 부분의 단면도, (b)는 격벽 부분의 단면도,
(c)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연결부재가 적용된 컨넥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도체부, 11 : 전방개구부,
12 : 후방개구부, 13 : 단자홀,
14 : 격벽, 15 : 곡면돌부,
16 : 경사면, 20 : 도체부,
21 : 베이스, 22 : 상부탄성편,
23 : 하부탄성편, 24 : 곡면요부,
25 : 고정홈, 30 : 수컨넥터하우징,
40 : 수단자, 50 : 암컨넥터하우징,
60 : 암단자, w : 와이어.
본 발명은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컨넥터의 내부에 구비되어 단순 와이어 연결 기능 및 와이어 쇼트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각종 전장 설비가 구비되는데, 이들 전장 설비는 와이어를 통해 전력과 기타 작동제어를 위한 신호를 공급받도록 되어 있으며, 각 와이어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기 위해서 컨넥터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의 선단에 구비된 암/수컨넥터들을 서로 결합시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를 영구적인 이음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각종 전장 설비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차량의 배선시에는 와이어들의 일부를 쇼트(short)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때는 와이어 쇼트용 컨넥터를 별도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와이어 쇼트용 컨넥터를 별도로 사용하게 되면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단자의 수도 증가할 수 밖에 없고, 다시 배선 작업을 할 경우에는 이미 조립된 와이 어링 하니스의 테이프를 풀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스피커, 아웃사이드 미러, 백업 램프, 라이센스 램프, 트렁크 리드 솔레노이드 등과 같은 차량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용 단자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연결용 단자는 차량의 진동에 매우 취약하므로 차량 품질의 저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조의 와이어 연결용 컨넥터의 수컨넥터(1) 내부에 다수개의 단자(2)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연결부재(3)를 설치한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가 개발되었다.
상기 중간연결부재(3)는 도 2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2)들 중 2개 이상의 단자가 끼워져 이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부(3a)와, 상기 도체부(3a)를 감싸는 부도체부(3b)로 이루어짐으로써 단순 와이어 연결 기능 및 와이어 쇼트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써 별도의 쇼트 컨넥터를 사용함에 따른 와이어 길이와 단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배선 작업을 할 경우에 이미 조립된 와이어링 하니스의 테이프를 풀어야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다.(미설명 부호 4는 상기 수컨넥터(1)와 결합되는 암컨넥터이고, 5는 그의 단자이며, w는 와이어를 나타낸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중간연결부재(3)는 쇼트시키고자 하는 단자의 수에 따라 도체부(3a)와 부도체부(3b)가 달리 제작된다. 즉, 쇼트시키고자 하는 단자의 수에 따라 각각 전용의 도체부(3a)와 부도체부(3b)를 제작해야 하므로 금형 등 부품 제작을 위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부도체부(3b)에 마련된 직육면체의 삽입홀에 이에 정확히 들어맞는 크기의 도체부(3a)를 삽입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체부(3a)를 부도체부(3b)에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쇼트시키고자 하는 단자의 수에 상관없이 부도체부를 공용할 수 있게 되어 부품 제작 비용이 감소되고, 부도체부에 도체부를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 몸체의 전후방이 관통 개구되고, 그 중 전방개구부에 단자홀들과 이를 구획하는 격벽들이 형성되며, 상부벽과 하부벽에 몸체의 내측을 향하여 곡면돌부가 형성된 부도체부와; 상기 부도체부의 후방개구부에 삽입되는 직사각형 베이스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상/하부벽의 곡면돌부가 안착되는 곡면요부가 형성된 상부탄성편 및 하부탄성편이 형성되고, 쇼트시키고자 하는 단자용 단자홀들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도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체부의 상/하부탄성편에는 상기 격벽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다.
상기 부도체부 상/하부벽의 후방 단부에는 몸체 내측 중앙을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수컨넥터의 하우징에 삽입되는 부도체부(10)와, 이 부도체부(10)에 삽입되는 도체부(20)로 구성된다.
상기 부도체부(10)는 플라스틱 재질로써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며, 몸체의 전후방이 관통되어 전방개구부(11)와 후방개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개구부(11)에는 (수)단자들이 위치되는 단자홀(13)들과, 이 단자홀(13)들을 구획하는 격벽(14)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도체부(10)의 상부벽과 하부벽에는 각각 몸체의 내측 부분을 향하여 부드러운 곡선형으로 돌출된 곡면돌부(15)가 형성된다. 즉, 이 곡면돌부(15)는 상/하부벽으로부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곡면부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의 후방 단부는 몸체의 내측 중앙을 향하여 경사면(1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체부(20)는 삽입되는 단자들과 동일 재질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도체부(10)의 후방개구부(12)에 삽입되는 직사각형의 베이스(21)와, 이 베이스(21)의 상단과 하단에 전방을 향하여 연장성형된 상부탄성편(22)과 하부탄성편(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탄성편(22,23)은 상기 부도체부(10)의 곡면돌부(15) 형상에 대응하여 동일한 형상으로 굴곡성형된 곡면요부(24)가 형성되며, 각각의 전방 단부는 부도체부(10)의 상/하부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지되, 전방개구부(11)에 형성된 격벽(14)들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고정홈(25)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체부(20)는 쇼트시키고자 하는 단자의 수에 따라 그 폭이 형성되는데, 즉, 쇼트시키고자 하는 단자용 단자홀(13)들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도 4의 (a)와 (b)에 부도체부(10)에 도체부(20)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체부(20)는 부도체부(10)의 후방개구부(12)로 삽입된다. 삽입시 도체부(20)의 상/하부탄성편(22,23)은 부도체부(10)의 곡면돌부(15) 형상을 따라 오므라지다가 탄성반력에 의해 다시 벌어져 곡면요부(24)에 곡면돌부(15)가 안착되는 상태로 완전 삽입되며, 이때 도체부(20)의 고정홈(25)에 부도체부(10)의 격벽(14)이 끼워짐으로써 도체부(20)의 좌우유동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중간연결부재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컨넥터 하우징(30)의 전방으로부터 삽입안착되면, 수컨넥터하우징(30)에 구비된 단자(40)들이 도체부(20)의 상하 곡면요부(24) 사이에 끼워진다. 즉, 중간연결부재를 조립할 때 선택된 도체부(20)의 폭에 따라 해당 범위의 단자(40)들이 쇼트되며, 그 외의 단자들은 도체부(2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수컨넥터하우징(30)에 끼워질 암컨넥터하우징(50)의 암단자(60)들에 단순 연결되어진다.
이와 같이, 쇼트시키고자 하는 단자(40)의 수에 따라 제작된 전용의 도체부(20)만을 선택적으로 부도체부(1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부도체부(10)를 공용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부품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부도체부(10)의 후방개구부(12)의 상하벽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 이 몸체의 내측 중앙을 향하는 경사면(16)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더하여 상기 도체부(20)의 상부 부분은 탄성편(22,23)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도체부(20)를 부도체부(10)의 후방개구부(12)를 통해 삽입할 때 상기 경사면(16)이 상/하부탄성편(22,23)의 진입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며, 상/하부탄성편(22,23)은 탄성에 의해 부드럽게 안내경로를 따라 변형됨으로써 도체부(20)를 매우 용이하게 부도체부(10)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체부(2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16)이 형성된 것에 의해 도체부(20)의 베이스(21)와 부도체부(10)의 상/하부벽 사이에는 소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되게 되는데, 작업자는 이 공간으로 공구의 단부를 삽입하여 도체부(20)의 베이스(21)를 잡음으로써 부도체부(10)로부터 도체부(20)를 분리해내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쇼트시키고자 하는 단자의 수에 상관없이 부도체부를 공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쇼트 단자수에 따른 전용의 부도체부를 개별적으로 제작하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부도체부에 도체부를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중간연결부재의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직육면체 형상 몸체의 전후방이 관통 개구되고, 그 중 전방개구부(11)에 단자홀(13)들과 이를 구획하는 격벽(14)들이 형성되며, 상부벽과 하부벽에 몸체의 내측을 향하여 곡면돌부(15)가 형성된 부도체부(10)와;
    상기 부도체부(10)의 후방개구부(12)에 삽입되는 직사각형 베이스(21)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상/하부벽의 곡면돌부(15)가 안착되는 곡면요부(24)가 형성된 상부탄성편(22) 및 하부탄성편(23)이 형성되고, 쇼트시키고자 하는 단자용 단자홀(13)들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도체부(20)로 구성되는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20)의 상/하부탄성편(22,23)에는 상기 격벽(14)이 삽입되는 고정홈(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도체부(10) 상/하부벽의 후방 단부에는 몸체 내측 중앙을 향하는 경사면(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KR1020050060138A 2005-07-05 2005-07-05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KR100860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138A KR100860907B1 (ko) 2005-07-05 2005-07-05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138A KR100860907B1 (ko) 2005-07-05 2005-07-05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015A true KR20070006015A (ko) 2007-01-11
KR100860907B1 KR100860907B1 (ko) 2008-09-29

Family

ID=3787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138A KR100860907B1 (ko) 2005-07-05 2005-07-05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235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1393B2 (ja) * 1999-07-27 2006-01-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869630B2 (ja) * 2000-06-22 2007-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235A (ko) * 2019-07-16 2021-01-26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907B1 (ko) 2008-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2747B2 (en) Connector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CN101512847B (zh) 适配器和插入连接系统
US10374334B2 (en) Cable connector
US9236679B2 (en) Electric coupling element
CN101208835A (zh) 电互连系统
US10714860B2 (en) Joint connector
WO2021079604A1 (ja) 分岐用コネクタ
JPH11307196A (ja) コネクタ
KR101046855B1 (ko) 중계 접속 회로 및 중계 커넥터
US1097184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0860907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US7534151B1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KR100384341B1 (ko) 전자기계식 컨택터
JP7410562B2 (ja) 電気コネクタ
US20210336369A1 (en) Machine case and cable connector assembly
CN109586121B (zh) 插头装置以及配电系统
CN110168819B (zh) 接头连接器
US6368118B1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20200083632A1 (en) Connector
JP5911896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端子付き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1758674B1 (ko) 커넥터조립체용 오조립 방지장치
US20080139039A1 (en) Connector
EP3528350B1 (en) Terminal block
JP2000083313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